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08A -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08A
KR20010001908A KR1019990021401A KR19990021401A KR20010001908A KR 20010001908 A KR20010001908 A KR 20010001908A KR 1019990021401 A KR1019990021401 A KR 1019990021401A KR 19990021401 A KR19990021401 A KR 19990021401A KR 20010001908 A KR20010001908 A KR 2001000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ront panel
air conditio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희
안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908A/ko
Publication of KR2001000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캐비닛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닫아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캐비닛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와,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에서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자성부재와,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에 상기 자성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자장을 형성하여 상기 자성부재를 끌어당기는 자성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 Opening and shutting module for inlet and outlet of air-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캐비닛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닫아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안의 특정공간을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이라 정해진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계절 동안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냉방기, 난방기, 공기청정기 등의 기능을 갖는데, 공기의 온도, 습도 및 흐름을 결정하고, 공기의 정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열교환시키거나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기구와 냉난방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외부를 감싸는 캐비닛(cabinet)의 전면패널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공기의 유동을 위해 항상 열려 있는 상태가 되는데,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통해 캐비닛의 내부로 침투하여 각 부품 상에 쌓이게 된다. 상기 먼지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초기에 송풍기구의 동작에 따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찬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사용자를 향하여 직접 토출되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닫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다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청정기로 사용하는 동안에 전면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닫아서 사용자에게 직접 찬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외부 캐비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는 캐비닛(1)의 전면패널에는 그 하측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열교환되거나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 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구(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2) 및 토출구(3)에는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기기를 보호하는 기능 및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그릴(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2)와 토출구(3)에는 도어(6)(7)가 설치되어 있는데,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같이 도어(6)(7)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2)와 토출구(3)를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7)가 상기 흡입구(2)와 토출구(3)를 닫아서 상기 흡입구(2) 또는 토출구(3)를 통해 먼지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결국, 상기와 같은 도어(6)(7)는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장치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흡입구(2) 및 토출구(3)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미설명 참조번호 10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다수의 제어버튼이 장착된 제어패널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는 캐비닛(1)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캐비닛의 제어패널(10)과 단차를 형성하여 외부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어(6)(7)와 캐비닛(1) 사이의 단차 부분(A)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단차부분이 날카롭게 되어 어린이가 이용하는 공간에서 어린이가 상기 단차부분에 부딪히는 경우에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하 이동되어 흡입구나 토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용 도어와, 공기조화기의 미사용시 상기 개폐용 도어와 단차없이 배치되고 개방동작시에는 개폐용 도어의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외부 미관이 향상되고,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투를 최소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가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이 개폐용 도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도어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도어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도어 및 공간확보용 도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도어 및 공간확보용 도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캐비닛 52 : 흡입구
53 : 토출구 54, 55 : 그릴
58 : 제어패널 60, 65 : 개폐용 도어
70, 75 : 공간확보용 도어 81 : 금속판
83 : 전자석 85 : 스프링
91 : 제1 마그네트 93 : 제2 마그네트
95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캐비닛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와,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에서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자성부재와,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에 상기 자성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자장을 형성하여 상기 자성부재를 끌어당기는 자성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널과 공간확보용 도어의 사이에는 개폐용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와 개폐용 도어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를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캐비닛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에서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자성수단과,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에서 상기 제1 자성수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상기 제1 자성수단과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여 공간확보용 도어를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널과 공간확보용 도어의 사이에는 개폐용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와 개폐용 도어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를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 4 및 도 5는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도 6 및 도 7은 도어닫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51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를 형성하는 캐비닛을 나타내고, 52는 상기 캐비닛(51)의 전면패널 하측부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나타내고, 53은 상기 캐비닛(51)의 전면패널 상측부에 형성되어 열교환 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나타내고, 58은 제어패널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흡입구(52) 및 토출구(53)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그릴(54)(5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60은 흡입구(52)를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용 도어를 나타내고, 65는 토출구(53)를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용 도어(65)를 나타내고, 70은 상기 제1 개폐용 도어(60)가 흡입구(52)를 개방하는 경우에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개폐용 도어(52)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제1 공간확보용 도어를 나타내고, 75는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가 토출구(53)를 개방하는 경우에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개폐용 도어(53)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제2 공간확보용 도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1, 2 개폐용 도어(60)(65)는 캐비닛(51)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흡토출구(52)(53)를 개폐하게 되고, 상기 캐비닛(51)의 제어패널(58)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었을 때 제어패널(58)과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각 개폐용 도어(60)(65) 및 공간확보용 도어(70)(7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에서 캐비닛(51)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금속판(81)과, 캐비닛(51)에 상기 금속판(81)과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의 개방 동작시 전자장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판(81)을 끌어당기는 전자석(83)과, 상기 캐비닛(51)과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와 제2 개폐용 도어(65)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를 밀어주는 스프링(85)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개폐용 도어(60)(65) 및 공간확보용 도어(70)(7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에서 캐비닛(51)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제1 마그네트(91)와,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에서 상기 제1 마그네트(91)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의 개방 동작시 상기 제1 마그네트(91)와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여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를 캐비닛(51)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마그네트(93)와, 상기 캐비닛(51)과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와 제2 개폐용 도어(65)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를 밀어주는 스프링(9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개폐용 도어(65) 및 제2 공간확보용 도어(75)의 결합면은 서로 엇갈리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용 도어(60)(65)의 개방동작 시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51)의 내측 방향으로 공간확보용 도어(70)(75)가 들어가게 되고, 상기 개폐용 도어(60)(65)의 닫힘동작 시에는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51)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70)(75)가 나오면서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는 닫힘상태에서 개폐용 도어, 공간확보용 도어 및 제어패널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외부 미관이 향상되고, 미사용시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를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동작시 전자석의 동작 또는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공간확보용 도어가 이동하여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캐비닛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와,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에서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자성부재와,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에 상기 자성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자장을 형성하여 상기 자성부재를 끌어당기는 자성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공간확보용 도어의 사이에는 개폐용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와 개폐용 도어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를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3. 공기조화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캐비닛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용 도어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도어와, 상기 개폐용 도어에서 전면패널과의 대향면에 부착된 제1 자성수단과,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에서 상기 제1 자성수단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용 도어의 개방 동작시 상기 제1 자성수단과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여 공간확보용 도어를 전면패널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공간확보용 도어의 사이에는 개폐용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와 개폐용 도어가 단차없이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확보용 도어를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1019990021401A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20010001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01A KR2001000190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01A KR2001000190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08A true KR20010001908A (ko) 2001-01-05

Family

ID=1959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01A KR2001000190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9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760A (zh) * 2019-06-26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760A (zh) * 2019-06-26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MY125366A (en) Air conditioner
KR20020019819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010001908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100805975B1 (ko) 기어로 구동되는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371354B1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 장치
KR101362307B1 (ko) 공기조화기
JP2008180484A (ja) 空気調和機
KR20010001907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JPH0712821U (ja) 空気調和機
KR100393600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10037135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20030045442A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KR100773693B1 (ko)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10001909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100347954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723942B1 (ko) 에어컨의 측면토출커버 밀폐구조
CN221005284U (zh) 用于安装空气调节装置的窗体和窗式空气调节装置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KR20050087664A (ko) 분리형 에어컨의 흡입구 자동개폐장치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JP3124954B2 (ja) 空気調和機の芳香剤噴射装置
KR2001003782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