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583A - Printer - Google Patents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583A
KR20000069583A KR1019997005547A KR19997005547A KR20000069583A KR 20000069583 A KR20000069583 A KR 20000069583A KR 1019997005547 A KR1019997005547 A KR 1019997005547A KR 19997005547 A KR19997005547 A KR 19997005547A KR 20000069583 A KR20000069583 A KR 2000006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recording
printing
print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하시카즈유키
요코야마요시히로
이와카와히로후미
미야자키카즈요시
호카무라테츠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749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4237A/en
Priority claimed from JP31572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7336A/en
Priority claimed from JP24093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1489A/en
Priority claimed from JP10240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2304A/en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58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22Clamps or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프린터장치의 각 기구의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전 구성을 간략화하고, 소형화 및 비용절감을 하기 위해, 그 일 예로서, 인화용의 기록지(108)를 프린터본체 내에 급지하는 급지기구에는, 트레이(104),(106)로 이루어진 기록지(108)의 수납수단과, 그 수납된 기록지(108)에 맞닿아 회전하여 복수 매의 기록지(108)로부터 1매만 분리하여 반송하는 급지롤러(110)와, 그 맞닿아 회전하기 위한 급지롤러(110)에 기록지(108)를 항상 누르는 트레이(104),(106)나 판재(114)등으로 이루어진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맞닿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108)를 프린터본체 내로 반송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each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simplify the whole structure, reduce the size, and reduce the cost, as an example, a paper feed mechanism for feeding the recording paper 108 for printing into the printer body is provided. Storage means for the recording paper 108 consisting of 104 and 106, a paper feed roller 110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tored recording paper 108, separates and conveys only one sheet from the plurality of recording paper 108, and The paper feed roller 110 for contacting and rotating is provided with pressing means made of trays 104, 106, plate member 114, and the like which always presses the recording paper 108. 108 is conveyed and supplied into the printer body.

Description

프린터장치{PRINTER}Printer Device {PRINTER}

종래에는, 오피스나 일반 가정에 있어서, 기록지를 기록매체로서 그 표면에 도면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인화 기록하는 프린터장치로서, 예컨대 서말(Thermal)방식이나 전자사진방식 등, 그 외 각종의 방식의 프린터장치가 넓게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in an office or a general home, a printer apparatus which prints and records information such as drawings and characters on a surface of a recording sheet as a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thermal method,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other various methods. Printer devices are widely used.

이들의 프린터장치는, 통상, 인화기록하기 위한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내에 공급하는 기록지공급부, 기록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해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기록지반송부, 기록지반송부에 의해 왕복 반송되어 있는 기록지에 예컨대 잉크시트 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화 기록하는 인화부, 왕복 반송되면서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록지배출부 및 이상의 각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 등의 기구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se printer apparatuses are usually reciprocally conveyed by a recording sheet supply unit for supplying recording sheets for print recording in the printer body, a recording sheet conveying unit for returning the recording sheets back and forth for printing the recording sheets supplied from the recording sheet supply unit, and a recording sheet conveying unit. Mechanisms such as a printing unit for printing the recording paper using ink on an ink sheet, for example, a recording paper ejection unit for releasing the recording paper that has been completed and printed while being reciprocated,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spective units. It is composed of blocks.

상기와 같은 서말방식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먼저, 기록지공급부와 그 기록지공급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구동부에 의해 기록지공급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그림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인화기록하기 위한 기록지를 기록지공급부로부터 프린터본체 내로 급지하는 기록지공급기구에 착안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thermal type printer apparatus, first, a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nd the recording paper for printing the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and characters by driv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by the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for feeding paper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into the printer body.

이 종류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공급기구로서는, 예컨대 도 39에 나타내는 구성이 잘 채용되고 있다.As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of this kind of printer apparatus,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9 is well employed.

이 기록지공급기구는, 도 39에 나타내듯이, 기록지공급트래이(602)가 외장체(100)에 고정되어 있고, 그 기록지공급트래이(602)의 저부에, 가동판(606)이 힌지부(H7)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Y70)로 나타내듯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밀어올림레버(604)가, 밀어올림스프링(608)의 화살표(Y71)에서 나타내는 힘에 의해 점C7을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Y72)에서 나타내듯이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판(606)을 그 위쪽에 위치하는 기록지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맞닿을 때까지 잡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as shown in FIG. 39,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is fixed to the exterior body 100, and at the bottom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the movable plate 606 is hinged (H7). It is structured and attach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s shown by arrow Y70 centering on (circle). Further, the movable plate 606 is moved by the pushing lever 604 as shown by arrow Y72 with the point C7 as the point by the force indicated by arrow Y71 of the pushing spring 608. Is held up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positioned above it.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지공급기구에 있어서,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트래이(602)에 탑재하면, 기록지(108)는 기록지공급롤러(110)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눌려지는 것으로 된다.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configured in this manner, when the recording paper 108 is mounted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the recording paper 108 is pressed against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이 상태에서, 기록지공급롤러(110)를 화살표(Y73)로 나타내듯이 회전구동하면, 기록지공급트래이(602)에 탑재된 기록지(108) 중 맨 위의 기록지가, 화살표(Y74)로 나타내듯이 프린터본체 내부로 반송되어 급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터본체 내부에 공급된 기록지(108)가, 기록지공급롤러(110)와는 별도의 저속반송기구, 예컨대 핀치롤러·캡스턴(도시하지 않음)에 까지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변환기구에 의해 밀어올림레버(604)가 점 C7을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Y75)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져서, 기록지(108)의 기록지공급롤러(110)에의 맞닿음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이후의 프린터본체 내부에서의 인화동작을 위한 정밀한 기록지 반송동작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recording sheet feeding roller 110 is rotated as indicated by the arrow Y73, the top recording sheet of the recording sheets 108 mounted on the recording sheet supply tray 602 is the printer as shown by the arrow Y74. It is conveyed into the main body and fed. In this way, when the recording paper 108 supplied inside the printer body reaches a low speed conveying mechanism separate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for example, a pinch roller capstan (not shown), a converter mechanism (not shown) is provided. The pushing lever 604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75 with the point C7 as a point, so that the contact of the recording sheet 108 to the recording sheet supply roller 110 is relea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a precise recording sheet conveying operation for the subsequent printing operation in the printer main body.

다음에, 서말방식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반송부와 그 기록지반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구동부에 의해 기록지반송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도면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인화부에 의해 인화 기록할 때에, 공급된 기록지를 그 선단을 클램프한 상태에서 왕복 반송하는 기록지반송기구에 착안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thermal printer system, it comprises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nd by driv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by the driving unit, information such as drawings and characters on the recording paper supplied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 Will be described by focusing o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for reciprocally conveying the supplied recording paper while clamping its tip.

이 종류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로서는, 예컨대 특개평7-76144호 공보 등에 개시되고,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이 잘 채용되어 있다.As a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of this type of printer apparatus, for exampl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76144 or the lik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40 and 41 is well employed.

도 40 및 도 41에 종래의 클램프방식을 채용한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기록지반송기구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듯이, 서말헤드(600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구기에 의해, 스프링(602B)의 부세력에 의해 롤러(604B)에 눌려지는 작동위치와, 눌려지지 않는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왕복 구동된다. 이 작동위치에 있어서, 서말헤드(600B)및 롤러(604B)에 끼워져서 주행하는 기록지(636B)에, 서말헤드(600B)로부터의 열에 의해 인화기록이 실시된다.40 and 41 show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employing the conventional clamping method. As shown in Figs. 40 and 41,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has an operating position in which the thermal head 600B is pressed by the roller 604B by a subordinate force of the spring 602B by a driving mechanism not shown, It is selectively reciprocated between positions which are not pressed. In this operating position, print recording is performed by the heat from the thermal head 600B to the recording paper 636B sandwiched by the thermal head 600B and the roller 604B.

기록지(636B)는, 통상, 기록지공급카세트(606B)에 저장되어 있고, 기록지공급롤러(608B)에 의해 본체 내부에 반송된다. 이 기록지(636B)는, 후술하는 캐리지(610B)에 탑재된 누름부재(620B)에 의해 클램프가 가능한 위치까지 반입되면(도 40이 그 위치를 나타낸다), 그 후는, 이 캐리지(610B)에 의해 반송구동이 된다.The recording paper 636B is normally stored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cassette 606B and is conveyed inside the main body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8B. When the recording sheet 636B is loaded to a position where the clamp can be carried out by the pressing member 620B mounted on the carriage 610B described later (FIG. 40 shows the position), the recording sheet 636B is subsequently placed on the carriage 610B. By this, conveyance drive is performed.

캐리지(610B)는, 2매의 가이드축(612B),(614B)에 의해 인화를 개시하는 스타트위치와 종료하는 엔드위치의 사이를 왕복변위 자유롭게 지지되고, 양단에 있어서 후술하는 2매의 타이밍벨트(616B),(618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610B)는, 상술하듯이 누름부재(620B)를 가지고, 이 누름부재(620B)에 의해, 기록지(636B)를, 그 선단을 클램프하여 유지하는 것에 의해 왕복 반송한다.The carriage 610B is supported by two guide shafts 612B and 614B freely for reciprocating displacement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t which the print starts, and the two timing belts described later at both ends. It is fixed to 616B and 618B. In addition, the carriage 610B has a pressing member 620B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sing member 620B carries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by clamping and holding the recording paper 636B.

누름부재(620B)는, 누름스프링(622B)의 부세력에 의해 기록지(636B)를 눌러 유지하는 위치와, 플런저(623B)의 작동에 의해 누름 유지를 해제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620B can selectively select the position at which the recording paper 636B is pressed and held by the force of the pressing spring 622B,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holding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plunger 623B.

2매의 타이밍벨트(616B),(618B)는, 각각 구동측 타이밍 풀리(628B),(630B)에 지지되고,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모터(M11)의 동력에 의해, 정전방향(기록지(636B)에 기록하는 경우에 캐리지(610B)는 도면 왼쪽방향으로 변위) 및 반전방향(기록지(636B)를 되돌리는 경우에 동 도면의 오른쪽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The two timing belts 616B and 618B are supported by the driving side pulleys 628B and 630B, respectively, and are driven by the power of the motor M11 via a gear (not shown), and thus the electrostatic direction ( In the case of recording on the recording paper 636B, the carriage 610B can be driven in the leftward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of the same drawing when the recording paper 636B is returned).

상술했듯이, 각각의 타이밍벨트(616B),(618B)는, 고정부재(632B),(640B)에 의해, 각각 캐리지(610B)에 고정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timing belts 616B and 618B is fixed to the carriage 610B by the fixing members 632B and 640B, respectively.

기록지공급롤러(608B)에 의해 반송되 온 기록지(636B)는, 캐리지(610B)에 유지되고, 그 스타트위치와 엔드위치의 사이를 실질적으로 3회 왕복하는 사이에, 황색, 청색, 적색의 3색으로 열 기록이 되고, 본체외부로 배출된다.The recording paper 636B conveyed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8B is held by the carriage 610B, and yellow, blue, and red 3 are carried out three times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Heat is recorded in color and discharged outside the main body.

또, 이 기록지(636B)는 자기발색성의 재료로 되어 있고, 광원에 의해 광정착이 된다. 이 원리 등은 본 발명에 직접 관계는 없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recording paper 636B is made of a self-chromic material, and is light-fixed by a light source. This principle or the lik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에, 서말방식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인화부와 그 인화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구동부에 의해 인화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그림이나 문자 등의 정보를 화상으로서 인화부에 의해 인화 기록하는 인화기구에 착안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thermal printer, the printer comprises a print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rinting unit, and by driving the printing unit by the driving unit, information such as a picture or a character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paper supplied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printing mechanism which prints and records by the printing unit.

이 종류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로서는, 예컨대, 도 4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이 잘 채용되어 있다.As a printing mechanism of this kind of printer apparatu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2 is well employ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인화기구에 대하여, 그 개략동작을 도 4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The schematic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print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기록지에 화상을 인화 기록할 때에는, 도 42(a)에 나타내듯이,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공급부의 기록지공급롤러(601)가 회전 구동되고, 그 기록지공급롤러(601)에 의해 기록지(605)가 프린터본체 내로 보내지고, 그 기록지(605)의 선단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된 기록지반송용의 캡스턴롤러(606)와 핀치롤러(607)에 끼워져 지지되고, 더욱이 캡스턴롤러(606)의 회전에 의해, 기록지(605)가 그 인화기록 시의 스타트위치로 반송된다.When printing an image onto the recording paper, as shown in Fig. 42A,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1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is rotated by a drive unit (not shown), and the recording paper is supplied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1. 605 is sent into the printer body, and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605 is sandwiched and supported by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for transporting the recording paper,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e unit, and furthermore, the capstan roller 606. ), The recording paper 605 is conveyed to the start position at the time of printing the print.

이 상태에서, 도 42(b)에 나타내듯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링크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말헤드유닛(608)이 변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636B)가 서말헤드유닛(608)에 설치된 서말헤드(609)와 롤러(610)의 사이에 끼워진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2B, the thermal head unit 608 is displaced by a link mechanism (not shown) driven by the drive unit, whereby the recording paper 636B is the thermal head unit 608. It is fitted between the thermal head 609 and the roller 610 installed in the).

이 기록지(605)는, 더욱이 도 42(b)에 나타내듯이, 캡스턴롤러(606)와 핀치롤러(607)의 사이, 및 기록지공급롤러(601)로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기록지배출롤러(611)와 아이들러롤러(612)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그 인화기록 시의 스타트위치와 엔드위치의 사이를 실질적으로 3왕복 주행하고, 그 사이에, 프린터장치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이, 그 화상에 따라 서말헤드(609)에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잉크시트(613) 상의 황색, 청색, 적색의 3색의 잉크가 열 전사되는 것에 의해, 표면에 풀 컬러로 인화 기록되고, 그 후에 기록지배출롤러(611)에 의해 프린터본체 외부의 기록지배출트레이(614) 상으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42 (b), the recording paper 605 further rotates between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and by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601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roller 611. Between the idler roller 612 and substantially three round trips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t the time of printing the image, during which the image is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printer apparatus. The three colors of yellow, blue, and red ink on the ink sheet 613 are thermally transferred by heat generated selectively from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not shown) arranged in the thermal head 609 according to the image. This prints the image on the surface in full color, and is then discharged on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tray 614 outside the printer main body by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roller 611.

또한, 실개평2-22835호 공보 및 특개평1-976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구성된 인화기구를 가진 프린터장치도, 종례로부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printer apparatus having a printing mechanism constructed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22835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97670 has also been widely used from the example.

다음에, 서말방식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기록지배출부와 그 기록지배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구동부에 의해 기록지배출부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반송부 및 인화부에 의해 인화 기록된 기록지를, 프린터장치의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록지배출기구에 착안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thermal type printer apparatus, the recording sheet is composed of a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and the recording sheet printed by the recording sheet conveying unit and the printing unit by driving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by the driving unit.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apparatus.

이 종류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로서는, 예컨대, 도 4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이 잘 채용되어 있다.As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is type of printer apparatu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2 is well employ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록지배출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프린터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동작, 인화동작 및 기록지배출동작의 순으로, 각 동작의 개략을 도 4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2,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기록지공급동작(기록지공급모드)에서는, 도 42(a)에 나타내듯이,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공급부의 기록지공급롤러(601)가 회전 구동되고, 그 기록지공급롤러(601)에 의해, 기록지공급트래이(602) 내에 수납되어 603에 의해 밀어올림판(604)을 거쳐 기록지공급롤러(601) 측으로 밀어 올려진 기록지(605)가, 기록지공급롤러(601)에 눌려지는 것에 의해 기록지공급트래이(602)로부터 프린터본체 내로 전달되고, 그 기록지(605)의 선단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된 기록지반송용의 캡스턴롤러(606)와 핀치롤러(607)에 끼워져 지지되고, 더욱이 캡스턴롤러(606)의 회전에 의해, 기록지(605)가 그 인화기록 시의 스타트위치로 반송된다.First, in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recording sheet supplying mode), as shown in Fig. 42 (a),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roller 601 of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unit is rotated by a driving unit (not shown), and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roller 601 is rotated. As a result, the recording paper 605 stored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and pushed up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1 by the lifting plate 604 by 603 is pressed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601.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605 is transferred from the supply tray 602 to the printer main body, and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for conveying the recording paper rotated and driven by the drive unit are supported by the capstan roller. By rotation of 606, the recording sheet 605 is conveyed to the start position at the time of printing the print.

이 상태에서, 인화동작(인화모드)에서는, 도 42(b)에 나타내듯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링크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말헤드유닛(608)이 변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605)가 서말헤드유닛(608)에 설치된 서말헤드(609)와 롤러(610)의 사이에 끼워진다.In this state, in the printing operation (printing mode), the thermal head unit 608 is displaced and moved by a link mechanism (not shown) driven by the drive unit, as shown in Fig. 42 (b). 605 is sandwiched between the thermal head 609 provided in the thermal head unit 608 and the roller 610.

