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592A -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 Google Patents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592A
KR20000071592A KR1020000018135A KR20000018135A KR20000071592A KR 20000071592 A KR20000071592 A KR 20000071592A KR 1020000018135 A KR1020000018135 A KR 1020000018135A KR 20000018135 A KR20000018135 A KR 20000018135A KR 20000071592 A KR20000071592 A KR 2000007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amera
video phone
actu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2852B1 (ko
Inventor
박준정
Original Assignee
박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정 filed Critical 박준정
Priority to KR102000001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852B1/ko
Publication of KR2000007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며,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가 내장된 본체; 실외에 설치되며, 방문객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전송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벨 박스; 상기 벨 박스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방문객이 카메라에 얼굴을 밀착시키지 않아도 사용자가 방문객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한다.

Description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DOOR-VIDEO PHONE HAVING A ROTATABLE CAMERA}
본 발명은 실외에 있는 방문객의 모습을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방문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한 도어용 비디오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문객의 모습 전체를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도어용 비디오폰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도어용 비디오폰은 실내에 설치되며 모니터(12)가 내장된 본체(10)와, 실외에 설치되며 방문객을 촬영하여 그 화상을 상기 모니터(12)에 전송하는 카메라(22)가 구비된 벨 박스(20)와, 도어에 설치된 전자식 자물쇠(30)와, 상기 본체(10), 벨 박스(20) 및 자물쇠(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에는 자물쇠(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잠금해제 스위치(14)와, 상기 모니터(12)를 동작시키기 위한 후크스위치(16)와, 상기 방문객과 통화하기 위한 송수화기(18)가 장착된다. 상기 후크스위치(16)는 사용자가 송수화기(18)를 들어올리면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벨 박스(20)에는 벨 스위치(24)가 구비되며, 상기 벨 스위치(24)를 눌러 스위치-온(switch-on)시키면 소정의 벨소리가 울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도어용 비디오폰은, 방문객이 벨 스위치(24)를 눌러 벨을 울리면, 사용자가 송수화기(18)를 들어 후크스위치(16)를 스위치-온시킨다. 이때, 상기 카메라(22)에서 촬영된 화상이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모니터(12)를 통해 방문객을 확인하고, 잠금해제 스위치(14)를 눌러 자물쇠(30)의 잠금동작을 해제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도어용 비디오폰은, 카메라가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영역이 극히 제한되므로, 방문객이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역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모니터를 통해 방문객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니터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 카메라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방문객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한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도어용 비디오폰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a 내지 도4d는 도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액츄에이터가 채용된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a 내지 도7d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모니터
120 : 송수화기 130 : 잠금해제 스위치
140 : 제어스위치 150 : 후크 스위치
200 : 벨 박스 210 : 카메라
230 : 벨 스위치 300 : 액츄에이터
310 : 베이스판 312, 314 : 제1, 제2스위치
320, 330 : 제1, 제2전동모터 322, 332 : 제1, 제2가이드 블럭
324, 334 : 제1, 제2그루브 326, 336 : 지지부재
340 : 브라켓 342 : 베어링
350 : 완충부재 400 : 자물쇠
500 : 전원공급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며, 방문객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가 내장된 본체; 실외에 설치되며, 상기 방문객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전송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벨 박스; 상기 벨 박스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구동수단; 상기 베이스판과 제1구동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판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동력전달수단; 상기 베이스판을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회전력 제공수단; 상기 베이스판과 제2회전력 제공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제공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은 실내에 설치되며 모니터(110)가 내장된 본체(100)와, 실외에 설치되며 방문객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모니터(110)에 전송하는 카메라(210)가 내장된 벨 박스(200)와, 상기 벨 박스(200)에 내장되어 카메라(2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actuator)(300)와, 도어에 설치된 전자식 자물쇠(400)와, 상기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화기(120)와, 상기 전자식 자물쇠(400)의 잠금동작을 해제시키기 위한 잠금해제 스위치(130)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140)와, 상기 모니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후크스위치(150)가 구비된다. 