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997A -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997A
KR20000074997A KR1019990019292A KR19990019292A KR20000074997A KR 20000074997 A KR20000074997 A KR 20000074997A KR 1019990019292 A KR1019990019292 A KR 1019990019292A KR 19990019292 A KR19990019292 A KR 19990019292A KR 20000074997 A KR20000074997 A KR 20000074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frame
error
bit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829B1 (ko
Inventor
김영락
이상연
김병무
김일민
양우석
정사라
김형명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1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8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2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code excitation, e.g. in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voco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켤레구조 대수부호 여기 선형 예측(CS-ACELP)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CS-ACELP 인코더(10)에서 출력되는 1프레임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80비트를 분석하여 기능과 중요도에 따라 A,B,C 및 D집합으로 분류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s)부(21)에서 프레임간 상관관계가 큰 집합 A 및 집합 B의 16비트에 8비트 CRC를 부가하며. 상기 CRC부(21)에서 출력된 24비트와 프레임간 상관 관계는 크지 않으나 해당 프레임의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집합 C의 24비트를 더한 48비트를 길쌈 부호화기(22)에 입력하여 그 입력된 48비트에 대해 tail 비트 6비트를 부가해서 길쌈 부호화를 실행한 후, 상기 길쌈 부호화기(22)로부터 출력된 108비트에 해당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거의 영향이 없는 집합 D의 40비트를 합친 다음, 인터리버(23)에서 프레임 내 인터리빙을 한 후에 무선 채널을 통하여 송출하며, 수신 측에서는 1 프레임 분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류(error)를 검출하고 오류가 검출된 프레임의 비트들을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로 대치하도록 하여, 비트 전송률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오류 정정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Error correction method in speech coder}
본 발명은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켤레구조 대수 부호 여기 선형 예측( Conjugate Structure Algebraic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 이하 CS-ACELP라 약칭함 )형 음성 부호화기에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의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Wireless Communication )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은 사용 분야에 따라 제한되며,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도 한정적이다. 이런 이유에서 이동 통신이나 위성 통신과 같은 분야에서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음성 부호화기에서도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낮은 전송률에서 좋은 음질을 갖는 음성부호화기에 개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음성 부호화 방식은 크게 파형 부호화( waveform coding ), 보코딩( voice coding ), 그리고 혼합 부호화( hybrid coding )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부호화 방식의 주된 기능은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잉여 성분(redundancy)을 제거한 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잉여 성분들을 심리적으로 타당한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것이다. 상기 파형 부호화 방식은 부호화 과정에 필요한 계산량이 적고 음질이 우수하지만 전송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보코딩은 낮은 전송율을 갖지만 음질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혼합 부호화 방식은 파형 부호화 방식과 보코딩의 장점을 결합시킨 형태로 비교적 낮은 전송율에서 좋은 음질을 나타내지만, 부호화 과정에 소요되는 계산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부호 여기 선형 예측(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 CELP ) 부호화기는 혼합 부호화 방식으로 분류되는 부호화기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CELP 부호화기는 LPC(Linear Predictive Coefficient) 분석, 피치(pitch) 탐색, 고정 코드북(fixed codebook) 탐색의 세 과정으로 구성되는 데, 고정 코드북의 구조에 따라 여러 방식의 부호화기가 제안되었으며, 대수 코드북을 사용하는 경우를 대수 CELP( Algebraic CELP : ACELP ) 방식 부호화기라 한다.
상기와 같은 음성 부호화기에 의해서 부호화된 데이터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데, 무선 채널에는 많은 페이딩( fading )이 존재하므로 비트 오류( bit error )가 발생하고, 이러한 비트 오류는 음성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물론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전력을 사용하거나,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거나, 채널 코딩을 위하여 추가로 많은 비트(redundancy bit)를 부가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주파수 효율이나 전력 효율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한 방식으로 동일한 대역폭과 전력을 사용하여 음성 품질은 PCM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면서도 전송속도는 8kbps로 낮은 CS-ACELP( Conjugated Structure Algebraic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CS-ACELP는 차세대 이동 통신인 IMT-2000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 ITU-T G.729에 표준이 나와 있다. CS-ACELP는 8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CELP형 음성 부호화기로서, 입력신호는 8KHz로 표본화되고 16비트 선형 PCM( Pulse Code Modulation )으로 양자화 된다. 하나의 프레임(10ms)은 80샘플로 이루어져 있으며, 40샘플크기의 2개의 부 프레임(5ms)이 모여 하나의 프레임을 이룬다. CS-ACELP는 LPC (Linear Predictive Coefficient) 분석과 양자화부분, 피치 분석 부분, 고정 코드북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CS-ACELP 방식 인코더의 구조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하기 표 1 및 표 2는 종래 CS-ACELP의 비트할당 및 기능을 나타내고 있는데, LSP( Line Spectral Pair )에 18비트, 피치 탐색 부분에 14비트, 고정 코드북 부분에 34비트, 피치 탐색과 고정 코드북에 대한 이득에 14비트가 할당되어 총 80비트가 매 프레임마다 전송된다. LSP에 대한 분석은 프레임단위로 이루어지며 피치 탐색과 고정 코드북 탐색은 부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진다.