이 기록지(605)는, 더욱이 도 42(b)에 나타내듯이, 캡스턴롤러(606)와 핀치롤러(607)의 사이, 및 기록지공급롤러(601)로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기록지배출롤러(611)와 아이들러롤러(612)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그 인화기록 시의 스타트위치와 엔드위치의 사이를 실질적으로 3왕복 주행하고, 그 사이에, 프린터장치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이, 그 화상에 따라 서말헤드(609)에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잉크시트(613) 상의 황색, 청색, 적색의 3색 잉크가 열 전사되는 것에 의해, 표면에 풀 컬러로 인화 기록된다.As shown in Fig. 42 (b), the recording paper 605 further rotates between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and by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601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roller 611. Is held between the idler roller 612 and travels substantially three round trips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t the time of printing the image, during which the image is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printer apparatus. Heat transfer of yellow, blue, and red three-color inks on the ink sheet 613 by heat generated selectively from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not shown) arranged in the thermal head 609 according to the image. Are printed in full color on the surface.

이상과 같이 하여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605)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록지배출동작(기록지배출모드)에서는, 도 42(c)에 나타내듯이, 기록지(605)는, 기록지공급롤러(601)로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기록지배출롤러(611)와 아이들러롤러(612)의 사이, 및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된 캡스턴롤러(606)와 핀치롤러(607)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이들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Y6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되어 프린터본체에 설치된 기록지배출트레이(614) 상으로 배출된다.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operation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ode) for discharging the recording sheet 605 in which the print recording has been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recording sheet 605 is the recording sheet supply roller 601 as shown in FIG. Is held betwee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rollers 611 and idler rollers 612 rotated by the pressing of < RTI ID = 0.0 >), < / RTI > between the capstan rollers 606 and the pinch rollers 607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e unit,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61 and is discharged on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tray 614 provided in the printer main body.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기록지공급기구에서는, 기록지공급트래이(602) 상의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에 맞닿게 하기 위해, 그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 방향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그 기구를 구성하는 가동판(606)이나 밀어올림레버(604) 및 서말헤드유닛(608) 등의 부품이 필요로 되고, 이들의 부품에 의해 구성된 상기와 같은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nte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the recording paper 108 is moved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so that the recording paper 108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 mechanism for pushing up in the (110) direction is required, and parts such as a movable plate 606, a pushing lever 604, and a thermal head unit 608 constituting the mechanism are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becomes complicated by providing such a mechanism constituted by the above.

또한, 상기 기록지공급기구를 기록지공급트래이(602) 상에서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방향으로 밀어 올리기 위해 이동시킬 때에 필요하게 되고, 가동식의 밀어올림레버(604)를 밀어올림스프링(60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기 위해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t is necessary to move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to push up the recording paper 108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602 in the direction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nd pushes the movable pushing lever 604 up (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power is required to displace the resistive force of 608.

또한, 종래의 기록지반송기구는, 제1에, 타이밍벨트(616B),(618B) 2매와, 가이드축(612B),(614B) 2매와, 그리고 변속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더하여 4개의 타이밍풀리(624B),(626B),(628B),(630B) 등, 많은 부재가 필요하게 되는 등 기구가 복잡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is firstly provided with two timing belts 616B and 618B, two guide shafts 612B and 614B, and a transmission gear (not shown). There are problems that the mechanism is complicated, such as the need for a large number of members, such as two timing pulleys 624B, 626B, 628B, and 630B.

또한, 제2에는, 양측의 타이밍벨트(616B),(618B)의 이빨의 피치차, 및 2개의 구동측 타이밍풀리(624B),(626B)의 형상 정밀도의 차가, 예컨대 기록지(636B) 상의 편 측에Also, in the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pitches of the teeth of the timing belts 616B and 618B on both sides and the shape precision of the two drive-side timing pulleys 624B and 626B is, for example, on the recording sheet 636B. On the side

더욱이는, 제3에, 상기 누름부재(620B)를 변위시키기 위해 플런저(623B) 등이 필요하고, 캐리지(610B)가 대형화 및 복잡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the third case, a plunger 623B or the like is required to displace the pressing member 620B,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riage 610B is enlarged and complicated.

더더욱이는, 일반적으로는, 인화 기록할 때의 기록지(605)의 왕복반송을, 도 42에 나타내는 캡스턴롤러(606) 및 핀치롤러(607)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지만, 롤러(610)와 캡스턴롤러(606) 및 핀치롤러(607) 더욱이는 서말헤드(609)의 상호 크기에 의해, 서말헤드유닛(608)에 대한 기록지(605)의 위치가 제한되어 캡스턴롤러(606) 혹은 핀치롤러(607)와 롤러(610)의 거리가 크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록지(605) 상에서 기록 후의 불필요한 여백이 증대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general,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of the recording paper 605 at the time of printing is mainly performed using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shown in FIG. 610, the capstan roller 606 and the pinch roller 607 furthermore, by the mutual size of the thermal head 609,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paper 605 relative to the thermal head unit 608 is limited to the capstan roller 606 o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inch roller 607 and the roller 610 becomes larg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unnecessary space after recording on the recording paper 605 will increase.

이 문제점은, 클램퍼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해결되지만, 역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This problem is solved by using a clamper method, but the above problem occurs in reverse.

또한, 종래의 인화기구는, 인화부를 구성하는 링크기구나 서말헤드유닛이나 롤러 등에 있어서는, 통상, 그들의 각 구성부품의 치수오차 등의 부품오차가 누적하여 맞붙임 정밀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화 기록할 때에는, 링크기구에 의해 변위 구동된 서말헤드유닛의 서말헤드가, 롤러의 배치상태와는 전혀 관계없고, 그 롤러에 눌려 맞닿도록, 그들 롤러와 서말헤드 사이의 위치결정시의 정밀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printing mechanism, in the link mechanism, the thermal head unit, the roller,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printing unit, component errors such as the dimension error of each of these components accumulate cumulatively, and the bonding accuracy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When printing in the state, the thermal head of the thermal head unit displaced and driven by the link mechanism is irrelevant to the arrangement of the rollers, and the accuracy at the time of positioning between the rollers and the thermal head is pressed so that the thermal head is pressed against the roll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링크기구나 서말헤드유닛이나 롤러 등을 구동하여, 기록지에 화상을 인화 기록한 경우에는, 그 기록화상에 있어서 인화얼룩 등이 발생하여, 충분한 인화화질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printing the image on the recording paper by driving the link mechanism, the thermal head unit, the roller,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 print stain or the like occurs on the recording image and sufficient print quality is not obtained. .

또한, 실개평2-22835호 공보 및 특개평1-97670호 공부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으로는, 서말헤드와 롤러는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접촉 시의 상대위치가 결정되지만, 이들의 구성에서, 잉크카세트를 롤러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하고 싶은 경우, 서말헤드로부터 롤러를 이간한 거리를,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잉크카세트의 잉크시트와 간섭하지 않도록 크게 떼어놓을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2-22835 and 1-97670, the relative position at the time of contact between the thermal head and the roller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member. When the cassette is desired to be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ller ax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thermal head to the roller head needs to be largely separated so that the positioning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k sheet of the ink cassette.

더욱이, 특개평1-97670호 공보의 구성은, 회전 이동 지점에서 서말헤드와 롤러의 개폐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의 궤적의 점유공간이 크게 되고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또, 실개평2-22835호 공부의 구성은, 헤드와 롤러의 개폐기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Moreover, since the structur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97670 becomes the structure which opens and closes a thermal head and a roller at a rotational movement point, the space occupied by the trajectory of a moving member becomes large, and it becomes difficult to miniaturize (a seal | stick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tudy,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of the head and the roller are not described.

또한, 종래의 기록지배출기구는, 기록지공급동작 및 인화동작의 각 동작 시에 작동하는 기구부품 이외에, 기록지배출동작을 위한 기록지배출롤러나 기록지배출트레이 등의 부품이 필요하게 되고, 기록지배출기구로서 필요한 부품점수가 많게 되고, 그 구성이 복잡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per sheet discharging mechanism requires parts such as a paper sheet discharging roller, a paper sheet discharging tray, and the like for the paper sheet discharg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mechanism parts that operate during the recording paper feeding operation and the print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quired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그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프린터장치 전체로서도, 구성이 복잡화하여 그 외형을 소형화 및 박형화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Therefor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the apparatu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and reduce the appearance.

본 발명은,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sheet which is a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급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per feed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공급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동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로의 기록지공급동작의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to a recording sheet convey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동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와 기록지 주고받음 동작의 설명도,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exchanging recording paper with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동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부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drive section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동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부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drive unit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동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9는,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모드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the print mode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의 부분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의 인화개시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rint start standby state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부로부터의 기록지공급동작의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from a recording sheet supply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3은,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부로부터의 기록지 수취동작의 설명도,Fig.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cording sheet receiving operation from the recording sheet supply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4는,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의 인화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int end state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5는,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부의 정면도,15 is a front view of a drive section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6은, 동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부의 평면도,16 is a plan view of a drive unit for explain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1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동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9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1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at the end of printing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0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k sheet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1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의 동작설명도,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hermal hea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2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용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2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mechanism for a thermal hea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3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의 스탠바이 시의 상태설명도,Fig. 23 is a state explanatory diagram of standby states of the thermal hea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4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의 인화시의 상태설명도,Fig. 24 is a state explanatory diagram at the time of printing of the thermal hea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5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부의 스탠바이 시의 배치관계 설명도,2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t the time of standby of the printing unit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6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부의 인화개시 시의 배치관계 설명도,Fig. 2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t the start of printing of the printing section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7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부의 인화종료 시의 배치관계 설명도,Fig. 27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t the end of printing of the printing section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8은,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2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9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2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unit in the third embodiment;

도 3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30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동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3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32는,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3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at the end of printing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3은,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모드에 대한 서말헤드의 위치설명도,3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osition of the thermal head in the operation mode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4는,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탠바이 시의 인화부의 배치관계 설명도,Fig. 3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print portions at the standby time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5는,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개시 시의 인화부의 배치관계 설명도,Fig. 3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print portion at the start of printing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6은,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화종료 시의 인화부의 배치관계 설명도,Fig. 3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printing section at the end of printing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7은,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3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8은, 동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3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unit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39는, 종래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공급기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3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of a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도 40은, 종래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4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of a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도 41은, 동 종래 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4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paper conveyance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도 42(a)는, 종래의 다른 프린터장치에 의한 기록지공급모드 시의 동작설명도,42 (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ode by another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도 42(b)는, 동 종래의 프린터장치에 의한 인화모드 시의 동작설명도,42 (b)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in the printing mode by the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도 42(c)는, 종래의 프린터장치에 의한 기록지배출모드 시의 동작설명도.Fig. 42C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in the recording paper ejecting mode by the conventional printer apparatus.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록지공급기구에 있어서 종래 필요로 했던 기록지 밀어올림용의 가동판이나 밀어올림 레버 및 밀어올림 스프링 등에 의한 기구를 불필요하게 함과 아울러, 그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필요로 되는 가동식의 밀어올림 레버를 밀어올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기 위한 큰 동력도 필요 없게 하여, 기록지공급기구를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여 간략화하고 또한 작은 동력에서 기록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형화 및 비용절감화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se problems and eliminates the need for a mechanism by a recording plate pushing plate, a pushing lever, a pushing spring, and the like, which is conventionally required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It eliminates the need for a large power for displacing the movable push-up lever required by use to resist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up spring, simplify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and supplying the recording paper at a small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r device that can be made compact, and that the size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기록지반송기구에 있어서 종래 많이 필요하였던 부품수를 삭감하여,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더없이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록지 상에 인화된 화상의 양 사이드에서의 화질의 불균형을 없게 할 수 있고, 소형이고 또한 싼값으로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고, 더욱이 기록 후의 기록지 상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여백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의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conventionally required in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can be simplified, and the image quality on both sides of the image printed on the recording paper can be elimina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printer device that can improve the print quality at a small size and at a low price, and can further prevent the increase of unnecessary margin on the recording paper after recording.

또한,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인화부를 구성하는 링크기구나 서말헤드유닛이나 롤러 등의 각 구성부품에 부품오차가 있어, 이들의 맞붙임 정밀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롤러와 서말헤드 사이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소형이고 또한 싼값에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component error in each component such as a link mechanism, a thermal head unit, a roller, etc. constituting the printing unit in the printing mechanism, the posi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thermal head is not suffici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r device that can easily improve the precision of crystallization and which can improve the print quality at a smaller size and at a lower cost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인화기구에서의 상기와 같은 위치결정부재에 의한 헤드와 롤러의 위치결정구성에서, 잉크카세트를 롤러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착탈가능하게 한 경우에,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헤드를 거의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헤드와 롤러와의 개폐기구의 이동공간을 작게 하고, 장치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n the positioning arrangement of the head and the roller by the position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nting mechanism, when the ink cassette is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ller axis, the link mechanism is used to make the head almost parall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r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moving sp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between the head and the roller and reducing the height of the entire apparatus.

또한, 인화 종료한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록지배출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하여, 그 구성을 더없이 간소화할 수 있고, 프린터장치 전체로서도, 구성을 간소화하여 싼값에 다만 그 외형을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s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finished recording paper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can be simplified further. Also, the entire printer apparatus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can be reduced at a low pr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device that can be thinned.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화기록을 위해, 그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내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급지하는 기록지공급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공급기구는, 상기 기록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기록지에 회전접촉 가능하고, 그 회전접촉에 의해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고, 또한 상기 기록지가 복수 매인 경우에는 분리 반송하는 기록지공급롤러와,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의 기록지에의 회전접촉을 위해,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에 기록지를 항상 누르는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의 기록지로의 회전접촉에 의해, 그 기록지를 반송하여 상기 프린터본체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recording paper supplying mechanism for feeding the recording paper by supplying the recording paper into the printer body;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is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recording paper and the recording pap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ans, and conveys the recording paper by the rotational contact, and separately convey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recording papers. A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a pressing means for always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for rota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conveying the recording paper by the rotational contact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to the recording pa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printer bod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지기구로서, 적어도, 기록매체로서 프린터본체 내에 급지되는 기록지를 수납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를 반송하여 프린터본체 내로 급지하는 기록지공급롤러와, 그 기록지공급롤러의 기록지에의 회전접촉을 위해, 기록지공급롤러에 기록지를 항상 누르는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이 누름 수단을, 수납수단을 프린터본체에 대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납수단 및 기록지의 자중(自重)에 의해 수납수단에 발생하는 지지수단에 의한 지지부분 주위의 모멘트를 이용하여, 그 수납수단에 의해 기록지를 기록지공급롤러로 누르고, 그 상태에서 기록지공급롤러가 회전 접촉하는 최초의 표면의 기록지를 반송하여 프린터본체 내부로 급지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t least, as a paper feeding mechanism,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which conveys the recording paper and feeds it into the printer body by storing the recording paper fed into the printer body as a recording medium, and the rota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For this purpose,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roll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for always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and the pressing means serves as a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torage means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rinter body. By using the moment around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holding means generated in the holding means by the holding means, the recording paper is pressed by the storing means by the recording paper feeding roller, and the recording paper of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recording paper feeding roller rotates in contact therewith. It is returned and fed into the printer body.

이것에 의해, 기록지공급기구에 있어서 종래 필요하였던 기록지 밀어올림용의 가동판이나 밀어올림레버 및 밀어올림스프링 등에 의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아울러, 그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필요하게 되고 가동식의 밀어올림레버를 밀어올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변위시키기 위한 큰 동력도 불필요하게 되고, 기록지공급기구를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여 간략화하고 또한 작은 동력으로 급지할 수 있고, 소형화 및 비용 절감할 수 있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recording plate pushing plate, a pushing lever, a pushing spring, or the like, which is conventionally required for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mechanism, and by using the mechanism. The large power for displacing the pushing lever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is also unnecessary, and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can be configured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which can be simplified and fed with a small power, and can be reduced in size and cost. .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본체 내에서 상기 기록지에 인화 기록할 때에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기록지 반송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 반송기구는, 상기 기록지의 선단부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캐리지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의 기록지에 대한 왕복반송 동작 시에, 그 캐리지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왕복반송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을 그 왕복반송 동작을 위해 구동하는 실질적으로 1조의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기록지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sheet on a recording sheet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recording sheet convey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recording sheet when printing the recording sheet on the recording sheet in the printer body; A carriage means for holding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and reciprocating the recording paper, a guide means for supporting the carriage means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transfer opera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transfer operation of the recording means with the carriage, and the carriage A set of substantially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means for the reciprocating conveying operation and power means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ans, the driving means being arrang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ording paper. It is characterized by on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지반송기구에, 기록지의 선단부를 유지하는 캐리지수단과, 그 캐리지수단을 지지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을 기록지 이동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실질적으로 1조의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을 기록지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리드스크류 혹은 1매의 타이밍벨트로 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를 리드스크류 혹은 타이밍벨트 1매 만으로 구동하여 기록지를 왕복 반송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includes carriage means for holding the leading end of the recording paper, guide means for supporting the carriage means, substantially one set of 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carriage means in the recording paper moving direction, And a drive means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means, the drive means being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recording paper width direction, and the drive means being a lead screw or a timing belt. The recording paper is reciprocated by driving with only one timing belt.

