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647A -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647A
KR20000066647A KR1019990013906A KR19990013906A KR20000066647A KR 20000066647 A KR20000066647 A KR 20000066647A KR 1019990013906 A KR1019990013906 A KR 1019990013906A KR 19990013906 A KR19990013906 A KR 19990013906A KR 20000066647 A KR20000066647 A KR 20000066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subtitle
korean
english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647A/ko
Publication of KR2000006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션(Caption)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선택하는 캡션키(Caption Key)입력시 자막 유무를 판단하여 선택된 모드의 자막이 없을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캡션자막 유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서, 캡션키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캡션키가 입력되면 한글자막 선택인지 영문자막 선택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한글 또는 영문자막 선택시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소스가 있으면 한글자막을 표시하고 한글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소스가 있으면 영문자막을 표시하고 영문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Caption status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캡션(Caption)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선택하는 캡션키(Caption Key)입력시 자막 유무를 판단하여 선택된 모드의 자막이 없을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캡션자막 유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의 귀선소거 기간에 실어 보내는 자막신호를 검출하여 화면에 자막을 표시시키는 캡션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이 출시되어 있다.
캡션기능은 사운드에 의하지 않고 눈으로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이점때문에 시각장애인 또는 외국어 학습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상기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은 캡션키 입력에 의해 토글(Toggle)되어지나 한글자막 소스가 없을 때 캡션키를 눌러 한글자막을 선택하거나 영문자막 소스가 없을 때 캡션키를 눌러 영문자막을 선택하는 경우 화면에는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아 사용자는 캡션기능 작동 여부를 의심하게 되고 불필요한 서비스 요청도 따르게 된다.
즉 캡션기능 내장 텔레비젼에서, 캡션키를 누르면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표시시키는 단순기능 밖에 제공하지 않아 선택된 자막소스가 없을 경우(한글자막소스는 있으나 영문자막소스가 없는 경우)에 영문자막을 선택하면 화면에서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아 사용자가 고장으로 오인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캡션기능 내장 텔레비젼에서 캡션키를 눌러 캡션자막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자막소스가 없으면 자막소스가 없어 캡션자막을 나타낼 수 없다는 메세지를 표시시킴으로써 캡션자막을 선택하였어도 소오스가 없어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음을 인식시켜 캡션기능 오작동으로 오인하는 경우를 없애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자막소스가 없거나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자막소스가 없을 경우 화면에 자막제공이 안된다는 메세지를 표시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캡션기능의 오동작으로 오인하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서, 캡션키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캡션키가 입력되면 한글자막 선택인지 영문자막 선택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한글 또는 영문자막 선택시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소스가 있으면 한글자막을 표시하고 한글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소스가 있으면 영문자막을 표시하고 영문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스터 마이콤 20 : 슬레이브 마이콤
30 : 화면 40 : 리모콘
41 : 뮤트키
본 발명은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 적용되어지는 것으로,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은 텔레비젼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하는 마스터마이콤(10)과, 자막방송기능을 제어하는 슬래이브마이콤(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콤(10)(20)의 제어에 의해 화면(30)으로 방송신호 또는 자막방송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상기 마이콤(10)(20)의 동작은 공지된 사항이고 이를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콘(40)에 한글자막과 영문자막을 선택하는 캡션키(41)를 설치한 것도 공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된 구성의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의 프로그램을 변경시켜 캡션키(41)입력시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선택하도록 하되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할 경우는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표시시키고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막제공을 않는다는 메세지를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알려주는 것이다.
상기된 본 발명은 캡션키(41)입력을 체크하는 과정과, 캡션키(41)입력시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 선택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한글 또는 영문자막 선택시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체크하는 과정과, 한글 또는 영문소스 존재시는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표시시키고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자막제공을 않는다는 메세지를 표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캡션키(41)입력에 의해 한글자막이 선택된 상태에서 한글소스가 존재하면 그대로 한글자막을 표시하고 한글소스가 존재치 않으면 자막표시 불가 메세지를 표시시키고, 캡션키(41)입력에 의해 영문자막이 선택된 상태에서 영문소스가 존재하면 그대로 영문자막을 표시하고 영문소스가 존재치 않으면 자막표시 불가 메세지를 표시시킴으로써 캡션자막을 선택하였을 때 자막소스가 없어 캡션자막을 표시시키지 못하는 경우 캡션기능의 오동작으로 오인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문제를 없애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도 2 의 흐름도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리모콘(40)의 캡션키(41)가 입력되는 가를 체크하여 한글선택 모드인지 영문선택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캡션키(41)는 캡션기능의 선택과 함께 한글자막 또는 영문자막을 토글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캡션키(41)를 눌러 한글자막이 선택된 경우를 살펴본다.
캡션키(41)눌림에 의해 한글자막이 선택되면 한글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소스가 존재하면 한글자막을 표시시키고, 한글자막 소스가 존재치 않으면 자막제공 불가라는 메세지를 표시시킨다.
이때의 자막제공 불가 메세지를 "한글자막 제공 안함"과 같이 표시시킨다.
따라서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소스가 있으면 정상적으로 한글자막이 표시되고 한글소스가 없으면 "한글자막 제공 안함"의 메세지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자막이 안나오고 "한글자막 제공 안함" 메세지가 표시되면 한글소스가 없어 표시하지 못할 뿐 캡션기능의 고장이라고 인식치 않게 된다.
그러므로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무조건 서비스요청을 하지 않게 되어 서비스 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캡션키(41)를 눌러 영문자막이 선택된 경우를 살펴본다.
캡션키(41)눌림에 의해 영문자막이 선택되면 영문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소스가 존재하면 영문자막을 표시시키고, 영문자막 소스가 존재치 않으면 자막제공 불가라는 메세지를 표시시킨다.
이때의 자막제공 불가 메세지는 "영문자막 제공 안함"과 같이 표시시킨다.
따라서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소스가 있으면 정상적으로 영문자막이 표시되고 영문소스가 없으면 "영문자막 제공 안함"의 메세지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자막이 안나오고 "영문자막 제공 안함" 메세지가 표시되면 영문소스가 없어 표시하지 못할 뿐 캡션기능의 고장이라고 인식치 않게 된다.
그러므로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무조건 서비스요청을 하지 않게 되어 서비스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캡션기능 내장 텔레비젼에서 캡션키를 눌러 캡션자막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자막소스가 없으면 자막소스가 없어 캡션자막을 나타낼 수 없다는 메세지를 표시시킴으로써 캡션자막을 선택하였어도 소오스가 없어 캡션자막이 나타나지 않음을 인식시켜 캡션기능 오작동으로 오인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Claims (1)

