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695U - 도난 경보기 - Google Patents

도난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695U
KR20010000695U KR2019990010724U KR19990010724U KR20010000695U KR 20010000695 U KR20010000695 U KR 20010000695U KR 2019990010724 U KR2019990010724 U KR 2019990010724U KR 19990010724 U KR19990010724 U KR 19990010724U KR 20010000695 U KR20010000695 U KR 200100006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input terminal
burglar alarm
alarm
sens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홍갑
Original Assignee
손홍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홍갑 filed Critical 손홍갑
Priority to KR201999001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695U/ko
Publication of KR20010000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695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문틀의 외곽에 설치되는 방범창이 파손될 경우 경보음을 울려주므로서 내부인에게는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범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창살 내부에 센서선을 삽입하여, 상기 센서선이 단선되었을 경우 단선 감지회로에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선 감지회로는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는 트랜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의 출력단자는 브리지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자중 한선은 릴레이에 접속되며, 다른 한선은 센서선을 통해 릴레이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스피커의 입력단의 한선은 상기 릴레이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경보기.

Description

도난 경보기{BURGLAR ALARM}
본 고안은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문틀의 외곽에 설치되는 방범창이 파손될 경우 경보음을 울려주므로서 내부인에게는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부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창에 방범창을 설치하여 외부인이 창문을 통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였으나 범죄가 포악해 지며 방범창을 뜯고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고자 도난 경보기를 설치하여,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종래 사용되어온 도난경보기는 주로 외부에 감지선을 배치하여 침입자가 상기 선에 접촉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리거나 경광등을 밝혀 침입 여부를 감지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감지장치는 외부로 드러나 있으므로 도둑이 침입할때 이를 용이하게 피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의 주의력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적외선 등의 광선을 이용하여 침입자를 감지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설치경비가 많이 필요하며, 또한 낙엽이나 바람에 날리는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이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광센서를 건물내부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도 건물내의 사람들이 상시 센서에 접촉하여 외부 침입자가 아닌 내부자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하므로 오동작이 많아 사용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물의 창문에 설치되는 방범창의 창살 내부에 센서선을 설치하고 상기 센서선이 단선되었을 때에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하여 동작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센서선을 방범창의 내부에 설치 하므로써 침입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센서선의 단선 감지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범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창살 내부에 센서선을 삽입하여, 상기 센서선이 단선되었을 경우 단선 감지회로에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선 감지회로는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는 트랜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의 출력단자는 브리지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자중 한선은 릴레이에 접속되며, 다른 한선은 센서선을 통해 릴레이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스피커의 입력단의 한선은 상기 릴레이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사용되는 방범창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방범창의 설치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사용되는 방범창의 다른 설치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회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창문틀 10에 설치되는 방범창 11은 다수의 파이프가 종.횡으로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에는 센서선 15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선 15의 일측은 단선 감지회로에 연결되고 다른 한선은 경보음 발생 스피커 SP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단선감지회로는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는 트랜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의 출력단자는 브리지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자중 한선은 릴레이에 접속되며, 다른 한선은 센서선을 통해 릴레이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스피커의 입력단의 한선은 상기 릴레이와 접속된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단선 감지회로는 입력단을 통해 인입되는 교류 전류는 트랜스 T에 의해 전압이 낮추어지며 브리지다이오드 BD에 의해 직류로 전환되어 지며 브리지다이오드 BD의 일측 출력은 센서선 15을 통해 릴레이 RL를 구동시켜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스피커 SP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 SW의 접점을 A와 B로 접속 시키므로써 스피커 SP 에 전류를 차단한 상태이다.
그러나 센서선 SL이 단선이 되면 릴레이 RL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릴레이 RL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스위치 SW는 A와 C가 접속되어 입력단을 통해 스피커 SP 가 동작하여 경보음을 울리게 된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도둑이 창문을 통해 집 내부로 침입하기 위하여 방범창을 제거하는 순간 경보음을 울려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 경각심을 일깨어우며, 침입자로 하여금 경보음을 들고 피신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침입하려고 하는자가 집내부로 침입하기 위하여서는 방범창을 분리 하여야 하는데 이때 방범창을 분리하기 위하여서는 방범창을 전부 들어내거나 몸이 들어 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범창을 형성하는 파이프형 창살을 분리 하여야 하는데 이때 창살을 분리하는 순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센서선이 단선되게 되며, 이때 센서선이 분리되는 순간 단선 감지회로에서 센서선이 단선된 것을 감지하여 스피커 SP 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므로 외부 침입자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방범창은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창무의 외곽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창문틀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센서선은 방범창의 중간 에 설치되는 파이프내에 삽입하여 단선 감지회로와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도난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하며 센서선이 방범창의 파이프내에 감추어져 있어 침입자의 눈에 띄지 않으며, 상기 방범차 내부에 센서선이 단선되었을 때에만 동작하므로 안정된 동작을 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범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창살 내부에 센서선을 삽입하여, 상기 센서선이 단선되었을 경우 단선 감지회로에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도난경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은 창문틀의 외곽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경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은 창문틀의 중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경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회로는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는 트랜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의 출력단자는 브리지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자중 한선은 릴레이에 접속되며, 다른 한선은 센서선을 통해 릴레이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스피커의 입력단의 한선은 상기 릴레이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경보기.
KR2019990010724U 1999-06-16 1999-06-16 도난 경보기 KR200100006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724U KR20010000695U (ko) 1999-06-16 1999-06-16 도난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724U KR20010000695U (ko) 1999-06-16 1999-06-16 도난 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695U true KR20010000695U (ko) 2001-01-15

Family

ID=5476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724U KR20010000695U (ko) 1999-06-16 1999-06-16 도난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6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10A (ko) * 2001-03-06 2001-07-25 조민제 도난방지용 방범 창과 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10A (ko) * 2001-03-06 2001-07-25 조민제 도난방지용 방범 창과 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338A (en) Flood light lamp removal alarm
US6320506B1 (en) Current detector flood light lamp removal alarm
EP1772833A1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KR100888951B1 (ko)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
US20140266747A1 (en) Smoke and carbon monoxide detector electrically coupled to a light source, and positioned in a light fixture
US5619185A (en) Flood light lamp removal alarm
KR20090029149A (ko) 침입예방시스템
CN201000659Y (zh) 无线防盗报警器
US6011465A (en) Backup arrangement for alarm system
KR20010000695U (ko) 도난 경보기
US4677424A (en) Window sill burglar alarm
KR101723559B1 (ko) 창문용 방범 장치 및 창문용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200358397Y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범틀 구조
KR20060099298A (ko) 건물외벽의 방범 시스템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US4178587A (en) Security lock system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AU784667B2 (en) Burglar alarm system having reduced wiring
KR200382273Y1 (ko) 도시가스배관용 방범경보기
CN211342657U (zh) 一种智能自动防盗窗
KR200361526Y1 (ko) 경보 구조를 갖는 방범창
JPH0230552B2 (ja) Bohansochi
JPH057679Y2 (ko)
KR200191442Y1 (ko) 방범창호섀시
JP3102020U (ja) 住宅の二重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