또한, 기록지의 클램프를 일으키는 누름부재를 구동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은 플런저를 사용하지 않고, 캐리지수단의 왕복이동동작을 구동하기 위해 본래 필요한 리드스크류를 사용하여 그 리드스크류를 모터에 의해 1매의 타이밍벨트를 거쳐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실시한다.In addition, the timing of one lead screw is driven by a motor using a lead screw inherently required to drive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means without using a plunger as in the prior art by driving the pressing member causing the clamp of the recording paper. It carries out by rotatingly driving through a belt.

이것에 의해, 기록지반송기구에 있어서 종래 많이 필요하였던 부품수를 삭감하여,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더없이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록지 상에 인화된 화상의 양 사이드에서의 화질의 불균형을 없앨 수 있고, 소형이고 또한 싼값으로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으며, 더욱이 기록 후의 기록지 상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여백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previously required in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and eliminating the imbalance in the image quality on both sides of the image printed on the recording pap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rint quality at a small size and at a low price, and furthermore, to increase unnecessary margin on the recording paper after recording.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잉크시트와 그 잉크시트공급용 및 권취용의 2매의 봉을 내부에 구비한 잉크카세트를 사용하고, 프린터본체 내에 있어서, 그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상기 기록지에 대하여, 상기 잉크시트 상의 잉크를 열전사하여 인화기록하고, 점형상의 복수의 발열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 전사를 위한 열을, 상기 인화 기록하는 화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열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서말헤드수단과, 상기 인화기록 시에, 상기 서말헤드수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열체의 배열과 동 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기록지 및 잉크시트를 상기 복수의 발열체로 누르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그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유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카세트를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장착 가능하게 한 인화기구를 가지고, 상기 인화기구는, 상기 서말헤드수단을 그 발열체의 배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한 변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말헤드수단에는, 그 발열체의 배열의 양단에 제1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롤러의 지지부 근방에 제2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변위기구에 의한 서말헤드수단의 상기 변위에 의해, 상기 제1의 위치결정수단과 제2의 위치결정수단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와 서말헤드수단의 위치관계를 확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medium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using an ink cassette provided with an ink sheet and two rods for supplying and winding the ink sheet therein. The image is printed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by thermal transfer of the ink on the ink sheet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paper, and a plurality of point heat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and the thermal transfer is performed. Thermal head means selectively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in accordance with an image for printing the heat for recording; and an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means and the rotation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int head. A roller for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and the ink sheet with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while rotating, and a bear for supporting and holding the rollers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nd a printing mechanism that enables the ink cassette to be moun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ller, wherein the prin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displace the thermal head mean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A displacement mechanism, wherein the thermal head means has first positioning means at both ends of the heat generator arrangement, and the bearing has second positioning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of the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and the thermal head means is determined by engaging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by the displacement of the thermal head means by the displacement mechanism. d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화기구는, 서말헤드수단에는 그 발열체의 배열의 양단에 제1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함과 아울러, 베어링에는 롤러의 지지부 근방에 제2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인화 기록할 때에는, 변위기구에 의해 서말헤드 수단을 그 발열체의 배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제1의 위치결정수단과 제2위치결정수단을, 서말헤드 수단 및 롤러의 양단에서 결합시키고, 롤러와 서말헤드수단의 위치관계를 확정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rint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ing means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means, and a second positioning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of the roller. Therefore, in printing, the thermal head means is displac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by the displacement mechanism, and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hermal head means and the roller.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and the thermal head means.

이것에 의해,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인화부를 구성하는 링크기구나 서말헤드유닛이나 롤러 등의 각 구성부품에 부품오차가 있어 이들의 맞닿는 정밀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롤러와 서말헤드 사이의 위치결정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소형이고 또한 싼값으로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re is a component error in each component such as a link mechanism, a thermal head unit, a roller, etc. constituting the print portion of the printing mechanism, the posi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thermal head is not obtained sufficiently. The crystal precision can be easily improved, and the print quality can be further improved at a smaller size and at a lower cost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인화기구에서의 상기와 같은 위치결정부재에 의한 헤드와 롤러의 위치결정구성에서, 잉크카세트를 롤러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한 경우에,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헤드를 거의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헤드와 롤러의 개폐기구의 이동공간을 적게 하고, 장치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ositioning configuration of the head and the roller by the position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nting mechanism, when the ink cassette is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ller axis, the link mechanism is used to make the head almost parallel. By moving, the moving sp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head and a roller can be reduced, and the height of the whole apparatus can be suppressed low.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본체에 부착된 기록지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기록지 중, 인화기록을 위해 상기 기록지 수납부로부터 프린터본체 내로 공급되고,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록지배출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배출기구는, 상기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의 단부를 누르도록 배치된 기록지배출레버수단과, 기록지의 상기 배출 시에, 상기 기록지배출레버수단에 의해 단부가 눌려진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배출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배출레버수단을, 상기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를 상기 기록지배출수납부로 반송할 때에, 그 기록지의 단부를 누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wherein the recording paper stored in the recording paper storage unit attached to the printer body is supplied from the recording paper storage unit to the printer body for printing the print; A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where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has a recording sheet discharging lever means arranged to press an end portion of the recording sheet on which the print recording is completed, and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lever means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recording sheet; And a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recording paper whose end portion is pressed by the second paper, where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means presses the end of the recording paper when conveying the recording paper on which the print recording is completed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It is don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화종료 후, 기록지가 그 단부를 롤러 상에 태운 상태에서, 기록지배출기구의 기록지배출레버수단이, 회전 이동하여 기록지의 단부를 누르고, 그 기록지를, 롤러를 지나, 기록지수납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린터본체 저부의 기록지배출수납부에 자연 낙하되어, 인화 종료한 기록지를, 기록지배출수납부까지 반송하여 그 기록지배출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end of the printing, the recording paper ejecting lever means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rotates and presses the end of the recording paper while the recording paper is burnt its end on the roller. The recording paper is naturally dropped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printer main body located below the still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printed paper which has finished printing is conveyed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and stored 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이것에 의해, 인화 종료한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록지배출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하여, 그 구성을 더없이 간소화할 수 있고, 프린터장치 전체로서도, 구성을 간소화하여 싼값에 또한 그 외형을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finished recording paper out of the printer body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can be simplified further. Also, as a whole of the printer apparatus,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appearance can be reduced at a low price. It can be downsized and thin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프린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inter apparatus which show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구성 및 구체적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또, 여기서 설명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도,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프린터장치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는 기록지공급부, 인화부, 기록지반송부,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등의 기구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기본동작도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는 주로, 기록지공급기구와 관계가 깊은 기록지공급부와, 기록지반송부와, 이들 기록지공급부 및 기록지반송부를 정해진 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그들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Also in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herein, similarly to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printer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mechanism blocks such as a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 printing unit,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 recording paper ejecting unit, and a driving unit, and the basic elements of each unit. The operation is the same. Further, here, mainly,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having a deep relation with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m to operate these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s and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s defined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공급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공급부 및 구동부 중, 기록지공급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First,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nd th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공급기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1 and 2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이 기록지공급기구에 있어서의 기록지공급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외장(外裝)(100)에 누름 수단을 구성하는 지지수단으로서의 회전축(10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트레이(A)(104)와, 이 트레이(A)(104)와 동일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트레이(B)(106)에 의해 수납수단이 구성되고, 이들 트레이(A)(104) 및 트레이(B)(106)로 이루어진 수납수단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접어 수납할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기록지(108)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is a tray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rotating shaft 102 as a supporting means constituting a pressing means on the exterior 100. As shown in FIG. (A) 104 and the tray (B) 106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similarly to this tray (A) 104, and a storing means is comprised, and these tray (A) 104 and the tray ( The storage means composed of B) 106 can be folded and store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 when not in use, and the recording paper 108 can be mount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when used.

또한, 기록지(108)는, 기록지공급롤러(110)에 눌려 맞닿아지고, 기록지공급롤러(110)의 화살표(Y10)로 나타내는 회전에 동기하여 화살표(Y11)로 나타내도록 프린터 내부로 반송되고 있다. 이 기록지(108)의 눌려 접촉되는 힘은, 기록지(108), 트레이(A)(104), 트레이(B)(106) 및 트레이(B)(106)에 부착되어 누름 수단을 구성하는 판재(114)의 각 자중을 합성한 중력(W)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축(102) 주위의 회전모멘트(M1)에 의해 부여된다. 판재(114)는, 일종의 가중부재이고, 기록지공급동작을 일으키기 위해 최적의 누름력이 얻어지도록 그 중량이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cording paper 108 is pressed against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rinter so as to be indicated by the arrow Y1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indicated by the arrow Y10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 The pressing force of the recording paper 108 is attached to the recording paper 108, the tray (A) 104, the tray (B) 106, and the tray (B) 106 to form a sheet material ( It is given by the rotation moment M1 around the rotating shaft 102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the gravity W which synthesize | combined each magnetic weight of 114. The plate member 114 is a kind of weighting member, and its weight is set so that an optimum pressing force can be obtained in order to cause a recording sheet feeding operation.

또한, 고부부재(118)가 부착된 겹침반송방지패드(116)가,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공급롤러(110)에 항상 눌려져 있다. 기록지공급롤러(110)에 의해 프린터본체 내부방향으로 반송된 기록지(108)는, 상부기록지가이드판(120) 및 마이라필름제로 그것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기록지가이드판(120) 방향으로 부세된 하지가이드판(122)의 사이를 통과하여, 서말헤드가 부착된 서말헤드유닛(S1)이나 기록지(108)를 서말헤드유닛(S1) 방향으로 누르는 롤러(72) 등이 배치된 인화부, 및 기록지(108)로의 인화 시에 그 기록지(108)를 왕복 반송하는 캐리지(210) 등이 배치된 기록지반송부로 보내어진다.In addition, the overlap conveyance prevention pad 116 to which the height member 118 is attached is always pressed against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by a torsion spring (not shown). The recording paper 108 conveyed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in the printer body direction is biased toward the upper recording paper guide plate 1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recording paper guide plate 120 and Myra film itself. A print section in which a roller 72 or the like for passing through the lower guide plate 122 and pressing the thermal head unit S1 with the thermal head or the recording paper 108 toward the thermal head unit S1 is disposed; At the time of printing on the recording paper 108, a carriage 210 or the like for reciprocating the recording paper 108 is sent to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다음에,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기록지공급롤러(110)를 화살표(Y10)로 나타내듯이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riving unit for rotatingly driv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as indicated by an arrow Y10.

이 구동부는, 도 1 및 도 2에 2점쇄선에 의해 구동부(96)로 하여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반송모터(400)의 회전축에는 구동 풀리(402)와 웜기어(A)(40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중 구동 풀리(402)는 고무벨트(436)를 거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캐리지(210)의 왕복이동을 구동한다.This drive part is shown as the drive part 96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 and FIG. 2,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drive shaft pulley 402 and the worm gear ( A) 404 is fixed. Among these, the driving pulley 402 drive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10 shown in FIG. 1 and FIG. 2 via the rubber belt 436. FIG.

한편, 상기 반송모터(400)의 동력의 일부는, 선택적으로 웜기어(A)(404)로부터 2단아이들러기어(A)(406), 전달수단으로서 아이들러기어(A)(408), 2단 아이들러기어(B)(437), 잉크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릴대(8)로 형성된 릴대기어(438)로 전달된다. 아이들러기어(A)(408)는 점 C5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회전레버(410)에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회전레버(410)로 형성된 돌기(T5)가, 후술하는 선택수단으로서의 구동캠(422)의 회전에 따라 그 구동캠(422)에 형성된 캠홈에 끼워 맞추어지면서 미끄러져 이동하고, 화살표(Y50)로 나타내듯이, 점 C5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아이들러기어(A)(408)는, 릴대기어(438)와 맞물린 2단 아이들러기어(B)(437)에 맞물리는 비작동위치인 권취릴 구동위치와, 후술한 아이들러기어(B)(414)와 맞물리는 작동위치인 기록지공급위치 및 어떤 것과도 맞물리지 않는 중립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power of the transfer motor 400 is selectively from the worm gear (A) 404 to the two-stage idler gear (A) 406, the idler gear (A) 408 as the transmission means, the two-stage idler. The gear B 437 and the reel gear 438 formed by the reel 8 for winding the ink sheet are transferred. The idler gear (A) 408 is axially supported by the rotation lever 410 which rotates and moves at the point C5, and the projection cam T5 formed by the rotation lever 410 serves as a selection means described later. The idler gear A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422 while being slid to fit in the cam groove formed in the drive cam 422 and swinging at the point C5 as indicated by the arrow Y50. 408 is a winding reel driving position which is a non-operat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two-stage idler gear (B) 437 engaged with the reel-to-gear gear 438, and an operation of engaging with the idler gear (B) 414 described later. The recording paper feed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and the neutral position, which does not mesh with anything, can be selectively taken.

아이들러기어(A)(408)가 기록지공급위치인 때는, 반송모터(400)로부터의 동력은, 아이들러기어(A)(408), 캠축(418)에 회전이동이 자유롭도록 축으로 지지된 아이들러기어(B)(414)(캠축(418)과 동축으로 축으로 지지된 구동캠(422)은 별도 부품이고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아이들러기어(C)(416)(동축에 설치된 후술하는 2단 아이들러기어(C)(426)와는 별도 부품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다), 아이들러기어(D)(417), 그리고 기록지공급기어(420)로 전달되고, 상술한 기록지공급롤러(110)를 회전 구동한다. 반송모터(40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이하와 같이 정의했을 때, 권취릴대(8)의 구동은 정회전이고, 기록지공급롤러(110)의 구동은 반전을 일으킨다. 여기서, 정회전은, 캐리지(210)의 왕복이동 중 스타트위치로부터 엔드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역회전은, 정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나타낸다.When the idler gear (A) 408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the power from the transfer motor 400 is the idler gear supported by the shaft so that rotational movement is free to the idler gear (A) 408 and the cam shaft 418. (B) 414 (the drive cam 422 coaxially supported with the camshaft 418 is a separate component and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idler gear (C) 416 (to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on the coaxial The two-stage idler gear (C) (426)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separate component), the idler gear (D) 417, and the recording paper feed gear 420 is transferred to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 To drive rotation. When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ransfer motor 400 are defined as follows, the drive of the take-up reel 8 is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drive of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causes the inversion. Here, the forward rotation represents the direction of movement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10, and the reverse rotation represent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한편, 캠축(418)에 지지된 구동캠(422)은, 캠모터(421)에 의해 웜기어(B)(424), 2단 아이들러기어(C)(426)를 거쳐 구동된다. 구동캠(422)은, 후의 동작설명으로 서술하는 7종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6개소의 정지위치를 취할 수 있다(7종의 동작모드 중 2종은 동일 정지위치). 이 위치검출은, 각 정지위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스위치가 형성되고, 또한 구동캠(4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검출판(428)과,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위치검출용의 오토센서(432)와, 원점검출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cam 422 supported by the cam shaft 418 is driven by the cam motor 421 via the worm gear (B) 424 and the two-stage idler gear (C) 426. The drive cam 422 can take six stop positions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ven kinds of operation mode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peration description (two of the seven operation modes are the same stop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on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plate 428 which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stop position and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cam 422, and the position detection auto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detection plate 428. It carries out by the sensor 432 and the micro switch (not shown) which makes origin detection.

다음에 본 제1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로서는, 스탠바이, 기록지배출, 잉크시트 느슨함 부착, 기록지공급, 기록지전송, 잉크시트전송 및 인화의 7종의 동작모드가 있고, 상술한 구동캠(422)은, 이들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술하듯이 6개소의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 1은, 상기의 7동작모드 중, 특히 기록지공급기구에 관계가 있는 스탠바이모드, 기록지공급모드, 인화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러기어(A)(408)의 동작상태(위치)를 나타내는 표이고, 이들의 동작모드 중 급지모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ode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modes of the printer apparatus include seven operation modes of standby, recording sheet ejection, ink sheet loosening, recording sheet supply, recording sheet transfer, ink sheet transfer, and printing.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it is configured to have six stop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positions) of the idler gears (A) 408 in the standby mode, the recording paper supply mode, and the printing mode related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among the seven operation modes described above. The paper feeding mode among these operation mod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프린터장치가 급지모드로 되면, 반송모터(400)가 반전 구동되고, 도 3에 나타내듯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는 해제위치로 이동하고, 기록지(108)는 기록지공급롤러(110)에 의해 기록지공급부보다 프린터본체 내부로 반송된다. 먼저, 캐리지(210)가 해제위치에 도달하고, 기록지(108)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이 사이, 반송모터(400)는 반송 구동된 채이므로 캐리지(210)는 해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When the printer apparatus is in the feeding mode, the conveying motor 400 is reversely driven, and as shown in Fig. 3, the carriage 210 at an arbitrary position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cording sheet 108 is a recording sheet supply roller ( 110, it is conveyed inside the printer body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First,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nd waits for the recording paper 108 to arrive (in the meantime, the carriage motor 400 remains driven and the carriage 210 remains in the released state). .