표 1. CS-ACELP의 비트 할당
기 능 파라미터 부 프레임 1 부 프레임 2 프레임 당 비트 수
Line spectral pair L0,L1,L2,L3 18
적응 코드북 지연 P1,P2 8 5 13
피치 지연 패러티 P0 1 1
고정 코드북 인덱스 C1,C2 13 13 26
고정 코드북 부호 S1,S2 4 4 8
코드북 이득(1단계) GA1,GA2 3 3 6
코드북 이득(2단계) GB2,GB2 4 4 8
합계 80
표 2. 비트 할당 및 기능
파 라 미 터 비트 수 보호 대상 비트 수
L0 1 MA Predictor의 형태 결정
L1, L2, L3 7,5,5 LPC 계수의 정보
P0 1 P1의 상위 6비트에 대한 패러티 비트
P1 8 첫 번째 부 프레임의 피치 지연 정보
P2 5 두 번째 부 프레임의 피티 지연 정보
GA1, GB1 3,4 첫 번째 부 프레임의 여기 신호 이득 정보
GA2, GB2 3,4 두 번째 부 프레임의 여기 신호 이득 정보
C1 13 첫 부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 여기 신호의임펄스 위치 정보
C2 13 두 번째 부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 여기신호의 임펄스 위치 정보
S1 4 첫 부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 여기 신호의임펄스 크기 정보
S2 4 두 번째 부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 여기신호의 임펄스 크기 정보
도 2는 프레임에 오류가 생겼을 경우, 오류 프레임을 보간 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제어 (Do Nothing), 정적 삽입 (Insert Silence), 이전 계수 대체 (Parameter Repeat) 및 계수 보간 (Parameter Interpolation)의 네 가지 방식이 오류 프레임 수정을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상기 비제어 방식은 손실된 프레임에 대해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이 경우 손실된 프레임에서 음성이 막히거나 잡음이 발생된다.
상기 정적 삽입 방식은 손실된 프레임을 정적(靜寂)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서, 이 경우 모든 손실된 프레임에 대해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음성 품질이 좋지 않다.
상기 이전 계수대체 방식은 손실된 프레임에 대한 계수를 지난 프레임의 것으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의 음성은 정적 삽입보다 듣기 좋으나, 프레임 손실이 연속으로 발생하면 이 방식으로 디코딩된 음성은 음조가 고정되어서 로봇소리처럼 들리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계수 보간이란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면 다음 프레임을 받아서 이전 프레임 계수와 보간을 취하여 손실된 프레임을 복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시스템의 지연 시간을 더 길게 한다. 특히 연속 프레임 손실이 발생할 경우 지연시간이 매우 길어진다.
이상의 4가지 방식 중 상기 정적 삽입은 비선형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한 형태로 상기 이전 계수 대체보다 음질이 좋지 않은 것이 인정된 상태이므로 잘 사용되지 않고, 상기 계수 보간 역시 프레임 손실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지연시간이 너무 길어지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상기 비제어 방식과 이전 계수 대체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일본의 NTT DoCoMo에서 사용하는 오류 제어 방식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CS-ACELP 인코더(10)에서 출력되는 1프레임(10ms)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80비트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요도에 따라 균등하게 보호 대상의 40비트와 비보호 대상의 40비트로 나누고, CRC부(21)에서 상기 보호 대상의 40비트를 사용해 하기 식 1에 나타낸 생성 다항식에 의거하여 8비트 CRC( Cyclic Redundancy Checks )를 구한다. 이 8비트가 상기 보호 대상 40비트와 합쳐져서 길쌈 부호화기(22)에 입력된다.
