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030A -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030A
KR20000066030A KR1019990012852A KR19990012852A KR20000066030A KR 20000066030 A KR20000066030 A KR 20000066030A KR 1019990012852 A KR1019990012852 A KR 1019990012852A KR 19990012852 A KR19990012852 A KR 19990012852A KR 20000066030 A KR20000066030 A KR 2000006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cinic acid
whey
culture
batch
producing succi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960B1 (ko
Inventor
장호남
이상엽
이평천
이우기
권선훈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9001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9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4Sugars

Abstract

본 발명은 낙농 산업에서 나오는 폐기물인 유청을 배양원료로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고,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과정을 통해 배양시킴으로써, 숙신산을 고수율 및 고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상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은, 유청 또는 유당을 배양원료로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전기 배양물로부터 숙신산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숙신산의 생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식 배양의 경우, 93%의 수율과 1.35g/L/h의 생산성인 고효율로 숙신산을 유청으로부터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청을 배양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외여과 또는 가수분해 등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양원료로 이용할 수 있어, 생산 공정상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가 있으며, 유청은 현재 일부분이 사료 등으로 재사용되고 나머지는 버리게 되어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유청을 이용하여 현재 대부분 화학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uccinic Acid from Whey}
본 발명은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낙농 산업에서 나오는 폐기물인 유청을 배양원료로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고,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과정을 통해 배양시킴으로써, 숙신산을 고수율 및 고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상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규제 등의 강화로 인해 석유화학 제품 및 화학적 합성공정에 대한생산단가, 이용 및 처리비용 등이 급격히 상승한 반면, 미생물 배양기술과 유전공학적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에 힘입어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생화학물질 (biochemical)의 생산이 점차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생화학물질의 생산은 사용원료가 값싼 재생자원(renewable resource)이라는 측면에서 화학합성법보다 경제적인 우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참조: Landucci et al., Appl. Biochem. Biotechnol., l45:678-696 (1994)), 환경친화적 공정이라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를 대량생산에 적용하고 전체적인 원가절감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점차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들어 생화학물질의 가격이 많이 하락하여 이에 대한 시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자원(biomass)으로부터 젖산(lactic acid), 초산(acet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참조: 임억규, 생물산업, 5:60-75(1992)).
숙신산의 생물학적 생산에 대한 연구는 1938년 록우드(Lockwood) 등이 미생물인 푸사리움 마티(Fusarium martii)를 이용하여 당으로부터 18%의 수율로 숙신산을 생산한 것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숙시니비브리오 덱스트리노솔벤스 (Succinivibrio dextrinosolvens), 피브로박터 숙시노겐스(Fibrobacter succinogenes) 또는 루미노코커스 플라비파시엔스(Ruminococcus flavefaciens)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혐기성 미생물(참조: Zeikus, Annu Rev Microbiol, 34:423-464(1980))이 포도당대사를 통하여 숙신산을 최종산물로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산업적으로 유용한 경제성이 있는 높은 수율의 숙신산을 생성하는 균주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다만 최근에 다른 숙신산 생산 혐기성 미생물과는 다르게, 과량의 탄산 존재 시에 포도당으로부터 높은 농도와 수율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Anaerobiospirillum succinici producens)가 숙신산을 직접 생산하는 가장 유망한 균주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
한편, 치즈제조시 생기는 부산물인 유청은 단백질, 유당, 수용성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들 성분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유청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숙신산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낙농산업에서 생산되는 유청이 대부분 폐기되고 있고, 이에 따른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청을 이용한 생화학물질, 특히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산업적으로는 물론 환경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아울러, 숙신산은 현재 화학공정에 의한 생산방법과 비교하여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는 몇 가지 대체 생화학물질 중의 하나이므로, 앞으로 숙신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나, 아직 생물학적인 방법에 의한 배양공정이나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 5,143,833호 및 미국특허 제 5,143,834호에서 혐기적 조건의 배양에 의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및 분리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기 발명에서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이용하였으며, 배양공정도 회분식 배양공정만을 다룸으로써, 단순히 숙신산을 회분식 배양방법에 의하여 생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 숙신산의 최적화된 생산방법이나 환경문제를 고려한 원료의 선택 등에 대한 고려는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게 대두되는 유청을 원료로 이용하는 일반적인 배양공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나, 종래의 유청을 이용하는 배양공정에서는 반드시 유청을 한외여과 또는 가수분해 방법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따라서, 생물학적 방법으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숙신산의 최적화된 배양공정 및 조건을 확립하고, 원료로서 유청을 전처리 등의 불편함 없이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청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배양공정에 의하여 숙신산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기존의 배양공정에서 이용한 포도당 대신에, 유청에 다량 포함된 유당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공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숙신산 수율보다 획기적으로 높은 수율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청 또는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유당을 배양원료로 이용하여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공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유청을 이용한 회분식 숙신산 배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유청 및 포도당을 이용한 회분식 숙신산 배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숙신산 연속배양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 연속배양에서의 배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 연속배양에서의 희석속도에 따른 숙신산 수율 및 숙신산과 초산의 생성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은, 유청 또는 유당을 배양원료로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전기 배양물로부터 숙신산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숙신산의 생산방법이다.
