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554A -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554A
KR20000074554A KR1019990018573A KR19990018573A KR20000074554A KR 20000074554 A KR20000074554 A KR 20000074554A KR 1019990018573 A KR1019990018573 A KR 1019990018573A KR 19990018573 A KR19990018573 A KR 19990018573A KR 20000074554 A KR20000074554 A KR 2000007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polarized light
circularly polarized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554A/ko
Publication of KR2000007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의 조명효율 및 광손실을 줄이도록 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중 어느 하나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집중함으로써 광의조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Polarizing Light Converting Apparatus Us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Usign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의 조명효율 및 광손실을 줄이도록 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프로젝터는 액정을 이용하여 계조를 구현하여 확대 투사함으로써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프로젝터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수에 따라 단판식과 3판식으로 대별된다.
도 1은 종래의 단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단판식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 및 반사경(1)과 투사렌즈(6)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콘덴싱렌즈(2), 제1 편광판(3),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 및 제2 편광판(5)을 구비한다. 램프 및 반사경(1)은 백색광을 발생시켜 콘덴싱렌즈(2)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램프 및 반사경(1)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에는 서로 직교하는 광축을 따라 진행하는 선편광(P파, S파)과 좌/우 원편광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콘덴싱렌즈(2)는 램프 및 반사경(1)으로부터의 백색광을 제1 편광판(3)으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편광판(3)은 콘덴싱렌즈(2)로부터 집속된 광에서 특정 광축을 따라 진행하는 선편광만을 투과시킨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은 자신에게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레벨에 따라 광투과량을 조절하여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을 투과한 광은 제1 편광판(3)으로부터 입사된 선편광의 광축과 직교하는 광축으로 진행하는 선편광이 된다. 예를 들면, 제1 편광판(3)으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 쪽으로 입사되는 선편광이 P파라면 이 P파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 및 제2 편광판(5)을 투과하면서 S파로 변한 다음, 투사렌즈(6) 쪽으로 입사된다. 투사렌즈(6)는 제2 편광판(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에 확대 투사함으로써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단판식 액정 프로젝터는 제1 및 제2 편광판(3,5)에 의해 투과되지 않는 P파 또는 S파가 대략 50% 정도 흡수되므로 광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3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3판식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 및 반사경(11)과 제1 전반사미러(13) 사이에 설치된 제1 다이크로익미러(12)와, 제1 다이크로익미러(12)와 제2 전반사미러(15) 사이에 설치된 제2 다이크로익미러(14)와, 제1 전반사미러(13)와 다이크로익프리즘(26)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편광판(17,19)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8)과, 제2 전반사미러(15)와 다이크로익프리즘(26)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3 전반사미러(16), 편광판(23,35)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4)과, 제2 다이크로익미러(14)와 다이크로익프리즘(26)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편광판(20,22)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8)을 구비한다. 제1 다이크로익미러(12)는 램프 및 반사경(11)으로부터 입사되는 백색광 중, 적색광을 제1 전반사미러(13) 쪽으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적색광 이외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2 다이크로익미러(12)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제1 전반사미러(13)는 자신에게 입사되는 적색광을 편광판(17) 쪽으로 전반사시키게 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14)는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 중, 청색광을 제2 전반사미러(15) 쪽으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녹색광을 편광판(20)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14)를 투과한 청색광은 제2 및 제3 전반사미러(15)에 의해 전반사된 다음, 편광판(25)에 입사된다. 다이크로익미러(26)의 3면에 대면되게 설치된 편광판(17,19,20,22,23,25)은 자신에게 입사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 각각에 대하여 특정 광축방향으로 진행되는 선편광 성분만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8,21,24) 쪽으로 투과시키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8,21,24)에 의해 광축이 변한 선편광 성분을 다이크로익미러(19) 쪽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8,21,24)은 자신에게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레벨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각각 자신에게 입사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 각각에 대하여 계조구현을 하게 된다. 다이크로익프리즘(26)은 자신에게 입사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합성하여 투사렌즈(27) 쪽으로 입사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3과 같은 3판식 액정 프로젝터는 도 1에 도시된 단판식 액정 프로젝터와 마찬가지로, 편광판(17,19,20,22,23,25)에 광의 세기가 대략 50% 정도 줄어들게 되어 광손실이 많게 된다.
