KR20010004464A -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464A
KR20010004464A KR1019990025141A KR19990025141A KR20010004464A KR 20010004464 A KR20010004464 A KR 20010004464A KR 1019990025141 A KR1019990025141 A KR 1019990025141A KR 19990025141 A KR19990025141 A KR 19990025141A KR 20010004464 A KR20010004464 A KR 2001000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mirrors
light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853B1 (ko
Inventor
이종현
이명래
장원익
최창억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9002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8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58Multiple beam interferometer external to a light guide, e.g. Fabry-Pérot, etalon, VIPA plate, OTDL plate, continuous interferometer, parallel plate reson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02B26/0841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moved or deformed by electrosta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테라비트급) 정보교환을 위한 파장분할방식의 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광신호 중의 하나의 파장을 선택하기 위한 패브리-페롯형의 광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광 입력용 광섬유 및 광 출력용 광섬유과; 상기 광섬유 사이에 장착된 입사광용 마이크로 볼렌즈 및 출력광용 마이크로 볼렌즈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각 마이크로 볼렌즈 사이에 장착되며, 각각은 한 쌍의 실리콘 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실리콘 거울과; 지지체와 연결되어 고정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어느한 실리콘 거울과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터제작에 있어서 부가적인 증착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의 단순화와 제작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우수한 파장선택성과 넓은 영역의 파장가변성을 가진 필터를 구현할 수 있는 광 필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Micromachined optical filter}
본 발명은 대용량(테라비트급) 정보교환을 위한 파장분할방식의 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광신호 중의 하나의 파장을 선택하기 위한 패브리-페롯형의 광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테라비트급의 정보전달은 단일 파장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파장을 사용하고, 각각의 파장마다 수십 기가비트에 이르는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현재, 이러한 개념으로 추진되고 있는 추세는 선폭이 0.8nm 이하를 가진 64채널의 파장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이 성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광소자로는 파장을 합하거나 또는 분리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있으나, 여러 개의 파장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파장을 아주 정밀하게 분리해 내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패브리-페롯형의 공진기를 쓰는 것이다. 패브리-페롯형의 공진기가 사용되는 이유로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아주 우수한 파장선택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현재는 반도체 물질로서 공진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아주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필터의 제작이 가능해졌다. 또한, 미세구동방식을 사용해서 공진기의 투과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데까지 발전해왔다. 반도체 증착법에 의해서 제작된 필터들은 그 거울면이 보통 기판면에 수평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거울면은 우수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구조가 기판면에 수직이므로 광섬유나 다른 광소자와의 연계성이 떨어지게 된다. 파장 가변을 위한 구동방식에 있어서도 정전기적인 힘으로만 가능하므로 미세구동기술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광이 입출력되어 광 소자로서의 연계성이나 광섬유와의 입출력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판면에 수평으로 광을 입력시킬 수 있고 미세구동기술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실리콘 기판 자체만을 가지고 필터를 제작하므로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광 입력용 광섬유 및 광 출력용 광섬유과; 상기 광섬유 사이에 장착된 입사광용 마이크로 볼렌즈 및 출력광용 마이크로 볼렌즈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각 마이크로 볼렌즈 사이에 장착되며, 각각은 한 쌍의 실리콘 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실리콘 거울과; 지지체와 연결되어 고정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어느 한 실리콘 거울과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을 가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연결된 광 필터의 평면 구조도.
도 2는 필터의 거울쌍간의 거리에 따른 계산된 투과파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광섬유 지지체 12 : 광 입력용 광섬유
13 : 마이크로 볼렌즈 지지용 홈 14 : 입사광용 마이크로 볼 렌즈
15 : 두쌍의 평면 실리콘 거울(광입력측)
16 : 두쌍의 평면 실리콘 거울(광출력측)
17 : 출력광용 마이크로 볼 렌즈
18 : 광 출력용 광섬유 19 : 고정전극
110 : 앵커(지지대) 111 : 액츄에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을 가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연결된 광 필터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필터의 거울쌍간의 거리에 따른 계산된 투과파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상에 이온빔식각방식으로 기판면에 수직으로 구조물을 형성시킨다. 먼저, 광 입출력용 광섬유(12, 18)를 고정하기 위해 광섬유 지지체(11)에 V자형의 홈을 판다. 여기에 광섬유를 부착시키고 볼렌즈 지지대(13)에 부착된 마이크로 볼렌즈(14)를 통해서 평행광으로 만든다. 평행광은 다시 두장의 거울로 이루어진 두쌍의 거울(15, 16)을 지나서 출력용 볼렌즈(17)을 통과하여 포커싱된 후 출력용 광섬유(18)에 입사하게 된다. 두 쌍의 거울은 각각 두개의 거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거울들은 다시 각각 (2m+1)λ/4 (m=0,1,2, )의 두께를 가진다. 두개의 거울 사이의 거리는 공기층인데 이 두께도 마찬가지로 (2m+1)λ/4 (m=0,1,2, )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거울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반사율의 최대치가 약 64% 인데 반해, 두 개의 거울을 쌍으로 하여 브래그 반사경(Bragg reflector)을 구성한 경우 99% 이상의 반사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반사율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거울과 공기층의 주기를 더 여러 번 반복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용으로 쓰이는 광 필터의 분해능이 0.8nm 이하면 되므로, 이에 필요한 최소주기인 거울/공기/거울의 1.5 주기만을 사용했다. 