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238A -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238A
KR20000077238A KR1020000025274A KR20000025274A KR20000077238A KR 20000077238 A KR20000077238 A KR 20000077238A KR 1020000025274 A KR1020000025274 A KR 1020000025274A KR 20000025274 A KR20000025274 A KR 20000025274A KR 20000077238 A KR20000077238 A KR 20000077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data
network
designed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047B1 (ko
Inventor
용강 두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7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노드들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한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중 하나는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 이용되는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교환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 with a concealed network node}
본 발명은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노드들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Wolfgang Schulte 에 의한 논문, 1998년 Funkschau 23, 80-81페이지의 "Code-Name Bluetooth"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여러개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각각 구비하는 여러개의 피코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다. 피코네트워크내의 노드들중의 하나는 주(主)기능을 갖고 있다. 피코네트워크내의 다른 모든 노드들은 종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피코네트워크내의 종기능을 가진 노드들중의 하나가 또다른 피코네트워크의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직접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해 액세스 불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로 상이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서, 네트워크 노드들중 하나는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 이용되는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교환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용어 "무선 전송"은 라디오나 적외선이나 초음파 전송 등을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무선 네트워크내의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가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게 하고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라디오 트래픽을 위해 설게되어진다.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위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을 개시한다. 이것은 서브프레임이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에 놓여 있는 MAC 스테이지내의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 노드의 라디오 장치에서의 MAC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 및 MAC 프레임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프레임의 제 1 상태에 있어서,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프레임의 제 2 상태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서브프레임의 제 1 상태에서의 이송 네트워크 노드가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 2 상태에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는 점에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로 데이터들이 지나갈 수 있게 한다.
청구항 4항 내지 5항은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또다른 상태들에 관한 것이다. 서브프레임은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기 전에는 초기화 서브프레임, 그리고 포함된 후에는 동작 서브프레임이라 칭하여진다.
청구항 7항에 따르면, 본 발명은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여러개의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청구항 8항에 의하면 중앙 네트워크 노드라 표시한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며, 청구항 9항에 따르면 이송 네트워크 노드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여러개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 이용된 MAC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여러 네트워크 노드를 구비한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무선 네트워크에 이용된 MAC 프레임들로서 각가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MAC 프레임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네트워크 노드 2∼4 :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
3 : 선택된 네트워크 노드 7 :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도 1은 여러 네트워크 노드들(1∼4)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상기 노드들(1∼4)은 라디오 링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노드(1)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라 불리우며, 무선 네트워크의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한다. 노드들(2∼4)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표시하며 상호간에 그리고 중앙 네트워크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중앙 네트워크 노드(1)가 다른 노드들(2 내지 4)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범위는 도 1에서 타원(5)로 표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1 내지 4)들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가능하면 다른 연산 장치들과 각각의 라디오 접속들을 확립하는 최소한의 라디오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예를 들면, 비디오 코덱, 비디오 레코더, 모니터, 튜너, CD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공지되어 있는 라디오 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 프로토콜 장치, 모뎀, 고주파 회로, 안테나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가능하면 포맷 적응화 이후에 프로토콜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1 내지 4)의 다른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한다. 고주파 회로는 모뎀을 통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토콜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안테나는 프로토콜 장치로부터 발원하고 모뎀 및 고주파 회로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컨대 프로세서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프로토콜 장치는 모뎀에 의해 공급된 패킷 유닛으로부터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로부터 패킷 유닛을 형성한다. 