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230A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230A
KR20000076230A KR1019997008324A KR19997008324A KR20000076230A KR 20000076230 A KR20000076230 A KR 20000076230A KR 1019997008324 A KR1019997008324 A KR 1019997008324A KR 19997008324 A KR19997008324 A KR 19997008324A KR 20000076230 A KR20000076230 A KR 2000007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coffee
block
coffee maker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게안톤
푸듀라파엘
메르케르프리츠
Original Assignee
에게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게로 아게 filed Critical 에게로 아게
Priority to KR101999700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6230A/ko
Publication of KR2000007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피메이커(100)는 전체 높이가 축소되고 심미적인 디자인을 갖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장치는, 증류체임버(25, 26)를 구비한 증류블럭(32)이 원형경로(R) 상으로 안내되고, 상기 체임버들은 3개의 상이한 작동위치를 구비하며, 이 증류체임버(25, 26)에서 축상으로 이동하는 증류플런저와 여과/배출플런저도 구비하고 있다. 증류조립체(1)의 구동 및 조정은 서로 대향되어 위치하는 2개의 캠디스크하우징(59)에 내장된 스퍼어기어와 캠디스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에 따르면, 3개의 위치들의 회전은 30°간격으로 일어나고, 60°각도로 되돌려 시작된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AUTOMATIC COFFEE MAKER}
일반적으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은 커피 끓이는 기구, 즉 커피 메이커는 주로 요식업에서 사용된다. 이들 커피 메이커는 통상적으로 부피가 커 특히 많은 공간의 서비스 영역을 가로막게 되며, 현대적이고 심미적으로 디자인된 식당에서는 잘 어울리지 않았다. 또한, 이들 커피 메이커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지보수를 요하고,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장시간동안 서비스를 중단해야 했다. 더구나, 이 기구들의 기계적 구성요소들이 그의 설계 특성상 커피 분말 및/또는 누수되는 물과 커피에 의해 오염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높이가 종래의 기구들보다 작으며 전방부가 가시적으로 개방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형이 심미적이고 작동 및 유지가 용이해야 하고, 더욱이 그 디자인은 매개체를 적절히 이송하여 오염이 전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피 분말과 커피가 쌓이는 비위생적인 공간이 없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커피 끓이는 기구 및 이 커피 기구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메이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 따른 증류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커피 메이커를 정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커피 메이커를 측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서 여과/배출플런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커피 메이커의 증류조립체의 운동순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에 따른 운동 순서의 운동학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증류헤드의 운동량과, 증류블럭의 회전 및, 상기 증류블럭의 여과/배출플런저의 행정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운동들의 시간순서에 대한 조정 및 스위칭 함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8a 내지 도 8b는 캠디스크 및 구동기를 사용하여 도 7a 내지 도 7b에 따른 운동 순서를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변형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와 도 8b는 각각 스퍼어기어의 측면도이다.
상기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수평으로 정렬된 축을 중심으로한 원형경로 상으로 부분적으로 안내되어 첫번째 충전위치로 선회된 다음, 온수 공급 및 커피 배출을 하는 두번째 증류위치로 선회하고 나서, 세번째 채워진 커피분쇄물 배출위치로 선회되는 증류블럭에 증류체임버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증류블럭은 축상으로 작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유사한 플런저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둘러싸도록 됨으로써 달성된다.
청구항 1에서 특징지어진 커피 메이커는, 원형경로 상에 적절하게 정렬되고, 필요로 하는 전체 높이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작동 위치를 가지면서 동역학적으로도 유익한 간결한 장치로 이루어지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양질의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고, 특히 요식업에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게 된다.
간접적으로 작동하는 플런저에 관한 청구항에서 채택된 개념은 증류블럭의 운동이 플런저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기준으로써만 작용하는 것으로 보는 해석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조는 매질(media)의 유동이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발생하도록 된 것이다. 하지만, 예컨대 상이한 공급설비로 인하여 그럴 필요가 있다면 상기와 유사하게 매질이 임의의 다른 선택적인 방법으로도 유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선안 또는 작동방법들은 후술되는 종속항들에서 설명된다.