평상시, 상기 송수화기(120)는 후크스위치(150)를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모니터(110)가 꺼져있도록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수화기(120)를 들어올리면, 상기 카메라(210)가 촬영한 화상이 모니터(11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제어 스위치(140)의 표면에는 상,하,좌,우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액츄에이터(30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카메라(210)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 박스(200)에는 본체(100)의 송수화기(120)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220)가 장착되며, 벨 소리를 울리기 위한 벨 스위치(230)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140)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가 지지되는 베이스판(310)과, 상기 제어스위치(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판(3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전동모터(320)와, 상기 제어스위치(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판(3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전동모터(330)와, 베이스판(310)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3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는 9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340)은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 각각으로부터 135°상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210)와 베이스판(310) 사이에 소정의 탄력을 가진 완충부재(350)가 장착되며, 상기 완충부재(350)는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카메라(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부재(35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일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판(310)의 외주면은 그 중앙부가 볼록한 소정의곡률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310) 외주면의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레일(312, 3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레일(312, 314)은 베이스판(310) 외주면의 곡률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 각각의 원동축 단부에는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에는 제1 및 제2레일(312, 314)이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그루브(groove)(324, 3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그루브(324, 334)는 베이스판(310) 외주면의 곡률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며, 그 폭은 레일의 폭보다 약간 크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40),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 각각의 전단면은 베이스판(310)의 일측 외주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동모터(320)가 구동되어 제1가이드 블록(322)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력이 제1레일(312)에 전달되어 베이스판(3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레일(314)은 제2그루브(334)를 따라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전동모터(330)가 구동되어 제2가이드 블록(332)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력이 제2레일(314)에 전달되어 베이스판(3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레일(312)은 제1그루브(324)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와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 사이에는 감속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320, 330)로부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벨 박스(200)에는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부재(326, 336)가 각각 내장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의 하부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326, 336)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가이드 블록(322, 332)과 각 지지부재(326, 336) 사이에는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322, 332)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베어링(328, 338)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10)과 브라켓(340) 사이에도 베어링(342)이 장착되어, 상기 브라켓(340)과 접촉되는 베이스판(31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한다.
본 발명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에 이용되는 전자식 자물쇠(40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4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외의 방문객이 벨 박스(200)의 벨 스위치(230)를 눌러 벨 소리가 울리면, 상기 벨 소리를 들은 실내의 사용자가 송수화기(120)를 들어올려 후크스위치(150)를 켜므로써, 상기 카메라(210)가 촬영한 화상이 모니터(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문객이 카메라(210)의 촬영영역부터 이탈되게 위치되어 상기 카메라(210)가 방문객의 모습을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140)를 눌러 카메라(210)를 방문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사용자가 모니터(110)를 통해 방문객의 모습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140)의 상측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상기 제2전동모터(330)가 정회전되고, 상기 제2전동모터(330)의 원동축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2가이드 블록(332)이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 블록(332)의 회전력은 그의 그루브(334)에 삽입된 제2레일(314)을 통해 베이스판(310)에 전달되어, 상기 베이스판(310) 및 그에 장착된 카메라(210)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도4a 참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레일(312)은 제1가이드 블록(322)의 그루브(324)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140)의 하측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상기 제2전동모터(330)가 역회전되어 상기한 원리에 의해 베이스판(310) 및 그에 장착된 카메라(210)가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도4b 참조).