그 후, 급지롤러(110)에 의해 기록지공급부로부터 반송되어 급지된 기록지(108)가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에 도달하고, 더욱이 도 4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가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96)에 의해 구동된 기록지공급부에 의한 기록지(108)의 기록지공급동작이 종료한다. 이 사이, 인화부의 서말헤드유닛(S1)은, 도 3에 나타내는 급지위치에 있다.Thereafter, the recording paper 108 conveyed and fed by the paper feeding roller 110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reaches the position shown in FIG. 3, and 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the carriage 210 moves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By clamping,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operation of the recording sheet 108 by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unit driven by the drive unit 96 ends.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S1 of the print portion is in the paper feeding position shown in FIG.

이와 같이 하여, 캐리지(210)가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하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하고, 반송모터(400)는, 정회전구동으로 변환되고, 캐리지(210)는, 도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타트위치로 전달하고, 인화동작을 개시한다.In this way, when the carriage 210 clamps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the recording pa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operates, and the conveying motor 400 is converted to the forward rotation drive, and the carriage 210 Mov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transfers to the start position, and starts the printing operation.

이상과 같이, 트레이(A)(104),(106) 및 기록지(108)와 판재(114)의 자중에 의해 트레이(A)(104),(106)에 발생하는 회전축(102)에 의한 지지부분 주변의 모멘트(M1)를 이용하여, 그 트레이(A)(104),(106)에 의해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로 누르고, 그 상태에서 기록지공급롤러(110)가 회전 접속하는 맨 위 표면의 기록지를 반송하여 프린터본체 내로 급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upport by the rotary shafts 102 generated in the trays A, 104 and 106 due to the weight of the trays A, 104, 106 and the recording paper 108 and the sheet material 114. Using the moment M1 around the part, the recording paper 108 is pressed on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by the trays A, 104 and 106, and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rotates in that state. The recording sheet on the top surface to be connected can be transported and fed into the printer body.

그 결과, 기록지공급기구에 있어서 종래 필요하였던 기록지 밀어올림용의 가동판이나 밀어올림레버 및 밀어올림스프링 등에 의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아울러, 그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필요로 하는 가동식의 밀어올림레버를 밀어올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변위시키기 위한 큰 동력도 필요로 하지 않고, 기록지공급기구를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여 간략화하고, 또한 작은 동력으로 급지할 수 있고, 소형화 및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does not require a movable plate, a pushing lever, a pushing spring, or the like, which is conventionally required for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and a movable push required by using the mechanism. It does not require large power to displace the lifting lever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lifting spring, and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can be configured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and can be fed with a small power, and can be reduced in size and cost. Can be.

또한, 구동캠(422)에 의해, 아이들러기어(A)(4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에 기록지 반송용의 동력을 전달하는 급지위치와 차단하는 권취릴구동위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프린터장치의 급지동작 시에 아이들러기어(A)(408)를 기록지공급위치로서, 반송모터(400)로부터 인가되는 기록지반송용의 동력을 기록지공급롤러(110)로 전달하고, 그 상태에서 기록지공급롤러(110)가 회전 접촉하는 맨 위 표면의 기록지를 반송하여 프린터본체 내로 급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cam 422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idler gears (A) 408 into a feeding position for transmitting power for transferring the recording paper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nd a winding reel driving position for blocking. In the paper feeding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the idler gear (A) 408 is used as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and the power for recording paper conveyance applied from the transfer motor 400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and the recording paper supply is performed in that state. The recording paper on the top surface of which the roller 110 rotates can be conveyed and fed into the printer body.

그 결과, 급지기구를 적은 부품수로 구성하여 간략화하고 또한 적은 동력으로 급지할 수 있고, 소형화 및 비용 절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aper feeding mechanism can be configured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can be simplified and can be fed with low power, and can be miniaturized and reduced in cost.

또, 본 제1실시예는, 누름 수단을, 수납수단을 프린터본체에 대하여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인 회전축(102) 및 판재(114)로 하는 것에 의해, 수납수단 및 기록지(108)와 판재(114)의 총자중에 의해 수납수단에 발생하는 회전축(102)에 의한 지지부분 주위의 모멘트를 이용하여, 그 수납수단에 의해 기록지(108)를 기록지공급롤러(110)에 누르고, 그 상태에서 기록지공급롤러(110)가 회전 접촉하는 맨 위 표면의 기록지를 반송하여 프린터본체 내로 급지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수납수단을, 회전축(102)을 회전중심으로서, 기록지공급롤러(110) 측으로 항상 누르도록, 하면으로부터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olding means and the recording paper 108 are formed by using the pressing means as the rotating shaft 102 and the plate member 114, which are th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moving means freely with respect to the printer body. And the recording paper 108 is pressed against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110 by the storage means by using the moment around the supporting portion by the rotating shaft 102 generated in the storage means by the total weight of the sheet material 114. Although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is configured to convey the recording paper on the top surface which is in rotational contact in the state and to feed the paper into the printer body, the storage means is always pressed toward the recording paper feed roller 110 with the rotating shaft 102 as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ressurizing means such as a spring which can apply a force from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구성 및 구체적 작용을, 도 7 내지 도 1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또, 여기서 설명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도,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프린터장치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 기록지공급부, 인화부, 기록지반송부,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등의 기구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분의 기본동작도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는 주로, 기록지반송기구와 관계가 깊은 기록지반송부와, 인화부와, 이들 기록지반송부 및 인화부를 소정대로 작동시키기 위해 그들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Also, in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herein, similarly to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printer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mechanical blocks such as a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 a printing unit,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 recording paper ejecting unit, and a driving unit, and the basis of each part. The operation is the same. In addition, mainly,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part which has a relationship with a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a printing part, and the drive part which drives them in order to operate these recording paper conveying parts and a printing part predeterminedly are demonstrated.

먼저, 본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반송부 및 구동부 중, 기록지반송부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First,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7 and 8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이 기록지반송기구에 있어서의 기록지반송부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프린터장치 내에서 기록지(108)를 왕복반송(실질적으로는 3왕복)하여 인화부에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베어링(200),(202)에 지지된 구동수단으로서 리드스크류(204)는, 프린터본체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고, 도 11에 나타내어 후술하는 동력수단인 반송모터(400) 및 구동수단인 고무벨트(436)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구동이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reciprocates the recording paper 108 in the printer apparatus (actually three round trips) to form a color image in the printing unit. As shown in FIG. 7, the lead screw 204 as the driving means supported by the bearings 200 and 202 is disposed almost in the center of the printer main body, and the conveying motor 400 is a power means described later in FIG. 11. And by the rubber belt 436 as a drive means fo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e.

리드스크류(204)의 한편의 단(도면 우단)에는 주위에 다극자석이 부착된 수지마그네트제의 위치검출판(206)이 고정되어 있다. 이 위치검출판(206)에 대향하여 MR센서(208)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리드스크류(204)의 회전량검출을 일으킨다.On one end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lead screw 204, a position detecting plate 206 made of a resin magnet with a multi-pole magnet attached thereto is fixed. The MR sensor 208 is disposed opposite to the position detecting plate 206, thereby cau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lead screw 204 to be detected.

또, 도 9에, 본 제2실시에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에 있어서의 인화모드(기록지반송모드)시에서의 인화종료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9 shows the state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printing in the printing mod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상의 기록지반송부의 상세구성에 대하여, 도 10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carrier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도 11 및 도 13은 후술하는 캐리지(210)가 인화모드 시에 있어서의 스타트위치에 있는 상태 즉, 인화개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동일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 즉, 인화동작의 전후에서 기록지(108)의 유지 및 해방을 일으키는 상태, 도 14는 기록지반송모드에 있어서의 엔드위치 즉, 인화모드 시에 있어서의 인화종료상태(3색의 인화가 완전히 완료한 때만이 아니고, 각 색의 인화종료시도 포함한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캐리지(210)의 주요구성부품의 개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1 and 13 show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t the start position in the print mode, that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print start state, and FIG. 12 is in the same release position, i.e., before and after the print operation.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that is, the end position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i.e., the end of printing in the printing mode (not only when the printing of the three colors has been completely completed, Is also included at the end of igni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view of main components of the carriage 210.

캐리지(210)는, 캐리지본체(210a)에, 리드스크류(204)에 끼워 맞춘 암나사부재(212)를 내장하고, 해제위치 및 엔드위치 사이를, 전송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에 대응하여 왕복 이동한다.The carriage 210 incorporates a female screw member 212 fitted to the lead screw 204 in the carriage body 210a, and reciprocates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in response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Move.

캐리지(210)의 스타트위치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도 12에 나타내는 해제위치보다 약간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이다. 리드스크류(204)의 중심축 주위의 캐리지(210)의 회전규제는, 캐리지본체(210a)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캐리지축(214)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외장(100)에 형성된 가이드수단인 홈(216)에서 가이드지지되는 것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start position of the carriage 210 is a position displaced to the left side of the figure slightly rather than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Rotation regulation of the carriage 210 around the center axis of the lead screw 204 is a guide in which the carriage shaft 214 protruding downward of the carriage body 210a is formed in the exterior 100 shown in FIGS. 7 and 8. It is implemented by being guided by the groove 216 which is a means.

또한, 캐리지(210)는, 캐리지본체(210a)에 회전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2개의 누름부재(218),(220)를 가지고, 이들의 누름부재(218),(220)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듯이, 기록지(108)의 선단부를 끼우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 유지력을 얻기 위해, 압축스프링(232),(234)에 의해 누름부재(218),(220)를 회전이동하도록 힘을 가한다.In addition, the carriage 210 has two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210a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s shown in Fig. 13,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cording paper 108 can be held to be sandwiched. In order to obtain this holding force, a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by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암나사부재(212)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외형이 원통형이고, 캐리지본체(210a)의 중앙부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22)에 미끄러짐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암나사부재(212)의 양 사이드에 돌출한 구동축(224),(226)은, 동일 캐리지본체(210a)에 형성된 2개의 U자형의 긴구멍(228),(230)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 긴구멍(228),(230)에 규제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암나사부재(212)의 상기 미끄러짐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emale screw member 21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emale screw member 212 freely slides in the fitting hole 222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arriage body 210a. The drive shafts 224 and 226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are fitted into two U-shaped long holes 228 and 230 formed in the same carriage body 210a.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regulated by the long holes 228 and 230.

누름부재(218),(220)는, 선단이 캠면(236),(238)으로 된 꺾음부(240),(2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236),(238)은, 구동축(224),(226)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암나사부재(212)는, 압축스프링(232),(234)의 탄성력에 의해,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항상, 캐리지본체(210a) 내에 있어서의 좌단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formed with the bent portions 240 and 242 having the tip ends of the cam faces 236 and 238, and the cam faces 236 and 238 have a drive shaft ( 224) and 226. For this reason, the female screw member 212 always applies a force to the left end in the carriage body 210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as shown to FIG. 13 and FIG. have.

또한, 암나사부재(212)를, 캐리지본체(210a)에 대하여, 상기 좌단에서 도 13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인 서말헤드유닛(S1)이 있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암나사부재(212)의 구동축(224),(226)이, 캠면(236),(238)을 거쳐, 누름부재(218),(220)를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즉, 도 12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는 해제위치로 되고, 누름부재(218),(220)는 입구를 연 해방상태로 된다.Further, when the female screw member 212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body 210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ermal head unit S1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13 is located from the left end, the drive shaft 224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is moved. , 226 rotates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via the cam surfaces 236 and 238. 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carriage 210 is in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in a released state with the inlet open.

암나사부재(212)는 그 내부에 나사산(244)을 가지고, 한 편, 리드스크류(204)는, 거의 전 길이에 걸쳐 나사산을 가지고(다만, 각 도에서는 중간을 생략하고 있다) 있지만, 그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246)이 있고, 여기서는, 리드스크류(204)를 구동하여도, 암나사부재(212)를 전달할 수 없다.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도 12가 이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The female screw member 212 has a thread 244 therein, while the lead screw 204 has a thread over almost the entire length (but the middle is omitted in each figure). There is a portion 246 in which no thread is formed. Here, even if the lead screw 204 is driven, the female screw member 212 cannot be transmit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FIG. 12 corresponds to this state.

이하, 동작설명을 간단히 시작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 및 엔드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를, 스타트위치를 넘어서 더욱이 도면 오른쪽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는, 그 캐리지본체(210a)의 일단이 도 10에 나타내는 스토퍼(248)에 맞닿아 있는 것에 의해, 해제위치로 위치하도록 된다.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operation. When the carriage 210 at any position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S. 13 and 14 is further displac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beyond the start position, as shown in FIG. 12, the carriage 210 is One end of the carriage body 210a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48 shown in FIG.

여기서, 반송모터(400)를 더욱 회전을 계속하면, 암나사부재(212)는, 더욱이 도면 오른쪽방향으로 변위 계속하고, 리드스크류(204)의 단부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246)까지 넘겨지면, 그 위치에서 회전의 상태로 된다. 이 사이, 암나사부재(212)의 구동축(224),(226)에 의해 캠면(236),(238)이 눌려지고,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내듯이, 누름부재(218),(220)는 해방상태를 가진다.Here, if the conveying motor 400 continues to rotate further, the female screw member 212 further continues to displace in the right direction, and is passed to the threadless portion 246 at the end of the lead screw 204. It is in a state of rotation at the position. During this time, the cam surfaces 236 and 238 are pressed by the drive shafts 224 and 226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Have liberation

이것은, 리드스크류(204)의 도면상에서 가장 오른쪽 단의 나사산의 우측의 경사면이, 암나사부재(212)의 동일 가장 왼쪽 단의 나사산의 좌측 경사면을 회전하면서 미끄러짐 이동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drawing of the lead screw 204, the inclined surface on the right side of the thread on the rightmost end is kept sliding while rotating the left inclined surface of the thread on the same left end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다음에, 반송모터(400)의 회전을 반전하여 정회전구동으로 하면, 암나사부재(212)는, 다시 리드스크류(204)의 나사산과 맞물리기 시작하고, 캐리지본체(210a)를 남겨둔 채 도면 오른 쪽방향으로 변위한다. 암나사부재(212)가 캐리지본체(210a) 내의 이동가능범위의 1번 좌측에 도달하면, 그것 이후는, 양자 일체로 되어 도 14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방향으로 변위하기 시작한다.Next, when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otor 400 is reversed to the forward rotation drive, the female screw member 212 starts to engage with the thread of the lead screw 204 again, leaving the carriage body 210a right. Displace to the direction. When the female screw member 212 reaches the first left side of the movable range in the carriage body 210a, thereafter, the female screw member 212 starts to move in the end position direction shown in Fig. 14 after being integrated with both.

본 프린터장치는, 황색(Y), 적색(M), 및 청색(C)의 3색을 겹치는 것에 의해 컬러화상을 형성하므로, 캐리지(210)는, 실질적으로 스타트위치와 엔드위치의 사이를 3왕복할 필요가 있다.The printer apparatus forms a color image by superimposing three colors of yellow (Y), red (M), and blue (C), so that the carriage 210 is substantially separated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You need to make a round trip.

이상과 같이 하여 실시되는 인화동작의 종료 후, 캐리지(210)는, 상술하듯이 해제위치까지 집어 넘겨지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누름부재(218),(220)은 해방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서말헤드유닛(S1)을 인화위치로부터 기록지배출부·풀림위치에 집어 올리는 것에 의해, 서말헤드유닛(S1)에 의한 기록지(108)로의 롤러(72)방향의 누름을 해제한다.After the end of the printing operation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arriage 210 is turned over to the releas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2,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in the released state. In this state, the thermal head unit S1 is picked up from the print position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portion and the unwinding position, thereby releasing the pressing of the thermal head unit S1 toward the recording paper 108 by the thermal head unit S1.