청구항 2에 따른 장치는 매우 경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작동중에서도 청결하고 위생적이다.
청구항 3에 따른 플랜지는 증류조립체가 매우 간결한 기계적 작동을 하도록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스퍼어기어와 캠디스크의 구성은 증류조립체 외부에 장착될 수 있는 기어식 모터를 이용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중앙 구동기만을 필요로 한다.
이와 다르게, 창구항 5에 설명된 것과 같이 개별적인 구동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병행 증류과정으로 2개 이상의 컵에 동시에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따른 분쇄메커니즘은 장치에 요구되는 전체 높이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킨다.
청구항 8에 따르면 회전깔때기를 포함하고 있는바, 증류체임버의 병렬 구성과, 특히 상이한 직경과 용적을 갖는 체임버의 구성이 간단히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단일 컵일때와 동질의 여러 컵의 커피가 동시에 분배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작동 방법은 매우 성공적임이 입증되었는바, 선택된 바람직한 각회전 위치들은 임의의 선택적인 출발위치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청구항 10에 따른 운동학적 방법에 의해 본 장치는 경제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커피 분말 조제기능이 있는 증류조립체(1)는 참조부호 100으로 표시된 기구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다.
커피원두는 종래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커피원두용기(2) 내에 부어지는데, 상기 커피원두용기(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2종류의 상이한 커피원두가 사용될 수 있도록 구획벽(3)을 구비한다.
상기 기구하우징(100)의 상부지역에는 가열코일(8, 9, 10)이 감겨진 보일러(5, 6, 7)에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커피분쇄기(11, 12)는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어 있으며, 충전깔때기(13, 14)와 분말배출구 및 전동모터(18, 19)를 구비하는데, 도 1에는 상기 분말배출구 중 한쪽 분말배출구(15)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피분쇄기(11, 12) 사이에는 새로 분쇄된 커피 분말을 그 아래에 위치한 증류체임버(25, 26) 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조정 가능한 선회깔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소위 증류헤드(27)에는 큰 증류플런저(29)와 작은 증류플런저(30)가 각각 설치된 증류이음쇠(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류체임버(25, 26)가 수용되는 편평면(33)을 구비한 증류블럭(32)이 충전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또, 도면에 측면덮개(34)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아래쪽에는 나중에 후술하겠지만 기어하우징(44, 45)을 갖춘 스핀들모터(42, 43)가 설치되어 있다.
전체 조립체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이격바아(55)에 의해 고정된 얇은 판으로 된 하우징지지부(51, 52) 내에 장착된다. 도 1에서 증류조립체는 2개의 안내레일(56)상에 장착되는데, 도면에서는 당겨져 나온 상태로 나타나 있다. 상기 안내레일(56)은 하우징지지대(51, 52) 내의 상응하는 홈(57)에 꼭 들어맞게 결합된다.
또한, 그 상단부에 이음쇠가이드(29)가 형성된 캠디스크하우징(58, 59)도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기구하우징(100)은, 그 저면에 컵 안착부가 형성된 기저판(10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저판과 기구하우징(100) 사이에는 만곡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의 개략도는 상세도를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에는 이음쇠(28)와 그 아래에 증류플런저(29, 30)를 갖춘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증류헤드(27)가 나타나 있다. 증류블럭(32) 내에는 축상으로 이동가능한 여과/배출플런저(36, 37)가 증류체임버(25, 26)에 설치되고, 각각 내부 나사산을 갖춘 플런저로드(38, 3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블럭을 축 A-A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데 이용되는 플랜지(46, 47)들이 상기 증류블럭(32)의 측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증류조립체(1)와 커피분말 제조 및 분배를 위한 장치를 갖춘 기구하우징(100)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 이 도면에는 분쇄장치(17)와 제 2분말배출구(16), 전동모터(18, 19)간의 각도(α), 상기 증류블럭(32)의 선회위치(I-Ⅲ)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치 I는 제 1충전위치에 해당하는 것이고, 제 2증류위치(Ⅱ)는 상기 위치 I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30°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있으며, 커피 분쇄물 배출위치(Ⅲ)는 원형경로(R)을 따라 출발위치인 제 1충전위치(I)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60°회전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밸브(도시안됨)를 통해 보일러(5, 6, 7; 도1에 도시됨)에 연결되어 증류플런저(30)로 배출하는 온수공급기(3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면덮개(34, 35)를 가진 증류블럭(32)은 단일체구조로 구조이다.