G(X) = X8 + X7 + X4 + X3 + X + 1
표 3. NTT방식에서 보호 대상 비트 내역
파 라 미 터 모든 비트 수 보호 대상 비트 수
LSP flag (L0) 1 1
LSP 1 (L1) 7 7
LSP 2 (L2) 5 5
LSP 3 (L3) 5 0
제 1 부 프레임 LAG (P1) 8 8
패리티 (P0) 1 1
제 1 부 프레임 코드 (C1) 13 0
제 1 부 프레임 코드 (S1) 4 0
제 1 부 프레임 이득 (GB1) 4 4
제 1 부 프레임 이득 (GA1) 3 3
제 2 부 프레임 LAG (P2) 5 MSB 4
제 2 부 프레임 코드 (C2) 13 0
제 2 부 프레임 코드 (S2) 4 0
제 2 부 프레임 이득 (GB2) 4 4
제 2 부 프레임 이득 (GA2) 3 3
합계 80 40
다음, 상기 길쌈부호화기(22)에서 상기 보호 대상의 40비트에 CRC 8비트를 더한 48비트에 대해 tail 비트 6비트를 부가해서 길쌈 부호화를 실행한다. 길쌈 부호화는 rate 1/2, 구속 길이는 7로서 생성 다항식은 하기 식 2로 정의되며, 그 길쌈 부호화기(22)의 구조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G1(D) = 1 + D2 + D3 + D5 + D6
G2(D) = 1 + D + D2 + D3 + D6
마지막으로, 상기 길쌈 부호화기(22)로부터 출력된 108비트에 보호 대상 이외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40비트를 합친 다음, 인터리버( Interleaver )(23)에서 프레임 내 인터리빙를 한 후에 송신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의 전체 송신 비트 전송률은 14.8Kbps가 된다. 수신 측에서는 1 프레임 분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우선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다음에 길쌈 부호화되고 있는 비트열에 대해서 오류 정정 복호를 실행한다. 효과적인 오류 정정 복호를 위해 Viterbi알고리즘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복호법을 상용한다. 오류 정정 후에는, 송신측에서 부가한 CRC 8비트를 제외한 데이터로, 상기 식 1의 생성 다항식으로부터 8비트의 CRC부호열을 구한다. 이 비트열과 송신측에서 부가된 CRC 비트 열을 비교해서, 일치하지 않는 프레임을 오류프레임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NTT 오류 제어 방식에서는 CRC에 의해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을 판단한 경우, 수신 측에 이전 프레임의 보호 대상 비트에 해당하는 비트들로 현재 프레임의 보호 대상 비트를 대치 즉, 이전 계수 대체 (Parameter Repeat)를 수행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No operation ) 때 보다 오히려 성능이 안 좋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보호 대상 40비트에는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큰 비트들도 있지만, 상관 관계가 크지 않은 비트들도 있으므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무조건 프레임 반복을 하면 오히려 성능을 더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AC-CELP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1프레임 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비트들을 기능과 중요도에 따라 상세히 분석하여 이전 계수 대체( 또는 프레임 반복이라 함 ) 방식의 오류 수정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동일한 대역폭과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CS-ACELP 방식 인코더의 구성도,
도 2는 오류 프레임을 보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CS-ACELP에서의 오류 제어 방식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길쌈 부호화기의 블록도,
도 5는 도 3에 의해 송출된 무선 데이터 프레임에서 보호 대상 비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신 측에서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과 프레임 반복을 하는 방식과의 상호 성능 비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ACELP형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송출된 무선 데이터 프레임에서 집합 A에 해당하는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수신 측에서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과 프레임 반복을 하는 방식과의 상호 성능 비교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송출된 무선 데이터 프레임에서 집합 B에 해당하는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수신 측에서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과, 프레임 반복을 하는 방식 및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식간의 상호 성능 비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S-ACELP형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S-ACELP 인코더 21 : 8비트 CRC기
22 : 길쌈 부호화기 23 : 인터리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은, 켤레구조 대수부호 여기선형예측( AC-CELP )형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AC-CELP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1프레임 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의 총 비트를 각 비트의 중요도에 의거하여 보호대상 비트의 집합과 비보호 대상 비트의 집합으로 분류하는 제 1단계; 상기 보호대상 비트의 집합을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큰 비트들의 제 1집합과,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크지 않은 비트들의 제 2집합으로 분류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집합의 전체 또는 일부 비트들에 대해 CRC를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제 3단계; 상기 CRC가 선택적으로 부가 또는 비부가된 제 1집합의 비트들과 상기 제 2집합의 비트들에 대해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4단계; 상기 길쌈 부호화를 수행한 비트들과 상기 비보호 대상 비트들에 대해 프레임 내 인터리빙를 수행한 후에 송신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오류가 검출된 해당 집합의 비트에 대해 오류를 수정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장 상관관계가 현재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오류가 발생된 해당 비트들을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로 대체하도록 함으로서, 오류 정정을 위한 프레임 반복의 수행 시 발생하는 오류 증가 현상을 없애고 오류 정정 효율을 극대화하여,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비트 전송률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음성 품질은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프레임간의 상관 관계가 매우 큰 중요 비트에 대하여 CRC를 부가하기 때문에, 프레임 반복 시 오류 복원 효율이 극대화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CS-ACELP에 효과적인 오류 제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프레임내의 각 파라미터에 대한 각 비트를, 현재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점 및 오류 파급 관점에서 분석하여 분류하고, 각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비교하도록 한다.