다음에,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기록지반송부에 있어서의 캐리지(210)를 화살표 Y12로 나타내듯이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riving section for reciprocating the carriage 210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section explained in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이 구동부는, 도 7 및 도 8에 2점 쇄선에 의해 구동부(96)로 하여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 15에 나타내듯이, 반송모터(400)의 회전축에는, 전달수단인 구동 풀리(402)와 웜기어(A)(404)가 고정되어 있다.This drive part is shown as the drive part 96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and FIG. 8, As shown in FIG. 15, the drive pulley 402 which is a transmission means, and a worm gear are shown in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veying motor 400. As shown in FIG. (A) 404 is fixed.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듯이, 아이들러기어(A)(408)가 점 C5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회전레버(410)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레버(410)에 형성된 돌기(T5)가, 후술하는 구동캠(422)의 회전에 다라서 그 구동캠(422)에 형성된 캠홈에 끼워 맞추어지면서 미끄러짐 이동하고, 화살표 Y50에 나타내듯이, 점 C5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아이들러기어(A)(408)는, 릴대기어(438)와 맞물려진 2단 아이들러기어(B)(437)에 맞물리는 권취릴구동위치와, 후술의 아이들러기어(B)(414)와 맞물리는 기록지공급위치 및 어느 쪽과도 맞물리지 않는 중립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15 and 16, the idler gear (A) 408 is supported by the rotary lever 410 which rotates and moves around the point C5, and the projection T5 formed on the rotary lever 410. By sliding the drive cam 422 to be described later, the slide cam is fitted into the cam groove formed in the drive cam 422, and the swing is made by swinging the point C5 as a point as indicated by arrow Y50. The idler gear (A) 408 meshes with the reel driv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two-stage idler gear (B) 437 meshed with the reel stand gear 438 and the idler gear (B) 414 described later. The recording paper feed position and the neutral position not engaged with either side can be selectively taken.

아이들러기어(A)(408)가 기록지공급위치에 있을 때는, 반송모터(400)로부터의 동력은, 아이들러기어(A)(408), 캠축(41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아이들러기어(B)(414)(캠축(418)에 동축으로 지지된 구동캠(422)과는 서로 별도의 부품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아이들러기어(C)(416)(동축에 설치된 후술하는 2단 아이들러기어(C)(426)와는 별도부품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아이들러기어(D)(417), 그리고 기록지공급기어(420)로 전달되고, 상술한 기록지공급부에 의한 프린터본체 내의 기록지공급동작을 구동한다.When the idler gear (A) 408 is in the recording paper feed position, the power from the transfer motor 400 is idler gear (B)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ed by the idler gear (A) 408 and the cam shaft 418. ) (414) (the drive cam 422 coaxially supported on the cam shaft 418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separate component), idler gear (C) 416 (2 described later installed on the coaxial However, the idler gear (C) 426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separate component), the idler gear (D) 417, and the recording paper feed gear 420 is transferred to the printer body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described above. Drive the recording paper supply operation in the apparatus.

이와 같이 하여 급지동작을 구동하는 반송모터(400)의 동력의 일부는, 아이들러기어(A)(408)가 권취릴구동위치일 때는, 선택적으로, 웜기어(A)(404)로부터 2단아이들러기어(A)(406), 아이들러기어(A)(408), 2단 아이들러기어(B)(437), 잉크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릴대(8)에 형성된 릴대기어(438)에 전달된다.In this way, a part of the power of the transfer motor 400 for driving the feeding operation is selectively selected from the worm gear (A) 404 when the idler gear (A) 408 is in the winding reel driving position. (A) 406, idler gears (A) 408, two-stage idler gears (B) 437, and reel gears 438 formed on the winding reel base 8 for winding the ink sheet.

또, 반송모터(40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이하와 같이 정의할 때, 권취릴대(8)의 구동은 정회전이고, 기록지공급부의 구동은 역회전을 일으킨다.In addition, when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ransfer motor 400 are defined as follows, the drive of the take-up reel 8 is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drive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section causes the reverse rotation.

결국, 반송모터(400)의 정회전을, 캐리지(210)의 왕복이동 중 스타트위치에서 엔드위치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하고, 반송모터(400)의 반전을, 상기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한다.As a result, the forward rotation of the transfer motor 400 is made in the direction of conveying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10, and the inversion of the conveying motor 400 is ma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do.

상기 캠축(418)에 지지된 구동캠(422)은, 캠모터(421)에 의해 웜기어(B)(424), 2단 아이들러기어(C)(426)를 거쳐 구동된다. 이 구동캠(422)은, 후의 동작설명에서 서술하는 7종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6개소의 정지위치를 취할 수 있다(7종의 동작모드 중 2종은 동일정지위치). 이 위치검출은, 각 정지위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슬릿이 형성되고 또한 구동캠(4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검출판(428)과,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위치검출용의 오토센서(432)와, 원점검출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시한다.The drive cam 422 supported by the camshaft 418 is driven by a cam motor 421 via a worm gear (B) 424 and a two-stage idler gear (C) 426. The drive cam 422 can take six stop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peration description (two of th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are the same stop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on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plate 428 in which a predetermined sl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top position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cam 422, and an auto sensor for position detection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hereto. 432 and a microswitch (not shown) which causes origin detec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구동부(96)에 있어서, 반송모터(400)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402)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리드스크류(204)의 우단에 고정된 종동풀리(403)의 사이에 현가된 고무벨트(436)를 거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의 화살표 Y12방향의 왕복이동동작을 구동한다.In the drive part 96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drive pulley 402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veying motor 400, of the driven pulley 403 fixed to the right end of the lead screw 204 as shown in FIG. 7 and 8,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1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Y12 is driven through the rubber belt 436 suspended therebetween.

다음에, 본 제2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로서는, 스탠바이, 배지, 잉크시트풀림, 급지, 기록지반송, 잉크시트반송 및 인화의 7종의 동작모드가 있고, 상술한 구동캠(422)은, 이들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술하듯이 6개소의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 2는, 상기의 7종의 동작모드 중 특히, 기록지반송기구에 관계가 있는 기록지공급모드, 기록지반송모드, 인화모드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유닛(S1), 아이들러기어(A)(408), 캐리지(210)의 동작상태(위치)를 나타내는 표이다.Next, the operation mode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modes of the printer apparatus include seven operation modes of standby, discharge, ink sheet unwinding, paper feeding, recording paper conveyance, ink sheet conveyance, and printing. The above-described driving cam 422 corresponds to these operation modes.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have six stop positions. Table 2 shows the thermal head unit (S1), idler gear (A) 408,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ode,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and the printing mode related to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among th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described above. This table shows the operating state (position) of the carriage 210.

이들 기록지공급모드, 기록지반송모드 및 인화모드의 각 동작모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Each operation mode of these recording paper supply modes, recording paper transport modes, and printing modes will be described below.

(급지모드)(Feeding Mode)

본 프린터장치가 기록지공급모드로 되면, 반송모터(400)가 반전 구동되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는 해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기록지(108)는 기록지공급부보다 프린터본체 내부로 반송된다. 먼저, 캐리지(210)가 해제위치에 도달하고, 누름부재(218),(220)를 해방한 상태에서, 기록지(108)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이 사이, 반송모터(400)는 반전 구동된 채이므로 캐리지(210)는 해제위치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When the printer device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ode, the conveying motor 400 is reversely driven, and as shown in Fig. 12, the carriage 210 at an arbitrary position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cording paper 108 is a recording paper. It is conveyed inside the printer body rather than the supply part. First,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nd waits for the recording paper 108 to arrive in the state where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released (in the meantime, the transfer motor 400 is inverted and driven). Carriage 210 is held at the release position).

그 후, 기록지공급부로부터 반송되어 급지된 기록지(108)의 선단이 기록지반송부의 위치에 도달하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반송모터(400)는 정회전구동으로 대체된다. 이 반송모터(400)의 정회전구동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가, 도 12에 나타내는 해제위치로부터 도면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타트위치에 이르면, 누름부재(218),(220)가, 압축스프링(232),(234)에 의해 회전 이동시켜지고,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96)에 의해 구동된 기록지공급부에 의한 기록지(108)의 기록지공급동작이 종료한다. 이 사이, 인화부의 서말헤드유닛(S1)은, 도 12에 나타내는 기록지공급위치에 있다.Then, when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conveyed and fed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 reache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the recording pa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not shown) is operated, and the conveying motor 400 is replaced by the forward rotation drive. do. As shown in FIG. 13, when the carriage 210 moves from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12 to the left in the drawing and reaches the start position by the forward rotation driving of the conveying motor 400, the pressing member 218, ( The recording paper of the recording paper 108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part driven by the drive part 96 by being rotated by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and clamping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by 220. As shown in FIG. The supply operation ends.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S1 of the printing unit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shown in FIG.

이와 같이 하여, 캐리지(210)의 누름부재(218),(220)가 특히 기록지반송기구에 관계가 있는 급지모드, 기록지반송모드, 인화모드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유닛(S1), 아이들러기어(A)(408), 캐리지(210)의 동작상태(위치)를 나타내는 표이다.Thus, the thermal head unit S1 and idler gear A in the paper feeding mode,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and the printing mod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of the carriage 210 are particularly related to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408 and a table showing operation states (positions) of the carriage 210.

이들 급지모드, 기록지반송모드 및 인화모드의 각동작모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Each operation mode of the paper feed mode, the 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and the print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기록지공급모드)(Recording Paper Supply Mode)

본 프린터장치가 기록지공급모드로 되면, 반송모터(400)가 반전 구동되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는 해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기록지(108)는 기록지공급부보다 프린터본체 내부로 반송된다. 먼저, 캐리지(210)가 해제위치에 도달하고, 누름부재(218),(220)을 해방한 상태에서, 기록지(108)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이 사이, 반송모터(400)는 반전 구동된 채이므로 캐리지(210)는 해제위치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When the printer device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ode, the conveying motor 400 is reversely driven, and as shown in Fig. 12, the carriage 210 at an arbitrary position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cording paper 108 is a recording paper. It is conveyed inside the printer body rather than the supply part. First,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nd waits for the recording paper 108 to arrive in the state where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released (in the meantime, the transfer motor 400 is inverted and driven). Carriage 210 is held at the release position).

그 후, 기록지공급부로부터 반송되어 급지된 기록지(108)의 선단이 기록지반송부의 위치에 다다르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하고, 반송모터(400)는 정회전구동으로 변환된다. 이 반송모터(400)의 정회전구동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가, 도 12에 나타내는 해제위치로부터 도면 외쪽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타트위치에 도달하면, 누름부재(218),(220)가, 압축스프링(232),(234)에 의해 회전 이동시켜질 수 있고,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96)에 의해 구동된 기록지공급부에 의한 기록지(108)의 급지동작이 종료한다. 이 사이, 인화부의 서말헤드유닛(S1)은, 도 12에 나타내는 기록지공급위치에 있다.After that, when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conveyed and fed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 reache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the recording pa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not shown) is operated, and the conveying motor 400 is converted to forward rotation driving. . As shown in FIG. 13, when the carriage 210 moves from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12 to the outward direction and reaches the start position by the forward rotation driving of the transfer motor 400, the pressing member 218, The recording paper 108 can be rotated by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and the recording paper 108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driven by the driving unit 96 is clamped by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The paper feeding operation ends.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S1 of the printing unit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shown in FIG.

이와 같이 하여, 캐리지(210)의 누름부재(218),(220)가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하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인화모드에 따라서 인화동작이 개시되고, 반송모터(400)는 정전구동으로 변환되고, 더욱이 캐리지(210)는 도면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is way, when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of the carriage 210 clamp the tip of the recording sheet 108, the recording sheet posi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activated, and the printing operation i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ting mode. Then, the transfer motor 400 is converted to electrostatic driving, and the carriage 210 further moves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이 인화동작 시에, 기록지반송모드에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기록지반송부에 의한 기록지(108)의 왕복반송동작이 동시에 실시된다.In this prin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the reciprocating conveying ope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108 by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s simultaneously performed as shown in FIGS. 13 and 14.

(기록지반송모드 그의 1 =기록지반송=)(Recording Paper Transfer Mode 1's = Recording Paper Transfer Mode)

예컨대, 캐리지(210)가 도 13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기록지반송모드에서 캐리지(210)를 다시 스타트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는, 아이들러기어(A)(408)가 중립위치이므로, 잉크시트(12)는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서말헤드유닛(S1)은, 동일 기록지·시트반송위치에 있다. 또, 잉크시트 배출함에 있어서, 그 반송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는, 상기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일으킨다.For example, when the carriage 210 stops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13, the carriage 210 is moved back to the start position in the 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At this time, since the idler gears (A) 408 are in the neutral position, the ink sheet 12 is not driven. The thermal head unit S1 is at the same recording sheet and sheet conveying position. Moreover, in the discharge of the ink sheet, when the conveyance amount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인화모드)(Print Mode)

다음에, 서말헤드유닛(S1)의 서멀헤드(22)에 통전함과 아울러, 캐리지(210)를 상기 스타트위치로부터 도 14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 이동한다. 기록지(108) 및 잉크시트를 함께 구동하고, 먼저, 황색화상을 인화한다. 캐리지(210)가 도 14에 나타내는 엔드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1번 색의 인화는 완료한다.Next, while energizing the thermal head 22 of the thermal head unit S1, the carriage 210 is moved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14. The recording paper 108 and the ink sheet are driven together, and first, a yellow image is printed. When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14, the printing of the first color is completed.

(기록지반송모드 그의 2 =기록지반송=)(Recording Paper Transfer Mode His 2 = Recording Paper Transfer =)

황색화상의 인화종료 후, 기록지반송모드에 대체되어 다시, 기록지(108)는 도 13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 복귀하여 적색화상, 청색화상에 대하여도, 이상과 같이, 기록지반송모드 및 인화모드에 의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108)로의 풀컬러화상의 인화기록을 완료한다. 청색화상인화완료 후, 기록지(108)가 스타트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기록지반송모드는 종료한다.After the printing of the yellow image is finished, the recording paper transfer mode is replaced with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ode. The recording paper 108 returns to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13, and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ode and the printing mode ar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red and blue images. By repeating the operation, printing of the full color image on the recording paper 108 is completed. After completion of the blue image printing, the 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ends with the recording paper 108 returned to the start position.

이상과 같이, 캐리지(210)의 왕복이동동작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리드스크류(204) 및 1매의 고무벨트(43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210)를, 리드스크류(204) 및 고무벨트(436) 1매 만으로 구동하여, 그 캐리지(210)에 의해, 기록지(108)를 왕복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d screw 204 and the single rubber belt 436 are used as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arriage 210. And the rubber belt 436 alone, and the carriage 210 can reciprocate the recording paper 108.

또, 기록지(108)의 클램프동작을 일으키는 누름부재(218),(220)를 개폐 구동하는 데도, 도 40 및 도 41에 의해 설명한 종래 예에 나타내는 플런저(623B)와 같은 별도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의 왕복이동 동작을 구동하기 위해 본래 필요한 리드스크류(204)를 사용하여, 그 리드스크류(204)를 반송모터(400)에 의해 고무벨트(436)를 거쳐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암나사부재(212)의 캐리지본체(210a) 내에서의 왕복이동동작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that cause the clamping ope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108 is also per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the plunger 623B shown in the conventional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0 and 41. 12 and 13, the lead screw 204 is driven by a conveying motor 400 using a lead screw 204 using a lead screw 204 originally required for driving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210. By rotationally driving via 436,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carriage body 210a of the female screw member 212 can be performed.

그 결과, 기록지반송기구에 있어서 종래 많이 필요하였던 부품수를 삭감하여, 기록지반송기구의 구성을 매우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록지 상에 인화된 화상의 양사이드로의 화질의 불균형을 없앨 수 있고, 소형이고 또한 값싸게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으며, 더욱이 기록 후의 기록지 상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여백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in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in the past,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the image quality imbalance on both sides of the image printed on the recording paper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int quality more compactly and cheaply, and to prevent unnecessary increase in the margin on the recording paper after recording.

또 본 제2실시예는, 기록지반송부의 예로서, 이상의 구성에서는 일체의 리드스크류(204)를 사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n which the lead screw 204 is integrat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데, 1매의 고무벨트를 기록지(108)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For example, one rubber belt may be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ording sheet 108.

이 때, 캐리지(210)의 가이드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종래 예와 같이, 2매의 가이드축(612B),(614B)을 사용하여도 좋고, 1매의 가이드축을 상기 고무벨트와 동일하게 대략 중앙에 배치하고, 이 축 주위의 회전규제를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캐리지축(214)과 홈(216)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실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of the carriage 210 may use two guide shafts 612B and 614B,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s. 40 and 41, and one guide shaft is connected to the rubber belt. Similarly,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that it is arranged substantially in the center and the rotation regulation around this axis is carried out using the carriage shaft 214 and the groove 216 as shown in FIG.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구성 및 구체적 작용을, 도 17 내지 도 2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9.

