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897A -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897A
KR20010003897A KR1019990024396A KR19990024396A KR20010003897A KR 20010003897 A KR20010003897 A KR 20010003897A KR 1019990024396 A KR1019990024396 A KR 1019990024396A KR 19990024396 A KR19990024396 A KR 19990024396A KR 20010003897 A KR20010003897 A KR 2001000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shorthand
correction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501B1 (ko
Inventor
최광석
Original Assignee
정상덕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덕,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filed Critical 정상덕
Priority to KR101999002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501B1/ko
Priority to JP2000043541A priority patent/JP3484130B2/ja
Priority to CNB001078666A priority patent/CN1202655C/zh
Publication of KR2001000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교번적으로 속기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짧은 시간 동안 입력된 속기 문자를 결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방송국으로 전송시킬 수 있으므로 방송 화면과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의 시간 차이인 딜레이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Stenograph input apparatus for the caption broadcasting and in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분배된 시간에 맞추어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속기 문자 입력자가 텔레비젼 화면을 보면서 동시에 텔레비젼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들었었다. 다음에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는 상기 텔레비젼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응하는 자막을 자신의 앞에 놓인 키보드에 입력하였다. 그러면 상기 키보드로부터 컴퓨터로 자막에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된다. 이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모뎀 등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국으로 자막이 전송된다.
다음에 상기 외부의 통신국을 통하여 일반 소비자의 가정의 텔레비젼으로 상기 자막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공중 전파를 통하여 송신된다. 이어서 통신 신호는 자막 수신용 디코더(캡션 수신 장치)를 통하여 자막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상기 가정의 텔레비젼의 화면에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응하는 자막이 표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는 속기 문자 입력자 1인 혼자서 1∼3분 정도 동안 속기 문자를 입력하였다. 따라서 텔레비젼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시점과 상기 텔레비젼의 화면에 자막이 표시되는 시점의 차이인 딜레이 타임이 5초 정도로 길었다. 또한 혼자서 1∼3분 정도의 긴 시간 동안 속기 문자를 입력해야 하므로 맞춤법 등에서 정확도가 낮았고 오타 등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이 발생한 시점과 자막이 표시된 시점의 차이인 딜레이 타임을 줄일 수 있고, 자막 입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과,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에 표시된 문자를 본 수정 작업자가 수정할 문자를 분할된 시간에 따라 입력하는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및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완성하며, 완성된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수신하는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받아서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한 문자 표시와,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속기 문자를 입력해야 할 시간 및 상속기 문자의 입력 동작을 정지해야 할 시간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과,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상기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방법은 한 싸이클인 특정시간을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의 수로 나누어 단위 시간을 설정하고, 반복되는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교대로 속기 문자를 제어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속기 문자의 입력 작업자의 컴퓨터에 속한 모니터 화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메인 컴퓨터에 속한 모니터 화면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4, 62, 6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
6, 8, 51, 64, 106, 108, 110, 112: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26, 53, 68: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 17: 외부의 통신국,
18: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
20: 화상 분배기, 22: 통신 수단,
14, 16, 70, 71: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
46, 60, 6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
48: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
50: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
52: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
54, 116: 통신 안내 수단,
56, 90, 129: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
58, 92, 130: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
66, 67: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
72: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
74, 76: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
94, 132: 제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
96: 제4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
98: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
100: 제3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
102, 10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
114, 124: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
126: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 128: 전송용 제어부
137: 제1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138: 제2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140: 제3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 8)과, 수정 작업자가 문자를 수정하도록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 12)과,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 12)에 표시된 문자를 본 수정 작업자가 수정할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과,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표시 수단(6, 8)으로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완성하며, 완성된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17)으로 전송하는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은 워드 프로세서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이다.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과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은 속기 문자 입력 및 수정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속기 문자 입력용 키보드이다.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 8)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 12)은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에 접속되어서 문자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모니터이다.