하나의 패킷은 수신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장치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제어 정보 또한 포함한다. 프로토콜 장치는 LLC(Logical Link Control) 스테이지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스테이지에 대한 프로토콜들을 활용한다. MAC 스테이지는 라디오 전송 매체에 대한 라디오 장치의 다중 액세스를 제어하고, LLC 스테이지는 트래픽 플로우 및 에러 체크를 실행한다.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x Access)나,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방법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들(1 내지 4)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또한 조합될 수도 있다. 데이터는 소정의 할당된 채널들에서 전송된다. 채널은 주파수 범위, 시간 주기, 예컨대 CDMA 방법의 경우엔 확산 코드에 의해 규정된다.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 노드들(1 내지 4)의 MAC 스테이지에서의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은 라디오 동기화 데이터, 페이로드 데이터, 제어 데이터를 위한 여러개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MAC 프레임이라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중앙 제어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라디오 동기화를 맡고 있고 또한 통상적인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에 대한 MAC프레임의 다이나믹 타임 슬롯 할당도 맡고 있다. 각각의 MAC 프레임은 그것의 시작부에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가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발생되는 프레임 동기화 프리앰블 MS를 갖는다. 프레임 동기화 상태 또는 프리앰블 MS 다음으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제어 데이터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제어 상태 DLCP, 그 다음으로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페이로드 데이터를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로 전송하는 다운링크 유저 상태 DLUP가 이어진다. 다운링크 유저 상태 DLUP 다음으로는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이 제 어 데이터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직접 모드 상태 DMP가 이어진다. 마지막 상태, 즉 업링크 상태 UPP에 있어서는,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들이 전용 채널이나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중앙 네트워크 노드(1)로 전송한다.
MS, DLCP, DLUP, DMP, UPP 상태들 각각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타임슬롯들(채널들)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들의 길이 및 타임슬롯들의 길이는 고정적으로 프로그램되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관련 요건들에 따라서 상기 상태들 및 타임슬롯들의 길이들을 결정한다.
전용 채널은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들간의 포인트투포인트 링크이다. 랜덤 채널은 각각의 데이터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들(2 내지 4)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타임슬롯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랜덤 채널에 대한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의 액세스를 위한 시간 동안의 때를 정하지 못한다. 랜덤 채널은 예컨대 등록 요청에 대해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DLCP 상태에 있어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가 모든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메시지들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이 DMP 및/또는 UPP 상태들에서 그들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허용되는 타임슬롯들이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또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타임슬롯들중 어느 타임슬롯들이 중앙 네트워크 노드(1)로부터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DLUP 상태에서 이용되고/거나 타임슬롯들중 어느 타임슬롯들이 다른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로부터 제어 데이터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DMP 상태에서 이용되는 가를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에게 알려주도록 DLCP 상태 동안에 모든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랜덤 액세스 채널 RACH의 위치를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에 알리기 위해 DLCP 상태를 활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채널 RACH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를 등록하는데 이용된다. 등록 이후에,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대해 하나 또는 여러개의 타임슬롯들을 메시지로 요청하기 위해 UPP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역시 중앙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되어서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이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모든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은 중앙 네트워크 노드(1)로부터 제어 데이터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중앙 네트워크 노드(1) 및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 뿐만 아니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표시하는 노드(7)를 포함하는 또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7)는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라 칭하여지는데, 그 이유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와는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없고 하나의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즉, 도 3에서 노드(3))와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네트워크 노드들(3, 7)을 둘러싸는 또다른 타원(8)에 의해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다.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3)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 및 다른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로부터의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에 전송하고,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부터의 데이터를 중앙 네트워크 노드(1) 및 다른 모든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들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7)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러한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3)는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에뮬레이트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서 나타내어진다.