한편,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140)의 좌측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상기 제1전동모터(320)가 정회전되고, 상기 제1전동모터(320)의 원동축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가이드 블록(322)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 블록(322)의 회전력은 그의 그루브(324)에 삽입된 제1레일(312)을 통해 베이스판(310)에 전달되어, 상기 베이스판(310) 및 그에 장착된 카메라(210)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도4c 참조). 이러한 경우, 상기 제2레일(314)은 제2가이드 블록(332)의 그루브(334)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스위치(140)의 우측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상기 제1전동모터(320)가 역회전되어 상기한 원리에 의해 베이스판(310) 및 그에 장착된 카메라(210)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도4d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도5 내지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는 카메라(210)가 장착되는 원형의 베이스판(600)과, 상기 베이스판(6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 내에 장착된 제1 및 제2전동모터(620, 630)와,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620, 630)의 원동축(622, 632)에 각각 연결된 원형의 제1 및 제2휠(wheel)(640, 65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의 원동축(622, 632)은 그 표면에 소정의 치형이 형성되어 웜기어(warm gear)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휠(640, 650) 각각은 그 표면에 웜기어(622, 632)에 치합될 수 있는 치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620, 630)가 구동될 경우, 각 웜기어(622, 632)에 치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휠(640, 650)이 소정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620, 630)는 제어 스위치(140)의 동작신호에 따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휠(640, 650)은 베이스판(600) 상에 장착된 카메라(210)를 정점으로 약 90°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휠(640, 650)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나선축(642, 652)은 각 휠(640, 650)과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600)의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에 대향된 부분에는 제1 및 제2랙(rack)(660, 67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랙(660, 670)은 베이스판(600)에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랙(660, 670) 각각은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 각각에 치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랙(660, 67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면에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642, 652)과 치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62, 630) 사이에는 시이소(seesaw)운동하는 지지부재(680)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680)는 베이스판(600)의 후면에 접촉되어 베이스판(600)을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츄에이터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7a 내지 도7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위치(140)의 상측방향 화살표를 눌러 제1전동모터(62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제1전동모터의 웜기어(62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622)에 치합되어 있는 제1휠(640) 및 제1휠(640)의 중앙부에 장착된 제1나선축(64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나선축(642)에 치합되어 있는 제1랙(660)이 후방으로, 즉 제1휠(640)에 가까운 쪽으로 이동되어 베이스판(600)의 상측을 끌어당기므써, 카메라(210)가 위쪽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제어 스위치(140)의 하측방향 화살표를 눌러 제1전동모터(62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제1전동모터의 웜기어(62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622)에 치합되어 있는 제1휠(640) 및 제1휠(640)의 중앙부에 장착된 제1나선축(64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나선축(642)에 치합되어 있는 제1랙(660)이 전방으로, 즉 제1휠(640)로부터 먼 쪽으로 이동되어 베이스판(600)의 상측을 밀어내므로써, 카메라(210)가 아래쪽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 스위치(140)의 좌측방향 화살표를 눌러 제2전동모터(63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제2전동모터의 웜기어(6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632)에 치합되어 있는 제2휠(65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나선축(652)에 치합되어 있는 제2랙(670)이 후방으로, 즉 제2휠(650)쪽으로 이동되어 베이스판(600)의 좌측을 끌어당기므로써, 카메라(210)가 좌측으로 회전이동하게 한다.
