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521A -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521A
KR20000072521A KR1020000053127A KR20000053127A KR20000072521A KR 20000072521 A KR20000072521 A KR 20000072521A KR 1020000053127 A KR1020000053127 A KR 1020000053127A KR 20000053127 A KR20000053127 A KR 20000053127A KR 20000072521 A KR20000072521 A KR 2000007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web page
language
management mean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호
Original Assignee
오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호 filed Critical 오기호
Priority to KR102000005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521A/ko
Publication of KR2000007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단말기 및 유무선 단말기 등 해당 단말기에 지원되는 표기식 언어(Markup Language)와 다른 표기식 언어로 된 컨텐츠의 웹 문서(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기에 지원되는 본래(original)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목적물(Object)들, 예를 들면 각 이미지(jpg/gif..)와 텍스트 등의 해당 목적물들을 캐쉬(cache)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병렬처리 변경 변환함으로써 웹 페이지 변환의 효율과 성능, 변환 처리시간 및 처리결과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캐싱(caching)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해당되는 웹 페이지를 목적물(Object) 별로 미리 여러조각으로 나누어 변환하고 텍스트 부분과 이미지 부분 및 그 이외의 구성(Component)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각의 웹 페이지에 대한 맵(Map)을 미리 설정하는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과;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요구된 웹 페이지가 캐쉬(cache)에 이미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캐쉬에 저장된 페이지이면 병렬적으로 재구성하여 병렬 전송하고, 캐쉬에 저장되지 않은 페이지이면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으로 권한을 이양하며, 현재 웹 페이지를 요청한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환경을 파악하여 제거되어야 할 페이지의 내용을 선별하는 전송관리 수단을 갖는 프럭시 관리수단과; 상기 각 수단에서 일어나는 장애를 감지하여 이를 전체적으로 장애관리 제어하는 곳으로 통보하는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을 제어하며, 이들 장애관리 수단들에서 각각 감지된 장애를 통보받아 이를 처리하는 장애관리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표기식 언어 변환방법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구하는 페이지 요구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웹 페이지 요구에 따라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목적물별로 병렬처리하여 변형, 가공 재조합하는 변형과정과; 요청된 페이지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페이지인지를 판단하고, 변형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 및 통계를 기준으로 캐쉬(Cache)에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프럭시 응답과정과; 프럭시의 결정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를 저장하고 상기 캐쉬에서 읽은 페이지를 보내주는 캐쉬 응답과정과; 요구된 페이지를 병렬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변형하고 현재 페이지와 관련한 서브 페이지들까지 미리 병열처리하여 변형하는 컨버터 응답과정;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forming markup language in using ca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지원되는 웹 페이지 표기식 언어(Markup Language)와 다른 웹 페이지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캐쉬(cache) 기능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변경/변환하여 해당 단말기(PC, PDA, 웹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변경/변환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PC 단말기 및 유무선 단말기 등 해당 단말기에 지원되는 표기식 언어와 다른 표기식 언어로 된 컨텐츠의 웹 문서(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기에 지원되는 본래(original)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목적물(Object)들, 예를 들면 각 이미지(jpg/gif..)와 텍스트 등의 해당 목적물들을 캐쉬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병렬처리 변경 변환함으로써 웹 페이지 변환의 효율과 성능, 변환 처리시간 및 처리결과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 기술분야에 있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선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많은 컨텐츠(Contents)들은 일반적으로 범용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기반의 컨텐츠들이기 때문에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웹폰,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기나 기타 화면 사이즈가 맞지 않는 단말기 등에 상기 PC 기반의 컨텐츠를 곧바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미지 지원여부 등에 따라서도 PC 기반의 컨텐츠를 곧바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것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PC 기반의 컨텐츠를 무선통신 단말기 및 웹폰과 같이 웹 페이지 지원여부가 