화상 분배기(20)는 1대의 컴퓨터(18)인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부터 여러 대의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 8)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 12)에 화상을 분배하도록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에는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부터 출력된 문장을 전용 회선(21)을 통해 상기 외부의 통신국(17)으로 전송시키도록 통신 수단(22)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외부의 통신국(17)은 일반 가정이나 기업체로 방송을 송신하는 방송사와, 일반 가정이나 기업체로 영상 및 음향을 송신하는 피씨(PC, 퍼스널 컴퓨터) 통신사 중 하나이다.
상기 통신 수단(22)은 상기 외부의 통신국(17)과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을 전용 회선을 통해 통신시키는 디지털 회선 종단 장치(DSU, Digital Service Unit)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 8)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 12)은 전송된 문장을 표시하는 전송 문장 표시부(33)와,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한 속기 문자를 표시하는 속기 문자 표시부(34)와, 수정 작업자가 입력한 수정 문자를 표시하는 수정 문자 표시부(36)와, 속기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잔여 입력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시간 표시부(32)는 특정한 기호로서 이루어지며, 0 0 0 0. . . . , * * * *. . . . ,□ □ □ □. . . . 등으로 표시되도록 화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특정한 기호의 수가 감소하여 속기할 시간과 수정할 시간이 표시되도록 상기 시간 표시부(32)는 화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정 문자 표시부(36)는 수정 작업자가 수정한 문자를 표시하는 자기 수정 문자 표시 영역(42)과, 다음 시간대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다음 수정 문자 표시 영역(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동작 설명을 위한 초기 조건으로서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에는 수정할 시간과 속기할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면 1싸이클이 6초이고 속기할 시간이 3초이며, 수정 또는 휴식 시간은 3초라고 가정한다. 또한, 속기 문자 입력자(PERSONS)의 수는 2명이라고 가정한다.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할 시간에 모니터의 화면은 도 3과 같이 표시된다.
먼저, 2명의 속기 문자 입력자와 2명의 수정 작업자가 서로 짝을 이루어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과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 앞에 앉아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2명의 속기 문자 입력자와 2명의 수정 작업자의 정면에는 대형화면을 갖춘 텔레비젼(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텔레비젼에서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음향이 텔레비젼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첫번째 속기 문자 입력자의 문자 표시 수단(6)의 시간 표시부(32)에는 000000000000이라고 표시된다. 점차로 0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으로 감소된다.
그러면 첫번째 속기 문자 입력자는 상기 시간 표시부가 없어질 때까지 상기 텔레비젼에서 출력된 음향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에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으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 문자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부터 상기 화상 분배기(20)로 문자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화상 분배기(20)로부터 상기 문자 표시 수단(6)의 속기 문자 표시부(34)와 수정 문자 표시부(36)로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10)에서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어서 수정 작업자는 상기 수정 문자 표시부(36)에 표시된 문자를 보고서 커서(44)를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수정할 부분을 찾는다.
수정할 곳이 발견되면, 수정 작업자는 수정할 문자를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에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으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 수정된 문자가 입력된다.
다음에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으로부터 화상분배기(20)로, 수정된 문자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화상 분배기(20)로부터 상기 문자 표시 수단(6)의 자기 수정 문자 표시 영역(42)에서 수정된 문자가 표시된다.
이 경우 커서(44)가 상기 문자 표시 수단(6)의 자기 수정 문자 표시영역(42)에서 두 단어를 경과하면 커서의 현 위치로부터 두 단어 전까지의 단어들은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 내의 문자 입력부(도시 생략)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 내의 문장 합성부(도시 생략)로 이송된다.
다음에 상기 문장 합성부에서는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과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들을 순서에 맞게 이어 문장을 완성한다.
다음에 상기 문자 합성부로부터 문장 전송부(도시 생략)로 문장이 출력된다.
상기 문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문장 합성부로 이송된 문자에 있어서, 한 단어의 뒤에 띄어쓰기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문자를 합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문장 합성부로부터 상기 문장 전송부로 문장이 즉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문장 전송부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22)으로 문장이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통신 수단(22)에서는 상기 문장이 변조된다. 이어서 상기 통신 수단(22)으로부터 상기 외부의 통신국(17)으로 문장이 전송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1 및 도 2의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8)이 도 4 및 도 5에서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46)와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로 분리된 점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므로 작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첫 번째 차이점은 도 4 및 도 5의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46)가 도 6 및 도 7에서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와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로 분리되어 있는 점이다.