이때, 유청 또는 유당은 배양배지 리터 당 10 내지 40g 포함시킬 수 있으며,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인 유청 또는 유당을 이용할 수 있고, 한외여과 또는 가수분해등의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살균된 유청을 바로 숙신산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배지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숙신산 발효미생물의 배양을 위한 배양배지는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배지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배지에 폴리펩톤과 효모추출물 성분이 유청 20g 당 2 내지 7g씩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숙신산 발효미생물은 혐기성 숙신산 발효미생물인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숙시니비브리오 덱스트리노솔벤스(Succinivibrio dextrinosolvens), 피브로박터 숙시노겐스 (Fibrobacter succinogenes) 또는 루미노코커스 플라비파시엔스(Ruminococcus flavefacien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참조: David et al., Int. J. Syst. Bacteriol., 26: 498-504(1976))를 사용한다. 그리고, 배양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배양시 35 내지 42℃,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39℃의 온도 및 pH 6.0 내지 7.5 범위에서, 탄산가스를 0.25 내지 0.5vvm의 유속으로 공급하면서 배양을 수행하며, 특히 연속식 배양시에는 먼저 회분식 방법에 의하여 배양을 40시간 내지 70시간동안 진행한 다음, 희석속도(dilution rate, D, 배지흐름속도/전체배양부피)를 변화시키면서 연속식 배양을 수행한다. 또한, 회분식 배양시에는 유청과 함께 포도당을 배양배지 리터 당 4 내지 9g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속식 배양을 이용하여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배양시킬 때에는 희석속도(dilution rate, D, 배지흐름속도/전체배양부피)를 0.02 내지 0.15h-1,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3h-1,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h-1로 유지시켜야 고농도 및 고생산성으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에서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유청을 배양원료로서 이용하는 바, 유청에 포함된 유당이 숙신산 발효미생물에 의하여 소모되면서 숙신산이 생산된다. 이때, 유청 또는 유당을 배양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은 종래의 포도당을 이용한 배양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숙신산 생산성을 상회하는 숙신산 생산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미생물의 성장에 저해를 유발시키는 초산의 과잉생성을 상대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함께 수반하므로, 고효율 및 고경제성의 숙신산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청을 이용한 회분식 배양
배양원료로서 유청을 이용하여 회분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균주는 혐기적 미생물인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ATCC 29305)를 사용하고, 배양기에서 본배양을 하기 전, 5g/L의 유당, 5g/L의 폴리펩톤, 5g/L의 효모추출물, 3g/L의 K2HPO4, 1g/L의 NaCl, 1g/L의 (NH4)2SO4, 0.2g/L의 CaCl2·2H2O, 0.2g/L의 MgCl2·6H2O 및 1g/L의 Na2CO3로 구성된 전배양 배지를 조제한 다음, 혐기적 배양을 위하여 탄산가스를 주입한 100㎖ 플라스크에 균을 접종하고, 39℃에서 14시간동안 전배양을 하였다. 다음으로, 20g/L의 유청, 5g/L의 폴리펩톤, 5g/L의 효모추출물, 3g/L의 K2HPO4, 1g/L의 NaCl, 5g/L의 (NH4)2SO4, 0.2g/L의 CaCl2·2H2O, 0.2g/L의 MgCl2·6H2O, 5mg/L의 FeSO4·7H2O 및 5g/L의 Na2CO3로 구성된 본배양 배지를 조제하고 2.5L의 배양조에 0.9L의 배지를 주입한 다음, 온도 및 pH를 각각 39℃와 6.5로 맞춰주고, 100㎖의 전배양된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였으며, 혐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산가스를 0.25vvm의 유속으로 공급하면서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총 63시간동안 배양을 진행시키면서, 시간별로 배양기로부터 배지를 채취하여 배양액 내의 숙신산, 유당, 초산 및 갈락토오스의 양을 유기산 및 당류를 분석할 수 있는 Aminex HPX-87H 컬럼(Bio-Rad, 미국)을 이용한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참조: 도 1). 도 1에서, (○)는 숙신산; (■)는 유당; (◇)는 초산; 및 (▽)는 갈락토오스의 배양시간에 따른 농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20g/L의 유청을 배양원료로서 이용한 회분식 숙신산 발효를 수행하였을 때, 63시간의 배양 후에 유청에 포함된 유당이 거의 소모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숙신산의 농도는 15.5g/L이고, 숙신산 수율(생성된 숙신산의 양/소모된 유당의 양)은 93%이며, 숙신산의 부피생산성(생성된 숙신산의 양/단위부피/단위시간)은 0.24g/L/h이었다.