상이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웹폰 등에 곧바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이유는, PC 기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들은 통상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표기식 언어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선통신기기와 같은 단말기에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기식 언어로, 즉 서로 상이한 언어로 작성된 웹 페이지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즉, PDA나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된 웹 페이지가 아닌 WML이나 XML로 작성된 웹 페이지이기 때문에 HTML로 작성된 페이지들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HTML 표기식 언어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의 웹 페이지들을 WML이나 XML 표기식 언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HTML 표기식 언어로 작성된 웹 페이지(문서)들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하게 변경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것이 소위 "리포메터(Reformatter)"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표기식 언어 변환기"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기식 언어 변환기(Reformatter)는 WML이나 XML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의 문서들을 HTML을 지원하는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본래 적용되는 표기식 언어 이외의 다른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해당 단말기에서 적합하게 이용하기 위해 웹 페이지를 적절하게 변경/변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HTML, WML 및 XML과 같이 다양한 표기식 언어로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범용 PC 단말기와 무선통신 단말기와 같이 서로 다른 단말기간에 사용할 수 있게 컨텐츠의 웹 페이지를 변형, 가공, 재조합하여 제공하는 알고리즘과 프럭시(Proxy)를 포함하는데, 종래의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해당 웹 페이지 문서 전체를 하나의 목적물(Object)로 처리하고 있어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표기식 언어 변환기에 따르면, 웹 페이지 문서 전체를 하나의 목적물로 보아 한번에 변환처리하기 때문에 그 처리시간과 효율성 및 처리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 이를 이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PC 단말기 및 유무선 단말기 등 해당 단말기에 지원되는 언어와 다른 언어로 된 컨텐츠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기에 지원되는 본래(original) 표기식 언어에 의해 구성된 목적물(Object)들, 예를 들면 각 이미지(jpg/gif..)와 텍스트 등의 해당 목적물들을 캐싱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병렬처리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웹 문서 변환의 효율과 성능, 변환 처리시간 및 처리결과를 향상시킨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통신 단말기를 위한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Markup Language)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1a는 개별 구성도,
도 1b는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의 각 목적물의 병렬처리를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를 위한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2a는 개별 구성도,
도 2b는 표기식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의 각 목적물의 병렬처리를 위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선통신 단말기와 관련한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와 관련한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송관리부 20 : 컨텐츠 변환 관리부
22 : 문서저장부 24 : 문서변환부
30 : 프럭시 관리부 35 : 캐쉬(Cache)
40 : 장애관리부 100 : 웹 페이지 변환기
400 : 장애관리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본래 지원되는 표기식 언어(Markup Language)가 아닌 다른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변형/가공/재조합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에 있어서, 해당되는 웹 페이지를 목적물(Object) 별로 미리 여러조각으로 나누어 변환하고 텍스트 부분과 이미지 부분 및 그 이외의 구성(Component)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각의 웹 페이지에 대한 맵(Map)을 미리 설정하는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과;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요구된 웹 페이지가 캐쉬에 이미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저장된 페이지이면 병렬적으로 재구성하여 병렬 전송하고, 캐쉬에 저장되지 않은 페이지이면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으로 권한을 이양하며, 현재 웹 페이지를 요청한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환경을 파악하여 제거되어야 할 페이지의 내용을 선별하는 전송관리 수단을 갖는 프럭시 관리수단과; 상기 각 수단에서 일어나는 장애를 감지하여 이를 전체적으로 장애관리 제어하는 곳으로 통보하는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을 제어하며, 이들 장애관리 수단들에서 각각 감지된 장애를 통보받아 이를 처리하는 장애관리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관리 수단은 요청된 페이지가 해당 단말기에서 서비스 가능한지의 여부를 선별하고 서비스가 가능한 페이지이면 프럭시 관리수단에 권한을 이양하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표기식 언어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경유한다.
