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828A -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828A
KR20000063828A KR1020000045516A KR20000045516A KR20000063828A KR 20000063828 A KR20000063828 A KR 20000063828A KR 1020000045516 A KR1020000045516 A KR 1020000045516A KR 20000045516 A KR20000045516 A KR 20000045516A KR 20000063828 A KR20000063828 A KR 2000006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stitution
pulsation
analysis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190B1 (ko
Inventor
이명수
박승창
Original Assignee
이명수
가나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가나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0-004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1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압전센서를 구성하여 환자의 진맥의 정도를 감지하는 부분인 센서부, 상기의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환자의 맥동 데이터를 가지고 환자의 증상을 분석하여 추론하는 분석처리부, 분석처리부의 출력 데이터를 환자와 의사가 볼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전체 시스템이 기계적인 모양과 내구성을 갖도록 내부 보드들과 모듈들을 고정하여 사람들이 다루기 편하며 인식하기 쉽도록 지원하는 함체부, 맥동신호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공기압을 가하기 위한 공기가압 및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사람의 체질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판별하고 진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A Electronic Constitution Diagnosis System and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모든 사람은 각기 얼굴이 다르고 성격도 다르듯이 사람의 체질도 다르기 때문에, 그에 섭취하는 음식도 달라야 하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나 사용하는 약재도 달리 해야 한다고 한다. 사람의 체질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체질은 사람의 체형을 분류함으로써 대략적으로 판별할 수 있고, 성격이나 인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판별하기도 한다. 또한 자주 나타나는 병적 증세를 분석하여 체질을 판별하기도 한다. 이 방법들을 이용한 체질판별은 대개 대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파악하거나 설문 조사(체질 분류 검사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 외에도 사람의 맥을 진단해서 체질을 감별하는 방법, 침 치료의 반응으로 알아내는 방법, 근력조사를 통해 반응을 보는 방법, 손가락에 금반지나 은반지를 끼워 알아내는 방법 등이 기존의 대표적인 체질감별 및 진단 방법들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그 방법이 비교적 복잡하여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는 일반인이 스스로 체질감별 및 진단을 하기가 어렵다.
상기의 여러 방법 중, 맥진을 이용한 방법은 말 그대로 사람의 진맥으로 체질을 알아내고 진단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미세한 맥박의 세기, 장단, 횟수 등으로 사람의 체질을 구분하고 진단하는 방법이다. 맥진은 한의학 고유의 진단방법인 망문문절(望聞問切)중 절진에 속하는 것으로, 인체에 흐르는 기(氣)와 혈(血)의 조화를 파악하여 십이장부(全身)의 기능적인 이상유무를 측정한다. 또한, 맥진을 통해서 현재의 건강상태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비롯되었으며, 어느 정도의 병변(병의 악화 또는 호전된 변화)을 이루고 있는가를 알 수 있으므로, 신뢰 있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고유한 체질특성을 알게 되어, 질병의 완치 후에도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인 뿐 아니라 초보 한의사에게 있어서도 어려운 방법이고, 2 - 3년 경력의 한의사가 진맥하는 경우에도 약 60 - 70% 정도의 정확도를 갖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한의사뿐만 아니라 양방병원, 약국과 같은 곳에서 환자가 원하면 누구나 쉽게 자신의 체질을 자동적으로 감별 및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일상의 삶을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맥을 압전센서들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보내어, 내장되어 있는 판별 프로그램으로 정확히 구별한 후, 시각 장치와 청각 장치로 표현해 줌으로써 자동적으로 환자의 체질을 의사와 환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의 체질을 사상체질 또는 8체질로 분류하여 사람의 외형과 성격 및 몸에 유익하고 해로운 음식 등 그 밖의 여러 정보들을 편리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센서부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분석 처리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분석 처리부의 프로그램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함체부 외관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표시부의 체질진단화면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작동 흐름에 대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센서부 3... 분석처리부
4... 표시부 5... 전원부
6... 함체부 7... 공기가압 및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부, 분석처리부, 표시부, 전원부, 함체부, 그리고 공기가압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기계 전자적으로 사람의 맥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의 각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센서부는 여러 압전센서를 사용하여 환자의 진맥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환자의 양팔이 가지고 있는 모양과 피부 속의 동맥의 진동(맥동)을 감지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환자의 체질 감별 외에도 환자의 몸에 있는 오장(五臟)육부(六腑)의 상태와 그 환자의 맥박수 및 혈압 등의 정보까지도 제공이 가능하다. 각 센서에는 독립적인 감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센서부 내의 각 센서에 공기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의 공기주머니 즉 '기낭(氣囊)'을 설치하거나, 또는 공기 호스를 부착 가능하게 하고 공기압을 배분할 수 있도록 봉인한 여러 기낭들을 설치한다. 센서부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는 외피의 경우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 막으로 하되 밴드를 채용하여 신축성을 유지하도록 제작하고, 내피는 부드러운 재질의 플라스틱 막으로 제작한다. 센서부는 연령에 따라 환자 손목의 평균치를 반영하여 적절한 길이로 정하고, 접착 가능한 요철이나 단추기능을 부가하여 부착이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센서부의 부분을 '센싱밴드'라고 하겠다.
