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553U -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553U
KR20010000553U KR2019990010495U KR19990010495U KR20010000553U KR 20010000553 U KR20010000553 U KR 20010000553U KR 2019990010495 U KR2019990010495 U KR 2019990010495U KR 19990010495 U KR19990010495 U KR 19990010495U KR 20010000553 U KR20010000553 U KR 20010000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piston
valve housing
r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업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90010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553U/ko
Publication of KR20010000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55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에 관한 것으로 실차 장착 후 안정된 품질을 보장하여 조작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에 관한 것으로서; 리저버(31)상의 오일을 스티어링휠(40)과 연결된 밸브하우징(34)으로 공급 및 리턴호스(35)로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펌프(32), 상기 밸브하우징(34)의 유압은 밸브하우징(3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된 랙하우징(36)으로 별도의 유압라인(37)을 배설하여 스티어링휠(40)의 움직임에 대하여 밸브하우징(34)내의 밸브작동으로 밸브하우징(34)내의 랙바(23)상에 고정된 피스톤(12)의 좌,우측 방향으로 유압공급을 선택하여 피니언과 함께 랙바(23)를 움직여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워스티어링시스템(30)에 있어서;
상기 랙하우징(36)에 삽입되는 랙바(23)를 피스톤랙바(10)와 체결랙바(11)로 양분하여 양분된 피스톤랙바(10)의 끝단부에 피스톤(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12)의 축방향 끝단면에는 체결랙바(1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13)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Rack bar of power steering system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에 관한 것으로서, 랙하우징내의 피스톤과 랙바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품질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랙바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파워스티어링기어는 차량의 대형화 및 저압 타이어의 사용에 의한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크게되어 스티어링휠의 조작이 어려워 조향 조작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신속한 조향 조작이 곤란하게되어 가볍고 원활한 조향조작을 하기위한 것이다.
엔진의 동력으로 유압펌프를 구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조향 휠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파워스티어링기어의 특징은 조향 조작력에 관계없이 조향 기어비를 선정할 수 있으며,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여 스티어링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 할 뿐 아니라, 앞바퀴의 시미모션을 감쇠하며 차량의 안전운전을 도모한다.
상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조향조작이 직접 전달되는 스티어링휠과 조향축 및 스티어링 컬럼으로 구성되는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켜줌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밸브하우징부 및 랙하우징부로 구성되는 기어부와, 조향력을 앞바퀴에 직접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는 너클 암 및 타이로드등을 구성되는 링크기구부가 있다.
상기의 기어부에는 조향조작력의 증대를 위해 유압펌프에 의한 유압의 작용을 통해 랙하우징내의 랙바에 체결된 실린더를 중심으로 양측 공간에 유압의 차이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밸브하우징내의 랙과 피니언이 같이 작동함으로서 보다 용이한 핸들 조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랙바(23')와 피스톤(12)'을 별도로 가공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피스톤을 랙바상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랙바 또는 피스톤에 손상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오일이 유출될 경우에는 작동성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피스톤에는 오일의 유동(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리테이너를 삽입하기 위한 그로브를 형성하여햐기 때문에 많은 후공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조립에 있어서도 상당한 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랙바 및 피스톤어셈블리의 제작, 조립에 상당한 공정을 요함으로서 전체적인 조립성이 저하됨은 물론, 원가부담의 상승과 안정된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랙바에 피스톤을 일체로 형성하는 어셈블리로 구성함으로서 제작 및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실차장착 후 안정된 품질을 보장하여 조작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장치의 개략도.
도 2 는 종래 고안이 적용된 파워스티어링기어의 단면도.
도 3 은 종래 고안의 랙바와 피스톤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랙바와 피스톤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피스톤
13; 결합공
16; 결합돌기
23; 랙바
34; 밸브하우징
36; 랙하우징
38; 랙샤프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장치의 개략도, 도 3 은 종래 고안의 랙바와 피스톤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랙바와 피스톤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파워스티어링시스템(30)은 리저버(31)상의 오일을 엔진동력으로 작동하는 펌프(32)에 의하여 스티어링휠(40)과 연결된 밸브하우징(34)으로 공급 및 리턴호스(35)로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한다.
