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705A -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 Google Patents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705A
KR20010000705A KR1020000060492A KR20000060492A KR20010000705A KR 20010000705 A KR20010000705 A KR 20010000705A KR 1020000060492 A KR1020000060492 A KR 1020000060492A KR 20000060492 A KR20000060492 A KR 20000060492A KR 20010000705 A KR20010000705 A KR 2001000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mobile phone
container
blocking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00006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705A/ko
Publication of KR2001000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휴대폰, 또는 셀룰러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핸드폰 케이스의 내부에 향기 또는 향수를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하고 핸드폰 소유자 또는 핸드폰 통화상대방이 입력하는 비밀번호 또는 특정신호에 따라서 향기 또는 향수가 방출되도록 구성된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은,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핸드폰에 있어서, 향기발생원을 함유한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부착되어서 용기로부터의 향기유출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신호를 핸드폰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차단제어부와, 상기 차단부에 인접하며 설치되어서 향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방출구를 포함하며, 핸드폰에 다수의 향기용기를 구비하고 핸드폰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특정한 향기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Cellular phone having perfume emitting device selectively}
본 발명은 핸드폰, 휴대폰, 또는 셀룰러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핸드폰 케이스의 내부에 향기 또는 향수를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하고 핸드폰 소유자 또는 핸드폰 통화상대방이 입력하는 비밀번호 또는 특정신호에 따라서 향기 또는 향수가 방출되도록 구성된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으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것중의 대표적인 것이 핸드폰과 PCS(개인휴대통신단말기)이다. 또한 전지구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IMT 2000이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다수의 통신단말기를 핸드폰으로 통칭한다.
이러한 핸드폰은 CDMA, TDMA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핸드폰의 일구성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판(9)이 위치하고, 그 하부에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판을 가진 입력버튼(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의 최상부에는 안테나가 위치하여 무선데이터의 송수신에 이용된다.
한편 전화통화를 위하여 액정판(9)의 상부측에 스피커(7)가 위치하고, 입력버튼(5)의 하부에는 마이크(3)가 위치된다. 사용자는 핸드폰(1)을 손에 휴대하고 스피커(7) 부분을 귀에 대고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면서 말을 하면, 음성이 마이크(3)를 통하여 입력되어서 통화상대방에게 전송된다. 통화상대방으로 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는 통화자의 귀에 인접한 스피커(7)를 통하여 출력됨으로서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다.
도 2는 상술한 것과 같은 핸드폰의 개략적인 블럭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듀플렉서(10), 송신부(12), 수신부(14), 키입력부(16), 메모리부(18), 표시부(20), 음성입력부(22), 마이크(24), 음성출력부(26), 스피커(28),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신부(14)는 안테나로부터 듀플렉서(10)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대방의 호출신호 및 통화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송신부(12)는 인가받은 사용자의 호출신호 및 전화메시지를 듀플렉서(10)와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한다.
상기 키입력부(16)는 제어부에 소정의 명령, 숫자, 문자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명령, 숫자, 문자등의 입력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숫자키와 문자(미도시됨)가 할당된 다수의 입력버튼(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부(18)는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문자의 표시에 필요한 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0)는 도 1에 표시된 액정판(9)을 포함하여 특정문자 또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로 표시한다.
상기 음성입력부(22)는 통화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음성(아날로그신호)를 마이크(24)로 부터 입력받아서 제어부로 전송한다. 전송된 음성신호는 디지탈신호로 변조된 후에 송신부(12)와 연결된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전송된다.
상기 음성출력부(26)는 통화상대방의 음성을 안테나와 연결된 수신부(14)에서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한다.
