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752A -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752A
KR20010001752A KR1019990021177A KR19990021177A KR20010001752A KR 20010001752 A KR20010001752 A KR 20010001752A KR 1019990021177 A KR1019990021177 A KR 1019990021177A KR 19990021177 A KR19990021177 A KR 19990021177A KR 20010001752 A KR20010001752 A KR 2001000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wer consumption
terminal
pow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006B1 (ko
Inventor
유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시에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방법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 측정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통화권이탈지역인지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통화권을 이탈지역이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하며, 상기 검사결과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기지국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단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하며, 상기 검사결과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한 상기 송수신단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단말기에서 소비전력을 줄이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POWER CONSUMPTION REDUCING METHOD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사용할 시에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에 등록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통신기능이라 함은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작 및 통화시의 호 연결을 위한 동작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전계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에 반비례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고 있다. 특히, 단말기가 통화불능 지역에 들어서게 되면 단말기는 최대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출하게 됨으로 인해 매우 큰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전자수첩 기능이나 여타의 부가기능을 사용할 시에도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부가기능 수행에 따른 전력과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전력은 상술한 이유로 인해 통화불능 지역에서는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사용할 시에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불능 지역에서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사용할 시에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방법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 측정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통화권이탈지역인지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통화권을 이탈지역이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하며, 상기 검사결과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기지국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단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하며, 상기 검사결과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한 상기 송수신단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전원제어부(170)를 통해 단말기 각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메모리(130)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기능 오프 모드에 따른 각종 메시지를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기능 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며, 키 눌림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RF부(150)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수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신호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RF부(15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수신전계강도 측정부(160)는 기지국에서 송신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160)는 통화권 이탈지역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인 경우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수신 전계강도를 측정한다. 전원제어부 170은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으며 단말기의 각 부분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2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전계강도 측정부(160)를 통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측정하여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값은 제어부(100)로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통화권을 이탈한 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210 단계로 진행한다. 21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면 22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부가기능 모드란 단말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통화기능 외에 전자수첩 기능이나 다이어리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즉,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과는 무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환경 설정모드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부가 기능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2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오프 한다. 상기 유니트는 송수신단인 RF부(150)가 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선택에 따라서는 신호처리부(140)또한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140)는 자동음성 다이얼을 위한 음성입력모드가 선택될 시에는 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통화권 이탈지역에서 사용자가 부가기능을 이용할 경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통화권 이탈지역에서는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통신 기능을 위한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 23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210 단계에서 선택된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한다.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으면 240 단계로 진행한다. 24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220 단계에서 오프한 상기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전원제어부(170) 통해 다시 온한다.
도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200 단계에서 의해 통화권 이탈지역에서의 동작으로 한정하였지만 그 동작이 통화권 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통화권 내에서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면 220 단계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도2에 따른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통화권 이탈지역에서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외의 부가기능 모드를 선택하면,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오프하여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3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키입력부(110)에 구비된 특정키를 통해 통신기능을 오프하기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오프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3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메뉴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31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오프한다. 3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통신기능 오프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면 330 단계로 진행하여 310 단계에서 오프한 통신기능 수행을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다시 온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따른 실시예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오프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권 이탈지역 또는 통화권 내에서 사용자의 선택이나 부가기능의 선택에 의해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니트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Claims (1)

  1.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방법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 측정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통화권이탈지역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통화권을 이탈지역이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기지국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단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부가기능 모드의 수행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한 상기 송수신단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21177A 1999-06-08 1999-06-08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KR10059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77A KR100594006B1 (ko) 1999-06-08 1999-06-08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77A KR100594006B1 (ko) 1999-06-08 1999-06-08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52A true KR20010001752A (ko) 2001-01-05
KR100594006B1 KR100594006B1 (ko) 2006-06-28

Family

ID=1959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177A KR100594006B1 (ko) 1999-06-08 1999-06-08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0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58A (ko) * 2002-09-06 2004-03-11 박원용 휴대폰에서 전파의 송수신을 차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438563B1 (ko) * 2002-08-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절전 방법
KR100622788B1 (ko) * 2001-10-16 2006-09-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전화기
KR100653196B1 (ko) * 2005-12-06 2006-12-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배터리의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664382B1 (ko) * 2001-09-25 2007-01-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전화 통신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이동전화
KR100744500B1 (ko) * 2001-03-2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차단 방법
KR100833896B1 (ko) * 2007-01-12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비 감소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565B2 (ja) * 1995-01-26 2000-12-25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00B1 (ko) * 2001-03-20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차단 방법
KR100664382B1 (ko) * 2001-09-25 2007-01-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전화 통신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이동전화
KR100622788B1 (ko) * 2001-10-16 2006-09-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휴대전화기
KR100438563B1 (ko) * 2002-08-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절전 방법
KR20040021958A (ko) * 2002-09-06 2004-03-11 박원용 휴대폰에서 전파의 송수신을 차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3196B1 (ko) * 2005-12-06 2006-12-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배터리의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833896B1 (ko) * 2007-01-12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비 감소 방법 및 장치
US8326348B2 (en) 2007-01-12 2012-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in dual mode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006B1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297B1 (ko) 휴대폰의 전원절약방법
JP2006129358A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通信端末、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整合方法
JPH1011716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00018941A (ko)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94006B1 (ko)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KR100282466B1 (ko) 간이 셀 영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318963B1 (ko) 무선단말기의소비전력감소방법
KR100270704B1 (ko) 음영지도 작성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319269B1 (ko) 휴대폰에서 수신감도에 따른 안테나 선택회로 및 방법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KR100584401B1 (ko) 휴대폰에서최적의수신감도방향표시방법
JPH10290195A (ja) 携帯無線通信装置
KR1004167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감도 표시방법
KR100295442B1 (ko) 듀얼밴드무선단말기에서채널자동선택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JPH09247737A (ja) 位置情報検出システム
US6690946B1 (en) Two-band mobile telephone and method of use
KR100245426B1 (ko) 기지국의최적위치탐색기능을구비하는키폰dect시스템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JP2865004B2 (ja) 通信装置及びセルラー電話方式におけるチャンネル検出方法
JPH09149461A (ja) アナログ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100388973B1 (ko) 무선전화기시스템 충전상태표시 제어장치
KR2005009672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100515670B1 (ko) 휴대폰의소비전력을저감하기위한통화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