여기서 설명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도,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프린터장치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는 기록지공급부, 인화부, 기록지반송부,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등의 기구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부의 기본동작도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는 주로, 인화기구를 구성하는 인화부 및 구동부와, 그 구동부에 의해 인화부와 함께 구동되어 소정대로 작동하는 인화부와 관계가 깊은 기록지공급부 및 기록지반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Also in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here, similarly to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printer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mechanism blocks such as a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 printing unit,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 recording paper ejecting unit, and a driving unit, and also the basic operation of each unit. same. Here, the description will mainly be made of a printing unit and a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printing mechanism, a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nd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having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printing unit which is driven together with the printing unit by the driving unit and operates as prescribed.

먼저,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를 구성하는 인화부 및 구동부 중, 인화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First, the print portion of the print portion and the drive portion constituting the print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7,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듯이, 이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인화부는, 프린터본체 내에서 왕복반송(실질적으로는 3왕복)되는 기록지(108)의 표면에,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블록이다.17, 18 and 19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int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17, 18, and 19, the printing unit in the printing mechanism is a mechanism for forming a color image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108 reciprocally conveyed (substantially three round trips) in the printer body. Block.

이 인화부에 있어서, 본체기판(4),(6)에 유지되어 있는 잉크카세트(2)는, 그 내부에 도 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잉크시트(12)가 말려 감겨진 2매의 봉(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이들 2매의 봉은, 각각 일단에서 권취릴대(8) 및 공급릴대(14)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도면 왼쪽방향으로 잉크시트(12)를 권취 반송할 수 있다.In this print section, the ink cassette 2 held on the main body substrates 4 and 6 has two rods (shown in Fig. 20) in which the ink sheet 12 is wound. Not). These two rods are fitted to the take-up reel base 8 and the supply reel base 14 at one end, respectively, and can wind and convey the ink sheet 12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잉크시트(12)는, 도 20에 나타내듯이, 황색(Y), 적색(M), 청색(C)의 각 잉크가 투명시트(10) 상에 상호 도포되어 있다. 황색(Y)의 전에는, 흑색불투명의 두출(頭出)마커(90)가 도장되어 있고, 이것을 검출할 목적으로, LED(92) 및 그것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광센서(94)가 프린터본체에 배치되어 있다. 인화를 시작할 때는, 사전에 이들 두출마커(90), LED(92) 및 수광센서(94)에 의해 잉크시트(12)의 두출을 실시한다.In the ink sheet 12, as shown in FIG. 20, each ink of yellow (Y), red (M), and blue (C) is mutually coated on the transparent sheet 10. As shown in FIG. Before the yellow (Y), a black opaque thin marker 90 is painted, an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is, the light receiving sensor 94 is disposed on the printer body at the LED 92 and the position opposite thereto. It is. When the printing starts, the ink sheet 12 is extruded in advance by these stroke markers 90, LEDs 9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94 in advance.

서멀헤드(22)는, 수지제의 가이드부재(18)가 형성된 서말헤드커버(16)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그 뒷면에 있는 방열판(24)에 밀착 고정되어 있다(이후, 이들을 서말헤드유닛(26)이라 부른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8)는, 상술한 잉크시트(12)의 주행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서멀헤드(22)의 구동회로의 보호수단으로서, 서말헤드구동용의 IC를 커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서말헤드유닛(26)은, 후술하는 링크기구에 의해, 도 21에 나타내듯이, 한번은 하위에 있어 후술하는 롤러(72)에 눌려 맞닿는 인화위치 A(도 19의 상태에 대응), 한번은 상위의 스탠바이위치 E, 그리고 이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기록지배출·시트풀림위치 D, 기록지공급위치 C(도 17 및 도 18의 상태에 대응), 및 기록지·시트반송위치 B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The thermal head 2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thermal head cover 16 on which a resin guide member 18 is formed, and is fixed to the heat dissipation plate 24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n, these are thermal head units). (26). Here, the guide member 18 is configured to guide the traveling of the ink sheet 12 described above and to cover the IC for thermal head driving as a protection means of the drive circuit of the thermal head 22. The thermal head unit 26 has a link mechanism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21, a print position A (correspond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19) that is pressed by the roller 72, which is one of the lower ones, to be described later. The standby position E,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 sheet unwinding position D, the recording sheet feeding position C (corresponding to the state shown in Figs. 17 and 18), and the recording sheet / sheet conveying position B located in the middle thereof can be selectively taken.

도 22 및 도 23은, 상기의 서말헤드유닛(26)을 상하로 변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기구인 링크기구의 상세도이고, 서말헤드유닛(26)이 도 21에 나타내는 스탠바이위치 E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동일 서말헤드유닛(26)이 도 21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コ형의 구동앵글(28)은, 본체기판(4),(6)에 고정된 축(30),(32)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양단의 꺾음부(34)의 한편에는, 후술하는 구동캠에 형성된 캠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캠축(419)이 고정되어 있다.22 and 23 are detailed views of a link mechanism which is a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the thermal head unit 26 up and down, and shows that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standby position E shown in FIG. 21. Indicates. FIG. 24 shows a state where the sam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 position A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2, the driving angle 28 having a couped shape is freely supported by the shafts 30 and 32 fixed to the main body substrates 4 and 6, and the bent portion 34 at both ends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camshaft 419 fitted in the cam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drive cam mentioned later is being fixed.

또한, 양쪽의 꺾음부(34)는, 바깥으로 돌출하는 2매의 축(36),(38)을 가지고, 이들에는 링크(40),(42)가 각각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축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40),(42)에는, 단부에 동일 외향으로 돌출한 축(44),(46)이 고정되어 있다. 이 축(44),(46)은, 본체기판(4),(6)에 형성된 안내홈(48),(50) 내로 변위가 자유롭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bent portions 34 has two shafts 36 and 38 which protrude outwards, and the links 40 and 42 are supported by the shafts freely in rotation. . In the links 40 and 42, shafts 44 and 46 which protrude in the same outward direction are fixed to the ends. The shafts 44 and 46 are fitted in the guide grooves 48 and 50 formed in the body substrates 4 and 6 so as to allow displacement freely.

한편, 서말헤드유닛(26)에는, 그 양단에 지지금속구(52),(54)가 고정되어 잇다. 이 지지금속구(52),(54)에는, 각각 끼워맞춤구멍(56),(58)과 긴 끼워맞춤구멍(60),(62)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구멍(56),(58)에는 링크(40),(42) 상의 축(64),(66)이, 긴 끼워맞춤구멍(60),(62)에는, 구동앵글(28)의 양쪽의 꺾음부(34) 상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축(68),(70)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heads 26 and 54 are fixed to the thermal head unit 26 at both ends. The supporting metal spheres 52 and 54 are provided with fitting holes 56 and 58 and long fitting holes 60 and 62, respectively, and fitting holes 56 and 58, respectively. ), The shafts 64, 66 on the links 40, 42 are inward on the bent portions 34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angle 28 in the long fitting holes 60, 62, respectively. Protruding shafts 68 and 70 are fitted.

이상과 같이,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서말헤드유닛(26)에 고정된 서멀헤드(22)를, 도 21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와 스텐바이위치 E의 사이에서, 대략 수직으로 또한 안정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link mechanism, the thermal head 22 fixed to the thermal head unit 26 is approximately vertically and stably between the print position A and the standby position E shown in FIG. It becomes possible to reciprocate.

다시, 도 17, 도 18 및 도 19에도 취하여 인화부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부품의 설명을 실시한다.17, 18, and 19, the other components in the print section will be described.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듯이, 롤러(72)는, 그 양단에서 베어링(74),(76)에 의해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74),(76)은, 각각 본체기판(4),(6)에 형성된 긴구멍(78),(80)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82),(84)를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이 긴 구멍(78),(80)에 규제되는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74),(76)과 저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듯이, 각각 압축스프링(86),(88)이 배치되고, 베어링(74),(76)을 거쳐 롤러(72)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고 있다.As shown in FIG. 17, FIG. 18, and FIG. 19, the roller 7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74 and 76 at the both ends. The bearings 74 and 76 have protrusions 82 and 84 fitted into the long holes 78 and 80 formed in the body substrates 4 and 6,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Displacement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regulated by the long holes 78 and 80. In addition, between the bearings 74 and 76 and the bottom substrate (not shown), compression springs 86 and 88 are disposed as shown in Figs. 23 and 24, respectively, and the bearings 74, The roller 72 is pushed upward through 76.

이 롤러(72)는, 서말헤드유닛(26)이 도 24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이외에 있을 때에는, 도 23에 나타내듯이, 베어링(74),(76)이 상기의 변위 가능한 범위의 1번 상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지만, 서말헤드유닛(26)이 도 24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에 있을 때에는, 롤러(72)는, 상기 위치보다 야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서멀헤드(22)에 압력이 인가된다.Whe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osition other than the print position A shown in FIG. 24, this roller 7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of the range where the bearings 74 and 76 are displaceable as shown in FIG. Although it stops at, whe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ing position A shown in FIG. 24, the roller 72 is located below the night at the said position,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thermal head 22. FIG.

서말헤드유닛(26)이 도 24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에 있을 때에는, 서말헤드커버(16)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위치결정축(17)이, 롤러(72)의 베어링(74),(76)에 형성된 제2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V홈(75),(77)에 형성된 제2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V홈(75),(77)에 꼭맞게 삽입된 상태에서, 서멀헤드(22)와 롤러(72)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실시된다.Whe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 position A shown in FIG. 24, the positioning shaft 17 as the first positioning mean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ermal head cover 16 is formed of the roller 72. The state inserted into the V-grooves 75 and 77 as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formed in the bearings 74 and 76 as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formed in the 77 and 76. In this cas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thermal head 22 and the roller 72 is performed.

이 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서말헤드커버(16)는, 서멀헤드(22)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서멀헤드(22)의 발열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위치결정축(17)을, 부품의 누적치수오차없이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at is, since the thermal head cover 1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ermal head 22, the cumulative dimension error of the positioning shaft 17 with respect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not shown) of the thermal head 22 is determined. It can be formed accurately without.

이 위치결정축(17) 및 베어링(74),(76)을 거쳐, 서멀헤드(22)와 롤러(72)의 사이의 상대위치의 정밀도(예컨대, 발열부(도시하지 않음)와 롤러(72)의 중심축과의 비틀림위치정밀도)를 보증하는 구성을 취한 것에 의해, 기록지(108)의 표면전체에 있어서, 종래 이상으로 매우 섬세한 화질을 실현할 수 있었다.Through this positioning shaft 17 and bearings 74 and 76, the precision of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hermal head 22 and the roller 72 (for example, a heat generating portion (not shown) and the roller 72). By ensuring a torsional position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ructure, very fine image quality can be realized on the whole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108 than before.

또, 상기 위치결정축(17)과 가이드부재(18)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서멀헤드(22)와 롤러(72)의 사이의 상대위치의 정밀도 보증을, 값싸고 용이하게 더욱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lly molding the positioning shaft 17 and the guide member 18,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guarantee of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hermal head 22 and the roller 72 at low cost and easily. Can be.

다음에,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를 구성하는 인화부 및 구동부 중, 구동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driving unit among the print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print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8은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그 평면도를 도 29에 나타낸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듯이, 캠축(418)에 지지된 구동캠(422)은, 캠모터(421)에 의해, 웜기어(B)(424), 2단 아이들러기어(C)(426)를 거쳐 구동된다. 구동캠(422)은, 후술하는 7종류의 모드에 대응하여 6개소의 정지위치를 취할 수 있다(7종류의 동작모드 중 2종류의 동작모드는 동일의 정지위치로 된다).FIG. 2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unit in the print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a plan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28 and 29, the drive cam 422 supported by the camshaft 418 is connected to the worm gear (B) 424 and the two-stage idler gear (C) 426 by the cam motor 421. Driven through. The drive cam 422 can take six stop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ven types of modes described later (two of the seven modes of operation become the same stop position).

이 6개소의 위치검출은, 각 정지위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캠(4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검출판(428)과,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위치검출오토센서(432)와, 원점검출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시된다. 이 구동캠(422)에 의해, 그 캠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춰지는 캠축(419)(도 22참조)을 거쳐, 도 22,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듯이 서말헤드유닛(26)을 상하 이동하는 링크기구의 구동앵글(28)이 구동된다.The six position detections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plate 428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a drive cam 422 in which a predetermined sl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top position, and a position detection auto sensor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hereto. 432, and a microswitch (not shown) for performing origin detection. By the drive cam 422, the thermal head unit 26 is opened as shown in Figs. 22, 23 and 24 via a cam shaft 419 (see Fig. 22) fitted to the cam groove (not shown). The drive angle 28 of the link mechanism which moves up and down is driven.

다음에, 인화기구를 구성하는 인화부 및 구동부와, 기록지공급부 및 기록지반송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ode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ting section and the driving secti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section, and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section which constitute the printing mechanism.

본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로서는, 전부 7종류이고, 스탠바이, 기록지배출, 잉크시트풀림, 기록지공급, 기록지반송, 잉크시트반송, 그리고 인화의 각 모드이다. 상술한 구동캠(422)은, 이들 7종류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술하듯이 6개소의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 7종류의 동작모드를 각각 이하에 설명한다.There ar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of this printer apparatus, which are standby, recording paper ejection, ink sheet unwinding, recording paper supply, recording paper conveyance, ink sheet conveyance, and printing. The drive cam 422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have six stop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to thes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Each of these seven operation modes is demonstrated below.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잉크카세트(2)의 착탈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있어서 한번 상위(스탠바이위치 E)에 있다.It is a state whic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ink cassette 2 shown in FIG. 17, FIG. 18, and FIG. 19 is possibl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once higher (standby position E) in FIG.

본 제3실시예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는, 잉크카세트(2)는, 도 17에 있어서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착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printer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ink cassette 2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or detach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1 in FIG.

(기록지공급모드)(Recording Paper Supply Mode)

도 28에 나타내는 반송모터(400)가 역회전 구동되고, 도 25에 나타내듯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가 해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기록지(108)가 급지부의 기록지공급롤러(110)에 의해 본체내부로 반송된다. 먼저, 캐리지(210)이 해제위치에 도달하고, 누름부재(218),(220)는 해방된 상태로 기록지(108)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다(이 사이, 반송모터(400)는 역회전 구동된 채이므로, 누름부재(218),(220)은 해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The conveying motor 400 shown in FIG. 28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and as shown in FIG. 25, the carriage 210 at an arbitrary position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cording paper 108 moves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 110 is conveyed inside the main body. First,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wait for the recording paper 108 to reach in the released state (in the meantime, the conveying motor 400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ince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remain in the released state).

108이 도 25에 나타내는 위치에 도달하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반송모터(400)는 정회전구동으로 변환되고, 캐리지(210)는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타트위치에 도달한다. 도 26에 나타내듯이, 캐리지(210)가 스타트위치에 도달하면, 누름부재(218),(220)는, 압축스프링(232),(234)에 의해 회전 이동되어 지는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급지위치 C에 있다.When 108 reaches the position shown in Fig. 25, the recording pa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activated, the conveying motor 400 is converted to the forward rotation drive, and the carriage 210 is moved to the left in the figure to start. Reach position. As shown in FIG. 26, when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start position,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move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to be rotated by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Clamp.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aper feeding position C shown in FIG.

(잉크시트반송모드 =잉크시트 두출(頭出)=)(Ink sheet transfer mode = Ink sheet export =)

잉크시트(12)의 두출은, 이 잉크시트반송모드에서 행한다. 이 모드는, 반송모터(400)의 정회전에 의해, 구동부(96)를 거쳐 도 20에 나타내는 두출마커(90)를 검출할 때까지 잉크시트(12)를 반송한다. 이 때, 캐리지(210)는, 구동계가 차단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록지(108)를 클램프한 채, 도 25의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에 도달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기록지·시트반송위치 B에 있다.Extrusion of the ink sheet 12 is performed in this ink sheet conveyance mode. In this mode, the ink sheet 12 is conveye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transfer motor 400 until the stroke marker 90 shown in FIG. 20 is detected via the drive unit 96. At this time, since the drive system is not blocked, the carriage 210 moves to the left in FIG. 25 while clamping the recording paper 108 to reach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recording paper sheet transfer position B shown in FIG.

(기록지반송모드 =그 1=)(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 the 1 =)

상술했듯이, 캐리지(210)가 도 26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이 기록지반송모드에서 캐리지(210)를 다시 스타트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아이들러기어(A)(408)가 중립위치에 있으므로, 잉크시트(12)는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서말헤드유닛(26)은, 동일 기록지·시트반송위치 B에 있다. 또, 잉크시트(12)의 두출에 있어서, 그 반송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는, 상기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실시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riage 210 stops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26, the carriage 210 is moved back to the start position in this 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In this case, since the idler gears (A) 408 shown in FIG. 28 and FIG. 29 are in a neutral position, the ink sheet 12 is not drive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located at the same recording sheet and sheet conveying position B. FIG. Moreover, in the thinning of the ink sheet 12, when the conveyance amoun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said oper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인화모드)(Print Mode)

다음에, 서멀헤드(22)에 통전하면서, 캐리지(210)를 도 26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부터 도 27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기록지(108) 및 잉크시트(12)를 함께 구동하고, 먼저, 황색화상을 인화한다. 캐리지(210)가 엔드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1색째(황색)의 인화는 완료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에 있다.Next, while energizing the thermal head 22, the carriage 210 is moved from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26 to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cording sheet 108 and the ink sheet 12 are driven together, and first, a yellow image is printed. When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end position, the printing of the first color (yellow) is completed.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 position A shown in FIG.