한편 센서부는 의사와 환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오른쪽 팔에 부착하는 것은 연녹색, 왼쪽 팔에 부착하는 것은 연적색과 같은 색으로 센서부의 외피 띠 부분에 칠을 하거나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센서부에서 환자의 증세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분석처리부로 전달되는 맥동신호들이 무손실로 전달될 수 있도록 증폭회로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처리부는 센서부에서 잠시 언급했듯이,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맥동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값을 가지고 한의사의 환자 맥동별 진단법과 같은 실제의 내용을 디지털 코드로 변환한 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환자의 증세를 분석한 후, 그 분석된 결과를 사상체질 또는 8체질 유형으로 분류하여 판단한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 분석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한의사의 환자 맥동별 진단법과 같은 실제 자료를 프로그램화한 분석프로그램 및 적절한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소자(RAM/ROM)와 상기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 및 맥동신호의 특성 및 결정된 신체상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표시부구동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의 메모리 소자에는 사상체질 또는 8체질에 따른 사람의 외형과 성격 및 몸에 유익하고 해로운 음식 등 그 밖의 여러 정보들을 저장하여 그에 따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와 분석처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신호 및 공기 전달 부분은, 잘 휘는 재질로 이루어진, 신호선 다발을 감싼 호스, 공기호스, 상기 두개의 호스를 감싸주는 외곽의 호스로 구성되는 삼중 케이블이다.
케이블과 기기들간의 연결은 암ㆍ수 구조의 커넥터로 제작한다. 특히, 맥동신호가 무손실로 분석처리부에 전달됨과 동시에 공기도 전달되도록 케이블의 전기신호선과 공기 호스의 끝은 수컷 형태의 커넥터와 공기관 꼭지를 각각 달아서, 암컷 형태의 커넥터, 공기관 꼭지와 결합 가능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압 및 제어부는 전체 시스템이 환자의 맥박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의 기낭에 공기를 제공하거나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처음 환자의 양 팔목에 진단시스템의 센싱밴드를 장착할 때 함께 장착한다. 이 부분은 별도의 공기압력기(컴프레셔)와 이를 연결하는 공기호스를 통하여 센싱밴드로 공기가 들어가게 하거나, 자체적인 공기압력기와 극히 짧은 공기압 호스를 통하여 센싱밴드로 공기가 들어가게 할 수가 있도록 구성한다.
대략적인 공기가압 및 제어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가압 및 제어부에 내장된 공기압력기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공기압력기는 공기 가압을 위한 팬을 순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공기를 주입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공기를 배출하는데, 사용자가 판별시작버튼을 ON할 때 공기를 주입하고,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진맥 신호의 크기가 거의 0에 가까워질 때 공기를 배출한다. 한편, 시스템은 공기를 배출할 때 본격적인 측정시간에 돌입하고, 판별시작버튼이 ON될 때 센서부의 기낭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맥동신호를 재차 측정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
표시부는 상기 분석처리부의 결과를 환자와 한의사가 보고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동양의학에서 규정하는 체질, 맥동신호 그래프, 상태정보 안내문, 맥동수, 오장(五臟)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총 발광 LCD와 각 구성품의 정보, 크기, 지정된 색깔, 각 등(燈)의 위치 그리고 판단결과의 명칭 등을 적은 패널로 구성된다. 그밖에, 전원과 판별시작버튼의 ON/OFF도 중요할 경우에 한하여 별도의 점멸등을 둘 수 있다.
전원부는 전체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흔히 사용할 수 있도록 A.C전원 겸용의 전원 인입 모듈과 D.C로 변환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의 분석처리부를 포함한 전기장치와 공기압력기를 비롯한 기계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요구 전류량은 최소 전류 소모량으로 하고, 모든 접지는 하나로 통일한다. 필요하면 전자파 차폐막을 둘 수도 있다.
