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40U - 폐유 수거통 - Google Patents

폐유 수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40U
KR20010000340U KR2019990010149U KR19990010149U KR20010000340U KR 20010000340 U KR20010000340 U KR 20010000340U KR 2019990010149 U KR2019990010149 U KR 2019990010149U KR 19990010149 U KR19990010149 U KR 19990010149U KR 20010000340 U KR20010000340 U KR 20010000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aste oil
outlet
discharge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김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수 filed Critical 김득수
Priority to KR2019990010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340U/ko
Publication of KR20010000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4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폐유를 수거하도록 된 폐유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분리구성되고 하단에 형성된 유출구에 플렉시불 호스가 구비되며 상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 등의 구조에 의해 폐유의 수거 및 다수의 적층이 용이하게 되고, 각 가정에 비치될 경우 미려한 외관의 창출 및 내구성을 유지하게 되는 폐유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폐유 수거통은, 몸체의 상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요홈(11)(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요홈(11)에는 일측에 뚜껑(13)을 구비한 주입구(14) 및 중앙에 길이방향의 손잡이(15)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11)을 벗어난 상단의 네귀통이에 결합돌기(16) 및 요홈(12)을 벗어난 하단의 네귀퉁이에 결합홈(17)이 형성되며, 측벽의 하단에 설치홈(18) 및 상기 설치홈(18)과 상부로 연장되는 파지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8)에 배출구(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0)에 플렉시블한 배출관(21)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21)이 상기 파지홈(19)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유 수거통{GATHERING VESSEL FOR WASTE EDIBLE OIL}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폐유를 수거하도록 된 폐유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분리구성되고 하단에 형성된 유출구에 플렉시불 호스가 구비되며 상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 등의 구조에 의해 폐유의 수거 및 다수의 적층이 용이하게 되고, 각 가정에 비치될 경우 미려한 외관의 창출 및 내구성을 유지하게 되는 폐유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지에서 조리 후 발생되는 식용유는 재사용됨이 없이 거의 폐기되는 실정이다.
그런데 그러한 폐유는 액상의 것으로 주로 하수구를 통해 흘러 버려지게 되므로 쉽게 분해되지 않는 성질에 의해 심각한 수질오염의 주범이 되어 왔고, 또한 쓰레기화하여 버릴 경우에는 다른 쓰레기에 혼입되어져 재활용을 위한 쓰레기의 분리를 어렵게 하거나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 및 폐유의 재활용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폐유수거운동이 전개되고 있다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 또한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폐유의 수거인식이 부족하여 번거롭게 생각하고 있으며, 수거할 경우에는 폐유전용의 적당한 수거통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다양한 수거통을 마련하여 수거할 경우에는 2차수집처로의 취급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가정에 비치되는 수거통은 폐유에 오염되어 혐오감을 주거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려한 외관에 의해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 비취되는 것에 거부감을 주지 않고, 주입구와 배출구의 분리구성에 의해 폐유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며, 2차수집처로의 운반 이동이 용이함과 함께 다수 적층이 가능하며, 폐유의 수용량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수명이 보장되는 폐유 수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유 수거통은, 손잡이와 주입구를 구비한 수거통에 있어서, 하단에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플렉시불한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이 고정되도록 측벽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적측이 가능하도록 상하단에 대향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수거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선A-A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B-B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유수거통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폐유) 수거통 11,12: 요홈
13: 뚜껑 14: 주입구
15: 손잡이 16: 결합돌기
17: 결합홈 18: 설치홈
19: 파지홈 20: 배출구
21: 배출관 21a: 엘보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수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A-A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선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유수거통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유 수거통(10)은, 몸체의 상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요홈(11)(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요홈(11)에는 일측에 뚜껑(13)을 구비한 주입구(14) 및 중앙에 길이방향의 손잡이(15)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11)을 벗어난 상단의 네귀통이에 결합돌기(16) 및 요홈(12)을 벗어난 하단의 네귀통이에 결합홈(17)이 형성되며, 측벽의 하단에 설치홈(18) 및 상기 설치홈(18)과 상부로 연장되는 파지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8)에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이에 배출관(21)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21)이 상기 파지홈(19)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15) 및 주입구 뚜껑(13)은 하단에 형성된 요홈(12)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21)은 몸체의 상단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지닌다.
상기 주입구(14)는 배출구(20)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돌기(17)와 결합홈(17)은 각각 대향되고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21)은 너트(22) 등의 고정수단으로 연결되고, 하단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엘보우부(21a)가 형성되며, 끝단에 캡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21)은 투명관으로 하여 수용된 폐유량의 수거정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21)이 설치되는 설치홈(18) 및 파지홈(19)은 본체의 어느 측벽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후면 측벽의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폐유 수거통(1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지에서 발생하는 폐유는 비치된 폐유 수거통(10)에 담게 된다.
즉, 뚜껑(13)을 열고 주입구(14)를 통해 폐유를 부어 넣게 되고 이 때 깔때기를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부어담을 수 있다.
이 때 배출관(21)은 파지홈(19)에 끼워져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용된 폐유가 유출될 염려가 없다.
수 회를 걸쳐 폐유를 담게 되면 그 수용량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인 배출관(21)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된다.
한편, 폐유가 소정의 수용량으로 확보되면 2차수집 날짜에 맞쳐 보내지게 되고 2차수집처에서는 각지에서 보내진 폐유수거통(10) 내의 폐유를 한 곳에 거두게 된다.
이 때에는 배출관(21)을 파지홈(19)으로 부터 빼내 그 선단을 2차수용용기에 위치시키게 되면 수거통을 기우릴 필요없이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지에서 옮겨진 수거통(10) 각각은 가지런하고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되어 보관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고 차량에 싣게 되어도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즉, 하나의 수거통(10)에 또 다른 수거통(10)을 올려놓게 되면 위에 올려진 수거통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7)으로 아래에 놓여진 수거통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6)가 삽입되는 결합구조가 되어 가지런하고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폐유를 비운 수거통(10)은 배출관(21)을 다시 파지홈(19)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로 되돌려져 원래의 수거지점으로 옮겨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유 수거통은, 하단에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플렉시불한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이 고정되도록 측벽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적측이 가능하도록 상하단에 대향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 미려한 외관이 창출되어져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 비취되는 것에 거부감을 주지 않게 되고, 주입구와 배출구의 분리구성에 의해 폐유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되며, 2차수집처로의 운반 이동이 용이함과 함께 다수 적층이 가능하며, 폐유의 수용량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수명이 보장되는 등의 효과와 함께 폐유수거운동에 적극 동참을 유도하게 되고 폐유의 재활용에 따른 국가 경제력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부여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몸체의 상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요홈(11)(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요홈(11)에는 일측에 뚜껑(13)을 구비한 주입구(14) 및 중앙에 길이방향의 손잡이(15)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11)을 벗어난 상단의 네귀통이에 결합돌기(16)및 요홈(12)을 벗어난 하단의 네귀퉁이에 결합홈(17)이 형성되며, 측벽의 하단에 설치홈(18) 및 상기 설치홈(18)과 상부로 연장되는 파지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8)에 배출구(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0)에 플렉시블한 배출관(21)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21)이 상기 파지홈(19)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폐유 수거통.
KR2019990010149U 1999-06-08 1999-06-08 폐유 수거통 KR200100003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49U KR20010000340U (ko) 1999-06-08 1999-06-08 폐유 수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49U KR20010000340U (ko) 1999-06-08 1999-06-08 폐유 수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40U true KR20010000340U (ko) 2001-01-05