제어부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출력부(26)와 연결된 스피커(28)를 통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핸드폰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28)를 통하여 청취하고 자신의 음성을 마이크(24)를 통하여 입력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상기 스피커(28)는 도 1의 스피커(7)와, 상기 마이크(24)는 도 1의 마이크(3)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핸드폰에서는 해당 핸드폰의 전화번호를 눌러주면 무선신호수신범위에 위치한 핸드폰에서 호출신호가 수신되어서 핸드폰을 들고 통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전화통화를 원하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어도 상대방을 전화통화전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핸드폰을 이용하여 응답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핸드폰은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통화기능 및 인터넷정보 제공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악세사리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더 구비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를 입력하여 향기를 발생시킴으로서 상대방과 전화통화기를 하기전에 통화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폰을 향수병과 같은 악세사리로 이용함으로서 기능이 다양화된 핸드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은,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핸드폰에 있어서, 향기발생원을 함유한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부착되어서 용기로부터의 향기유출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신호를 핸드폰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차단제어부와, 상기 차단부에 인접하며 설치되어서 향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방출구를 포함하며, 핸드폰에 다수의 향기용기를 구비하고 핸드폰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특정한 향기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의 정면 및 측면도,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핸드폰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향기방출장치를 구비한 핸드폰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4는 향기방출장치의 용기와 차단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마이크 5 : 입력버튼
7 : 스피커 9 : 액정판
10 : 듀플렉서 12 : 송신부
14 : 수신부 16 : 키입력부
18 : 메모리부 20 : 표시부
22 : 음성입력부 24 : 마이크
26 : 음성출력부 28 : 스피커
30 : 차단제어부 32a, 32b : 차단부
34a, 34b : 방출공 36a, 36b : 용기
38 : 고정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핸드폰(1)으로부터 향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공(34a,34b)들이 핸드폰(1)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방출공(34a,34b)들의 위치는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출공(34a,34b)들은 또한 핸드폰(1)에 장착되는 향기발생용 용기(미도시됨)의 갯수에 따라서 다수개 구성이 가능하다.
방출공(34a,34b)들의 구성위치도 도면에서는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핸드폰(1)의 형태(폴더형등)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방출공(34a,34b)들에 인접하여 용기로부터 향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후에 상술된다.
상기 차단부는 핸드폰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방이 입력하는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폰 사용자는 핸드폰의 케이스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출공(34a,34b)으로부터 방출되는 향기 또는 향수냄새를 맡으며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전에, 전화를 걸어온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서로 다른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에 의하여 서로 다른 향기가 방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향기에 따라서 전화건 상대방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인이 입력하는 비밀번호는 "5842"(오빠사랑), 가족으로부터의 긴급한 호출은 "8282"(빨리빨리)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의 블럭회로도로서,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핸드폰에 있어서, 차단제어부(30)와, 상기 차단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는 차단부(32a,32b)와, 상기 차단부(32a,32b)들에 결합되어서 향기를 발생하기 위한 용기(36a,36b)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단제어부(30)는 핸드폰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입력신호에 따라서 특정 차단부(32a 또는 32b)를 작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차단부(32a,32b)는 필요에 따라서 1차단부(32a), 2차단부(32b), ..등으로 다수 개 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단부에 서로 다른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핸드폰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0000"이면 1차단부(32a), 비밀번호가 "1111"이면 2차단부(32b)를 제어한다. 따라서 각각의 차단부와 결합되는 향기방출용기에 서로 다른 향기를 함유함으로서 핸드폰 소유자는 향기를 이용하여 누가 전화를 걸어왔는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핸드폰을 받아서 통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서 1차단부(32a)에는 라벤더향, 2차단부(32b)에는 장미향 등으로 향기를 설정하고, 각각의 향기를 함유한 용기들을 연결한다.
도 4는 핸드폰(1)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36a,36b)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절단면도이다.
핸드폰(1)의 표면에 노출된 방출공(34a,34b)에 인접하여 1차단부(32a)와 2차단부(32b)가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부에는 서로 다른 향기를 가진 용기(36a,36b)가 결합되어 있다. 1차단부(32a)와 2차단부(32b)는 각각 차단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되어 온/오프 개폐작동을 수행한다. 즉 1차단부(32a)가 작동되어서 온되면, 통로가 개방되어 용기(36a)안에 저장되어 있던 향기가 방출공(34a)을 통하여 방출된다. 또는 차단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2차단부(32b)가 작동되어서 온되면, 역시 통로가 개방되어 용기(36b)안에 저장되어 있던 향기가 방출공(34b)을 통하여 방출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용기에 저장된 향기가 방출되므로 핸드폰 사용자는 특정향기를 맡고서 전화건 상대방을 확인한다.