먼저, 각 파라미터를 현재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L0, L1, L2, L3 는 LSP(Line Spectral Pair)의 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비트들이다. LSP는 음성합성 필터의 계수에 해당하기 때문에 약간의 오류가 생기면 안정도에 문제가 생기며, CS-ACELP내에서는 안정도 조사를 하고 LSF의 최소간격에 맞게 디코딩 하므로, LSP에 오류가 생기면 원래의 음성과는 다른 음성이 합성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파라미터 P0, P1, P2는 피치 지연에 대한 정보이며 P1은 첫번째 부 프레임의 피치 지연의 정보를 담는데 디코더 단에서 구한 자기 상관 함수에서 나온 개 루프 피치 지연 (open loop pitch delay) Top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며, 이를 이용해 첫 부 프레임의 피치 지연 T1을 만들어 낸다. 마찬가지로 P2는 두 번째 부 프레임의 피치 지연 정보를 나타내며 첫 부 프레임에서 구한 T1을 중심으로 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P1에서 오류가 생기면 첫번째 부 프레임 뿐만 아니라 두 번째 부 프레임에서도 오류가 생김을 알 수 있다. P0는 P1에서의 상위 6비트에 대한 패리티(parity) 비트로서 P1을 랜덤 오류에 강인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P0, P1은 현재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파라미터 C1, C2는 각 부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에 의한 여기신호의 임펄스 위치 정보이고 S1, S2는 이 임펄스의 크기 (1또는 -1)를 나타낸다. 이 비트들은 다른 비트들에 비해서 현재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다.
파라미터 GA1, GB1은 첫번째 부 프레임의 적응 코드북과 고정 코드북에 의한 여기 신호의 이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파라미터 GA2, GB2는 두 번째 부 프레임의 이득 정보를 나타낸다. 각 부 프레임에서의 GA1, GB1 두 가지 이득은 켤레(conjugate)구조의 코드북을 사용해 벡터 양자화가 되기 때문에 서로 밀접한 상관이 있다. 적응 코드북의 여기 이득은 GA1, GB1, GA2, GB2와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고 고정 코드북의 여기 이득은 이 정보에다 그 전 프레임의 정보에 의해 구해진 예측된 이득에 GA1, GB1, GA2, GB2에 의한 정정 계수를 곱한다. 따라서 GA1, GB1, GA2, GB2는 현재 프레임의 두 가지 이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결국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다음, 각 파라미터를 오류 파급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분류하도록 한다.
파라미터 L0, L1, L2, L3는 한 프레임에 대한 LSP 정보이고 이것을 이용해 두개의 부 프레임의 LSP를 구한다. 현재 프레임의 첫 부 프레임은 이전 프레임의 두 번째 부 프레임과 지금 들어온 정보(L0, L1, L2, L3)를 이용해 인터폴레이션을 하여 합성하고 현재 프레임의 두 번째 부 프레임은 L0, L1, L2, L3만을 이용해 합성하는 것이다. 첫 번째 부 프레임의 합성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프레임에서 LSP에 대한 오류가 있으면 다음 프레임으로의 오류 파급이 발생한다.
파라미터 P0, P1, P2정보에 의한 피치 지연은 적응 코드북에서 여기 신호를 만드는데 쓰인다. 현재프레임에서 합성된 여기 신호는 합성된 후 다음 프레임을 위해 버퍼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 정보에 오류가 생기면 오류 파급 효과가 심하게 나타난다. 특히 P1은 첫 부 프레임의 여기 신호 합성 뿐만 아니라 두 번째 부 프레임의 합성에도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파라미터 C1, C2, S1, S2는 고정 코드북 여기 신호 합성에 관여하고 과거 프레임의 정보 없이 이것만을 사용하여 여기 신호를 만든다. 따라서 C1, C2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현재 프레임에서만 오류가 발생하고, 다음 프레임으로의 오류 파급이 없다고 볼 수 있으나, 고정 코드북에 의한 여기 신호와 적응 코드북에 의한 여기 신호가 더해져서 현재 프레임의 여기 신호를 만들고 이것이 다음 프레임을 위해 버퍼에 저장되기 때문에 미미하지만 오류 파급 효과는 있다.
파라미터 GA1, GA2, GB1, GB2에 의한 오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프레임의 여기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 고정 코드북 여기 신호의 이득은 이전 프레임의 여기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한 예측된 이득 값에 GA1, GA2, GB1, GB2에 의한 정정 계수(correction factor)를 곱하여 구해지고, 적응 코드북 여기 신호 이득도 GA1, GA2, GB1, GB2으로부터 구해진다. 그러므로, 여기 신호 이득에 오류가 발생하면 이것에 의해 발생된 여기 신호에도 오류가 생기며, 이것이 다음 프레임을 위해 버퍼에 저장되기 때문에 미미하지만 오류 파급 효과는 있다
다음, 각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상호 비교하도록 한다.
