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941A -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941A
KR20000063941A KR1020000046692A KR20000046692A KR20000063941A KR 20000063941 A KR20000063941 A KR 20000063941A KR 1020000046692 A KR1020000046692 A KR 1020000046692A KR 20000046692 A KR20000046692 A KR 20000046692A KR 20000063941 A KR20000063941 A KR 2000006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cb circuit
upper body
key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주식회사 티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주식회사 티오디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00004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941A/ko
Publication of KR2000006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의 외형을 연질의 실리콘수지로 성형하여 PCB회로부와 제어부를 내장하도록 한 후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접착제로 결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두루말이형태로 휴대 및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시 사용하는 경우 키보드자체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복원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유연성을 갖는 연질의 실리콘수지재를 사용하여 PCB회로부와 제어부가 내장되도록 성형하되, 상기 키보드의 상체부는 기존의 자판배열형태대로 각종 키가 일체로 형성되어 PCB회로부와 제어부를 지지하는 하체부와 접칙제로 결착되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키보드의 외형을 이루고있는 커버를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수지와 같은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키보드를 휴대하거나 보관시에 두루말이형태로 변형할 수 있어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실리콘수지재의 특성상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가 완전히 결착되어 습기나 물기 등에 의한 방수성이 뛰어나고,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고, 책상 등지에서 떨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외형이 파손이 되거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a portable roll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의 본체를 이루고 있는 키보드의 자판이 배열된 상체부와 PCB(Printed Circuit Board)회로부 및 제어부를 지지하고 있는 하체부를 연질의 실리콘수지로 성형한 후 실리콘 접착제로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두루말이 형태로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는 본체와 주변기기로 구성이 되는데, 본체안에는 중앙처리장치(CPU)와 하드디스크를 비롯한 복잡한 하드웨어들이 들어있고, 각종 주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컴퓨터 주변기기로서 가장 기본적인 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처리된 결과 및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는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와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장치로 구성이 되는데, 이러한 데스크 탑형태의 개인용 컴퓨터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서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사용시에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입력장치로 널리 활용이 되고 있는 키보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문자키, 숫자키, 다양한 기능키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어 키보드의 자체 부피가 불가피하게 커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작업공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종래의 키보드의 구조를 도1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키보드는 상체부와 하체부 및 PCB회로부, 실리콘 수지부, 제어부, 지지판으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 상체부는 문자키, 숫자키, 다양한 기능키 등의 자판이 배열이 되도록 하는 플라스틱소재의 단단한 재질로 성형이 되어 있고, 상기 PCB회로부는 상체부와 하체부사이에 횡설되고, 상체부에 배열되어 있는 키판에 의해 접지되어 해당 키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실리콘 수지부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상체부에 배열되어 있는 키판과 상기 PCB회로부사이에 횡설되어 사용자가 해당 키를 압지하는 경우 압지되는 힘에 의해 PCB회로가 접지되도록 하고, 실리콘 수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압지된 키는 원래대로 복원이 되도록 상체부의 키판과 비슷한 형태로 성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체부의 해당 키에 의해 접지되는 PCB회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컴퓨터 본체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역활을 담당하고, 상기 지지판은 실리콘 수지부, PCB회로부 및 제어부가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하체부에 의해 결합매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하체부는 상체부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내부적으로는 상기 지지판을 지지할 수 있고, 외부적으로는 상체부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성형하여 구성한다.
상기 종래의 키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정보를 감당하기 위하여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등의 다양한 키들을 배열하여야 하고 이로인해 키보드자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사용시 키보드 소재의 고정된 속성으로 인해 작업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불필요한 자판 키로 인해 필요이상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사용상의 부주의로 인해 키보드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심한 외부 충격이 있는 경우 키보드의 딱딱한 소재속성상 키보드가 파손이 되거나 외부 표면에 손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체부와 하체부가 견고하게 결착되지 않거나 결착부분이 약화되면 습기나 물기 등으로 인하여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부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불가피하게 노트북 컴퓨터의 크기가 소형화하기가 어렵게 되고, 사용자가 휴대하기에는 키보드의 두께나 부피로 인해 많은 불편함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피가 적고 가벼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도 손상이 되지 않는 실용적인 키보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키보드의 외형을 연질의 실리콘수지로 성형하여 PCB회로부와 제어부를 내장하도록 한 후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실리콘 접착제로 결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두루말이형태로 휴대 및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시 자료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키보드자체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복원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습기나 물기에 노출이 되지 않아 방수성이 뛰어나고, 키보드의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장소에서 떨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이나 외부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유연성을 갖는 연질의 실리콘수지재를 사용하여 PCB회로부와 제어부가 내장되도록 성형하되, 상기 키보드의 상체부는 기존의 자판배열형태대로 각종 키가 일체로 형성되어 PCB회로부와 제어부를 지지하는 하체부와 접착제로 가공하여 결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요부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상체부 2. 접지돌기
10.하체부 20. PCB회로부