중앙 네트워크 노드(1)와 직접적인 라디오 접촉이 없는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를 구비하기 위하여, 그 구비 이전에 서브프레임이 초기화 서브프레임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MAC 프레임에 특정 서브프레임이 제공된다. 상기 초기화 서브프레임의 활성화 기간 동안에,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데이터는 선택된 네트워크 노드(3)를 통해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공급된다. 이 초기화 서브프레임은 DMP 및/또는 UPP 상태 동안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다이나믹하게 결정된다. 도 4는 MAC 프레임 및 초기화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이 초기화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동기화 상태 iMS, 다운링크 제어 상태 iDLCP, 업링크 상태 iUPP로 구성된다. iMS 상태 동안에,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는 특정 노드(예컨대 네트워크 노드(3))에 의해 반복되고,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제어 데이터는 iDLCP 상태 동안에 전달된다. iUPP 상태만은 아직까지는 포함되지 않았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노드(7))가 무선 네트워크내로의 포함을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채널 iRACH를 포함한다.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에 의해 출력된 포함을 위한 요청은 초기화 서브프레임의 iUPP 상태 동안에 선택된 네트워크 노드(3)에 의해서 메시지로서 수신된다.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노드(3)는 초기화 서브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MAC 프레임의 다음 UPP 상태 동안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대해 상기 포함 요청을 갖는 메시지를 전한다. 중앙 네트워크 노드(1)가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의 포함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다음 서브프레임의 시작점은 아래에 놓여진다. 이 다음 서브프레임은 상기 포함이후에 연산 서브프레임이라 표시된다. MAC 프레임과 관련하여 상기 시작점은 항상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가 무선 네트워크를 떠나는 순간까지 모든 후속 연산 서브프레임에 대해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그 연산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가변적이며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의존하여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결정된다.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에 의해 선택된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3)는 제 1 연산 서브프레임의 개시시에 이송 노드가 된다.
연산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동기화 상태 oMS 및 다운링크 제어 상태 oDLCP를 포함한다(도 5). 또한 연산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유저 oDLUP 및 업링크 oUPP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네트워크 노드(3)는 oMS 상태 동안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1)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 및 연산 서브프레임의 oDLCP 상태에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에 관련되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의 모든 제어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반복한다. 예를 들면,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에 대한 타임슬롯의 할당에 있어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3)에 대한 제어 데이터로서 oDLCP 상태 동안에 반복된다.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는 전용 채널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캐스트 접속 또는 포인트투포인트(또는 유니캐스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oUPP 상태 동안에 랜덤 액세스 채널 oRACH을 이용할 수 있다.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부터 다른 어떤 네트워크 노드(1 내지 4)로의 전용 채널을 통한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은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의 전용 업링크 채널로 표시되고 축약하여 업링크 채널 oUDCH로서 기입된다. 상기 업링크 채널 oUDCH는 랜덤 액세스 채널 oRACH와 마찬가지로 연산 서브프레임의 oUPP 상태의 일부를 형성한다.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MAC 프레임의 DLCP 상태 동안에 이러한 업링크 채널 oULCP의 할당에 대한 메시지를 갖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송 네트워크 노드(3)는 연산 서브프레임의 oDLCP 상태 동안에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전한다. 그러나,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연산 서브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채널 oUDCH(업링크 전용 채널)에 대한 하나 또는 여러개의 타임슬롯들을 할당해야할 뿐만 아니라, MAC 프레임의 DMP 상태 및/또는 UPP 상태에서의 각각의 타임슬롯들 역시 할당해야 한다. 이송 노드(3)를 통해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부터의 데이터를 하나 또는 여러개의 다른 노드들(1 내지 4)로 전송하기 위한 이송 노드(3)는 연산 서브프레임 외측에 놓이는 상기 대응하는 타임슬롯들을 필요로 한다. 이들 타임슬롯들은 연산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채널 oUDCH과 유사하게 업링크 채널 UDCHfh 표시되는 채널에 속한다.