파라미터 L0, L1, L2, L3에서 L0는 MA Predictor의 타입을 결정하고 L1은 LSP 계수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L2는 LSP 출력(i=1,..,5)를 구하는데 사용되고, L3는(i=6,..,10)을 구하는데 사용하는데, 이들 중에서 최소 자승 오차가 최소가 되는 방법으로 양자화 될 때 L2를 먼저 사용해 구하고 여기에 L3 정보를 최소 자승 오차에 다시 넣어(i=6,..,10)을 구하기 때문에 L2가 L3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L1, L2, L3모두 코드북 인덱스이므로 코드북 구조상 상위 비트가 하위 비트보다 중요하다. 결국, L0, L1, L2, L3의 중요도를 비교하면 L0 > L1 > L2 > L3의 순서이다.
파라미터 P0, P1, P2에서 P0는 P1에 대한 패리티 비트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 다음으로 P1에 대한 정보는 첫 번째 부 프레임뿐만 아니라 두 번째 부 프레임의 피치 지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 P1, P2는 피치 지연의 위치를 크기로 나타냈으므로 이것 역시 상위 비트가 하위 비트보다 중요하다. 즉, P0, P1, P2의 중요도를 비교하면 P0 > P1 > P2 순이다.
파라미터 C1, C2, S1, S2에서의 오류는 앞에서 말했듯이 오류 파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여기 신호에 영향을 미쳐 이 여기 신호는 버퍼에 저장되므로 다음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므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임펄스의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는 어느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우선 순위를 낼 수 없고 C1, C2 구조는 각각 4, 3, 3, 3비트로서 4개의 임펄스의 위치를 나타내므로 각 비트의 중요도는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S1, S2도 마찬가지로 4개의 임펄스 크기를 한 비트마다 따로따로 나타내므로 역시 각 비트 당 중요도는 같다. C1, C2, S1, S2의 중요도를 비교하면 C1≒C2≒S1≒S2 이다.
여기 이득 중에서 고정 코드북 여기 이득은 예측한 값에 정정 계수 값을 곱해서 구한다. 여기서 예측하는 방법은 과거 여기 신호의 에너지로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켤레 코드북 구조로 된 고정 코드북 인덱스 GA1, GA2, GB1, GB2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 프레임의 고정 코드북 여기 이득에 오류 파급을 일으킨다. 즉, 중요도를 비교하면 GA1≒GA2≒GB1≒GB2 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종합하여 각 파라미터의 중요도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프레임 내 각 파라미터별 중요도 비교표
파라미터 현재 프레임 음성 품질 관점 오류 파급의 관점 각 파라미터별 중요도 비교 프레임들 간의 상관성
L0, L1, L2, L3 중요 중요 L0 > L1 > L2 > L3 L0>L1>L2>L3
P0, P1, P2 중요 중요 P0 > P1 > P2 P1>P2
C1, C2, S1, S2 덜 중요 덜 중요 C1≒C2≒S1≒S2 별로 없다.
GA1, GA2, GB1, GB2 중요 덜 중요 GA1≒GA2≒GB1≒GB2 별로 없다.
이어, 각 비트별 중요도와 특성에 의거하여 최적의 오류 제어를 구현하는 본발명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상세히 분석한 각 파라미터별 중요도와 프레임들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파라미터에 최적인 오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 80비트를 다음의 표 5와 같이 집합A, 집합B, 집합C 및 집합D로 분류하였다. 상기 집합은 집합A, B 및 C에 해당하는 총 40비트와 집합 D에 해당하는 총 40비트로 대별할 수 있는 데, 상기 집합 A, B 및 C의 40 비트와 상기 집합 D의 40비트는 기존의 보호대상의 40 비트 및 비보호 대상의 40 비트와 각각 동일하다.
표 5. 비트특성에 따른 분류표
분류 비트 수 파라미터 파라미터 비트 수
집합 A 8 L0 1
L1 7
집합 B 8 P1 8
집합 C 24 L2 5
P0 1
MSB of P2 4
GA1 3
GA2 3
GB1 4
GB2 4
집합 D 40 L3 5
LSB of P2 1
C1 13
C2 13
S1 4
S2 4
상기 표 5와 같이 각 비트의 특성에 따른 분류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각 집합의 특성 및 그 특성에 적합한 오류정정 방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 후, 그 설명 및 표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집합 A는 LSP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L0, L1으로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집합에 속하는 비트들은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매우 크므로 오류가 발생하면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로 대치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정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집합 B는 피치 지연에 관한 정보 P1이며 역시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집합에 속하는 비트들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의 오류 정정 방법은, 오류 프레임의 비트들을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로 대치하는 방법 및 내부적으로 파라미터 P1을 계산하는 방법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후자의 방법( P1 계산방법 )을 사용하는 것이 최상의 오류 정정 효율을 나타낸다.