이와 같이 편광판들에 의해 광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광빔스프리터(Polarizing Beam Splitter : PBS) 또는 플라이아이렌즈(Flyeye lens)를 이용하여 광손실을 줄이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빔스프리터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는 자신에게 입사된 백색광 중, S파만을 투과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31)와, S파만을 투과시키는 1/2 파장판(33)과, 편광빔스프리터(31)와 1/2 파장판(33) 사이에 설치되는 전반사미러(32)를 구비한다. 편광빔스프리터(31)는 자신에게 입사되는 백색광 중 S파를 투과시키는 반면, P파는 전반사미러(32)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편광빔스프리터(31)에 의해 반사된 P파는 전반사미러(32)에 반사되면서 광축이 회전되어 S파로 변한 다음, 1/2 파장판을 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장치는 백색광을 거의 손실없이 선편광인 S파로 출사시키기 때문에 광손실이 거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편광장치는 광빔의 직경이 거의 2배로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편광변환장치에 소요되는 부품이 많아지게 될 뿐아니라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수렴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조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이아이렌즈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는 볼록면이 상호 대면되는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41,42)와, 제2 플라이아이렌즈(42)의 광출사면에 대면되는 편광빔스프리터 어레이(Polarizing Beam Splitter Array : 이하 "PBS 어레이"라 함)(4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41,42)는 P파와 S파를 포함하는 백색광을 다수의 집광점으로 집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PBS 어레이(43)는 제2 플라이아이렌즈(41,42)로부터 입사되는 S파는 투과시키고 P파는 S파로 변환하여 투과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PBS 어레이(43)는 입사면과 출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이크로익미러면(43a) 및 전반사미러면(43b)과, 다이크로익미러면(43a)과 전반사미러면(43b) 사이에서 출사면에 접합되는 1/2 파장판(4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PBS 어레이(43)에 입사된 S파는 다이크로익면(43a)을 투과하여 출사된다. 반면, P파는 다이크로익미러면(43a)에 의해 반사된 다음, 전반사미러(43b)에 의해 재반사되어 1/2 파장판(44)을 투과함으로써 S파로 변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광 변환장치는 1/2 파장판(44)을 절단하고 PBS 어레이(43)에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이아이렌즈를 이용한 다른 편광 변환장치는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51,53)와,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51,53) 사이에 설치되는 평판프리즘(52)를 구비한다. 평판프리즘(52)은 S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1 반사면(52a)과 P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제2 반사면(52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라이아이렌즈(51)를 투과한 백생광 중, S파는 평판프리즘(52)의 제1 반사면(52a)에 의해 반사되고, P파는 평판프리즘(52)의 제2 반사면(52b)에 의해 반사된다. 평판프리즘(52)에 의해 반사된 S파는 제2 플라이아이렌즈(53)를 직접 투과하는 반면, P파는 1/2 파장판(54)을 투과한 다음 제2 플라이아이렌즈(53)를 투과함으로써 S파로 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 플라이아이렌즈(53)의 셀수는 제1 플라이아이렌즈(51)의 그것보다 2배가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은 편광 변환장치는 1/2 파장판(54)을 절단 및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도 4의 플라이아이렌즈보다 셀수의 증가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편광 변환장치는 평판프리즘(52)의 반사면(52a,52b)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51,53)의 위치 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조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3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편광빔스프리터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플라이아이렌즈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다른 플라이아이렌즈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콜레스테릭면에 의해 입사광이 우원편광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반사미러면에 의해 좌원편광이 우원편광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1/4 파장판에 의해 우원편광이 선편광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81 : 램프 및 반사경 2,86,91,97 : 콘덴싱렌즈