페이로드 데이터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2 내지 4) 및/또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1)로부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 전송되는 경우, 중앙 네트워크 노드(1)는 연산 서브프레임의 oDLUP 상태에서 전용 다운링크 채널 oDDCH을 할당해야 한다. 이 다은링크 채널 oDDCH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3)로부터의 페이로드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은 하나 또는 여러 네트워크 노드들(1, 2, 4) 및 이송 노드(3) 간의 접속을 위해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서 연산 서브프레임 외측의 DMP 또는 UPP 상태 동안의 MAC 프레임에서 또다시 할당되어야 한다.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할당된 연산 서브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들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타임슬롯들 oS1 및 oS2가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서 연산 서브프레임의 oDLUP 상태에서 다운링크 채널들 oDDCH로서 할당되어 있다. 대응하는 타임슬롯들 또는 다운링크 채널들 S1 및 S2가 DLUP 및 DMP 상태들에서 존재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노드(2))로부터 발원하는 페이로드 데이터는 타임슬롯들 S1 또는 S2에서 이송 노드(3)로 전송되고 거기로부터 타임슬롯들 Os1 또는 Os2에서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로 전송된다.
역전송 방향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산 서브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채널들 oUDCH로서 중앙 네트워크 노드(1)에 의해 할당된다. 대응하는 타임슬롯들 S3 및 S4는 연산 서브프레임 외측의 MAC 프레임의 DMP 및 UPP 상태들에서 업링크 채널들 UDCH로서 포함된다. 타임슬롯 oS3 또는 oS4에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는 데이터를 이송 네트워크 노드(3)로 전송하고, 상기 노드(3)는 이들 데이터를 예를 들어 타임슬롯 S3 또는 S4 동안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로 전한다.
유의할 것은 데이터는 이송 노드(3)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7) 간에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MAC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들의 할당은 불필요하며, 연산 서브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들의 할당은 양호하게 된다.

Claims (9)

  1.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중 하나는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 이용되는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교환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제 1 상태 동안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프레임의 제 2 상태 동안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서브프레임의 제 1 상태 동안에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 2 상태 동안에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AC(Medium Access Control) 스테이지에 할당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의 라디오 장치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의 제 3 상태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의 제 4 및/또는 제 5 상태 동안에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프레임의 제 4 상태 동안에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페이로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제 5 상태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에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내에 포함되기 이전에,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의 포함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6. 제 2 항에 있어서,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내에 포함된 이후에,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 3 상태 동안에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고/거나 서브프레임의 제 4 상태 동안에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의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7.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무선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고,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서 작용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중 하나는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고 프레임들이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서 형성되는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데이터를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교환하고,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이송 네트워크 노드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무선 전송 방법.
  8. 라디오 장치를 각각 구비한 여러개의 또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
    중앙 네트워크 노드로서 작용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 이용된 프레임들의 형성을 위해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는 서브프레임 데이터가 이송 네트워크 노드 및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간에 교환되는 동안에 프레임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9. 각각 라디오 장치를 구비한 여러개의 또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내의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라디오 트래픽을 제어하고 각각의 라디오 장치에 이용된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 동기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의 소정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이송 네트워크 노드로서 설계되고,
    상기 이송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중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할당되고 프레임내에 놓이는 서브프레임의 기간 동안에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KR1020000025274A 1999-05-12 2000-05-12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KR100663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1716.5 1999-05-12
DE19921716A DE19921716A1 (de) 1999-05-12 1999-05-12 Drahtloses Netzwerk mit einem versteckten Netzkno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238A true KR20000077238A (ko) 2000-12-26
KR100663047B1 KR100663047B1 (ko) 2007-01-02

Family