상기 P1의 계산방법은 일반적인 CELP 형 부호화기에서 쓰이는 방법으로서 다음에서는 이 방식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손상된 여기 신호가 주기 τ인 유성음으로 됐을 때를 가정하자. 물론 임의의 주기를 갖는 무성음인 여기 신호도 이와 같이 일반화 될 수 있다. 주기 τ는 버퍼에 저장된 과거의 LPC 잔여 신호(여기 신호)에 역 방향 자기 상관(backward autocorrelation)을 취해 구할 수 있다. 이 주기는 하기 수학식 3에 있는 자기 상관을 최대로 하게 하는 위치 m =τ 이다.
, m = 20, ....., 100
여기서 버퍼 x(n)은 x(-1)값이 가장 최근 값인 LPC여기 신호의 과거 값들이다. 새로 만들어진 LPC 여기 신호 e(n)은 다음이 수학식 4와 같은 피치 윈도우의 스케일된 형태의 반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득 값인 β는 잔여 신호 x(n)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피치 윈도우의 에너지의 비로부터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된다.
이 여기 신호 e(n)은 STP(Short Term Prediction) Filter를 통과하여 음성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 연속적인 합성은 필터 메모리에 있는 중요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고 또한 이 메모리들을 현재 신호에 맞는 값들로 업데이트시킴으로서 현재 프레임 오류가 나중 프레임으로 파급되는 현상을 많이 줄여 준다. 즉, 여기 버퍼에는 e(n)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방식은 신호 버퍼에 저장된 현재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정보를 가지고 T0를 다시 만들어 여기 신호를 복원하는 것으로서,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 지연 비트 즉 P1 비트의 오류 시, 오류 정정 방식은 비제어( No operation 또는 Do nothing라 함 ) 방식보다는 이전계수대체( Frame repetion 또는 Parameter repeat라 함 ) 방식이, 상기 이전계수대체 방식보다는 상기와 같이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식의 효율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집합 C에 속하는 비트들은 음성 품질에 비교적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크지 않기 때문에 비트 오류가 생겼을 때,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로 대치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러므로, 특별히 다른 오류 제어 방식을 적용하지는 않고 길쌈 부호화와 같은 오류 정정 채널 코딩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집합 D에 속하는 비트들은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크지 않으므로 길쌈 부호화와 같은 채널 코딩을 할 수도 있지만, 전송 속도의 제한에 따라서 채널 코딩 없이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ACELP형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CS-ACELP 인코더(10)에서 출력되는 1프레임(10ms)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80비트를 상기 표 5와 같이 분류하고, CRC부(21)에서 상기 집합 A 및 집합 B에 해당하는 16비트를 사용해 상기 식 1에 나타낸 생성 다항식에 의거하여 8비트 CRC( Cyclic Redundancy Checks )를 구한다. 이 8비트가 상기 집합 A 및 B의 16비트와 합쳐져 24비트가 출력되고, 그 24비트와 상기 집합 C에 해당하는 24비트와 합쳐져서 48비트가 길쌈 부호화기(22)에 입력된다.
다음, 상기 길쌈부호화기(22)는 그 입력된 48비트에 대해 tail 비트 6비트를 부가해서 길쌈 부호화를 실행한다. 길쌈 부호화는 rate 1/2, 구속 길이는 7로서 생성 다항식은 상기 식 2로 정의되며, 그 길쌈 부호화기(22)의 구조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길쌈 부호화기(22)로부터 출력된 108비트에 상기 집합 D의 40비트를 합친 다음, 인터리버( Interleaver )(23)에서 프레임 내 인터리빙를 한 후에 무선 채널을 통하여 송출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의 전체 송신 비트 전송률은 14.8Kbps가 된다. 수신 측에서는 1 프레임 분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우선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다음에 길쌈 부호화되고 있는 비트열에 대해서 오류 정정 복호를 실행한다. 효과적인 오류 정정 복호를 위해 Viterbi알고리즘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복호법을 상용한다. 그 오류 정정 후에는, 송신측에서 부가한 CRC 8비트를 제외한 데이터로, 상기 식 1의 생성 다항식으로부터 8비트의 CRC부호열을 구한다. 이 비트열과 송신측에서 부가된 CRC 비트 열을 비교해서, 일치하지 않는 프레임을 오류프레임으로 간주한다.