6,27,78 : 투사렌즈 12,14,74,84 : 다이크로익미러
13,15,16,32,75,77,82,85 : 전반사미러 26,79 : 다이크로익프리즘
31 : 편광 빔스프리터 33,44,54 : 1/2 파장판
41,42,51,53,61,62 : 플라이아이렌즈 43 : PBS 어레이
43a : 다이크로익미러면 43b,63b : 전반사미러면
52 : 평판프리즘 63 : CLC PBS 어레이
63a : 콜레스테릭면 64 : 1/4 파장판
71 : 우원편광 72 : 좌원편광
73 : 선편광 76,83,87 : 릴레이미러
3,5,17,19,20,22,23,25,88,93,94,96 : 편광판
4,18,21,24,87,92,95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중 어느 하나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 프로젝터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중 어느 하나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제1 편광변환수단과, 제1 편광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는 제2 편광변환수단과, 입력 데이터 신호레벨에 따라 선편광의 광투과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는 볼록면을 가지는 셀이 다수 형성된 면이 상호 대면되는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61,62)와, 제2 플라이아이렌즈(62)의 평탄한 광출사면에 대면되게 설치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이 코팅된 편광 빔스프리터 어레이(이하 "CLC PBS 어레이"라 함)(63)과, CLC PBS 어레이(63)의 광출사면에 대면되게 설치되는 1/4 파장판(6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61,62)는 셀면의 셀들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제1 플라이아이렌즈(61)에는 좌원편광과 우원편광을 가지는 백색광이 입사되어 각각의 셀에서 하나의 집광점으로 집속된다. 제1 플라이아이렌즈(61)에 의해 집속된 광은 제2 플라이아이렌즈(61)의 셀을 통과하여 CLC PBS 어레이(63)에 입사된다. CLC PBS 어레이(63)는 자신에게 입사된 우원편광(71)을 투과시키는 반면, 좌원편광(72)을 우원편광(72)으로 변환하여 투과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CLC PBS 어레이(63)는 입사면과 출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콜레스테릭면(63a)과, 콜레스테릭면(63a)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전반사미러면(63b)을 구비한다. CLC PBS 어레이(63)의 콜레스테릭면(63a)은 도 7과 같이 자신에게 입사되는 우원편광(71)을 투과시키는 반면, 좌원편광(72)을 전반사미러면(63b)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이 콜레스테릭면(63a)에는 콜레스테릭액정물질이 도포된다. 이 콜레스테릭면(63a)에 의해 반사되는 좌원편광(72)은 도 8과 같이 전반사미러면(63b)에 의해 반사되면서 우원편광(71)으로 변하게 된다. 1/4 파장판(64)은 도 9와 같이 CLC PBS 어레이(63)을 통과하여 자신에게 입사되는 우원편광(71)을 P파 또는 S파의 선편광(73)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1/4 파장판(64)은 셋팅시 우원편광을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선편광(73)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1/4 파장판(64)은 도 6과 같은 편광 변환장치가 액정 프로젝터에 적용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되는 광이 선편광이므로 우원편광을 P파 또는 S파로 변환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가 적용된 3판식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 판식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 및 반사경(81)과 제1 전반사미러(82)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 플라이아이렌즈(61), 제2 플라이아이렌즈(62), CLC PBS 어레이(63), 콘덴싱렌즈(65) 및 1/4 파장판(64)과, 제1 전반사미러(82)와 제2 전반사미러(82)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릴레이렌즈(83) 및 제1 다이크로익미러(84)와, 제1 다이크로익미러(84)와 제3 전반사미러(75)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다이크로익미러(74) 및 제2 릴레이렌즈(90)와, 제3 전반사미러(75)와 제4 전반사미러(77) 사이에 설치된 제3 릴레이렌즈(76)와, 제2 전반사미러(85)와 다이크로익프리즘(79)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콘덴싱렌즈(9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92) 및 편광판(93)과, 제2 다이크로익미러(74)와 다이크로익프리즘(79)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콘덴싱렌즈(86),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7) 및 편광판(88)과, 제4 전반사미러(77)와 다이크로익프리즘(79)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 콘덴싱렌즈(97), 편광판(96,94)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95)과, 다이크로익프리즘(79)의 출사면에 입사면이 대면되게 설치되는 투사렌즈(78)를 구비한다. 