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246A -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246A
KR20010001246A KR1019990020341A KR19990020341A KR20010001246A KR 20010001246 A KR20010001246 A KR 20010001246A KR 1019990020341 A KR1019990020341 A KR 1019990020341A KR 19990020341 A KR19990020341 A KR 19990020341A KR 20010001246 A KR20010001246 A KR 2001000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ip
sub
contro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9002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246A/ko
Publication of KR2001000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P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에서 두 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에 각각의 화면상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는, 마이컴(30)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방송을 선국하는 튜너(10) 및 서브튜너(20)와, 상기 튜너(10)와 서브튜너(2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PIP처리기(60)와, 상기 PIP처리기(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CRT(9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조정하는 비디오처리기(80)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CRT(90) 화면상의 특정위치에 부화면을 위치시키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PIP제어부(100); 상기 PIP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부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PIP위치제어부(110); 제어하려는 화면의 조정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아날로그제어부(120); 및 PIP위치제어부(110)로부터 화면위치를 감지하고 주화면 또는 제어하려는 위치의 부화면으로 스위칭하여 화면조정데이터를 비디오처리기(80)에 입력하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A screen control device for PIP television}
본 발명은 PIP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에서 두 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에 주화면 및 부화면의 화면상태인 브라이트니스, 샤프니스, 칼라, 콘트라스트 등의 화면특성을 각각 조정할 수 있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청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텔레비젼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PIP 기능을 가진 텔레비젼이다. PIP(Picture in Picture) 텔레비젼은 두 개의 튜너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 개의 방송국을 선국한 상태에서 CRT 화면상에 2개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화면은 주화면으로서 전체 화면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화면은 부화면으로서 주화면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두 개의 화면에서는 영상이 계속하여 출력되므로 동시에 두 개의 방송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PIP 텔레비젼의 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공중파방송은 튜너(10)와 서브튜너(20)에서 각각 선국된 후에 SIF신호와 PIF신호가 분리되어서 각 출력된다. SIF신호는 음성중간주파수신호로서 음성처리부를 통하여 처리된 후에 스피커를 통하여 가청주파수대역으로 출력된다. 음성처리부의 설명은 편의상 생략되었으며 이것은 종래의 음성처리 및 출력방식대로 진행된다.
한편, 튜너(10)와 서브튜너(20)에서 출력된 PIF신호는 A/D변환기(40,50)에서 각각 변환된 후에 PIP처리기(60)에서 합성되어서 주화면으로 사용되는 방송화면은 큰 화면으로 설정되고 부화면으로 사용되는 방송화면은 주화면의 일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도 2에 주화면(142) 및 부화면(144)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설정된 주, 부화면 데이터는 D/A변환기(70)에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후에 비디오처리기(80)에서 영상에 대하여 조정처리가 수행된다. 즉, 영상화면의 밝기(brightness), 샤프니스(sharpness), 콘트라스트(contrast), 칼라(color)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으로 조정되어서 CRT(90) 상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면조정은 주화면에만 해당되었으며, 부화면으로 출력되는 화면에 대해서는 주화면과 동시에 밝기(brightness), 샤프니스(sharpness), 콘트라스트(contrast), 칼라(color) 등을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화면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주화면과 부화면을 서로 전환한 후에 조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아이피 텔레비젼에서 두 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에 주화면 및 부화면의 화면상태인 브라이트니스, 샤프니스, 칼라, 콘트라스트 등의 화면특성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방송을 선국하는 튜너 및 서브튜너와, 상기 튜너와 서브튜너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PIP처리기와, 상기 PIP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CRT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비디오처리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CRT 화면상의 특정위치에 부화면을 위치시키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PIP제어부와, 상기 PIP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부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PIP위치제어부와, 제어하려는 화면의 제어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아날로그제어부와, 그리고 PIP위치제어부로부터 화면위치를 감지하고 주화면 또는 제어하려는 위치의 부화면으로 스위칭하여 제어데이터를 비디오처리기에 입력하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PIP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의 블럭회로도,
도 2는 PIP 화면출력상태를 나타내는 텔레비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PIP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튜너 20: 서브튜너 30: 마이컴
40,50: A/D변환기 60: PIP처리기 70: D/A변환기
80: 비디오처리기 90: 스피커 100: PIP제어부
110: PIP위치제어부 120: 아날로그제어부 130: 콘트롤위치제어부
140: 텔레비젼 142: 주화면 144: 부화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면조정장치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에서 주화면 및 부화면이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에 각각의 화면출력을 별도로 조정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화면조정을 위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을 전환하는 불편함을 제거한 것으로서,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CRT(90) 화면상의 특정위치에 부화면을 위치시키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PIP제어부(100)와, 상기 PIP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부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PIP위치제어부(110)와, 제어하려는 화면의 제어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아날로그제어부(120)와, 그리고 PIP위치제어부(110)로부터 화면위치를 감지하고 주화면 또는 제어하려는 위치의 부화면으로 스위칭하여 제어데이터를 비디오처리기(80)에 입력하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도 1에 표시되어 있다.