상기 증류 이음쇠(28)에 옆에는 화살표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된 스크레이퍼(5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증류헤드(27)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되고, 이를 위해 측면덮개(35) 상에 작동캠(간명히 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음) 이 구비되는데, 이 작동캠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인장된 스크레이퍼(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거나 기울인다.
기구하우징(100)의 왼쪽부분에는 커피 분쇄물을 위해 착탈가능한 견인기(도시안됨)가 공지된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류조립체에 인접한 한 쪽 측면에는 이미 잘 알려진 온수배출구(103)와 증기배출구(104)가 설치된다.
상기 커피 분쇄기(11, 12)는 2개의 커피원두 개구부(21)를 갖춘 차단디스크(20)를 지나 충전된다.
커피원두용기(2)는 커피메이커 장치로부터 탈거가능하고 충전된 상태에서 조차도 이송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차단디스크(20)는 커피원두 개구부(21)가 폐쇄되도록 회전된다.
또, 커피메이커를 통한 관찰이 가능하게 하는 만곡홈(10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정렬가능한 커피배출구(1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더욱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단면도로, 예컨대 안내수단(107)에 의한 커피배출구(105)의 수직정렬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또한, 증류블럭(32)과 함께 축베어링(53, 54)을 구비하는 플랜지(46, 47)의 구조적인 결합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이한 직경의 증류체임버(25, 26)도 도시되어 있는데, 큰 직경의 증류체임버(25)는 동시에 2컵의 커피를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증류체임버(25, 26) 내로 필요한 양의 커피분말을 선택하여 배분하는 것은 회전구동기(23)와 레크(24)에 의해 선회축(22')을 중심으로 깔때기(22)를 회전시키는 조정가능한 회전 깔때기(2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기(23)는 피니언을 구비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전동모터를 구비한다.
플런저가 축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나사부가 형성된 스핀들(87)에 요구되는 회전은 2개의 기어하우징(44, 4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여과/배출플런저(36)는 그 선단면에 이미 잘 알려진 증류여과기로서 역할을 하는 여과플레이트(80)를 구비하는데, 이 여과플레이트(80)는 중앙나사부재(82)에 의해 플런저몸체(81)에 고정된다. 또, 상기 플런저몸체(81)에는 그 외주면에 환형밀봉재(84)- 상표명 네오프렌 O-링(Neoprene O-ring)-이 삽입되는 환형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플레이트(80)의 아래에는 내부나사부(88)를 구비한 배출구멍(86) 내로 개방된 환형홈(8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나사부(88)에는 커피배출유동을 위한 호스(40)를 구비한 호스커플링(41)이 장착된다.
내측에 나사부를 구비한 플런저로드(38)는 상기 플런저몸체(81)에서 중앙으로 작용하는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나사부가 형성된 스핀들(87)에 의해 구동된다.
운동 순서의 운동학은 도 6에 도시된 구조적인 다이어그램을 참조로 분석될 수 있다. 중앙의 기계적 구동을 위해 필요한 캠은 단일 캠디스크(K)로 나타내며, 구동기(D)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에 따르면, 먼저 캠디스크의 회전운동이 있고, 그 다음 증류블럭의 30°만큼 첫번째 이동(b), 30°만큼 두번째 이동(c), 첫번째 단계에 걸친 플런저의 상부이동(d), 두번째 단계에 걸친 플런저의 상부이동(e)이 있게 된다. 또한, 캠디스크(K)의 구동(f)과 플런저들의 구동(g)이 요구된다.
상기 캠디스크(K)의 실제 작동은 아래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실제 운동순서는 시간의 함수(t)로서 도 7a 내지 도 7b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데,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아래에 나열된 운동량(m)과 함수(S)가 결정된다. 여기서 0 내지 Z에 이르는 시간(t)는 완전한 작동싸이클과 일치한다.