함체부는 전체 시스템이 기계적인 모양과 내구성을 갖도록 내부 보드들과 모듈들을 고정하고 사람이 다루기 편하고 인식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정보시스템(KIOSK)과 같은 외부 모양과 부대 기능들을 갖는다. 대체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데, 외부에는 케이블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핀만 드러나도록 사용자의 눈앞을 기준으로 후방이나 배면에 배치하며, 전원 케이블은 센서부의 신호 케이블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작동 사안의 일례(一例)는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의 입실에서부터 시작하여 의사와의 간단한 상호 인사와 문진(問診)을 하면서 의사가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을 환자가 누워 있는 의자나 침대 가까운 거리로 옮기거나, 환자로 하여금 시스템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눕도록 하여 환자의 체질 진단을 위한 기초 준비를 종료한다.
기초준비가 종료되면 크게 두 가지 작동 사안이 존재하게 되는데, 하나는 의사 작동 사안이고, 다른 하나는 시스템 작동 사안이다.
의사 작동 사안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진단시스템의 전원 스위치를 ON하여 시스템을 부팅한다. 진단시스템이 정상이면 내장된 기본값들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진단시스템의 정상상태를 확인한 후, 센싱밴드를 환자의 왼팔과 오른팔에 순서대로 부착한다. 간단한 추가적인 문진 후 진단시스템의 판별시작버튼을 ON한다. 진단시스템의 표시부와 환자의 표정을 번갈아 가면서 측정상태를 확인한다. 3회 측정하여 평균한 최종 판별의 진맥 결과를 환자에게 구두로 전달한다. 환자로부터 센싱밴드를 떼어낸다. 진단시스템의 전원 스위치를 OFF하고, 환자에게 간단한 처방을 전달하거나 후속적인 의료 절차에 돌입한다.
시스템 작동 사안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진단시스템은 전원 스위치가 ON되면, 우선 구성 부품의 상태를 체크하고, 정상인가 고장인가에 대한 결과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여기서, 시스템이 고장 상태면 경고음을 1초 간격으로 5번 울리고, 정상상태이면 딩동댕 소리를 스피커를 통하여 울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가 상기 의사 작동 사안에서의 판별시작버튼을 ON하면, 공기가압 컴프레셔가 작동하여 센싱밴드에 공기를 충분히 주입한다. 스피커를 통하여 '진맥을 시작합니다. 환자분은 호흡을 고르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맥박값을 센싱밴드로부터 표본화주파수 100Khz의 AD컨버터를 통하여 읽고 0과 비교한다. 맥박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공기압력기의 공기주입 스위치를 OFF하여 센싱밴드에 공기의 주입을 중단한다. 공기배출스위치를 ON하여 주입된 공기가 반대로 배출되도록 하며, 본격적인 시검자의 맥동신호 측정에 돌입한다. 맥박값을 센싱밴드로부터 표본화주파수 100Khz의 AD컨버터를 통하여 읽고, 제 1회 측정값으로 레이블링하여 저장한 후, 분석프로그램에 입력시켜 체질을 판별한다. 판별된 체질과 오장의 상태를 표시부의 하단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제1회 진단입니다. 제 2회 진단을 실시합니다.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발한다. 판별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센싱밴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부터 시작하여 다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런 식으로 제 2회 진단과 제 3회 진단을 실시한 후, 최종 판별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의사의 조치를 기다린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부(1), 분석처리부(3), 표시부(4), 전원부(5), 함체부(6), 그리고 공기가압 및 제어부(7) 등으로 이루어진다.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센서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에서 왼쪽 그림은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오른쪽 그림은 단면도이다. 센서부는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압전센서, 센싱밴드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경성외피막, 센싱밴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성내피막, 센싱밴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접착면, 센싱밴드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기 위한 공기주입구, 센서PCB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분석 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분석처리부는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분석처리하기 위하여, 센서부(1)로부터 전달받은 환자의 맥동신호를 디지털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1)와, 코드화된 분석처리프로그램과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 즉 RAM/ROM(33, 34)과, 상기 분석처리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AD컨버터 및 RAM/ROM 등을 제어하는 MPU(32) 및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표시부구동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분석처리부의 프로그램 구성도이다. 분석처리부의 프로그램은 시스템관리, 시스템초기화, 측정신호 읽기/공기압력기 제어, 환자증세 비교 판별, 음성/문자/그래픽표현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진다.