3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일 뿐이며 ,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요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미도시부호 3은 실리콘 수지부, 4는 지지판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의 외형을 연질의 실리콘수지로 성형하되, 상체부(1)의 자판키는 종래의 자판 배열형태대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하고, 하체부(10)는 PCB회로부(20)와 제어부(30)를 수평의 상태로 지지하도록 성형하여 내부에 PCB회로부(20)와 제어부(30)를 내장한 후 상체부(1)와 하체부(10)는 실리콘 접착제로 결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키보드의 상체부(1)는 연질의 실리콘수지를 소재로 하여 종래의 자판배열형태대로 성형하되,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등의 자판위치에 대한 표시는 실리콘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는 각 자판상에 실크인쇄를 통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상체부(1)상에 형성되어 있는 자판은 기존의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등의 자판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과는 상반되게 실리콘수지재의 특성상 각 자판은 일체로 형성이 되도록 하고, 각 키의 하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회로부(20)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접지돌기(2)를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압지되는 힘에 의해 PCB회로부(20)와 접지가 되도록 하고, 실리콘수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해 압지된 자판은 원래의 형태대로 복원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키보드의 하체부(10)는 상체부(1)와 동일한 재질인 연질의 실리콘수지를 소재로 하여 키보드의 내부에 내장되는 PCB회로부(20)와 제어부(3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성형하여 사용자의 사용시 작업공간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B회로부(20)는 키보드상에 배열된 자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활을 담당하는 것으로, 기존의 공지된 PCB회로를 그대로 사용하고 연성의 기판인 탄력적특성으로 인해 키보드를 두루말이형태로 변형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30)는 PCB회로부(20)에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키보드에 내장되는 종래의 제어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우측 상단의 자판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 칩 등의 소자를 탑재한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기판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키보드를 두루말이형태로 변형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부피를 최소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30)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를 지지하고 있는 기판을 최소화하고, 상기 기판의 형태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통상적으로 좌측이나 우측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키보드를 두루말이형태로 변형함에 있어서 아무런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두루말이용 키보드의 일실시례를 설치되는 과정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보드의 외형은 연질의 실리콘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상체부(1)와 하체부(10)가 분리되도록 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체부(1)는 기존의 자판배열형태대로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등의 각종 키가 배열이 되도록 하고, 각 키는 상호간 분리가 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자판을 압지하는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자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하체부(10)는 상체부(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되, PCB회로부(20)와 제어부(30)가 수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하고, 상기 PCB회로부(20)는 각 키에 해당하는 회로가 일치되게 자판의 배열형태로 구성하여 일측단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어부(30)와 회선 등의 소정의 연결매체로 적절하게 연결이 되도록 한 후 상기 하체부(10)의 상면에 접착제나 나사 등의 소정의 체결매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PCB회로부(20)와 제어부(30)가 키보드의 상체부(1)와 하체부(10)의 사이에 내장이 되면 상기 상체부(1)와 하체부(10)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습기나 물기 등의 의한 방수성이 뛰어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컴퓨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를 유연성을 갖는 연질의 실리콘수지를 소재로 사용함으써 사용자의 사용시에 실리콘수지재의 특성상 키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나 보관시 두루말이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키보드가 차지하는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키보드의 외형을 이루고있는 커버를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수지와 같은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키보드를 휴대하거나 보관시에 두루말이형태로 변형할 수 있어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실리콘수지재의 특성상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가 완전히 결착되어 습기나 물기 등에 의한 방수성이 뛰어나고,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고, 책상 등지에서 떨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외형이 파손이 되거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키보드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유연성을 갖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PCB회로부와 제어부가 내장되도록 성형하되, 상기 키보드 상체부의 자판키는 상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체부는 PCB회로부와 제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체부와 접착제로 가공하여 결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본체를 임의의 형태로 변형하여 휴대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KR1020000046692A 2000-08-11 2000-08-1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KR20000063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92A KR20000063941A (ko) 2000-08-11 2000-08-1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92A KR20000063941A (ko) 2000-08-11 2000-08-1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51U Division KR200210943Y1 (ko) 2000-08-11 2000-08-1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41A true KR20000063941A (ko) 2000-11-06

Family

ID=1968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692A KR20000063941A (ko) 2000-08-11 2000-08-11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36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유일전자 플렉시블 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53864B1 (ko) * 2002-07-16 2006-12-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 키보드 및 그 신호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864B1 (ko) * 2002-07-16 2006-12-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 키보드 및 그 신호처리 방법
KR20040037336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유일전자 플렉시블 키보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605B1 (ko) 휴대형 컴퓨터를 위한 케이스
US6369795B1 (en) Mousepad telephone
US6229695B1 (en) Palm-sized computer with a frame to hold device plates
EP3663893B1 (en)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of a portable terminal
US7477510B2 (en) Keyboard-video-mouse (KVM) device mounting system
JP2601624B2 (ja) コンピュータ用フレキシブルキーボード
US20060209025A1 (en) Wireless mouse
KR20090071517A (ko) 컴퓨터 시스템
US6449142B1 (en) Keyboard with ports
US20040066611A1 (en) Computer keyboard with backup battery
US20030011971A1 (en) Keyboard unit
US6493218B1 (en) Palm rest with numerical keypad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20000063941A (ko)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KR200210943Y1 (ko) 휴대가 가능한 두루말이용 키보드
US6796734B2 (en) Keyless keyboard and a method of using them
US20040207598A1 (en) Support apparatus
CN102375477A (zh) 触控板模块与电子装置
US200901372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30112159A1 (en) External input unit with ten-key pad connectable to computer main unit
US20080293457A1 (en) Mobile phone
CN213581893U (zh) 可弯折的电子设备
CN201562202U (zh) 便携式电子装置以及平板计算机
CN219891636U (zh) 皮套键盘及其fpc线保护结构
CN217718630U (zh) 一种启动系统及计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