실시예 2: 유청 및 포도당을 이용한 회분식 배양
회분식 배양에 있어서, 숙신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양조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20g/L의 유청 및 7g/L의 포도당을 배양원료로 하여,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배양조건하에서 회분식 배양을 수행하였으며, 총 36시간동안 배양을 진행시키면서, 시간별로 배양기로부터 배지를 채취하여 배양액 내의 숙신산, 유당, 초산 및 포도당의 양을 유기산 및 당류를 분석할 수 있는 Aminex HPX-87H 컬럼(Bio-Rad, 미국)을 이용한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참조: 도 2). 도 2에서, (○)는 숙신산; (■)는 유당; (◇)는 초산; 및 (▼)는 포도당의 배양시간에 따른 농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약 8시간의 배양 후에 포도당이 완전히 소모되었고, 이후부터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유당이 소모되기 시작하였다. 배양 36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얻어진 숙신산의 농도는 17.5g/L이고, 숙신산 수율(생성된 숙신산의 양/소모된 유당과 포도당의 양)은 95%이며, 숙신산의 부피생산성(생성된 숙신산의 양/단위부피/단위시간)은 0.46g/L/h이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숙신산의 수율(95%)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숙신산 수율(93%)보다 높았으며, 또한 기존에 포도당을 이용하여 생산된 92%의 숙신산 수율(참조: Nghiem, N. P. et al., Appl. Biochem. Biotechnol. 57/58; 633-638)보다도 높은 것이었다. 이로써, 실시예 1에서 제시한 회분식 배양공정보다 뛰어난 숙신산 생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회분식 배양 공정시, 유청과 함께 포도당을 동시에 배양원료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유청을 이용한 연속식 배양
본 발명의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을 연속식 배양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연속배양으로는 배지탱크, 배양조 및 회수탱크의 세부분으로 구성된 1단의 연속배양기를 사용하였으며(참조: 도 3), 배양액의 부피를 500㎖로 하고, 배양 시작시의 배지 및 연속식 배양시 반응기에 공급할 새로운 배지의 조성은 실시예 1의 본배양 배지와 동일하였으며, 혐기적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 1일간 산소가 제거된 탄산가스를 약 1vvm의 유속으로 공급한 다음에, 연속식 배양을 시작할 때에는 0.1vvm의 유속으로 탄산가스를 공급하였다. 20g/L의 유청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100㎖의 전배양된 숙신산 발효미생물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를 접종하여 회분식 방법에 의하여 배양을 54시간동안 수행한 다음, 희석속도(dilution rate, D, 배지흐름속도/전체배양부피)를 변화시키면서 연속식 배양을 시작하여 384시간동안 배양을 진행하였다. 연속식 배양을 수행하면서 희석속도에 따른 유당, 숙신산 및 초산의 농도를 배양배지로부터 HPLC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여, 이로부터 숙신산의 생산성(참조: 도 4) 및 숙신산의 수율(참조: 도 5)을 계산하였다. 도 4에서, (○)는 숙신산; (■)는 유당; 및 (◇)는 초산의 연속식 배양에서 희석속도에 따른 농도를 나타내며, (▼)는 숙신산의 희석속도에 따른 생산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 (○)는 숙신산의 희석속도에 따른 수율을 나타내며; 및 (●)는 숙신산과 초산의 비율(ratio of acetic acid to succinic acid)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처음조건인 희석속도 0.028h-1인 경우, 숙신산의 농도는 14g/L이었으며, 이때의 숙신산 생산성 및 수율은 각각 0.4g/L/h 와 93%였다. 그러나, 점차 희석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숙신산의 생산성이 증가되었으며, 희석속도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숙신산 수율은 93%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희석속도가 0.11h-1인 경우, 최고의 숙신산 생산성(1.35g/L/h)을 보였으며, 희석속도를 0.11h-1이상으로 조절하자 숙신산 발효미생물이 유당을 완전히 소비 못하기 시작하여, 그 결과로 숙신산의 생산성, 농도 및 수율이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연속식 배양을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숙신산 생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희석속도를 0.02 내지 0.15h-1,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3h-1,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h-1로 조절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회분식 배양보다 훨씬 높은 생산성으로 숙신산을 유청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회분식 