각각의 용기(36a,36b)들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38)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38)들은 용기(36a,36b)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착탈가능하도록 탄성부재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용기(36a)의 4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36a,36b)들은 주입구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차단부(32a,32b)에도 역시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또다른 결합방식으로는, 상기 용기들이 연질의 캡슐재질로 구성되고 차단부의 결합부가 용기를 투과하여 압입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향수용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서 대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차단부(32a,32b)는 용기(36a,36b)로부터 방출되는 향기의 이동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솔레노이드(solenoid)가 설치되어 있어서 온/오프상태가 반복되면서 구멍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부(32a,32b)의 구조는 핸드폰에 적합하도록 소형, 경량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면에서 용기는 2개(36a,36b)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수 개의 용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의 증가는 방출공(34a,34b)과 차단부(32a,32b)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차단부를 제어하도록 차단제어부(30)의 제어기능을 수정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드폰이 대기중인 상태에서 상대방이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면, 중계기지등을 통하여 호출신호가 핸드폰에 전달되어서 핸드폰의 벨이 울리게 된다. 벨이 울리면 핸드폰 제어부는 핸드폰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훅스위치를 온시키기 전에 먼저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통화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핸드폰 제어부는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통화상대방은 핸드폰이 온 상태가 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를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과정은 통화상대방의 전화기버튼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대방으로 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에 해당되는 신호는 핸드폰 제어부를 통하여 차단제어부(30)로 입력된다.
상기 차단제어부(30)는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다. 판단 결과,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가 미리 약정된 신호이면 차단제어부(30)는 해당 비밀번호에 설정된 차단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차단제어부(30)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차단부가 작동되어서 향기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용기(36a 또는 36b)에 함유되어 있던 향기가 핸드폰의 방출공(34a 또는 34b)을 통하여 방출되며 핸드폰 사용자는 향기를 맡고서 통화상대방을 확인한다. 통화상대방을 확인하면 필요에 따라서 핸드폰을 받거나 또는 받지 않음으로서 통화선택이 가능하다. 만일 핸드폰 제어부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핸드폰의 통화모드를 오프상태로 전환함으로서 전화를 끊을 수 있다. 이 때 음성신호의 입력은 핸드폰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서 핸드폰 사용자가 음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핸드폰 사용자가 임의의 향수 또는 향기를 방출시키도록 차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핸드폰에 미리 향기 또는 향수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기능명령을 저장시켰다가 해당 향기 또는 향수를 방출하도록 핸드폰 키버튼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이것은 향수 또는 향기를 직접 뿌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악세사리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여성의 경우에는 별도의 향수병을 휴대할 필요 없이 수시로 향수를 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향수용기(병 또는 연질캡슐)의 사용을 증대시켜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되며, 청결한 상태유지에 도움이 된다.