두 번째 차이점은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 및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와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 사이에는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와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문자를 순서에 맞게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에 입력하는 통신 안내 수단(54)이 접속된 점이다.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와 상기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에 접속된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51)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53)의 구성은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술한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통신 안내 수단(54)은 소위 포트 분배기라고 불려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단,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작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텔레비젼에서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음향이 텔레비젼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1싸이클이 6초이고, 속기할 시간이 3초, 수정 또는 쉬는 시간이 3초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첫번째 속기 문자 입력자가 바라보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의 시간 표시부(32)에는 000000000000이라고 표시된다. 점차로 0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로 감소된다. 이 경우 문자 입력을 위한 한 사이클의 전체 기간은 6초이다. 따라서 두 사람의 속기 문자 입력자에 의해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56)과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58)으로부터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와 상기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로 3초씩 교번적으로 문자가 입력된다.
그러면 첫번째 속기 문자 입력자는 3초 동안 상기 텔레비젼에서 출력된 음향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56)에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56)으로부터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로 문자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로부터 상기 화상 분배기(20)로 문자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화상 분배기(20)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51)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53)으로 문자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51)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53)에서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어서 수정 작업자는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53)에 표시된 문자를 보고서 커서(44)를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며 수정할 부분을 찾는다.
수정할 곳이 발견되면, 수정 작업자는 수정할 문자를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에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으로부터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로 수정된 문자가 입력된다.
다음에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로부터 상기 통신 안내 수단(54)으로 문자가 출력된다.
이어서 다음 시간대에 상기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로부터 문자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통신 안내 수단(54)에서 상기 제1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0)와 상기 제2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52)로부터 출력된 문자들은 분할된 시간대에 대응하도록 순서에 맞추어진다. 이어서 상기 통신 안내 수단(54)으로부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로 문자들이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에서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이어 문장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48)로부터 상기 통신 수단(22)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국(17)으로 문장이 전송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60, 61)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62, 63)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4)으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6, 67)와,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6, 67)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4)에서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68)으로 출력하고,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70, 71)으로부터 수정된 문자를 받아서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72)로 출력하는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7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와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6)는 속기 문자 입력자가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62, 63)에 입력한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4)과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68)에서 동일하게 표시하도록 문자를 변조 및 복조시키는 랜(LAN) 카드 등의 통신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6)와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7)도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화상 분배기(20)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다른 차이점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통신 안내 수단(54)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60, 61)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60, 61) 각각에 할당된 시간대에 따라 순서에 맞게 안내하는 기능이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72)의 기능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6),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7),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6) 및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72)는 한글, 외국어 및 수자의 입력과 수정이 가능한 컴퓨터이다.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64)의 화면은 상술한 도 3과 같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가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와 다른 차이점은 상기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및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6)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상기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및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6)에 할당된 시간대에 따라 순서에 맞게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72)에 입력하는 통신 안내수단(54)이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6),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67),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6) 및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72)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는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90, 92, 94, 96)과,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90, 92, 94, 96)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과,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받아서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한 속기 문자 표시와,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속기 문자를 입력해야 할 시간 및 상기 속기 문자의 입력 동작을 정지해야 할 시간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06, 108, 110, 112)과,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으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속기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상기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수단(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0, 92, 94, 96)과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14) 