이 정도로도 0.5nm의 선폭을 얻을 수 있음을 계산상으로 확인했다. 이렇게 구성된 거울쌍을 두개를 기판면에 식각하여 형성한후 희생층 식각법을 이용하여 기판면과 분리시킨 후, 하나를(여기선 도 1의 16) 미세구동 액츄에이터(111)에 연결되도록 하면 광축을 따라서 움직일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11)는 지지체인 앵커(110)에 연결된다. 미세구동방식은 고정전극(19)와 엑츄에이터(111)의 정전기력에 의해서 움직인다. 이 경우, 거울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정밀한 파장 가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중의 하나인 광의 입출력이 기판면에 평행하므로 광섬유의 정렬이 용이하고 집적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모든 부품을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시키고, 재료도 부가적인 증착이 필요 없으므로 제작의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광 필터의 투과특성을 계산한 것을 나타낸다. 액츄에이터(121)를 조절해서 거울쌍(15,16)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면, 그 투과특성이 도 2와 같이 된다. 투과특성으로서 선폭이 0.8 nm 이하였고, 파장가변범위는 80 nm 였다. 그러므로 테라비트급 전송에 필요한 64개의 채널을 훨씬 상회하는 약 100개의 파장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만을 사용해서 기판면에 수직으로 거울면을 형성시켜서 필터를 만들므로 광의 입출력이 기판면과 수평으로 되는 필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필터제작에 있어서 부가적인 증착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의 단순화와 제작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우수한 파장선택성과 넓은 영역의 파장가변성을 가진 필터를 구현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로 마주보는 광 입력용 광섬유 및 광 출력용 광섬유과;
    상기 광섬유 사이에 장착된 입사광용 마이크로 볼렌즈 및 출력광용 마이크로 볼렌즈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각 마이크로 볼렌즈 사이에 장착되며, 각각은 한 쌍의 실리콘 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실리콘 거울과;
    지지체와 연결되어 고정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어느한 실리콘 거울과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거울 각각은 (2m+1)λ/4 (m=0,1,2,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리콘 거울 사이의 공기층은 (2m+1)λ/4 (m=0,1,2,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섬유는 지지대 표면에 V형의 홈을 파고, 여기에 입력용 광섬유와 출력용 광섬유를 각각 넣어서 전체가 기판면과 평행하게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두 개의 실리콘 거울간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한 개의 실리콘 거울을 구동체와 연결시키고, 이의 왕복운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정전력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KR1019990025141A 1999-06-29 1999-06-29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KR10034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41A KR100341853B1 (ko) 1999-06-29 1999-06-29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141A KR100341853B1 (ko) 1999-06-29 1999-06-29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64A true KR20010004464A (ko) 2001-01-15
KR100341853B1 KR100341853B1 (ko) 2002-06-26

Family

ID=1959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141A KR100341853B1 (ko) 1999-06-29 1999-06-29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7612B2 (en) 2003-05-12 2007-0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avelength tunable filter capable of being bidirection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for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388B1 (ko) 2021-03-29 2022-10-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분해능을 가지는 패브리-페로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7612B2 (en) 2003-05-12 2007-0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avelength tunable filter capable of being bidirectionally driven by electromagnetic fo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853B1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26165B (en) Microstructure switches
US6556338B2 (en) MEMS based variable optical attenuator (MBVOA)
US4825262A (en) Fabry-perot interferometer
US6445841B1 (en) Optomechanical matrix switches including collimator arrays
USRE44356E1 (en) Tunable-wavelength optic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01099B2 (ja) 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光スイッチング装置
US6449406B1 (en) Micromachined optomechanical switching devices
US20020149850A1 (en) Tunable optical filter
US20020181852A1 (en) Micromachined optomechanical switching cell with parallel plate actuator and on-chip power monitoring
US6771158B2 (en) Micro electromechanical differential actuator
JP2009080509A (ja) 光学フィルタ
JP3899031B2 (ja) Memsリ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可能な光格子
KR100388499B1 (ko) 가변광필터 및 그 가변광필터를 이용한 광통신 소자
CA2371415C (en) Fast attenuator
KR100533535B1 (ko) 열구동 파장가변 필터
KR101508618B1 (ko) 광 변조를 위한 튜닝 가능 나노와이어 공진기
US7289262B2 (en) Optical attenuator element, and variable optical equalizer and optical amplifier that use this optical attenuator element
KR100489810B1 (ko) 전자기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파장가변 필터
KR100341853B1 (ko) 마이크로 구조체를 이용한 광 필터
KR20040072406A (ko) 파장 조절 광 공진기 및 그를 이용한 튜너블 광 필터
US6727562B2 (en) Basic common optical cell configuration of dual cavities for optical tunable devices
US7269325B2 (en) Tunable optical device
CA1333452C (en) Fabry-perot interferometer
Kanie et al. Ultra-compact multichannel optical components based on PLC and MEMS technologies
KR100442831B1 (ko) 광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