본 발명 표기식 언어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송관리 수단은,
변환대상 웹 페이지의 목적물중 이미지 목적물인 경우 해상도(Resolution)를 줄인 이미지를 사용하고 전송대상 단말기에서 자바(java) 스크립터가 지원되지 않으면 이를 제거하며,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내용 중 사용가능한 요소만 식별하고 빠지는 내용은 텍스트로 대체하고,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은,
상기 각 맵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여 가지고 있다가 요청시 재배치하여 상기 프럭시 관리수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은,
본래 지원되는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변형/가공/재조합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페이지 변환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구하는 페이지 요구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웹 페이지 요구에 따라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목적물별로 병렬처리하여 변형, 가공 재조합하는 변형과정과; 요청된 페이지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페이지인지를 판단하고, 변형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 및 통계를 기준으로 캐쉬(Cache)에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프럭시 응답과정과; 프럭시의 결정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를 저장하고 상기 캐쉬에서 읽은 페이지를 보내주는 캐쉬 응답과정과; 요구된 페이지를 병렬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변형하고 현재 페이지와 관련한 서브 페이지들까지 미리 병열처리하여 변형하는 컨버터(converter) 응답과정;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경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통신 단말기를 위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1a는 개별 구성도이고, 도 1b는 웹 페이지의 각 목적물의 병렬처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를 위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2a는 개별 구성도이고, 도 2b는 웹 페이지의 각 목적물의 병렬처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통신 단말기와 관련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와 관련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 방법의 흐름도 알고리즘은 프로그램화되어 이용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표기식 언어 변환기(100)에 있어서, 프럭시 관리부(30)에 포함되는 전송 관리부(10)는 현재 페이지를 요청한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환경을 파악하고, 제거되어야 할 페이지의 내용을 선별하고, 이미지의 경우 해상도를 줄인 이미지를 사용한다. 또한, 전송 관리부(10)는 해당 단말기에서 자바 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으면 이를 제거하고, 컨텐츠 변환 관리부(20)의 문서 변환부(24)로부터 제공된 내용 중 사용가능 한 요소만 선별하고 빠지는 내용은 텍스트로 대체한다.
전송 관리부(10)를 포함하는 프럭시 관리부(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1)에 연결접속된다. 전체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전송 관리부(10)는 로드 밸런싱부(L4-load balancing; 100)를 경유하여 인터넷(1)에 연결되는데, 이 로드 밸런싱부(100)는 표기식 언어의 변환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병렬로 효율적으로 분산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변환 관리부(20)는 웹 페이지를 해당 목적물(Object) 별로 미리 여러조각으로 나누어 병렬 변환하고, 텍스트 부분과 이미지 부분 및 그 밖의 구성요소(Component)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 페이지에 대한 맵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컨텐츠 변환 관리부(20)는 각 맵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여 가지고 있다가 요청시 재배치하여 프럭시 관리부(30)로 전송한다. 컨텐츠 변환 관리부(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자체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문서저장부(22)와 문서변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럭시 관리부(30)는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요구된 웹 페이지가 캐쉬(35)에 이미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미 저장된 페이지이면 재구성하여 전송하고, 저장되지 않은 페이지이면 컨텐츠 변환 관리부(20)로 권한을 이양한다. 프럭시 관리부(30)의 전송 관리부(10)는 요청된 페이지가 서비스할 수 있는 페이지인지 아닌지를 선별하고, 서비스 가능한 페이지이면 프럭시에 권한을 이양한다.
장애 관리부(40)는 상기 각 부(20)(30)에서 일어나는 장애를 감지하여 이를 전체적으로 장애관리 제어하는 곳, 즉 장애관리 제어부(400; 도 1b, 2b)로 통보하며, 상기 장애관리 제어부(400)는 상기 복수개의 장애 관리부(40)를 제어하며, 이들 장애 관리부(40)들에서 각각 감지된 장애를 통보받아 이를 처리한다.