사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문자를 순서에 맞게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14)에 입력하는 통신 안내 수단(116)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속기 문자 입력자가 타이핑한 문자는 속기 문자 입력자 자신이 수정하여 문자를 전송시키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90, 92, 94, 96)은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74, 76)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06)의 화면은 전송된 문장을 표시하는 전송 문장 표시부(118)와, 현재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 100, 102, 104)에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 문자 표시부(120)와, 속기 문자의 잔여 입력 시간을 표시하는 잔여 입력 시간 표시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29),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0) 및 제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2)은 문자를 입력하도록 각각 후술하는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 및 제3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은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0)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통신 안내 수단(116)을 통해 후술하는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로 전송시키도록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0)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100)은 상기 제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2)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통신 안내 수단(116)을 통해 후술하는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로 전송시키도록 상기 제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2)에 접속되어 있다.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는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수단(129)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과 제3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통신 안내 수단(116)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이어서 문장을 완성하도록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29) 및 상기 통신 안내 수단(116)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용 제어부(128)는 상기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로부터 출력된 문장을 받아서 통신 수단(22)을 통해 외부의 통신국(17)으로 상기 문장을 전송시키도록 상기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37)은 상기 제1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29)으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38)은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0)으로부터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98)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40)은 상기 제3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132)으로부터 상기 제3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100)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10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29, 130, 132)의 구성은 문자를 표시하도록 도 14에 도시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106)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문자 입력 및 합성용 제어부(126)와 상기 전송용 제어부(128)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문장을 완성하고 완성된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17)으로 전송하는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124)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예부터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2, 4, 62, 63, 130, 132)과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14, 16, 70, 71)으로서 속기 문자 입력용 키보드 외에 기타 다른 키보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의 통신국(17)으로서 교회, 극장, 회사 등 소규모의 자체 방송국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통신국(17)으로서 또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통신 문자를 전송하는 극장, 연극 상영 장소 등의 문자 발생원이 해당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교번적으로 속기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짧은 시간 동안 입력된 속기 문자를 분할된 빠른 시간 내에 방송국으로 전송시킬 수 있으므로 방송 화면과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의 시간 차이인 딜레이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막 방송용 속기 시스템에 있어서, 딜레이타임이 4초 이내이며, 정확도(말을 듣고 쳤을 때 글자가 말과 얼마나 같은지의 정확도)는 98%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과,
    수정 작업자가 문자를 수정하도록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과,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에 표시된 문자를 본 수정 작업자가 수정할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및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완성하며, 완성된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 및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정된 문자를 수신하는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와,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받아서 하나의 문장을 합성하고, 합성된 문장을 상기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으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와,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유니트로부터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에서 표시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문자 수정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정된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로 출력하는 문자 수정용 제어 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와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 및 수정용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문자를 순서에 맞게 상기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부에 입력하는 통신 안내 수단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에는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받아서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수정용 표시 수단에 동일한 내용의 문자를 출력하도록 화상을 분배하는 화상 분배기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에는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장을 상기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시키도록 통신 수단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문장을 다수의 외부의 통신국으로 동시에 전송시키도록 상기 문자 입력, 수정,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8. 분할된 시간에 따라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키 입력 수단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수신하는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과,
    상기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속기 문자를 받아서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입력한 속기 문자와, 상기 속기 문자 입력자가 속기 문자를 입력해야 할 시간 및 상기 속기 문자의 입력 동작을 정지해야 할 시간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용 표시 수단과,
    상기 다수의 문자 입력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속기 문자를 순차적으로 이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상기 문장을 외부의 통신국으로 전송하는 문자 합성 및 전송용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장치.
  9. 한 싸이클인 특정 시간을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의 수로 나누어 단위 시간을 설정하고,
    반복되는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가 교대로 속기 문자를 제어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속기 문자 입력자는 속기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단위 시간을 순서에 맞추어 할당받아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제어 수단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방법.