PIP제어부(100)는 튜너(10)와 서브튜너(20)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위치를 결정한다. 마이컴(30)은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장치를 사용하여 시청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이것을 감지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PIP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된 화면의 위치제어신호는 PIP위치제어부(110)에 입력된다. PIP위치제어부(110)는 위치제어신호에 따라서 PIP처리기(60)에 신호를 출력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의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PIP위치제어부(110)에는 주화면과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각각의 화면에 대한 출력위치데이터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에 의하여 사용되어져서 화면의 조정에 사용된다.
아날로그 제어부(120)도 역시 마이컴(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으로서 시청자가 원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로 입력되어서 최종적으로 비디오처리기(80)에 입력된다. 아날로그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주화면 또는 부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들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것은 텔레비젼 화면의 밝기(brightness), 샤프니스(sharpness), 콘트라스트(contrast), 칼라(color)등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가 된다.
만일 아날로그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조정신호가 주화면에 대한 것이라면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에서는 주화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것을 기초로하여 화면상태를 조정하도록 비디오처리기(8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처리기(80)에서는 D/A변환기(70)로부터 입력되는 화면중의 주화면에 대한 조정을 수행한다. 부화면에 대하여서도 동일한 처리과정을 거쳐서 조정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시청자가 텔레비젼(140)을 온시키고 화면을 시청하는 상태에서는 CRT(90)의 화면에는 주화면(142)만이 출력된다. 이러한 화면출력상태에서 시청자가 PIP기능을 온시키고 주방송 및 부방송을 위한 특정방송을 선국하면 튜너(10) 및 서브튜너(20)에서 각각 선국된 방송이 PIP처리기(60)에서 합성되어 CRT(90)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 때 화면출력상태는 도 2에서와 같이 주화면(142)의 일부분을 부화면(144)이 차지하고 있는 형태이다. 부화면(144)가 배치되는 위치는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화면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리모콘장치에 설치된 기능키를 눌러주면 이것은 마이컴(30)에 입력된다. 마이컴(30)은 입력된 기능수행명령에 의하여 해당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서 시청자가 주화면(142)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표시된 화면중에서 주화면(142)을 선택하고 조정신호를 입력시키면 마이컴(30)에서는 주화면이 선택됨을 인식하고 아날로그 제어부(120)에 주화면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주화면제어신호에는 화면상태에 대한 제어데이타가 이미 포함될 수 있다.