배양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적응기(lag period)를 단축한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이 결과로써 기존의 포도당을 배양원료로 이용한 회분식 배양에서 얻을 수 있는 생산성을 상회하는 숙신산 생산을 유청을 이용한 연속식 배양에서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6일간의 연속식 배양 조업기간 동안, 오염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유청을 전처리 없이 사용할 시에 생성되는 침점물이 새로운 배지의 공급선을 막는 현상도 없이 안정적으로 조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청을 배양배지로 이용할 시에 전처리 공정을 생략 및 단순화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공지된 숙신산과 초산의 배양에 의한 생성비는 회분식의 경우 약 4:1(g/g)이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연속식 배양의 결과에 의하면, 생성비가 약 5:1 내지 6:1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참조: 도 5). 이는 유청을 배양원료로 이용한 연속식 배양시, 미생물의 성장에 저해를 끼치는 과량의 초산 생성이 억제된다는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초산의 생성비가 낮아지면 고농도 배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유청을 이용하여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방법에 의해 숙신산을 생산하는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결과들은, 현재까지의 숙신산 생성에 사용된 포도당을 낙농산업에서 생성되는 폐기물인 유청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정으로 여겨지며, 별도의 전처리를 하지 않은 유청을 배양원료로 사용하여, 발효에 의해 고수율 및 고생산성의 최적화된 숙신산 생산을 확립시킨 예는 국내외적으로 처음으로써,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을 통하여, 낙농산업의 부산물이며 폐기물인 유청을 이용하여 높은 수율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에 의하면, 연속식 배양의 경우, 93%의 수율과 1.35g/L/h의 생산성인 고효율로 숙신산을 유청으로부터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청을 배양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외여과 또는 가수분해 등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양원료로 이용할 수 있어, 생산 공정상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가 있으며, 유청은 현재 일부분이 사료 등으로 재사용되고 나머지는 버리게 되어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유청을 이용하여 현재 대부분 화학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9)

  1. 유청 또는 유당을 배양원료로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숙신산 발효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전기 배양물로부터 숙신산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유청 또는 유당은 배양배지 리터 당 10 내지 40g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배양배지는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숙신산 발효미생물은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움 숙시니시프로두센스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숙시니비브리오 덱스트리노솔벤스 (Succinivibrio dextrinosolvens), 피브로박터 숙시노겐스(Fibrobacter succinogenes) 또는 루미노코커스 플라비파시엔스(Ruminococcus flavefaci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배양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배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배양은 35 내지 42℃의 온도 및 pH 6.0 내지 7.5 범위에서, 탄산가스를 0.25 내지 0.5vvm의 유속으로 공급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회분식으로 배양시, 포도당을 배양배지 리터 당 4 내지 9g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연속식으로 배양시, 회분식 배양방법에 의하여 배양을 40시간 내지 70시간동안 진행한 다음, 희석속도(dilution rate, D, 배지흐름속도/전체배양부피)를 변화시키면서 연속식 배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희석속도는 0.02 내지 0.15h-1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KR1019990012852A 1999-04-12 1999-04-12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KR10030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52A KR100301960B1 (ko) 1999-04-12 1999-04-12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52A KR100301960B1 (ko) 1999-04-12 1999-04-12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30A true KR20000066030A (ko) 2000-11-15