KR1019990024396A 1999-06-25 1999-06-25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시스템 KR10032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96A KR100325501B1 (ko) 1999-06-25 1999-06-25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시스템
JP2000043541A JP3484130B2 (ja) 1999-06-25 2000-02-16 字幕放送用速記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CNB001078666A CN1202655C (zh) 1999-06-25 2000-06-26 实现字幕播放的速记输入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96A KR100325501B1 (ko) 1999-06-25 1999-06-25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97A true KR20010003897A (ko) 2001-01-15
KR100325501B1 KR100325501B1 (ko) 2002-02-25

Family

ID=1959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96A KR100325501B1 (ko) 1999-06-25 1999-06-25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84130B2 (ko)
KR (1) KR100325501B1 (ko)
CN (1) CN1202655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19B1 (ko) * 2005-07-14 2007-04-30 안문학 실시간 방송 자막 입력 및 송출 시스템
KR100725248B1 (ko) * 2005-08-25 2007-06-04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시각장애인용 속기입력장치 및 방법
KR101233124B1 (ko) * 2008-06-18 2013-02-21 이대선 자막 제작 시스템
KR101589208B1 (ko) 2015-05-20 2016-01-27 주식회사 케이엔텍 선택적으로 필터수 적용이 가능한 다방향 수도 꼭지
KR101867950B1 (ko) 2017-08-09 2018-06-20 주식회사 포렉스랩 생방송 및 영상서비스용 실시간 부가정보 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481A (ja) * 2001-04-06 2002-10-18 Asutemu:Kk 字幕作成システム
CN100365620C (zh) * 2005-03-28 2008-01-30 何宏山 互联网语音分片速记方法
CN102169704A (zh) * 2008-04-28 2011-08-31 北京上行逶式信息公司 一种速记录音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430A (en) * 1991-06-27 1994-01-18 Tariq Chaudhary Computer-aided transcription system providing individualized electonic marking of stenographic records
KR950013126B1 (ko) * 1993-03-04 1995-10-25 손석련 컴퓨터용 속기 데이타 처리방법
JP2986345B2 (ja) * 1993-10-18 1999-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音声記録指標化装置及び方法
JPH1091618A (ja) * 1996-09-10 1998-04-10 Sharp Corp 文書作成装置及び文書作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19B1 (ko) * 2005-07-14 2007-04-30 안문학 실시간 방송 자막 입력 및 송출 시스템
KR100725248B1 (ko) * 2005-08-25 2007-06-04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시각장애인용 속기입력장치 및 방법
KR101233124B1 (ko) * 2008-06-18 2013-02-21 이대선 자막 제작 시스템
KR101589208B1 (ko) 2015-05-20 2016-01-27 주식회사 케이엔텍 선택적으로 필터수 적용이 가능한 다방향 수도 꼭지
KR101867950B1 (ko) 2017-08-09 2018-06-20 주식회사 포렉스랩 생방송 및 영상서비스용 실시간 부가정보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1046A (zh) 2001-04-11
JP3484130B2 (ja) 2004-01-06
JP2001036488A (ja) 2001-02-09
CN1202655C (zh) 2005-05-18
KR100325501B1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08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supplementary program
KR100217557B1 (ko) 문자 다중 디코더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기
US5375160A (en) Interface apparatus for effecting caption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a telephone line and a television
KR0179979B1 (ko) 정보텔레비젼의 문자 표시장치
KR100325501B1 (ko) 자막 방송용 속기 문자 입력 시스템
EP0271897B1 (en) Interface module for superimposing alphanumeric characters upon RGB video signals
KR20160091461A (ko) 실시간 자막 송출 시스템
KR100726439B1 (ko) 자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9980037904A (ko) Osd 기능을 이용한 자막방송 디지털 tv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06135191A1 (en) Character input method to use return path server of interactive tv
KR20030032627A (ko) 캡션정보 처리장치, 및 캡션텔레비젼 및 캡션처리방법
JPH1031344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33233B1 (ko) 다양한 문자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방송 수신기 및 방송수신기의 문자입력 방식 지원 방법.
KR100329152B1 (ko) 캡션재생 기능을 구비한 셋탑박스 및 그 재생방법
KR0127648B1 (ko) 텔레비젼 수상기 시청시 눈 피로 방지방법
KR20010001728A (ko) 자막 신호의 제한적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0181899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의 데이타 오류 검출 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20040015493A (ko) 텔레텍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900008366B1 (ko) 텔리텍스트(ttx)겸용 비디오텍스(vtx) 시스템
KR2006010607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80061070A (ko)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46632A (ko) 디지털 티브이의 데이터 전송장치
JPH06197321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
KR20080064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송장르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725

Effective date: 200705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25

Effective date: 2007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811

Effective date: 200705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EXTG Extinguishm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