(기록반송모드 =그 2: 기록지복귀=)(Record Transfer Mode = G2: Record Return =)

황색화상의 인화종료 후, 다시, 기록지반송모드로 변환되고, 기록지(108)는 다시 도 26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의 동작을 적색화상, 청색화상에 대하여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풀컬러화상의 인화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색화상의 인화완료 후, 기록지(108)가 스타트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기록지반송모드는 종료한다. 이 사이에도,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인화위치 A이다.After the printing of the yellow image ends, the recording paper transfer mode is switched again, and the recording paper 108 is returned to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By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for the red image and the blue image, the printing of the full color image is completed. In this manner, after the printing of the blue image is completed,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ode ends when the recording paper 108 returns to the start position.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 position A shown in FIG.

(잉크시트풀림방지모드)(Ink Sheet Unlocking Mode)

서말헤드유닛(26)의 위치 상승에 의한 잉크시트(1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시트(12)의 권취를 실시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배지·시트풀림방지위치 D에 있다.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ink sheet 12 due to the rise of the position of the thermal head unit 26, the ink sheet 12 is wound up.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discharge | release sheet discharge prevention position D shown in FIG.

(기록지배출모드)(Record sheet eject mode)

다음에, 기록지배출모드에서, 기록지(108)는, 도 27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부터 도 25에 나타내는 해제위치까지 구동되고, 거기서 누름부재(218),(220)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고, 더욱이 기록지배출부(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에 의해 기록지배출수납부(302)로 반송된다. 이 사이에도, 서말헤드유닛(26)은, 도 21에 나타내는 기록지배출·시트풀림방지위치 D에 있다. 이것에 의해 일련의 인화동작을 완료한다.Next, 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ode, the recording paper 108 is driven from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27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25, whereby the clamps by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released, and the recording paper furthermore. It is conveyed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ing unit 302 by the discharging unit (the description here is omitted).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 sheet release prevention position D shown in FIG. This completes a series of print operations.

이상과 같이,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서말헤드유닛(26)에는, 그 서멀헤드(22)에 있어서의 발열체의 배열의 양단에 제1의 위치결정수단인 위치결정축(17)을 형성함과 아울러, 베어링(74),(76)에는 롤러(72)의 지지부 근방에 제2의 위치결정수단인 V홈(75),(7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인화기록할 때에는, 링크기구에 의해 서멀헤드(22)를 그 발열체의 배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위치결정축(17)과 V홈(75),(77)을, 서멀헤드(22) 및 롤러(72)의 양단에서 걸어 맞춰지고, 롤러(72)와 서멀헤드(22)의 위치관계를 확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ermal head unit 26 of the print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positioning shaft 17 serving as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22, By forming the V grooves 75 and 77 which are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in the bearings 74 and 76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part of the roller 72, the thermal head is carried out by a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printing. (22) is displac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and the positioning shafts (17) and the V grooves (75) and (77) are engaged at both ends of the thermal head (22) and the roller (7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72 and the thermal head 22 can be determined.

그 결과, 인화기구에 있어서의 인화부를 구성하는 링크기구나 서말헤드유닛(26)이나 롤러(72) 등의 각 구성부품에 부품오차가 있어, 그들의 조립정밀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롤러(72)와 서멀헤드(22) 사이의 위치결정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소형이고 또한 값싸게 인화화질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component error in each component such as the link mechanism, the thermal head unit 26, the roller 72, and the like, which constitute the print portion of the printing mechanism, and even when the assembly precision thereof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the roller ( The positioning accuracy between the 72 and the thermal head 22 can be easily improved, and the print quality can be further improved more compactly and cheaply than in the past.

(제4실시예)(Example 4)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구성 및 구체적 작용을 도 30 내지 도 3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여기서 설명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도,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프린터장치와 동일하게, 기본적으로는 기록지공급부, 인화부, 기록지반송부,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등의 기구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기본동작도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는 주로, 기록지배출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와, 그 구동부에 의해 기록지배출부와 함께 구동되어 소정대로 동작하는 기록지배출부와 관계가 깊은 기록지공급부 및 기록지반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Also in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herein, similarly to the printer apparatu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printer apparatus is basically composed of mechanical blocks such as a recording paper supply unit, a printing unit, a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a recording paper ejecting unit, and a driving unit, and the basic operation of each unit is also same. Here, mainly,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the recording paper supplying unit and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which are driven by the driving unit together with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unit and operate in a predetermined manner, are deeply described. .

먼저,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중, 기록지배출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First,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which constitutes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0, 도 31 및 도 32는, 각각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 기록지배출기구에 있어서의 기록지배출부는, 도 30,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프린터본체에 부착되어 기록지수납부로서 트레이(A)(104) 및 트레이(B)(106)에 의해 구성된 기록지공급트레이(이하,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와 같이 기재한다)에 수납된 기록매체인 기록지(108) 중, 인화기록을 위해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로부터 프린터본체 내로 공급되고, 프린터본체 내에 있어서 기록지반송부에 의해 왕복반송(실질적으로는 3왕복)되어 인화부에 의한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108)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구블록이고,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108)의 단부를 기록지배출레버선단부(304)에 의해 누르도록 설치된 기록지배출레버(300)와, 기록지(108)의 배출 시에, 기록지배출레버선단부(304)에 의해 단부가 눌려진 기록지(108)를 수납하는 기록지배출수납부(302)를 구비하고 있다.30, 31 and 32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0, 31 and 32,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printer body and constituted by trays (A) 104 and trays (B) 106 as the recording sheet storing unit.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and 106 for the recording of the recording paper 108, which is a recording medium housed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and 106), It is a mechanism block for discharging the recording paper 108, which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rinter body, is reciprocally conveyed by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substantially three round trips) and completed printing of the printing by the printing unit.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300 provided so as to press the end of the recording paper 108 on which recording is completed by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tip 304, and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tip 304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recording paper 108. To store the pressed recording sheet 108 Rokji and a drain water housing 302.

여기서,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는, 수납된 기록지(108)의 프린터본체 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 낮게 되도록, 수평면에 해하여 경사하도록 프린터본체에 부착되어 있고, 이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기록지배출수납부(302)가 배치되어 있다.Here,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and 106 are attached to the printer body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end of the printer body side of the stored recording paper 108 is lower than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302 is disposed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trays 104 and 106.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배지기구에 있어서의 배지부에 대하여, 그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in the discharge mechanis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인화부에 의한 인화기록이 종료한 후, 기록지반송부의 캐리지(210)는, 도 32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부터 도 31에 나타내는 해제위치로 가져오게 되고, 그 누름부재(218),(220)은 해방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3에 나타내듯이, 서말헤드유닛(26)을 인화위치 A로부터 기록지배출부·시트풀림방지위치 D로 집어 올리고, 기록지(108)로의 누름을 해제한다.First, after the printing by the printing unit is finished, the carriage 210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unit is brought from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32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31, and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provided. Becomes liberate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3, the thermal head unit 26 is picked up from the printing position A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part and sheet release prevention position D, and the press on the recording paper 108 is released.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기록지(108)는, 그 도면상에서의 좌단이 롤러(72) 상에 올려진 상태대로 기록지배출은 실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록지배출레버(300)가 후술하는 구동캠(42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고, 그 기록지배출레버선단부(304)가 기록지(108)의 도면상에서의 좌측의 단부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108)는, 롤러(72)를 넘어가 도면상에서의 오른쪽방향으로 눌려지고, 하부기록지가이드판(122)의 하면에 안내되면서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프린터본체 저부의 기록지배출수납부(302)에 자연 낙하하여 수납된다.At this point in time, however, the recording sheet is not discharged as long as the left end on the drawing is placed on the roller 72. Here, the recording paper ejecting lever 30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drive cam 422 described later, and the recording paper ejecting lever tip 304 presses the left end portion on the drawing of the recording paper 108. As a result, the recording sheet 108 is pushed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drawing beyond the roller 72, gui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ecording sheet guide plate 122, and is located 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printer main body. 302 is naturally dropped and stored.

이와 같이 하여, 인화기록이 종료한 기록지(108)는,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way, the recording sheet 108 on which the print recording is comple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main body.

또, 도 33에 나타내는 서말헤드유닛(26)의 기록지배출·시트풀림방지위치 D는, 기록지배출레버(300)에 의해 눌려진 기록지(108)의 도면상에서의 우단이, 서말헤드커버(16)의 가이드부재(18)에 의해 하부기록지가이드판(122)의 아래쪽으로 잘 들어가도록, 그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기록지공급위치 C로 설정하였다고 하면, 기록지(108)의 오른쪽의 선단은, 하부기록지가이드판(122)의 상부로 들어가 버리고, 잉크카세트(2)에 걸려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33, the right end of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 sheet release prevention position D of the thermal head unit 26 shown in FIG. 33 is shown on the drawing of the recording paper 108 pressed by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300. The position is set such that the guide member 18 enters the lower recording paper guide plate 122 well. For example, if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C is set, the tip of the right side of the recording paper 108 enters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cording paper guide plate 122, and jams may occur in the ink cassette 2.

또한,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는,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 및 기록지배출수납부(302) 모두, 약 25매의 기록지(108)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4실시예의 기록지배출기구에 있어서의 기록지배출부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통상의 기록지배출트레이 및 기록지(108)를 기록지배출트레이에 반송하는 고무제의 기록지배출롤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ll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106 and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ing portion 302 can store approximately 25 recording papers 108. As shown in FIG. The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fourth embodiment does not require the conventional recording sheet discharging tray and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roller made of rubber for conveying the recording sheet 108 to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tray. It is a big feature.

다음에,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 중, 구동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driving unit among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unit and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7은, 도 30에 나타내는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배출기구에 있어서의 구동부(96)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그 평면도를 도 38에 나타낸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듯이, 캠축(418)에 지지된 구동캠(422)은, 캠모터(421)에 의해, 웜기어(B)(424), 2단 아이들러기어(C)(426)를 거쳐 구동된다. 구동캠(422)은, 후술하는 7종류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6개소의 정지위치를 취할 수 있다(7종류의 동작모드 중 2종류의 동작모드는 동일한 정지위치로 된다).FIG. 3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96 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of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30, and the plan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37 and 38, the drive cam 422 supported by the camshaft 418 is connected to the worm gear (B) 424 and the two-stage idler gear (C) 426 by the cam motor 421. Driven through. The drive cam 422 can take six stop positions corresponding to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described later (two of th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become the same stop position).

이 6개소의 위치검출은, 각 정지위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슬릿이 형성되어 구동캠(4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검출판(428)과, 그것과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된 위치검출오토센서(432)와, 원점검출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시된다. 이 구동캠(422)에 의해, 그 캠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는 돌기(T9)를 거쳐, 기록지배출보조레버(306)를 지점 C9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하고, 기록지배출보조레버(306)에 설치된 절결홈(M8)에 끼워 맞추는 핀(P9)을 거쳐, 기록지배출레버(300)가 지점(C8)을 중심으로 하여 실선의 위치로부터 2점쇄선(가상선)의 위치까지의 범위로 회전 구동된다.The six position detections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plate 428 in which a predetermined sl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stop position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cam 422, and a position detection auto sensor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hereto. 432, and a micro switch (not shown) that causes origin detection. The drive cam 422 rotates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auxiliary lever 306 about the point C9 via the projection T9 fitted to the cam groove (not shown), and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auxiliary lever 306. Through the pin (P9) to be fitted to the notch groove (M8) provided in the),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300 in the range from the position of the solid line to the position of the two-dot chain line (virtual line) around the point (C8) Rotationally driven.

다음에, 기록지배출기구를 구성하는 기록지배출부 및 구동부(96)와, 기록지공급부 및 기록지반송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mode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96 and 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unit and the recording sheet conveying unit which constitute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본 프린터장치의 동작모드로서는, 전체 7종류이고, 스탠바이, 기록지배출, 잉크시트풀림방지, 기록지공급, 기록지반송, 잉크시트반송, 그리고 인화의 각 모드이다. 상술한 구동캠(422)은, 이들 7종류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술하듯이 6개소의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 7종류의 작동모드를 각각 이하에 설명한다.There ar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of this printer apparatus, which are standby, recording paper ejection, ink sheet release prevention, recording paper supply, recording paper conveyance, ink sheet conveyance, and printing. The drive cam 422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have six stop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to these seven types of operation modes. Each of these seven operation modes is demonstrated below.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

도 30,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잉크카세트(2)의 착탈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있어서 한번 상위(스탠바이위치 E)에 있다.The ink cassette 2 shown in Figs. 30, 31 and 32 is in a removable state. In additio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once higher (standby position E) in FIG.

본 제4실시예의 프린터장치에 있어서는, 잉크카세트(2)는, 도 30에 있어서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도면 직각방향으로 착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printer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ink cassette 2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or detach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indicated by the arrow Y1 in FIG.

(기록지공급모드)(Recording Paper Supply Mode)

도 37에 나타내는 반송모터(400)가 역회전 구동되고, 도 34에 나타내듯이, 임의의 위치에 있는 캐리지(210)가 해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기록지(108)가 기록지공급부의 기록지공급롤러(110)에 의해 본체 내부로 반송된다. 먼저, 캐리지(210)가 해제위치에 도달하고, 누름부재(218),(220)는 해방된 상태에서 기록지(108)가 도달하는 것을 가진다(이 때, 반송모터(400)는 역회전 구동된 채이므로, 누름부재(218),(220)는 해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The conveying motor 400 shown in FIG. 37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and as shown in FIG. 34, the carriage 210 at an arbitrary position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cording paper 108 is a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It is conveyed inside the main body by 110. First,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have the recording paper 108 reaching in the released state (the carrier motor 400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ince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remain in the released state).

기록지(108)가 도 34에 나타내는 위치에 도달하면, 기록지위치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반송모터(400)는 정회전구동으로 변환되고, 캐리지(210)는 도면상의 외쪽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35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에 도달한다. 이 스타트위치에 캐리지(210)가 도달하면, 도 35에 나타내듯이, 누름부재(218),(220)는, 압축스프링(232),(234)에 의해 회전 이동시켜진 기록지(108)의 선단을 클램프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나타내는 기록지공급위치 C에 있다.When the recording paper 108 reaches the position shown in Fig. 34, the recording pa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activated, the conveying motor 400 is converted to the forward rotation drive, and the carriage 210 is moved outward in the drawing. It moves to and reaches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When the carriage 210 reaches this start position, as shown in Fig. 35,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move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108 rotated by the compression springs 232 and 234. Clamp.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position C shown in FIG.

(잉크시트반송모드 =잉크시트 두출(頭出)=)(Ink sheet transfer mode = Ink sheet export =)

잉크시트(12)의 두출은, 이 잉크시트반송모드에서 실행된다. 이 모드는, 도 37에 나타내는 반송모터(400)의 정회전에 의해, 구동부(96)를 거쳐 두출마커(도시하지 않음)를 검출할 때까지 잉크시트(12)를 반송한다. 이 때, 캐리지(210)는, 구동계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기록지(108)를 클램프한 채, 도 34의 왼쪽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5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에 도달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나타내는 기록지·시트반송위치 B에 있다.Extrusion of the ink sheet 12 is performed in this ink sheet conveyance mode. In this mode, the ink sheet 12 is conveye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conveying motor 400 shown in FIG. 37 until the stroke marker (not shown) is detected via the drive part 96. At this time, since the drive system is cut off, the carriage 210 moves to the left in FIG. 34 while clamping the recording paper 108 to reach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recording paper sheet transfer position B shown in FIG.