상기 수신 측에서는, 상기 오류프레임이 검출되면 CRC 부호에 의해 복원되지 않은 오류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집합의 비트에 대하여 오류 정정을 수행하는 바, 상기 집합 A에서 오류 비트가 검출되면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로 대치하는 이전 계수 대체 방법( Frame repetition )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한다. 이와 같이 오류를 정정하면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 No operation )에 비하여 이전 계수 대체 방법( Frame repetition )을 사용하는 것이 일정한 비트오류율( BER )에 대하여 신호대 잡음비( SNR )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합 B에서 오류 비트가 검출되면 상기 이전 계수 대체 방법( Frame repetition ) 또는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하도록 한다. 도 8의 그래프는 상기 집합 B에 해당하는 부분에 비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 No operation ),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로 대치하는 방식( Frame repetition ) 및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식간의 상호 성능 비교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아무 동작도 하지 않는 방식보다는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로 대치하는 방식이 성능이 좋고, 이 방식보다도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식이 성능이 가장 좋음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집합 B에 비트 오류가 발생하면 내부적으로 P1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S-ACELP형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CS-ACELP 인코더(10)에서 출력되는 1프레임(10ms)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 80비트를 상기 표 5와 같이 분류하고, CRC부(21)에서 상기 집합 A에 해당하는 8비트를 사용해 상기 식 1에 나타낸 생성 다항식에 의거하여 8비트 CRC( Cyclic Redundancy Checks )를 구한다. 이 CRC 8비트가 상기 집합 A의 8비트와 합쳐져 16비트가 출력되고, 그 16비트와 상기 집합 B 및 C에 해당하는 24비트와 합쳐져서 48비트가 길쌈 부호화기(22)에 입력된다. 이후의 설명은 도 6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도 9와 같은 실시예의 특징은 가장 상관 관계 및 해당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도가 큰 상기 집합 A( 즉, 기존의 NTT 방식 및 본 발명이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최소의 비트)에만 CRC 비트를 부가하여 오류를 검출 정정하므로서, 오류 검출 및 복원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게된다.
한편, 도 6 및 도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합 A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전 프레임을 반복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집합 A의 파라미터 L0 및 L1에 한 비트의 오류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전 프레임을 반복함으로써 오히려 한 비트 이상의 오류 비트를 만드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이전 프레임의 반복은 두 비트 이상의 많은 오류 비트가 발생할 경우에만 적용하고, 한 비트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프레임 반복을 하지 않고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각 비트의 중요도를 철저히 분석하여 프레임간의 상관관계 및 해당 프레임의 음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최소의 16 비트 또는 8비트에 대해서만 CRC를 부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40 비트에 대해 CRC를 부가한 종래의 NTT 방식에 비하여 오류 발생 확률이 줄어들며,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전 프레임을 반복함으로써 오류를 쉽게 정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단위 프레임의 총 비트를 프레임간의 상관 관계가 커서 프레임 반복을 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소의 비트들 및 그 외의 비트들로 나누고, 상기 프레임 반복을 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트들에 대해서만 CRC 비트를 부가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의 해당 비트들을 이전 프레임의 비트들로 대치함으로써, 프레임 반복시 기존의 NTT방식에서 나타나는 성능 저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비트 전송율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오류 제어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켤레구조 대수부호 여기선형예측( AC-CELP )형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AC-CELP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1프레임 분의 부호화 음성 데이터의 총 비트를 각 비트의 중요도에 의거하여 보호대상 비트의 집합과 비보호 대상 비트의 집합으로 분류하는 제 1단계;
    상기 보호대상 비트의 집합을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큰 비트들의 제 1집합과, 프레임들간에 상관 관계가 크지 않으나 해당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비트들의 제 2집합으로 분류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집합의 전체 또는 일부 비트들에 대해 CRC( Cyclic Redundancy Checks )를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제 3단계;
    상기 CRC가 선택적으로 부가 또는 비부가된 제 1집합의 비트들과 상기 제 2집합의 비트들에 대해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길쌈 부호화를 수행한 비트들과 상기 비보호 대상 비트들에 대해 프레임 내 인터리빙를 수행한 후에 송신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의 중요도는 해당 프레임의 음성 품질에 미치는 영향, 오류 파급 정도, 각 파라미터별 중요도, 및 프레임들간의 상관성에 의거하여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합의 크기는 상기 비보호 대상 비트 집합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합과 상기 제 2 집합으로 이루어진 보호 대상 비트의 집합 및 상기 비보호 대상 비트의 집합을 모두 포함하여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오류가 검출된 해당 집합의 비트에 대해 오류를 수정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제 1집합의 비트에 오류가 검출될 경우, 오류가 발생된 해당 비트를 이전 프레임의 해당 비트로 대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2 