주화면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제어부(120)에서는 주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에 출력한다.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에서는 주화면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PIP위치제어부(110)로부터 미리 인식하고 있다가 이것을 기초로하여 필요한 화면위치를 인식하고 주화면 조정신호와 함께 필요한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된 주화면조정신호와 위치제어데이터는 비디오처리기(80)에 입력되며 비디오처리기(80)는 주화면의 밝기(brightness), 샤프니스(sharpness), 콘트라스트(contrast), 칼라(color) 등을 조정한 후에 CRT(90)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주화면의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화면(144)의 화면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시청자가 부화면을 지정하고 상태조정신호를 입력시키면 이것을 마이컴(30)에서 인식하고 아날로그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제어부(120)로부터 부화면조정신호가 입력되면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는 PIP위치제어부(110)로부터 부화면(142)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화면(144) 위치데이터와 함께 아날로그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처리기(80)로 출력한다.
비디오처리기(80)에서는 신호가 입력면 파악된 부화면(142)의 위치를 기초로하여 밝기(brightness), 샤프니스(sharpness), 콘트라스트(contrast), 칼라(color) 등을 조정한다. 이 때 주화면(142)의 밝기등은 조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부화면(144)에 대한 화면조정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PIP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에 의하면, 피아이피 텔레비젼에서 두 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에 주화면 및 부화면의 화면상태의 브라이트니스, 샤프니스, 칼라, 콘트라스트 등의 화면특성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마이컴(30)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방송을 선국하는 튜너(10) 및 서브튜너(20)와, 상기 튜너(10)와 서브튜너(2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PIP처리기(60)와, 상기 PIP처리기(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CRT(9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조정하는 비디오처리기(80)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마이컴(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CRT(90) 화면상의 특정위치에 부화면을 위치시키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PIP제어부(100);
    상기 PIP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부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PIP위치제어부(110);
    제어하려는 화면의 조정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아날로그제어부(120); 및
    PIP위치제어부(110)로부터 화면위치를 감지하고 주화면 또는 제어하려는 위치의 부화면으로 스위칭하여 화면조정데이터를 비디오처리기(80)에 입력하는 콘트롤위치 스위칭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KR1019990020341A 1999-06-02 1999-06-02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KR20010001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341A KR20010001246A (ko) 1999-06-02 1999-06-02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341A KR20010001246A (ko) 1999-06-02 1999-06-02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246A true KR20010001246A (ko) 2001-01-05

Family

ID=1958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341A KR20010001246A (ko) 1999-06-02 1999-06-02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8711A2 (en) Use of an audio processing channel in a television receiver during a multipicture mode of operation
KR20010001246A (ko) 피아이피 텔레비젼의 화면조정장치
KR0185315B1 (ko)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KR0168317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부화면 음악방송 자동선국회로 및 그 방법
KR100247405B1 (ko) 더블화면에 서브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다화면 텔레비전
KR100308040B1 (ko) Pip화면을이용한화면조정장치및방법
KR0141857B1 (ko)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조정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100257235B1 (ko) 주화면과 부화면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피아이피 기능 보유 티브이
KR0115490Y1 (ko) 안테나 방향자동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요한 야외용 tv
KR100272605B1 (ko) 오디오선택형 티브이
KR19980085954A (ko) 주화면 시청시 자동 채널설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00040881A (ko) Pip 모드의 텔레비전의 화면 제어 방법
KR100281781B1 (ko) 2튜너 텔레비전의 pip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0157553B1 (ko) 픽쳐인픽쳐기능을 이용한 방송잠금장치
JPH061783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00003826A (ko) 공중방송신호의 비정상적인 수신에 대응하기 위한 텔레비젼의배경화면처리장치
JPH042715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00490A (ko)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화면 출력 제어장치.
KR20000061901A (ko) 티브이의 방송채널 선택장치 및 방법
KR20000027976A (ko) 텔레비전의 동일방송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00028428A (ko) 유선방송 채널에 따른 색상 및 음향모드가 자동조정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20000027965A (ko) 텔레비전의 리모콘 설정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40644A (ko) 텔레비젼의 사용자 설정에 의한 출력화면제어방법
KR19990000496A (ko) 화면 줌 기능을 갖는 다화면 텔레비전.
KR20000034599A (ko) Pip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화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