(기록지반송모드 =그 1=)(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 the 1 =)

상술했듯이, 캐리지(210)가 도 35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이 기록지반송모드에서 캐리지(210)를 다시 스타트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아이들러기어(A)(408)가 중립위치에 있으므로, 잉크시트(12)는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서말헤드유닛(26)은, 동일하게 도 33에 나타내는 기록지·시트반송위치 B에 있다. 또, 잉크시트(12)의 두출함에 있어서, 그 반송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는, 상기 동작을 수회 반복하여 실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riage 210 is stopped at the position shifted from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35, the carriage 210 is moved back to the start position in this recording paper conveyance mode. In this case, since the idler gears (A) 408 shown in FIG. 37 and FIG. 38 are in a neutral position, the ink sheet 12 is not driven. The thermal head unit 26 is similarly located at the recording paper sheet transfer position B shown in FIG. Moreover, in the thickness of the ink sheet 12, when the conveyance amoun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said oper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인화모드)(Print Mode)

다음에, 서멀헤드(22)에 통전하면서, 캐리지(210)를 도 35에 나타내는 스타트위치로부터 도 36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에, 기록지(108) 및 잉크시트(12)를 공히 구동하고, 먼저, 기록지(108)의 표면상에 황색화상을 인화한다. 캐리지(210)가 엔드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1번색(황색)의 인화는 완료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나타내는 인화위치에 있다.Next, while energizing the thermal head 22, the carriage 210 is moved from the start position shown in FIG. 35 to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cording sheet 108 and the ink sheet 12 are driven together, and first, a yellow image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sheet 108. When the carriage 210 reaches the end position, the printing of the first color (yellow) is completed.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print position shown in FIG.

(잉크시트풀림방지모드)(Ink Sheet Unlocking Mode)

서말헤드유닛(26)의 위치상승에 의한 잉크시트(1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시트(12)의 권취를 실시한다. 이 사이,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나타내는 기록지공급·시트풀림방지위치 D이다.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of the ink sheet 12 due to the positional rise of the thermal head unit 26, the ink sheet 12 is wound up.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the recording paper supply / sheet release prevention position D shown in FIG.

(기록지배출모드)(Record sheet eject mode)

다음에, 배지모드에서, 기록지(108)는, 도 36에 나타내는 엔드위치로부터 도 34에 나타내는 해제위치까지 구동되고, 거기서 누름부재(218),(220)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며, 더욱이 기록지배출부(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에 의해 기록지배출수납부(302)에 반송된다. 이 사이에도, 서말헤드유닛(26)은, 도 33에 나타내는 기록지배출·시트풀림방지위치 D에 있다. 이것에 의해 일련의 인화동작을 완료한다.Next, in the discharge mode, the recording paper 108 is driven from the end position shown in FIG. 36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34, whereby the clamps by the pressing members 218 and 220 are released, and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is further performed. Is sent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storing unit 302 by the uni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meantime, the thermal head unit 26 is 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 sheet release prevention position D shown in FIG. This completes a series of print operations.

이상과 같이, 인화종료 후, 기록지(108)가 그 도면상에서의 좌측의 단부를 롤러(72) 상에 태운 상태에서, 기록지배출기구에 있어서의 기록지배출레버(300)가 회전 이동하여, 그 기록지배출레버선단부(304)에 의해 기록지(108)의 왼쪽 단부를 누르고, 그 기록지(108)를 롤러(72)를 넘고 더욱이, 기록지공급부의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프린터본체 저부의 기록지배출수납부(302)에 자연 낙하되고, 인화종료한 기록지(108)를, 기록지배출수납부(302)까지 반송하여 그 기록지배출수납부(302)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nd of the printing, the recording sheet discharge lever 300 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mechanism is rotated and moved while the recording sheet 108 burns the left end on the roller 72 on the drawing. The left end of the recording paper 108 is pressed by the discharge lever tip 304, and the recording paper 108 passes over the roller 72, and further, is located below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106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The recording sheet 108, which has naturally fallen to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302 at the bottom of the printer body, is conveyed to the recording sheet dispensing unit 302 and stored 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unit 302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Can be discharged.

이와 같이 하여, 기록지배출기구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만큼, 인화종료한 기록지(108)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배지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하여 그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고, 프린터장치 전체로서도, 구성을 간략화하여 값싸게 또한 그 외형을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cording paper 108 which has finished printin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as much as the recording paper discharging mechanism is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nfiguration number can be further simplifi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of the discharge mechanism. Also, as a whole of the printer apparatus,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inexpensively reduced in size and thinned.

또, 도 32에 나타내듯이, 기록지공급부의 기록지공급트레이(104),(106)를 수평면으로부터 경사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인화기록이 완료하여 기록지배출수납부(302)로부터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된 기록지(108) 상의 화상이 보기 쉽게되고, 배지된 상태에서 그 인화화상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2, the recording paper is completed by arranging the recording paper supply trays 104, 106 of the recording paper supply unit so as to be inclined from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d from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unit 302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 108) The image on the image becomes easy to see, and the print image can be easily checked in the discharged state.

동작모드Operation mode 아이들러기어(A)Idler Gears (A)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 중립위치Neutral position 기록지공급모드Paper feed mode 기록지공급롤러 구동위치Recording paper feed roller drive position 인화모드Print Mode 권취릴 구동위치Winding reel driving position

동작모드Operation mode 헤드위치Head position 아이들러기어(A)Idler Gears (A) 캐리지이동방향Carriage Movement Direction 기록지공급모드Paper feed mode 중립neutrality 기록지공급롤러 구동위치Recording paper feed roller drive position tablet 기록지반송모드Record Paper Transfer Mode 중간의 하위The middle child 중립위치Neutral position 정, 역Tablet station 인화모드Print Mode 최하위lowest rank 권취릴 구동위치Winding reel driving position tablet

Claims (13)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화기록을 위해, 그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내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급지하는 기록지공급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공급기구는, 상기 기록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기록지에 회전접촉 가능하고, 그 회전접촉에 의해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고, 또한, 상기 기록지가 복수 매인 경우에는 분리 반송하는 기록지공급롤러와, 상기 기록지공급롤러를 기록지에 회전접촉하기 위해,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에 기록지를 항상 누르는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의 기록지로의 회전접촉에 의해, 그 기록지를 반송하여 상기 프린터본체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for feeding the recording paper by supplying the recording paper into the printer main body, wherein the recording paper supply mechanism accommodates the recording paper. A recording sheet supplying roller and a recording sheet suppl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recording sheet by means of the rota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ing sheet housed in the storage means, and when the recording sheet has a plurality of sheets; And a pressing means for always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on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so as to be in rota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the recording paper is transported by the rota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to the recording paper and fed into the printer body. Print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누름 수단을, 수납수단을 프린터본체에 대하여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그 지지부분의 주위에 상기 수납수단 및 기록지의 자중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기록지공급롤러에 상기 기록지를 항상 누르는 지지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The recording sheet supplying 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ans supports the storage means freely by the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printer body, and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s are driven by the moment generated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means and the recording paper around the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means for always pressing the recording pap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지공급롤러에 그 기록지반송용의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기록지반송용의 동력을 상기 기록지공급롤러로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전달수단을, 기록지공급롤러로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동력을 차단하는 비작동위치로 변환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수단을, 상기 기록지공급롤러에 의해 반송되어 공급된 기록지가, 인화기록 시에 상기 기록지를 받아 일정속도로 반송하는 기록지반송수단의 소정위치까지 도달한 후에, 상기 전달수단을 비동작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3.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motor for applying power for recording paper conveyance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transfer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for transporting recording paper from said motor to said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said conveying means. And a selection means capable of converting the operating posi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the non-operation position for interrupting the power, wherein the recording means conveyed and supplied by the recording paper supply roller And switching the transfer means to an inoperative position after reach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ans for receiving the recording paper and conveying it at a constant speed during printing.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본체 내에서 상기 기록지에 인화기록할 때에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기록지반송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반송기구는, 상기 기록지의 선단부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캐리지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의 기록지에 대한 왕복반송동작 시에, 그 캐리지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왕복반송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을 그 왕복반송동작을 위해 구동하는 실질적으로 1조인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기록지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recording paper back and forth when printing the recording paper in the printer body, the recording paper conveying mechanism holding a leading end of the recording paper; Further, a carriage means for reciprocating the recording paper, guide means for supporting the carriage means to guide the reciprocating conveying opera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operation of the recording means, and the carriage means for the reciprocating conveying operation. A printer comprising substantially one set of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apparatus and a power means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ans, wherein the driving means is arrang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ording shee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일체의 리드스크류로 하고, 동력수단은, 모터와 그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리드스크류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5. The print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iving means is an integral lead screw, and the power means comprises a motor and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motor to the lead screw. 제4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일체의 타이밍벨트와 이것을 지지 및 구동하는 적어도 1개의 타이밍풀리로 하고, 동력수단은, 모터와 그 모터의 동력을 상기 타이밍풀리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5.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iving means comprises an integral timing belt and at least one timing pulley for supporting and driving the driving belt, and the power means comprises a motor and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motor to the timing pulley. Printe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본체 내에서 상기 기록지에 인화기록할 때에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프린터장치의 기록지반송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반송기구는, 상기 기록지의 선단부를 유지하는 작동위치와 해방하는 비작동위치를 취하는 누름부재를 가지고, 상기 작동위치의 누름부재에 의해 상기 기록지의 선단부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기록지를 왕복 반송하는 캐리지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의 기록지에 대한 왕복반송동작 시에, 그 캐리지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왕복반송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캐리지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이 인가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누름부재를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비작동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는 해방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sheet which i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recording sheet conveying mechanism of a printer apparatus for conveying the recording sheet back and forth when printing the recording sheet in the printer body, wherein the recording sheet conveying mechanism is a front end portion of the recording sheet. Carriage means for holding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and holding the tip of the recording paper by the pressing member of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recording paper of the carriage means. In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means for supporting the carriage means to guide the reciprocating conveying operation, the carriage means, the power means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means, and the power from the power means is applied Driven by the drive means, and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non-operating position. A printer device compris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elease means that can be displaced.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잉크시트와 그 잉크시트공급용 및 권취용의 2매의 봉을 내부에 구비한 잉크카세트를 사용하고, 프린터본체 내에 있어서, 그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상기 기록지에 대응하고, 상기 잉크시트 상의 잉크를 열 전사하여 인화기록하고, 점형상의 복수의 발열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 전사를 위한 열을, 상기 인화기록하는 화상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발열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서말헤드수단과, 상기 인화기록 시에, 상기 서말헤드수단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열체의 배열과 같은 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기록지 및 잉크시트를 상기 복수의 발열체에 누르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그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유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카세트를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장착 가능하게 한 인화기구를 가지며, 상기 인화기구는, 상기 서말헤드수단을 그 발열체의 배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한 변위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말헤드수단에는, 그 발열체의 배열의 양단에 제1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롤러의 지지부 근방에 제2의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변위기구에 의한 서말헤드수단의 상기 변위에 의해, 상기 제1의 위치결정수단과 제2의 위치결정수단을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와 서말헤드수단의 위치관계를 확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using an ink cassette provided therein with an ink sheet and two rods for supplying and winding the ink sheet, and inputt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printer body.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image corresponds to the recording sheet, and thermally transfers and prints the ink on the ink sheet, and a plurality of point heat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nd the heat for the thermal transfer is performed. The thermal head means selectively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int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means during the printing; A roller for pressing a recording sheet and an ink sheet against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nd a bearing for holding the roller at both ends of its rotational axis. And a printing mechanism capable of mounting the ink cassette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ller, wherein the printing mechanism includes a displacement mechanism configured to displace the thermal head mean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And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means,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of the roller. A print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er and the thermal head means by engaging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by the displacement of the thermal head means by the mechanism.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위치결정수단은, 서말헤드수단에 있어서의 발열체의 배열의 양단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위치결정축으로 하고, 제2의 위치결정수단은, 베어링에 있어서의 롤러의 지지부 근방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의 홈으로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9. The positioning mean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ans is a positioning shaft formed by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means. A printer device comprising a substantially V-shaped groove formed in the vicinity of a support portion of a rol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 형성하는 위치결정축은, 서말헤드수단의 발열체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의 보호수단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10. The print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sitioning shaft formed as the first position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ection means of the drive circuit for driving the heat generating element of the thermal head means.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인화기록하기 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본체에 부착된 기록지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기록지 중, 인화기록을 위해 상기 기록지수납부로부터 프린터본체 내에 공급되고, 프린터본체 내에 있어서 왕복 반송되어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를, 프린터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기록지배출기구를 가지고, 상기 기록지배출기구는, 상기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의 단부를 누르도록 배치된 기록지배출레버수단과, 기록지의 상기 배출 시에, 상기 기록지배출레버수단에 의해 단부가 눌려진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배출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배출레버수단을, 상기 인화기록이 완료한 기록지를 상기 기록지배출수납부로 반송할 때에 그 기록지의 단부를 누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A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 recording on a recording paper which is a recording medium, the printer comprising: a recording paper housed in a recording paper storage unit attached to a printer body, supplied from the recording paper storage unit to a printer body for printing, and conveyed back and forth in the printer body; And a recording paper discharge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recording paper on which the print recording has been complet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wherei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mechanism includes: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means arranged to press an end portion of the recording paper on which the printing recording is completed; And a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recording paper whose end is pressed by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means, and when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lever means conveys the recording paper on which the print recording is completed, to the recording paper discharge storage portion. A prin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ss the end of th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배출수납부를, 기록지를 수납하는 기록지수납부의 하부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12. The print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ecording sheet discharging portion is arranged below the recording sheet storing portion for storing the recording sheet.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수납부를, 수납된 기록지의 프린터본체 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 낮게 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하는 것과 같은 프린터본체에 부착하고, 그 기록지수납부의 하부에 기록지배출수납부를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장치.The recording paper storage portion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recording paper storage portion is attached to a printer body incline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so that an end portion on the printer body side of the stored recording paper is lower than an end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And a recording sheet discharging storing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KR1019997005547A 1997-10-21 1998-10-19 Printer KR2000006958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49297A JPH11124237A (en) 1997-10-21 1997-10-21 Paper feeding device for printer
JP97-287492 1997-10-21
JP97-315726 1997-11-18
JP31572697A JPH11147336A (en) 1997-11-18 1997-11-18 Recording paper transfer apparatus of printer
JP98-240937 1998-08-27
JP24093798A JP2000071489A (en) 1998-08-27 1998-08-27 Drawing device for printer
JP98-240938 1998-08-27
JP10240938A JP2000072304A (en) 1998-08-27 1998-08-27 Delivery for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583A true KR20000069583A (en) 2000-11-25

Family

ID=2747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547A KR20000069583A (en) 1997-10-21 1998-10-19 Print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00069583A (en)
CN (1) CN1242742A (en)
WO (1) WO19990204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8417A (en) * 2011-01-31 2012-08-23 Seiko Epson Corp Recording apparatus
CN104044333A (en) * 2014-06-20 2014-09-17 张晓玲 Paper jamming preventing printer
JP2017165037A (en) * 2016-03-17 2017-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discharge device and head uni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007U (en) * 1978-03-15 1979-09-20
JPS5976351U (en) * 1982-11-17 1984-05-23 株式会社リコー Thermal head positioning device
JPS59118544U (en) * 1983-01-27 1984-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Sheet delivery device
JPS6049984A (en) * 1983-08-31 1985-03-19 Toshiba Corp Supporting device for recording head
JPS61116635U (en) * 1984-12-28 1986-07-23
JPS6392536A (en) * 1986-10-03 1988-04-23 Nec Corp Paper feeding device
JPS6464929A (en) * 1987-09-02 1989-03-10 Nec Corp Automatic paper feed mechanism
JPH0292664A (en) * 1988-09-30 1990-04-03 Toshiba Corp Image forming device
JPH02117529A (en) * 1988-10-25 1990-05-02 Toshiba Corp Paper sheet feeding device
JP2552718B2 (en) * 1988-11-09 1996-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Printer paper transport device
JPH0273342U (en) * 1988-11-28 1990-06-05
JPH02139753U (en) * 1989-04-25 1990-11-21
JPH0437567A (en) * 1990-06-04 1992-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Printer
JPH0485225A (en) * 1990-07-25 1992-03-18 Nec Corp Printer apparatus
JP2635826B2 (en) * 1990-12-21 1997-07-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Printer for bankbook entry
JPH04351570A (en) * 1991-05-29 1992-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Recording device
JPH0772027B2 (en) * 1993-03-10 1995-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Paper feeder
JPH07112563A (en) * 1993-08-21 1995-05-02 Sony Corp Pr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20470A1 (en) 1999-04-29
CN1242742A (en)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0355B2 (en) Card recording device
US7695205B2 (en) Driv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US7976151B2 (en) Recording sheet/ink sheet integral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7179002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6513806B2 (en) Recording device for cards
US72952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ouble-sided print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00069583A (en) Printer
KR100210461B1 (en) Printer
CA21229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printing
JPH01502175A (en) Card removal device
US6443446B1 (en) Media transport mechanism for information transfer devices
JPH03215066A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device
JP2570854B2 (en) Recording device
JP2608896B2 (en) Card recorder
KR950004921Y1 (en) Recording apparatus
JP2576248B2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device
JP3671480B2 (en) Card reader
JP3181716B2 (en) Recording paper holding / scanning / ejecting structur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90870A (en) Printer
JP2004216591A (en) Driving force switching mechanism and recording device
JPH03262664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4122402A (en) Holding mechanism for thermal head
JPH07215527A (en) Printer device
JP2004216590A (en) Recording device
JP2001138556A (en) Print unit for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