도 7a에 따르면:
vm37 은 증류헤드의 운동량(m)(수직운동)
cm32 는 증류블럭의 운동량(m)(회전운동)
sm36, 37 은 여과/배출플런저의 행정운동량(행정운동)
한편, 도 7b에 따르면, 다음의 순차적인 조정 및 스위칭 함수(S)들은 도 7a에 도시된 운동순서에 따라 배치된다.
i 전기적으로 초기화, 위치 및 온수
ii 분말덕트의 선택, 적은 혹은 많은 양(많은 양이 도시되어 있음)
iii 관련된 분쇄기의 선택
iv 분쇄시간 - 커피 양을 결정
v 적은 양에 대한 경로, 짧은 분쇄시간
vi 보일러에서부터 증류체임버로의 증류밸브
vii 물펌프의 공급시간, 유량계를 사용하여 정량적 기록
viii 커피배급과 동시에 증류체임버 내에서의 증류작동
ix 유출하기 위해 설정된 증류밸브
x 행정운동으로 잔여 용수를 유출구로 이동시킨다.(추가적인 가압)
xi 커피분쇄물이 배출되어 긁어져 제거된다.
xii 출발위치로 복귀 회전, 리미트스위치들이 감지
운동학을 기계적 조정으로 가장 단순하게 전이시키는 것은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2개의 캠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2개의 캠은 축 A-A상으로 서로 대향되어 위치하며, 기어이(61)를 가진 스퍼어기어(60)에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증류헤드(27)의 구성부인 구동핀(69)의 출입을 위해 이용되는 홈(64)들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캠디스크들은 캠홈(62, 63)에 의해 실현되어 구동핀(69, 70)들이 양측에서 안내된다.
따라서, 스퍼어기어(60)의 외측의 캠홈(63)은 도 8a에, 내측 캠홈(62)은 도 8b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스퍼어기어(60; 도 8a)의 내측에는 스위칭바아(66)들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들은 마이크로스위치(도시안됨)를 시작시킨다.
중앙의 베어링구멍(68)은 상기 스퍼어기어(60)를 축 B-B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퍼어기어(60)는 동일한 부분이 증류조립체의 양측에서 캠디스크 하우징(58, 59; 도 4)에 사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구성요소와 기술, 특히 구동수단과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잘 알려진 전방유리 와이퍼 모터는 워엄기어와 24V 직류모터를 이용하여 스퍼어기어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전동 구동기도 커피 분쇄기와는 별도로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산업에서 공지된 장치에 이용된다. 시간에 대한 상기 방법 순서의 조정은 종래의 유사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콘트롤장치 및 스위칭장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시간당 3KW의 보일러 출력으로 200컵의 맛있는 커피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만일 더 큰 연결용량을 이용할 수 있고 커피 분쇄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는 공급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서비스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증류조립체(1) 전체는 가이드레일(56)을 따라 커피 메이커 밖으로 빼내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상기 증류조립체가 빼내어지면 커피 메이커의 잔류 구성부와 장치들도 접근이 용이해져 어떠한 수리시간 및 중단시간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류조립체는 특수한 스테핑모터와 전기적 서보기구 콘트롤에 결합되어 이용되는 다른 구동기를 사용함으로써 그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가 있게 되어, 사실상 캠디스크의 기능이 소프트웨어 해석에 의해 실행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한 실시예에서 발생한 기능은 특히 소프트웨어 해석의 경우에서 기술적인 이점이 제공되는 비접촉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요지의 개선과 기술적인 개발은 또 다른 발명행위 없이도 당해 분야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재정적 경비와 이에 따라 제공되는 부품의 수에 관련된 것이다.