상기 밸브하우징(34)의 유압은 밸브하우징(3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된 랙하우징(36)으로 별도의 유압라인(37)을 배설하여 스티어링휠(40)의 움직임에 대하여 밸브하우징(34)내의 밸브작동으로 밸브하우징(34) 내의 랙바(23)상에 고정된 피스톤(12)의 좌,우측 방향으로 유압공급을 선택하여 피니언과 함께 랙바(23)를 움직여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티어링시스템(30)의 랙하우징(36)에 삽입되는 랙바(23)와 피스톤(12)을 개선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품질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랙바(23)를 피스톤랙바(10)와 체결랙바(11)로 양분하고, 피스톤랙바(10)의 끝단부에 피스톤(1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12)의 축방향 끝단면에는 체결랙바(11)의 선단부에 나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결합돌기(16)를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를 형성한 결합공(13)을 더 가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랙바(23)와 피스톤(12)은 주물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 가공됨은 당연할 것이며, 피스톤랙바(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스톤(12)상에는 오일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7)를 삽입하기 위한 리테이너홈(7')을 더 가짐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랙바(23)에 피스톤(12)을 일체로 형성한 어셈블리로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없어 조립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손상등으로 인한 오일유출을 방지하여 작동불량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랙바에 피스톤을 일체로 형성하는 어셈블리로 구성함으로서 제작 및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실차장착 후 안정된 품질을 보장하여 조작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리저버(31)상의 오일을 스티어링휠(40)과 연결된 밸브하우징(34)으로 공급 및 리턴호스(35)로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펌프(32);
    상기 밸브하우징(34)의 유압은 밸브하우징(3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된 랙하우징(36)으로 별도의 유압라인(37)을 배설하여 스티어링휠(40)의 움직임에 대하여 밸브하우징(34)내의 밸브작동으로 밸브하우징(34) 내의 랙바(23)상에 고정된 피스톤(12)의 좌,우측 방향으로 유압공급을 선택하여 피니언과 함께 랙바(23)를 움직여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워스티어링시스템(30)에 있어서;
    상기 랙하우징(36)에 삽입되는 랙바(23)를 피스톤랙바(10)와 체결랙바(11)로 양분하여 양부된 피스톤랙바(10)의 끝단부에 피스톤(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12)의 축방향 끝단면에는 체결랙바(1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13)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KR2019990010495U 1999-06-14 1999-06-14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KR20010000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495U KR20010000553U (ko) 1999-06-14 1999-06-14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495U KR20010000553U (ko) 1999-06-14 1999-06-14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553U true KR20010000553U (ko) 2001-01-15

Family

ID=5476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495U KR20010000553U (ko) 1999-06-14 1999-06-14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5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2530A1 (en) Sealing part structure of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010000553U (ko)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피스톤 일체형 랙바
KR100371734B1 (ko) 동력 조향장치
KR200231004Y1 (ko) 동력조향장치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027671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5062494A (en)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
KR100291062B1 (ko) 동력조향장치의작동실린더구조
KR19980044936U (ko) 고속주행시 조향력이 상승되는 동력조향장치
KR200287123Y1 (ko) 자동차의변속기조작용배력장치
KR100755590B1 (ko) 파워스티어링 펌프용 리테이너 링
KR10099199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피스톤 구조
KR0170615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
JPH11321694A (ja) センターテイクオフ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タイロッドの取付け構造
KR200158672Y1 (ko) 자동차의 변속기 조작용 배력장치의 중립취부 구조
KR101171420B1 (ko) 피니언 밸브 바디와 이를 구비한 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JPH06219303A (ja) 操舵装置
KR200156981Y1 (ko) 차량용 파워스티어링의 랙바중립장치
KR200287122Y1 (ko) 자동차의변속기조작용배력장치
KR0114934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떨림방지장치
JP2520486Y2 (ja) 総輪操舵装置
KR100783764B1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센터필 향상구조
KR101370725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40018651A (ko)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기어박스
KR20010000543U (ko)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에어홀
KR20060002416A (ko) 동력조향장치 기어박스의 에어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