비트 이상의 오류가 검출될 경우에만 수행하고, 1 비트의 오류가 검출될 경우 비제어 (Do Noth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제 1집합의 비트 중 피치 지연 정보를 가지고 있는 비트에 오류가 검출될 경우, 여기 신호 버퍼에 저장된 현재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위치 정보를 가지고 해당 부프레임에 대한 피치지연( T0 )을 다시 만들어 여기신호를 복원함으로서, 내부적으로 상기 피치 지연 정보에 대응하는 비트를 계산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합은 상관 관계가 상대적으로 큰 제 1 소집합과 작은 제 2 소집합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소집합의 비트에는 상기 CRC를 부가하고 상기 제 2 소집합의 비트에는 상기 CRC를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집합은 음성합성 필터의 계수에 해당하는 LSP(Line Spectral Pair) 정보를 가지고 있는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소집합은 피치 지연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집합의 비트는 파라미터 L0 및 L1 대응하는 비트이고, 상기 제 2 소집합의 비트는 파라미터 P1에 대응하는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11.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소정 크기의 한 프레임 분의 음성 데이터를 프레임간의 상관성에 의거하여 크기가 상이한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분류된 그룹 데이터 중 크기가 작고 상관성이 큰 그룹 데이터에 대해 에러 복원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2개의 그룹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크기의 그룹 데이터는 켤레구조 대수부호 여기선형예측( AC-CELP ) 부호화 방식에서의 파라미터 L0 및 L1 변수 값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크기의 그룹 데이터는 대수부호 여기선형예측( AC-CELP ) 부호화 방식에서의 파라미터 P1 변수 값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KR1019990019292A 1999-05-27 1999-05-27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KR10058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292A KR100585829B1 (ko) 1999-05-27 1999-05-27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292A KR100585829B1 (ko) 1999-05-27 1999-05-27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997A true KR20000074997A (ko) 2000-12-15
KR100585829B1 KR100585829B1 (ko) 2006-06-01

Family

ID=1958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292A KR100585829B1 (ko) 1999-05-27 1999-05-27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46B1 (ko) * 2000-07-11 2007-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통신 시스템, 송신기, 전송 오류들에 대한 보호 방법
KR101412747B1 (ko) * 2007-07-18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501A (en) 1991-11-26 1994-02-22 At&T Bell Laboratories Coded modulation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fading channels
JPH05289501A (ja) * 1992-04-09 1993-11-05 Sharp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3171973B2 (ja) * 1993-01-07 2001-06-04 株式会社東芝 音声符号化の誤り制御方法
CA2131674A1 (en) 1993-09-10 1995-03-11 Kalyan Ganesan High performance error control coding in channel encoders and decoders
JP3394119B2 (ja) * 1995-10-17 2003-04-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誤り訂正符号化装置、誤り訂正復号化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46B1 (ko) * 2000-07-11 2007-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통신 시스템, 송신기, 전송 오류들에 대한 보호 방법
KR101412747B1 (ko) * 2007-07-18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829B1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63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lost frame concealment
KR100712056B1 (ko) 가변 비트율 음성 부호화에서의 선형 예측 매개변수들의견실한 예측 벡터 양자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3432082B2 (ja) フレーム消失の間のピッチ遅れ修正方法
US5073940A (en) Method for protecting multi-pulse coders from fading and random pattern bit errors
JP3439869B2 (ja) 音声信号合成方法
EP1596364B1 (en) Error detection and error concealment for encoded speech data
US6230124B1 (e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9058A (zh) Tdma无线系统中的软纠错
JPH07311596A (ja) 線形予測係数信号生成方法
JPH07311598A (ja) 線形予測係数信号生成方法
KR20010024935A (ko) 음성 코딩
JP3459133B2 (ja) 復号器の動作方法
RU2437170C2 (ru) Ослабление чрезмерной тональн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озбуждения в декодере при отсутствии информации
CN1126076C (zh) 语音译码器和语音译码方法
KR100792209B1 (ko) 디지털 오디오 패킷 손실을 복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0747884A2 (en) Codebook gain attenuation during frame erasures
KR100585829B1 (ko)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CN1318187A (zh) 具备背景噪声再现的语音编码
KR100585828B1 (ko) 음성 부호화기의 오류 제어 방법
Salami et al. Performance of error protected binary pulse excitation coders at 11.4 kb/s over mobile radio channels
JPH08166800A (ja) 複数種類の符号化方法を備える音声符号器および復号器
Veaux et al. Channel decoding using inter-and intra-correlation of source encoded frames
Li et al. Error protection to IS-96 variable rate CELP speech coding
JPH03245199A (ja) エラー補償方式
CA2254620A1 (en) Vocoder with efficient, fault tolerant excitation vector en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