램프 및 반사경(81)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은 제1 및 제2 플라이아이렌즈(61,62)에 의해 CLC PBS 어레이(63)의 콜레스테릭면(63a)과 전반사미러면(63b)에 집속된다. CLC PBS 어레이(63)는 콜레스테릭면(63a) 쪽으로 입사된 우원편광(71)을 투과시킴과 아울러 좌원편광을 전반사미러면(63b) 쪽으로 반사시켜 우원편광(71)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1/4 파장판(64)은 자신에게 입사된 우원편광을 P파 또는 S파 중 어느 하나의 선편광(73)으로 변환시켜 제1 전반사미러(82) 쪽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제1 전반사미러(82)는 자신에게 입사된 선편광(73)을 제1 릴레이렌즈(83) 쪽으로 전반사시키게 되며, 제1 릴레이미러(83)는 제1 전반사미러(82)로부터 입사된 선편광(73)을 제1 다이크로익미러(84) 쪽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제1 다이크로익미러(84)는 제1 릴레이렌즈(83)로부터의 선편광(73) 중 적색광을 제2 전반사미러(85) 쪽으로 투과시키는 반면, 적색광 이외의 선편광(73)을 제2 다이크로익미러(74)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제2 전반사미러(85)는 자신에게 입사된 적색광의 선편광(73)을 콘덴싱렌즈(91)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콘덴싱렌즈(91)는 자신에게 입사된 적색광의 선편광(73)을 액정 디스플레이(92)에 집속시키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92)은 콘덴싱렌즈(91)로부터의 적색광에 대하여 자신에게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광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2)을 투과한 적색광은 편광판(93)을 경유하여 다이크로익프리즘(79)의 적색광 입사면에 입사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74)는 자신에게 입사되는 선편광(73) 중 청색광을 투과시키는 반면 녹색광을 제2 릴레이렌즈(90) 쪽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콘덴싱렌즈(86)는 자신에게 입사된 녹색광을 액정 디스플레이(87)에 집속시키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7)은 콘덴싱렌즈(86)로부터의 녹색광에 대하여 자신에게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광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7)을 투과한 녹색광은 편광판(88)을 경유하여 다이크로익프리즘(79)의 녹색광 입사면에 입사된다. 제2 다이크로익미러(74)를 투과한 청색광은 콘덴싱렌즈(90)를 경유하여 제3 전반사미러(75)에 의해 반사된 후, 제3 릴레이렌즈(76)을 경유하여 제4 전반사미러(79)에 의해 콘덴싱렌즈(97) 쪽으로 전반사된다. 콘덴싱렌즈(97)는 자신에게 입사된 청색광을 편광판(96)으로 집속시키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95)은 콘덴싱렌즈(96)로부터의 청색광에 대하여 자신에게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광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95)을 투과한 청색광은 편광판(94)을 경유하여 다이크로익프리즘(79)의 청색광 입사면에 입사된다. 다이크로익프리즘(79)은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합성하여 투사렌즈(78) 쪽으로 입사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에서는 입사광을 CLC PBS 어레이(63)에 의해 우원편광(71)으로 변환시키지만 좌원편광(72)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 경우, CLC PBS 어레이(63)의 콜레스테릭면(63a)에 코팅되는 콜레스테릭 액정물질의 배향방향만을 조정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터는 콜레스테릭액정면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우원편광으로 변환한 다음,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시킴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집중함으로써 광의조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플라이아이렌즈를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에 있어서 1/2 파장판의 가공 난이성 및 제조공정이 추가되는 것과 대비할 때, 본 발명에서는 CLC PBS 어레이에 콜레스테릭 액정물질을 간단히 도포하게 되므로 그 제조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중 어느 하나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는 제2 편광변환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변환수단은 우원편광을 투과시키는 반면, 좌원편광을 반사시키는 우원편광 투과면과,
    상기 제1 반사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좌원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전반사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원편광 투과면에는 콜레스테릭 액정물질이 소정 배향방향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5.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중 어느 하나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제1 편광변환수단과,