Family

ID=5476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149U KR20010000340U (ko) 1999-06-08 1999-06-08 폐유 수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3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66B1 (ko) * 2008-04-22 2008-11-12 권영재 편광필름 포장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66B1 (ko) * 2008-04-22 2008-11-12 권영재 편광필름 포장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599A (en) Engine oil collector system
US6085806A (en) Environmentally safe kit for changing motor oil
US7565985B2 (en) Apparatus including dripless bucket and liner
MXPA01012572A (es) Recipiente para transporte y almacenamiento de liquidos.
KR20010000340U (ko) 폐유 수거통
CN110419839A (zh) 带垃圾分类和储存功能的外卖餐盒
EP0102126B1 (en) Refuse container
CN213009950U (zh) 方便清理的垃圾箱
CN207973087U (zh) 一种方便清洗的家用垃圾桶
CN208485123U (zh) 一种便于清洗的路政工程用垃圾桶
CA2041217A1 (en) Containment basin assembly for chemical storage tank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KR20030577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JP2579716Y2 (ja) 貯水槽の蓋
CN217650092U (zh) 新型垃圾袋收纳盒及垃圾桶
KR200187710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20988403U (zh) 茶具收纳装置
CN218705851U (zh) 一种景区防腐防臭垃圾桶
CN2378316Y (zh) 节约清洁型容器嘴
CN216995974U (zh) 一种防臭型玻璃钢垃圾桶
CN2203282Y (zh) 家用组合式垃圾箱
CN2251341Y (zh) 双层皂盒
CN209290977U (zh) 一种豆腐包装箱
CN2136223Y (zh) 袋装垃圾桶
CN210853819U (zh) 一种可切换单腔或双腔的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