더욱이, 본 발명 표기식 언어 변환기(100)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경유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7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기식 언어 변환방법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구하는 페이지 요구과정(S10)과; 상기 사용자의 웹 페이지 요구에 따라 표기식 언어 변환기(100)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목적물 별로 병렬처리하여 변형, 가공 재조합하고, 요청된 페이지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페이지인지를 판단하고, 변형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 및 통계를 기준으로 캐쉬(Cache)에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프럭시 응답과정(S30)과; 프럭시의 결정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를 저장하고 상기 캐쉬에서 읽은 페이지를 보내주는 캐쉬 응답과정(S40)(S40'); 및 요구된 페이지를 병렬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변형하고 현재 페이지와 관련한 서브 페이지들까지 미리 병열처리하여 변형하는 컨버터 응답과정(S50)(S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경유하는 과정(S20; 도 4)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의 작용 및 역할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는 사용자가 사용할 단말기를 선택하게 되면, 그 단말기에 맞는 웹 페이지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웹폰 사용자일 경우에는 HTML의 HTML로의 웹 페이지 변환을 지원하고, PDA 사용자의 경우에는 HTML의 WML로의 변환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페이지의 전송관리부(10)는 다양한 인터넷 컨텐츠를 웹 페이지 변환기(100)로 변환 후 각각의 단말기들로 변환된 내용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송관리부(10)는 랩톱(Laptop) 컴퓨터, 무선통신 단말기, 이동전화 단말기, HPC, 웹TV 등으로 웹 페이지를 전송해 주며, 각각의 단말기들의 성능(Performance)과 통신망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문서저장부(22)와 문서변환부(24)를 포함하는 컨텐츠 변환관리부(20)는 웹 문서나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각각의 단말기들의 특성에 맞는 포멧으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캐쉬 메모리(35)와 전송 관리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럭시 관리부(30)는 인터넷(1)으로 들어온 데이터를 저장, 분리, 검색하는 기능으로 이전의 요구사항에 대해서 저장되어 있는 것은 캐쉬(35)를 이용하여 보내주고, 새로운 내용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컨텐츠 변환 관리부(20)의 문서 변환부(24)로 보내서 새로운 내용을 만든다.
장애 관리부(40)와 장애관리 제어부(400)는 각각의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페이지인지 아닌지를 미리 인식하여 보내지 말아야 할 페이지를 선별하여 수용한다. 또한, 프럭시 관리부(30)나 컨텐츠 변환 관리부(20) 등의 모듈에게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내 에러 상태를 체크한다.
본 발명이 구현될 때 요구되는 사항을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은 HTML, WML, XML, HDML 등 다양한 언어로 구성되어 있는 웹 페이지들을 상호 변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HTML로 구성되어 있는 기존의 페이지를 다시 HTML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구성되어 있는 HTML을 재조합하여 구성하되 페이지의 크기나 이미지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HTML을 무선 인터넷용인 WML이나 XML, HDML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WML로의 변환은 WAP 게이트웨이(70)를 사용하는 WML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고 XML이나 HDML도 각 언어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XML이 지원되는 브라우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XML의 컨텐츠를 HTML이나 WML, HDML의 변환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이즈가 틀릴 경우를 대비하여 서로 다른 WML간의 웹 페이지 변환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단말기별 전송형태 및 수용 컨텐츠를 파악해야 하며, 프럭시 관리시 저장해야 할 내용에 대한 선별기준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떤 단말기가 어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 방법은, PC 단말기 및 유무선 단말기 등 해당 단말기에 지원되는 표기식 언어와 다른 표기식 언어로 된 컨텐츠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기에 지원되는 본래(original) 표기식 언어에 의해 구성된 목적물(Object)들, 예를 들면 각 이미지(jpg/gif..)와 텍스트 등의 해당 목적물들을 개별적으로 병렬처리 변환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웹 문서 변환의 효율과 성능, 변환 처리시간 및 처리결과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6)

  1. 본래 지원되는 표기식 언어(Markup Language)가 아닌 다른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변형/가공/재조합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에 있어서,
    해당되는 웹 페이지를 목적물(Object) 별로 미리 여러조각으로 나누어 변환하고 텍스트 부분과 이미지 부분 및 그 이외의 구성(Component) 부분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각의 웹 페이지에 대한 맵(Map)을 미리 설정하는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요구된 웹 페이지가 이미 변환되어 캐쉬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캐쉬에 저장된 페이지이면 병렬적으로 재구성하여 병렬 전송하고, 상기 캐쉬에 저장되지 않은 페이지이면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으로 권한을 이양하며, 현재 웹 페이지를 요청한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환경을 파악하여 제거되어야 할 페이지의 내용을 선별하는 전송관리 수단을 갖는 프럭시 관리수단;
    상기 각 수단에서 일어나는 장애를 감지하여 이를 전체적으로 장애관리 제어하는 곳으로 통보하는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장애관리 수단을 제어하며, 이들 장애관리 수단들에서 각각 감지된 장애를 통보받아 이를 처리하는 장애관리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관리 수단은 요청된 페이지가 해당 단말기에서 서비스 가능한지의 여부를 선별하고 서비스가 가능한 페이지이면 프럭시 관리수단에 권한을 이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경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관리 수단은,
    변환대상 웹 페이지의 목적물중 이미지 목적물인 경우 해상도(Resolution)를 줄인 이미지를 사용하고 전송대상 단말기에서 자바(java) 스크립터가 지원되지 않으면 이를 제거하며,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내용 중 사용가능한 요소만 식별하고 빠지는 내용은 텍스트로 대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변환관리 수단은,
    상기 각 맵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여 가지고 있다가 요청시 재배치하여 상기 프럭시 관리수단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5. 본래 지원되는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변형/가공/재조합하여 해당 단말기에 적합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구하는 페이지 요구과정;
