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901A -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901A
KR20000072901A KR1019990015851A KR19990015851A KR20000072901A KR 20000072901 A KR20000072901 A KR 20000072901A KR 1019990015851 A KR1019990015851 A KR 1019990015851A KR 19990015851 A KR19990015851 A KR 19990015851A KR 20000072901 A KR20000072901 A KR 2000007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soil
earth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161B1 (ko
Inventor
류해동
Original Assignee
류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해동 filed Critical 류해동
Priority to KR101999001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1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벽 축조용 철제 패널과 상기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판(11)에 소정의 크기로 삼면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구부려 구멍(12)을 내고, 구부린 부분은 ㄴ자로 꺾은 절곡 돌기(13)가 형성된 단위 철판(10); 또 다른 단위 철판(10); 그리고, 상기 단위 철판과 상기 또 다른 철판(1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단위 철판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결합하는 긴결 볼트(21)로 구성된 흙벽체용 패널(20)과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이다.
본 발명으로 흙벽 축조을 위한 철제 패널과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을 제공하여, 작업이 쉽고 튼튼한 흙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었고, 건축물의 수명이 다하여 철거할 때 자연환경을 적게 훼손하게 되어 자연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되었다.

Description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Steel panel for clay wall construction and clay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흙벽 축조용 철제 패널과 상기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통상 철근콘크리트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콘크리트가 현재 얻을 수 있는 구조 재료 중에서 가장 구하기 쉽고 경제적인 이유이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콘크리트에서 발산되는 독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시멘트의 독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흙을 사용하는 건축물을 많이 고려하고 있다. 콘크리트를 감추기 위하여 콘크리트 위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코팅 또는 얇게 미장하는 방법이 있지만 여전히 구조체는 철근콘크리트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람에 몸에 이로운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한옥식으로 짓는 방법인데, 즉 기둥, 대들보, 지붕 등 가구를 걸고, 벽은 대나무나 각재 등으로 엮은 뒤 여물을 섞은 흙을 반죽하여 벽에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흙벽돌을 만들어 조적식으로 쌓기도 하는데 이 경우도 공정이 복잡하고 조적식의 특성상 일정 높이 이상은 축조하기 곤란하다. 전통적이 방법은 인체에 가장 이로울지 모르지만 현대 경제상황에서 건축비용이 만만치 않은 등 여러 가지 여건상 채택하기 쉽지 않았다.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집을 지으면 건축물이 일정 수명을 다하고 나면 철거하게 되고 철거한 건축폐기물이 많이 발생한다. 철근콘크리트 건축폐기물은 자연 상태와 이질적인 성격 때문에 별도 처리하여야 한다. 환경관련 법규로 규재를 하지만 처리비용 때문에 무단으로 버리는 사건이 줄 잇고 있다.
발명자는 흙벽 구조체를 쉽게, 튼튼하게, 별다른 기능보유자가 아니라도 축조할 수 있고, 철거할 때에도 폐기물 문제를 적게 일으키는 흙벽체 축조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흙벽 축조을 위한 철제 패널과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작업이 쉽고 튼튼한 흙벽을 축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수명이 다하여 철거할 때 자연환경을 적게 훼손할 수 있는 흙벽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 철판의 부분 상세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흙벽체 축조용 패널의 입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로서 흙 반죽을 투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로서 흙 반죽을 투입한 후 마감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기초 2: 기둥 3: 보
10: 단위 철판11: 철판12: 개구부
13: 절곡돌기14: 볼트용 구멍20: 흙벽용 패널
21: 긴결 볼트30: 흙벽체31: 기준대용 목재
32: 반죽 흙33: 흙 미장층34: 마감재
본 발명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흙벽용 패널 및 그를 이용하여 흙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 철판의 부분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패널은 단위철판(10)으로 구성되는데 단위철판(10)은 철판(11)에 소정의 크기로 삼면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구부려 구멍(12)을 내고, 구부린 부분은 다시 ㄴ자로 꺾은 절곡 돌기(13)를 만든 것이다. ㄴ자로 꺾은 절곡 돌기(13)에는 기준대용 목재를 끼울 것이다.