ID=790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74A KR100663047B1 (ko) 1999-05-12 2000-05-12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85253B1 (ko)
EP (1) EP1058420B1 (ko)
JP (1) JP4571271B2 (ko)
KR (1) KR100663047B1 (ko)
CN (1) CN1171470C (ko)
DE (1) DE19921716A1 (ko)
ES (1) ES237016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8230C2 (sv) * 2000-12-12 2002-09-10 Fredriksson Lars Berno Mobilt data- och kommunikationsnät för bl.a. inomhusanvändning med frekvenshopp och tidsluckeåteranvändning
US20030148767A1 (en) * 2001-05-08 2003-08-07 Shigeru Sugay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t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ci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20040076979A (ko) * 2003-02-27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lan 및 무선 lan 스테이션들사이에서 다이렉트링크 프로토콜 설정방법
US7277960B2 (en) * 2003-07-25 2007-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corporating constraints and preferences for determining placement of distributed application onto distributed resource infrastructure
WO2005065035A2 (en) * 2004-01-08 2005-07-21 Wisair Ltd. Distributed and 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US7349362B2 (en) * 2005-06-29 2008-03-25 Mesh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to AD-HOC multihopping wireless networks
JP2009542099A (ja) * 2006-06-23 2009-11-26 ビーエーイー・システムズ・インフォメーション・アンド・エレクトロニック・システムズ・インテグ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manet)およびノード間ポイントツーマルチポイント(pmp)通信のサポート
US7729336B2 (en) * 2007-03-28 2010-06-01 Harris Corporation Synchronization and timing source priority in an ad-hoc network
CN101711037B (zh) * 2009-12-23 2014-12-2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隐藏节点的检测方法和设备
US10595171B2 (en) * 2017-02-28 2020-03-17 T-Mobile Usa, Inc. Dedicated uplink channel for multimedia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373A (en) * 1990-02-09 1992-06-02 Luxcom, Inc. Multiple buffer time division multiplexing ring
US5369784A (en) * 1991-08-01 1994-11-29 City Communications Limit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ultiple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ransceivers
JPH0897821A (ja) * 1994-09-21 1996-04-12 Hitachi Ltd 無線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5612948A (en) * 1994-11-18 1997-03-18 Motorola, Inc. High bandwidth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US6026297A (en) * 1997-09-17 2000-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empor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picon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0160T3 (es) 2011-12-13
CN1274246A (zh) 2000-11-22
CN1171470C (zh) 2004-10-13
KR100663047B1 (ko) 2007-01-02
JP4571271B2 (ja) 2010-10-27
US6785253B1 (en) 2004-08-31
DE19921716A1 (de) 2000-11-16
EP1058420B1 (de) 2011-07-27
EP1058420A3 (de) 2006-12-13
EP1058420A2 (de) 2000-12-06
JP2000358074A (ja)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55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child or neighbor network
US7190686B1 (en) Self configuring high throughput medium access control for wireless networks
KR100343487B1 (ko) 통신채널의공유자원을엑세스하는방법과시스템
US7460503B2 (en) Method for beacon rebroadcast in centrally controlled wireless systems
AU702769B2 (en) Method,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avoiding collisions in radio communication
US7593422B2 (en) Method of operating a media access controller having pseudo-static guaranteed time slots
EP1048182B1 (en) Central multiple access control for frequency hopping radio networks
KR100752609B1 (ko) 보장된 서비스 품질을 가지는 패킷 전송 무선 시스템을위한 무선 기지국의 동작 방법
RU2372721C2 (ru) Распределенное резервирование ресурсов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пециальной сети
JP4773476B2 (ja) 高データレート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適応送信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477492B2 (ja) 時分割多重接続(tdma)トランクド・システム用のチャネル再割当方法
JP4219809B2 (ja) いくつかのサブネットワーク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
US66286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neighbor segregation
KR10038981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방법
US20030231621A1 (en) Dynamic communication channel switching for computer networks
EP1059773A3 (e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packet data particularly in mesh topology wireless networks
EP1378094A2 (en) In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WO2007092703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a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487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bootstrap slots
KR100663047B1 (ko) 은닉된 네트워크 노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TW201828762A (zh) 點對點無線通信網路中的操作方法及其通信設備
KR20080059050A (ko) 적어도 한 명의 가입자와 적어도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의통신 방법
KR100605371B1 (ko) 무선 랜에서의 억세스 단말 및 그 대역폭 할당방법
KR20030019818A (ko) 스니프모드에서 상호간의 데이터통신 시간을 절약할 수있는 무선통신 시스템
JP2004506381A (ja) 同一周波数帯域における異なるスタンダードに関する無線システムの双方向切替制御の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および制御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