반면에, 제어 스위치(140)의 우측방향 화살표를 눌러 제2전동모터(6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제2전동모터의 웜기어(6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웜기어(632)에 치합되어 있는 제2휠(65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나선축(652)에 치합되어 있는 제2랙(670)이 전방으로, 즉 제2휠(650)쪽으로 이동되어 베이스판(600)의 좌측을 밀어내므로써, 카메라(210)가 우측으로 회전이동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에 따르면, 카메라를 회전시켜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방문객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8)

  1. 실내에 설치되며, 방문객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가 내장된 본체;
    실외에 설치되며, 상기 방문객의 모습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전송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벨 박스;
    상기 벨 박스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를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판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판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모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판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모터
    를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비디오폰이 정/역회전이 가능한 하나의 제1전동모터 및 제2전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가 실질적으로 90°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소정의 곡률로 돌출된 외주면과, 상기 각 회전력전달수단에 대응되는 한 쌍의 레일을 가지며,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이 상기 레일의 양측면이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폭과, 상기 레일의 상기 곡률방향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
    을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밀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되는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의 하부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 각각의 하부에 접촉되는 반원통형상의 홈을 가진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의 원동축을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웜기어;
    상기 제1 및 제2웜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휠기어;
    상기 제1 및 제2휠기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휠기어와 연동되는 제1 및 제2나선축; 및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과 각각 치합되되, 상기 베이스판에 유니버셜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랙
    을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 각각이 실질적으로 90°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10.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구동수단;
    상기 베이스판과 제1구동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베이스판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베이스판을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동수단;
    상기 베이스판과 제2구동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구동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회전력 전달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이, 상기 제1회전력 전달수단이 연결되는 원동축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상하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수단이, 상기 제2회전력 전달수단이 연결되는 원동축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좌우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전동모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가 실질적으로 90도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소정곡률로 돌출된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수단에 대향되는 한 쌍의 레일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레일의 폭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폭과 소정길이를 가진 그루브가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을 각각 포함하는
    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밀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되는 베이스판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의 하부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 블록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반원통형상의 홈이 형성된
    액츄에이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과 카메라 사이에 장착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전동모터의 원동축을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웜기어;
    상기 제1 및 제2웜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휠기어;
    상기 제1 및 제2휠기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휠기어와 연동되는 제1 및 제2나선축; 및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과 각각 치합되되, 상기 베이스판에 유니버셜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랙
    을 각각 포함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선축이 실질적으로 90°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KR1020000018135A 1999-04-13 2000-04-07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KR10034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135A KR100342852B1 (ko) 1999-04-13 2000-04-07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052 1999-04-13
KR19990006052 1999-04-13
KR1020000018135A KR100342852B1 (ko) 1999-04-13 2000-04-07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592A true KR20000071592A (ko) 2000-11-25
KR100342852B1 KR100342852B1 (ko) 2002-07-02

Family

ID=2663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135A KR100342852B1 (ko) 1999-04-13 2000-04-07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67B1 (ko) * 2004-12-03 2006-12-08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비디오폰의 투시각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407B1 (ko) * 1998-03-10 2000-09-15 권태웅 비디오 도어폰의 모터 제어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67B1 (ko) * 2004-12-03 2006-12-08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비디오폰의 투시각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2852B1 (ko)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4936B1 (en) Door videophone capable of rotating a camera
TW200506486A (en) Hinge device, and camera device or portable electron machine device using the same
CN208764627U (zh) 一种视频会议摄像头支架
JP2003301994A (ja) 軸受一体型回転装置
US6669291B1 (en) Massaging device for a chair with resilient straps
KR100342852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도어용 비디오폰
CN109831608A (zh) 一种智能室内摄像头
JPS6238683A (ja) モニタカメラ付きドアホン
JP2007264435A (ja) 雲台機能付きクレードル
KR20170039334A (ko) 실외 카메라의 촬영방향 및 범위 조절이 가능한 인터폰 장치
CN210381086U (zh) 一种自动翻转摄像头
CN212163704U (zh) 一种会议室扩声设备
CN108594861B (zh) 一种摄像头放置移动装置
CN219599540U (zh) 一种看护机器人
KR101144786B1 (ko) 회전형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8830258U (zh) 一种摄录一体机
KR20020005954A (ko) 디지털 카메라 탑재용 회전구동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탑재용 회전식 삼각대
KR20000001976U (ko)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구동모터축 지지장치
CN210950574U (zh) 一种便于调节的视频会议终端
CN100405799C (zh) 带有变焦功能相机的移动终端
CN218482916U (zh) 一种纯数字会议系统设备
KR200172886Y1 (ko) 도어폰의 렌즈각도 조절장치
DE502006001719D1 (de) Elektrisch verstellbarer Rückspiegel
CN220383117U (zh) 一种基于弱电工程的可视通信设备
CN212869141U (zh) 一种移动式多方位全景摄像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