앞에서 특히 공간절약형으로 설명된 커피 메이커에 설치될 수 있는 커피 분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병행 출원된 특허(PCT 참조번호 21283)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미 공지된 커피분쇄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10)

1개 이상의 원통형 증류체임버와 커피분말을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증류체임버는 상부 및 하부의 축상으로 이동가능한 플런저에 의해 폐쇄가능하고, 압력에 의해 그 안으로 온수가 유입되도록 된 커피메이커에 있어서,
상기 증류체임버(25; 26)는 증류블럭(32)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증류블럭(32)은 수평으로 정렬된 축(A-A)을 중심으로 한 원형경로(R)상으로 부분적으로 안내되면서 제 1충전위치(I)로 선회한 다음, 온수공급기 및 커피배출기가 구비된 제 2증류위치(Ⅱ)로 선회한 후, 제 3의 압축된 커피 분쇄-배출위치(Ⅲ)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증류블럭(32)은 축상으로 작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유사한 플런저(29, 30; 36, 37)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블럭(32)은 측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플랜지(46, 47)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도록 고정되고, 그 안에서 상기 증류블럭(32)은 상기 증류체임버(25, 26) 구역에서 그 벽체에 직교하는 편평면(33)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외부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랜지(46, 47)는 그 외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스퍼어기어(60)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3항에 있어서, 캠디스크(62, 63)가 상기 스퍼어기어(60)에 연결되고, 상기 증류블럭(32)을 그 상부 증류플런저(29, 30)와 함께 이동시킴과 더불어, 압축된 커피 분쇄물이 배출될 때 잔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0)를 추가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9, 30; 36, 37)와 압축된 커피 분쇄물이 배출될 때 잔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0)는 전기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또는 유체-기계적으로, 혹은 이 세가지 모두의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직경과 용적을 갖는 2개 이상의 증류체임버(25, 26)가 축(A-A)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6항에 있어서, 2개의 커피 분쇄장치(17)들이 상기 증류체임버(25, 26) 위에 설치되고, 이 분쇄장치들의 전동모터(18, 19)가 그들 사이에서 180°내지 30°의 각도(α)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제 7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회전깔때기(22)가 상기 증류체임버(25, 26) 사이의 위쪽에 구비되어 커피분말의 공급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증류블럭(32)이 제 1충전위치(I)인 출발위치로부터 제 2증류위치(Ⅱ)로 30°만큼 축(A-A)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선회하고, 다시 제 2증류위치(Ⅱ)로부터 제 3배출위치(Ⅲ)로 30°만큼 선회한 다음, 다시 그 출발위치로 반대방향으로 60°만큼 선회하여 되돌아 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에 따른 커피메이커의 작동방법.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증류위치(Ⅱ)에서 커피가 유출된 후, 증류플런저는 증류체임버의 외부로 나올때까지 위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제 3배출위치(Ⅲ)에서 여과/배출플런저는 증류체임버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압축된 커피 분쇄물을 완전히 배출하며, 상기 여과/배출플런저는 제 1충전위치로 되돌아 회전하는 일부 동안 그 상단위치에 있으며, 이동안 스크레이퍼는 증류블럭의 편평면 상에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 작동방법.
KR1019997008324A 1999-09-13 1997-03-13 커피 메이커 KR20000076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8324A KR20000076230A (ko) 1999-09-13 1997-03-13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8324A KR20000076230A (ko) 1999-09-13 1997-03-13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230A true KR20000076230A (ko) 2000-12-26

Family

ID=5477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324A KR20000076230A (ko) 1999-09-13 1997-03-13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62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8250B2 (en) Coffee maker
EP1267686B1 (en) Drive for a coffee making device
AU2005245270B2 (en) Automatic coffee machine
US3369478A (en) Single cup, dry waste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mechanism
RU2319431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ов
CN105592757B (zh) 制备饮料的装置
US5471910A (en) Automatic coffee machine
US5492054A (en) Coffee maker with a metering device
JPH04218117A (ja) コーヒー機
US3379117A (en) Programmed automatic coffee machine
AU624193B2 (en) An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soup, tea, cocoa or the like
KR20000076230A (ko) 커피 메이커
US3247778A (en) Coffee makers
EP0321773A2 (en) Automatic percolator unit for the instantaneous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particularly coffee, in variable amounts
US3223023A (en) Machine for dispensing liquids
US3053168A (en) Brewer for coffee dispens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