상기에서 특정 용기의 주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의 입력을 핸드폰이 통화모드상태에서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동전화회사의 협조하에 통화대기상태에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특정 핸드폰의 번호 맨 뒷자리에 특정문자(*,#, 또는 비밀번호)를 더 추가하면 핸드폰에 호출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특정문자를 더 핸드폰에 전송함으로서 통화대기상태에서도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호출을 받은 상대방은 핸드폰을 통화모드로 전환시킬 필요 없이 핸드폰에 전송된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에 할당된 향기를 맡고서 전화상대방을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 때 벨소리는 오프시킴으로서 종래 진동모드와 같은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향기를 맡은 후에 핸드폰 소유자는 핸드폰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또는 핸드폰이 울린 후에 향기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폰을 이용하여 통화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다. 핸드폰이 통화모드로 전환된 후에 일정시간동안 통화하지 않으면 핸드폰은 자동적으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케이스의 내부에 향기 또는 향수를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하고 핸드폰 소유자 또는 핸드폰 통화상대방이 입력하는 비밀번호 또는 특정신호에 따라서 향기 또는 향수가 방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핸드폰에 있어서,
    향기발생원을 함유한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부착되어서 용기로부터의 향기유출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 상기 차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신호를 핸드폰의 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차단제어부; 그리고 상기 차단부에 인접하며 설치되어서 향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방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의 제어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비밀번호 또는 특정문자가 입력되면 향기를 방출하도록 차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가 상기 용기의 용기주입구와 결합되며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용기 주입구를 개폐하여 향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가 함유된 용기가 상기 차단부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가 함유된 용기가 연질의 캡슐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상기 차단부의 결합부가 상기 용기를 투과하여 압입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상기 차단부를 다수 개 병렬형태로 상기 차단제어부에 연결하고,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향기가 함유된 용기를 개폐하여 서로 다른 향기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KR1020000060492A 2000-10-10 2000-10-10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KR20010000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92A KR20010000705A (ko) 2000-10-10 2000-10-10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92A KR20010000705A (ko) 2000-10-10 2000-10-10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705A true KR20010000705A (ko) 2001-01-05

Family

ID=1969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492A KR20010000705A (ko) 2000-10-10 2000-10-10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70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85A (ko) * 2001-03-20 2001-08-21 송재수 향기나는 안테나
KR20020023721A (ko) * 2001-12-12 2002-03-29 김형찬 휴대폰 및 휴대용 유 무선 통신기기와 결합된 천연 및기능향 방향기기
KR20020084539A (ko) * 2001-05-02 2002-11-09 허권인 핸드폰의 무소음 향기 발생장치
GB2380090A (en) * 2001-01-31 2003-03-26 Zaccheus Gilpin Mobile phone with cooling fan and air freshener
KR100382198B1 (ko) * 2001-04-26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기가 발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2142A (ko) * 2002-01-16 2003-07-23 홍순모 휴대폰 및 휴대폰의 기체 발생 방법
KR20040021853A (ko)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100654136B1 (ko) * 2005-07-20 2006-12-06 (주)애드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갖는 향 발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9263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안경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0090A (en) * 2001-01-31 2003-03-26 Zaccheus Gilpin Mobile phone with cooling fan and air freshener
GB2380090B (en) * 2001-01-31 2004-06-23 Zaccheus Gilpin Invention of fan for phone
KR20010078485A (ko) * 2001-03-20 2001-08-21 송재수 향기나는 안테나
KR100382198B1 (ko) * 2001-04-26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기가 발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84539A (ko) * 2001-05-02 2002-11-09 허권인 핸드폰의 무소음 향기 발생장치
KR20020023721A (ko) * 2001-12-12 2002-03-29 김형찬 휴대폰 및 휴대용 유 무선 통신기기와 결합된 천연 및기능향 방향기기
KR20030062142A (ko) * 2002-01-16 2003-07-23 홍순모 휴대폰 및 휴대폰의 기체 발생 방법
KR20040021853A (ko)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100654136B1 (ko) * 2005-07-20 2006-12-06 (주)애드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갖는 향 발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9263A (ko) * 2020-12-04 2022-06-13 임성규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671A (en) Silent call accept
JPH0715493A (ja) 折畳型携帯電話機
US7031743B2 (en)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10000705A (ko) 향기방출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US7415293B1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portable telephone
JPH10178497A (ja) 基地局及び少なくとも1つの移動局からなる専用相互通信モード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専用相互通信モードを開始する方法
US20090088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telecommunication interface
JP200003210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20010088553A (ko) 휴대폰의 착신음 발생시 무음으로 전환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20080067909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와 연결된 향기 발생 장치
KR20040021853A (ko)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JPH02155320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56982Y1 (ko) 무선전화기의 생활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20020056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전환방법
KR100607257B1 (ko) 관련자 전화번호 목록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55965B1 (ko) 문자메시지 입력 안내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20050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절모드 통신방법
JPH11168531A (ja) 簡易型携帯電話機とその着信表示方法
JPH09270844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ダイヤル方法
KR20010038822A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KR200258286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장치
KR2002005903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터치 링톤 차단방법
GB2372912A (en)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2136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서브 바디 개폐 조작실수로 인한 착신 끊김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