단위 철판(10)에서 구멍(12)을 뚫어 형성하는 절곡 돌기(13)는 축조할 흙벽의 용도, 기능, 하중 등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단위 철판(10)에는 다른 단위 철판과 볼트로 결합하여 흙벽용 패널을 구성하기 위하여 볼트용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철판에 형성된 구멍은 패널을 형성한 후 패널 속에 반죽 흙을 채울 때 흙이 흘러 나와 철판은 흙 속에 매입되고 흙이 실내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패널의 입체도로서 현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흙벽용 패널(20)은 단위 철판(10)과 단위 철판을 긴결 볼트(21)로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단위 철판(10)은 하나를 자립시킬 경우 수직력에 저항하기 어렵다. 좌굴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인데 긴결볼트(21)는 좌굴이 생기는 것을 막아 준다. 그리고 벽체에 수평력이 작용하여 휨응력이 생길 때 흙은 인장력에 거의 저항하지 못하지만 긴결볼트(21)로 결합한 흙벽용 패널(20)은 긴결볼트가 전단 연결재(shear connector)의 역할을 하여 단위 철판이 인장 또는 압축에 저항하고 흙은 압축력에 저항하여 외력에 견딜 수 있다. 구체예에서 사용하는 철판(11)은 아연도철판을 사용하고 절단면은 방청처리를 하여 원래 철판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긴결볼트(21)는 단위 철판(10)을 서로 결합시키는 기능과 단위 철판(1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긴결볼트(21)의 양끝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소요 벽두께 만큼 내부에서 너트를 위치시키고 단위 철판(10) 외부에서 너트를 죄면 필요한 간격이 확보된다.
흙벽체에서 창문, 문, 환기구 등 설치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필요할 때에는 패널(20)의 중간을 도려내어 개구부(22)를 만들어 주면 된다.
본 발명의 흙벽용 패널(20)은 미리 공장에서 모듈화한 소정의 치수로 제작해 두고 건축물의 특성에 맞게 수량을 산출하여 현장에 반입해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단위 철판(10) 만을 제작해 두고 현장에서 긴결볼트(21)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흙벽용 패널은 플라스틱 성형판에 돌기를 낸 플라스틱 성형판을 암수로 만들어 암수결합하는 수단을 통하여 서로 결합시킨 플락스틱 성형 패널을 제조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성형 패널을 사용하면 가볍고 재단이 쉽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로서 흙반죽을 투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단위 철판(10)과 단위 철판이 긴결볼트(21)에 의해 일체가 되어 있다.
제4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로서 흙반죽을 투입한 후 완성된 상태의 흙벽체(30)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반죽한 흙을 패널 속으로 투입하면 단위 철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흙이 패널 바깥으로 흘러나오고, 기준대용 목재(31)를 기준으로 흙 미장층을 만들고 벽지 등으로 마감재(34)를 입히면 흙벽체(30)는 완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기준대용 목재(31)를 설치하지 않고 흙 미장층과 마감재 처리를 할 수 있고, 기준대용 목재는 매 절곡 돌기마다 설치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건너뛰면서 설치해도 좋다. 기준대용 목재(31)는 하단부에 절곡 돌기(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길고 좁은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 제3도 그리고 제4도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패널을 사용하여 흙벽체를 축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축물용 기초(1) 토대 등과 기둥(2)을 형성한 다음 흙벽체가 설치될 위치에 본 발명의 흙벽용 패널(20)을 기초 또는 토대 위에 설치한다. 패널(20)과 기둥(2)은 통상 결합하는 방식(예를 들면 앵커볼트, 쉬어 키 등)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흙벽용 패널(20) 내부에 흙반죽(32)을 투입하고, 개구부(12)를 통하여 흘러나온 흙반죽을 흙손으로 고르기 하여 벽 미장(33)하고 흙이 마른 다음 마감재(34) 처리하면 흙벽체가 완성된다.
흙벽체의 용도에 따라 흙벽면의 평활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곳에는 기준대용 목재(31)를 절곡 돌기(13)에 끼워 미리 설치하고, 흙반죽(32)을 투입하고, 벽 미장(33)하고, 마감재(34) 처리해도 된다. 여기서 설치하는 기준대용 목재는 반드시 연속된 각재일 필요는 없으며 나무 블록과 같이 짧은 목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매 돌출 돌기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흙벽체를 축조하면 건축물의 사용연한이 지난 후 철거할 때에는 흙미장층을 헐어내고, 볼트를 풀면 철판과 볼트는 재활용이 가능한 철제이고, 흙은 그대로 폐기처리하여도 문제가 없으므로 환경을 적게 훼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으로 흙벽 축조을 위한 철제 패널과 철제 패널을 이용한 흙벽 축조방법을 제공하여, 작업이 쉽고 튼튼한 흙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었고, 건축물의 수명이 다하여 철거할 때 자연환경을 적게 훼손하게 되어 자연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되었다.