  1. 캡션기능 내장형 텔레비젼에서, 캡션키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캡션키가 입력되면 한글자막 선택인지 영문자막 선택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한글 또는 영문자막 선택시 한글 또는 영문소스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한글자막 선택시 한글소스가 있으면 한글자막을 표시하고 한글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영문자막 선택시 영문소스가 있으면 영문자막을 표시하고 영문소스가 없으면 자막불가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KR1019990013906A 1999-04-20 1999-04-20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KR20000066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06A KR20000066647A (ko) 1999-04-20 1999-04-20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06A KR20000066647A (ko) 1999-04-20 1999-04-20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47A true KR20000066647A (ko) 2000-11-15

Family

ID=1958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906A KR20000066647A (ko) 1999-04-20 1999-04-20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66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875A1 (en) * 2003-10-28 2005-05-06 Royal Sovereign Inc. Thin film for lamina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442A (ja) * 1992-03-04 1993-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字幕放送用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デコーダ
JPH09266568A (ja) * 1996-03-27 1997-10-07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78483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방법
KR970078489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442A (ja) * 1992-03-04 1993-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字幕放送用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デコーダ
JPH09266568A (ja) * 1996-03-27 1997-10-07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78483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방법
KR970078489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875A1 (en) * 2003-10-28 2005-05-06 Royal Sovereign Inc. Thin film for lamin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176A (en) Automatic display of closed caption information during audio muting
KR100761140B1 (ko)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US5469224A (en) Recording signal selection method for video titling
EP12516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uxiliary video information display
KR20000066647A (ko) 캡션 자막 유무 표시방법
KR100308334B1 (ko) 캡션 자막 표시방법
JP2007336313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
JP3101737U (ja) Dvd一体型テレビ
KR930010173B1 (ko) 입력된 데이타의 홀딩 방법
KR950010058B1 (ko) 캡션/텍스트 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KR970019479A (ko) 캡션(Caption) 자막과 티브이씨알(TVCR) 제어용 오에스디(OSD) 문자 겹침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79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5018229A1 (en) A system and a method to avoid on-screen fluctuations due to input signal changes while in an osd or graphic centric mode
KR20080051350A (ko) 녹화 명령 전송 방법
KR20070081583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음악방송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9980025729A (ko) 문자다중방송을 위한 원격제어장치의 코드신호 송신방법 및 티브이의 코드신호 수신방법
KR20000021575A (ko) 차일드 코드를 이용한 아동 시청 제어 방법
KR19990026724A (ko)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막 온,오프방법
KR20000034741A (ko) 티 브이의 자가 진단방법
KR19990015340U (ko) 라인 연결 상태 표시 장치
KR19980023761A (ko) Ttx모드상에서의 콘트라스트레벨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940027521A (ko) 자막 위치에 따른 자막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950035344A (ko) 학습방식의 텔레비전채널절환제어방법
KR950010557A (ko) 뮤트(Mute)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 자막표시장치
KR19980023852A (ko) 텔레비젼 수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 문자 표시시간 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