KR100301960B1 KR100301960B1 (ko) 2001-09-22

Family

ID=1957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52A KR100301960B1 (ko) 1999-04-12 1999-04-12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422B1 (ko) * 2013-11-26 2015-07-2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분할 접종을 이용한 숙신산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960B1 (ko) 200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Biological conversion of wood hydrolysate to succinic acid by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Celińska et al.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2, 3-butanediol—current state and prospects
Hujanen et al. Optimisation of media and cultivation conditions for L (+)(S)-lactic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casei NRRL B-441
Singh et al.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gluconic acid: future implications
Kim et al. Batch and continuous fermentation of succinic acid from wood hydrolysate by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55E
Liu et al. Economical succinic acid production from cane molasses by Actinobacillus succinogenes
Kenealy et al. Production of caproic acid by cocultures of ruminal cellulolytic bacteria and Clostridium kluyveri grown on cellulose and ethanol
Jiang et al. Butyric acid fermentation in a fibrous bed bioreactor with immobilized Clostridium tyrobutyricum from cane molasses
Lee et al. Batch and continuous cultures of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55E for the production of succinic acid from whey and corn steep liquor
Lee et al. Fermentative production of succinic acid from glucose and corn steep liquor by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Dai et al. High acetoin production by a newly isolated marine Bacillus subtilis strain with low requirement of oxygen supply
Ahmed et al. Production of microbial biomass protein by sequential culture fermentation of Arachniotus sp. and Candida utilis
Vidra et al. Lactic acid production from cane molasses
CN106893744A (zh) 生物燃料物质及生物化学物质的制备方法
KR100372218B1 (ko) 유기산을 생산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산의 생산방법
Guo et al. Efficient production of 2, 3-butanediol from cheese whey powder (CWP) solution by Klebsiella pneumoniae through integrating pulsed fed-batch fermentation with a two-stage pH control strategy
Abdel-Rahman et al. Subsequent improvement of lactic acid production from beet molasses by Enterococcus hirae ds10 using different fermentation strategies
Thitiprasert et al. A homofermentative Bacillus sp. BC-001 and its performance as a potential L-lactate industrial strain
KR20040022283A (ko) 제지 슬러지로부터 젖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1342156B1 (ko) 발효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물질 및 바이오 화학물질 제조방법
Anastassiadis et al. Process optimization of continuous gluconic acid fermentation by isolated yeast‐like strains of Aureobasidium pullulans
KR100301960B1 (ko) 유청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US20040203122A1 (e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rom a pentose-containing substrate
KR100313134B1 (ko) 글리세롤을 이용한 숙신산의 생산방법
CN106868067A (zh) 一种利用菌体蛋白水解液替代豆粕水解液的温敏型谷氨酸发酵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