    상기 사용자의 웹 페이지 요구에 따라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목적물별로 병렬처리하여 변형, 가공 재조합하는 변형과정;
    요청된 페이지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페이지인지를 판단하고, 변형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정보 및 통계를 기준으로 캐쉬(Cache)에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프럭시 응답과정;
    프럭시의 결정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를 저장하고 상기 캐쉬에서 읽은 페이지를 보내주는 캐쉬 응답과정;
    요구된 페이지를 병렬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변형하고 현재 페이지와 관련한 서브 페이지들까지 미리 병열처리하여 변형하는 컨버터 응답과정;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PDA와 스마트폰 및 웹TV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를 요구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변환된 웹 페이지를 전송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경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 방법.
KR1020000053127A 2000-09-07 2000-09-07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KR20000072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7A KR20000072521A (ko) 2000-09-07 2000-09-07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27A KR20000072521A (ko) 2000-09-07 2000-09-07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521A true KR20000072521A (ko) 2000-12-05

Family

ID=1968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27A KR20000072521A (ko) 2000-09-07 2000-09-07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25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04A (ko)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30053285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캐쉬 대체 구조 및 방법
KR20030063559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엠넷소프트 엑스엠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변환 방법
KR100411884B1 (ko) * 2000-12-27 2003-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엠엘 시스템과 비-엑스엠엘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달을위한 아답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방법
KR20040022025A (ko) * 2002-09-06 2004-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대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07308B1 (ko) * 2001-06-27 2008-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의 캐쉬
US10009743B2 (en) 2001-08-13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d applications on wireless devices over a wireless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884B1 (ko) * 2000-12-27 2003-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엠엘 시스템과 비-엑스엠엘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달을위한 아답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방법
KR20030000504A (ko)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0807308B1 (ko) * 2001-06-27 2008-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의 캐쉬
US10009743B2 (en) 2001-08-13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d applications on wireless devices over a wireless network
KR20030053285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캐쉬 대체 구조 및 방법
KR20030063559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엠넷소프트 엑스엠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변환 방법
KR20040022025A (ko) * 2002-09-06 2004-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대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207B1 (ko)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데이터 변환 방법
CN1871824B (zh) 用于在无线环境中转换资源名的方法和装置
US7257122B1 (en)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JP3534027B2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9022132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Base for an Advanced Display
US20040199550A1 (en)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
KR20020056213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인터넷을 위한 인터넷 컨텐츠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72521A (ko) 캐싱 기능을 이용한 표기식 언어 변환기 및 변환방법
JP200029863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00063802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접속 및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3141002A (ja) Url長変換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40011000A (ko) 단말기에 최적화된 화상을 제공하는 화상 변환 시스템
US20110209051A1 (en) Document browsing system and document conversion server
US20030041157A1 (en) Wireless browser
US7756927B2 (en) Object filtering method and client device using the same
CN103313285A (zh) 网络资源传输处理装置和网络资源传输处理方法
WO2012134216A2 (ko) 웹 환경에서 캐싱 효율을 높인 서버,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00504A (ko)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080730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의 캐쉬
JP2002014780A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印刷装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KR2006000228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메일 첨부파일 확인방법
US77433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cation of data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600512B1 (ko) 무선 단말기용 컨텐츠 클리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24474B1 (ko) 휴대 통신 단말용 웹 페이지 변경 제어 방법
US20130166636A1 (en) Portable terminal for a mobil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