    상기 제1 편광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는 제2 편광변환수단과,
    입력 데이터 신호레벨에 따라 상기 선편광의 광투과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색신호별로 출사되는 광을 합성하기 위한 색신호 합성 프리즘과,
    상기 액정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대투사하는 투사렌즈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KR1019990018573A 1999-05-21 1999-05-21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KR2000007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573A KR20000074554A (ko) 1999-05-21 1999-05-21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573A KR20000074554A (ko) 1999-05-21 1999-05-21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554A true KR20000074554A (ko) 2000-12-15

Family

ID=1958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573A KR20000074554A (ko) 1999-05-21 1999-05-21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99B1 (ko) * 2001-08-22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 변환 장치
KR100474918B1 (ko) * 2002-08-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 변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032Y2 (ja) * 1992-06-03 1995-08-16 株式会社ウエストジャパン フェンス用クランプ
JPH09218460A (ja) * 1996-02-08 1997-08-19 Sharp Corp 直線偏光照明系及び該照明系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JPH1039258A (ja) * 1996-07-29 1998-02-13 Sharp Corp 単一偏光変換素子及び投射型表示装置
KR19990002347A (ko) * 1997-06-19 1999-01-15 윤종용 투과형 프로젝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032Y2 (ja) * 1992-06-03 1995-08-16 株式会社ウエストジャパン フェンス用クランプ
JPH09218460A (ja) * 1996-02-08 1997-08-19 Sharp Corp 直線偏光照明系及び該照明系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JPH1039258A (ja) * 1996-07-29 1998-02-13 Sharp Corp 単一偏光変換素子及び投射型表示装置
KR19990002347A (ko) * 1997-06-19 1999-01-15 윤종용 투과형 프로젝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99B1 (ko) * 2001-08-22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 변환 장치
KR100474918B1 (ko) * 2002-08-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233B1 (ko) 편광 유닛, 이 편광 유닛을 이용하는 편광 조명 장치 및이 편광 조명 장치를 이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
US6247814B1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nic images
US5042921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172290B2 (en) Light pipe based projection engine
KR100534575B1 (ko) 프로젝션시스템의 광전환장치
JP2010204333A (ja) プロジェクター
US6331879B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with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KR20000074554A (ko)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편광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프로젝터
KR20040022976A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312498B1 (ko) 편광변환장치
KR0141548B1 (ko) 액정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0359728B1 (ko)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 장치
JPH10260313A (ja) 反射型偏光変調素子用光源装置
KR20000054877A (ko) 액정 프로젝션장치
KR100636112B1 (ko) 편광변환기 및 이를 채용한 반사형 프로젝트장치
KR100474904B1 (ko) Pccr 적분기를 갖는 광학계
KR100339921B1 (ko) 반사형 액정 프로젝터용 조명 광학계
JP3428004B2 (ja) 色分離放光装置
KR950007038B1 (ko) Lcd 프로젝터 광학계
KR100443679B1 (ko) 인터그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터
KR100447208B1 (ko) 프로젝션 시스템
KR100606666B1 (ko) 고휘도 프로젝션 장치
KR100232183B1 (ko) 엘시디 프로젝터 시스템의 조명광학장치
KR100239467B1 (ko) 액정프로젝터의 편광변환장치
JP3537898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