Claims (5)

  1. 철판(11)에 소정의 크기로 삼면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구부려 구멍(12)을 내고, 구부린 부분은 ㄴ자로 꺾은 절곡 돌기(13)가 형성된 단위 철판(10);
    또 다른 단위 철판(10); 그리고
    상기 단위 철판과 상기 또 다른 철판(1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단위 철판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결합하는 긴결 볼트(2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벽체용 패널(20).
  2. 철판(11)에 소정의 크기로 삼면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을 구부려 구멍(12)을 내고, 구부린 부분은 ㄴ자로 꺾은 절곡 돌기(13)가 형성된 단위 철판(10);
    또 다른 단위 철판(10);
    상기 단위 철판(10)과 상기 또 다른 단위 철판(1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단위 철판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결합하는 긴결 볼트(21);
    상기 단위 철판(10)과 상기 또 다른 단위 철판(10) 사이에 채운 흙반죽(30);그리고
    상기 단위 철판(10)과 상기 또 다른 단위 철판(10)의 외면에 형성된 흙 미장층(3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벽체의 구조(30).
  3. 제2항에서, 상기 흙 미장층(33)에 기준대용 목재(31)가 더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벽체의 구조(30).
  4. 흙벽체가 설치될 위치에 제1항의 흙벽용 패널(20)을 설치하고;
    상기 흙벽용 패널(20) 내부에 흙반죽(32)을 투입하고;
    상기 흙벽용 패널의 개구부(12)를 통하여 흘러나온 상기 흙반죽(32)을 흙손으로 고르기하여 벽 미장(33)하고; 그리고
    흙이 마른 다음 마감재(34) 처리하는 단계;
    로 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벽체용 패널을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흙반죽(32)을 투입하기에 앞서, 하단부에 길고 좁은 홈이 형성된 기준대용 목재(31)를 상기 흙벽체용 패널(10)의 절곡 돌기(13)에 미리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벽체용 패널을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KR1019990015851A 1999-05-03 1999-05-03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KR10033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51A KR100338161B1 (ko) 1999-05-03 1999-05-03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51A KR100338161B1 (ko) 1999-05-03 1999-05-03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901A true KR20000072901A (ko) 2000-12-05
KR100338161B1 KR100338161B1 (ko) 2002-05-24

Family

ID=1958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851A KR100338161B1 (ko) 1999-05-03 1999-05-03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10B1 (ko) * 2001-04-24 2004-04-27 이종은 목조벽돌로 건물 벽을 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10B1 (ko) * 2001-04-24 2004-04-27 이종은 목조벽돌로 건물 벽을 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8161B1 (ko) 200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597A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8567153B1 (en) Composite concrete and fram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9097009B2 (en) Stronger wall system
US20070151190A1 (en) Thin stone or thin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clips therefor
WO2007069027A2 (en) Thin stone or thin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clips therefor
EP2909391B1 (en) Improved composite concrete and fram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6151857A (en) Prefabricated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for internal and/or external building-walls
CN210396246U (zh) 一种拼接式整体卫生间
EP1412595B1 (en) Cladding system
US20010045070A1 (en) Autoclaved aerated concrete pa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using, autoclaved aerated concrete panels
KR100338161B1 (ko) 흙벽 축조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 축조방법
BG65765B1 (bg) Топлоизолационен композитен панел,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и строителна конструкция от такива панели
CN2931620Y (zh) 拼装墙体
DE19501112A1 (de) Schalungssystem
KR101362259B1 (ko)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KR200410097Y1 (ko) 건축용 외장재
KR100371580B1 (ko)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EP1382761A1 (en) Building system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20110029490A (ko) 경량화 구조로된 프리캐스트 패널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연결구조
US20190249407A1 (en) Cementitious building panel
CN212224378U (zh) 一种用于狭小卫生间的装配式吊顶的安装结构
KR840002845Y1 (ko) 경량 p.c콘크리트 판넬
KR100211509B1 (ko)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구조
RU2597038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