프로그램의 각 모듈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관리 모듈은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듈이다. 시스템 초기화 모듈은 시스템이 시작되면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모듈이다. 측정신호 읽기/공기압력기 제어 모듈은 압전센서로부터 측정되어 전달되는 맥동신호를 읽고 공기압력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환자증세 비교 판별 모듈은 측정된 맥동신호에 따른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체질이나 증세 등을 판별하는 모듈이다. 음성/문자/그래픽표현 모듈은 상기의 환자증세 비교 판별 모듈의 진행상태나 결과들을 음성이나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모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함체부(6) 외관에 대한 예시도이다. 함체부는 대략 표시부, 입력기, 손잡이, 바퀴 등으로 구성되는데, 예시도와 같이 표시부는 LCD, 입력기는 키보드와 트랙볼(track ball), 그 밖에 스피커, 스위치, 통신포트, 손잡이, 바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표시부의 체질진단화면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표시부는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여러 화면이 표시되는데, 이 화면들은 처음에 표시되는 타이틀화면, 시검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환자정보입력화면, 시스템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화면, 시검자의 진단시 표시되는 체질진단화면 등이 있어, 각각 그에 따른 화면구성을 갖는다. 그 중 도 6에 예시된 화면은 표시부에 출력되는 가장 중요한 화면이라 할 수 있는 체질진단화면이다. 표시부의 주요화면인 체질진단 화면에 대한 구성은, 맥박수를 표시하는 부분, 시스템의 정상/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진행 과정명과 진행도를 표시하는 부분, 판단된 체질을 표시하는 부분, 그리고 각종 버튼 예를 들면 판단시작버튼, 프린트버튼, 나가기버튼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 밖에도 체질진단 화면에는 진맥 센서가 감지하는 맥동을 표시하는 부분, 판단되는 간담폐소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작동 흐름에 대한 예시도이다. 작동 흐름은 시스템 체크 및 진단준비과정(P1), 환자정보 입력과정(P2), 1단계진단(P3), 2단계진단(P4), 3단계진단(P5) 및 체질판별 및 출력과정(P6) 등을 거친다.
우선 진단기의 전원을 ON시키면, 시스템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체크하여 고장이면, 경고음을 울리고, 정상상태이면 부팅을 완료하는 시스템 체크과정을 거친 후, 초기화면이 나타나면서 진단준비를 완료했다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환자의 양손목에 센싱밴드를 부착시키고 환자를 안정시켜 숨을 고르게 하는 진단준비과정을 거친다(P1).
시스템 체크 및 진단준비과정을 거치는 동안 메인 화면이 자동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메인 화면에는 시스템에 내장된 전반적인 메뉴를 표시한다. 우선 의사는 환자정보입력 메뉴를 선택한 후, 간단한 문진을 통해 환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환자정보 입력과정(P2)을 거친다.
환자정보 입력과정 후 진단을 하기 위한 판별시작버튼을 누르면, 본격적인 진단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진단과정은 다음과 같은 맥박 및 혈압체크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의 판별시작버튼을 누르면 먼저 공기 가압 컴프레셔가 구동되어 센싱밴드에 공기가 주입된다. 맥박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공기압력기의 공기주입스위치를 OFF하여 센싱밴드에 공기주입을 중단시키고 맥박을 측정한다. 측정시간에는 공기배출스위치를 ON하여 주입되었던 공기를 반대로 배출되도록 한다. 맥박은 센싱밴드로부터 전달되는 맥동신호를 표본화주파수 100Khz의 AD컨버터를 통하여 읽는다.
1단계 진단, 2단계 진단, 3단계 진단 과정(P3, P4, P5)은 상기의 맥박 및 혈압체크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진맥 감지창에 오른손과 왼손에 대한 진맥 결과값을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체질판별 및 출력과정(P6)은 저장된 상기 1단계 진단, 2단계 진단, 3단계 진단의 진맥 결과값의 평균을 구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체질 판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체질 판별을 하게 된다.
그 후, 환자로부터 센싱밴드를 떼어내고, 시스템 전원을 끈 후 최종 진단결과를 설명하고 후속적인 의료 절차를 진행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을 사용하면, 시스템 시동에서부터 최종 감별결과의 표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므로 환자 스스로나 또는 의사의 간단한 도움으로 환자의 체질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음은 물론 식생활이나 질병예방 차원의 자문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자동적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환자의 체질을 감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람에 대한 건강유지 및 치료에 있어서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다.

Claims (5)

  1. 손목 부위를 감싸고 장착되는 것으로서, 손목 내측의 맥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압전센서, 상기 압전센서의 후면에 위치하면서 압전센서가 손목 내측에 강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배경압(背景壓)을 제공하는 기낭(氣囊), 상기 각 압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電線), 손목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재를 구비하며 상기 각 구성물을 내장하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와,
    소형 공기펌프, 조작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기펌프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기낭에 공기압을 부여하는 공기가압 및 제어부와;
    상기 압전센서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맥동신호를 디지털 맥동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 맥동신호의 특성에 따른 신체상황이 저장된 분석DB, 상기 디지털화된 맥동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DB를 조회하여 피검자의 신체상황을 결정하는 분석프로그램, 맥동신호의 특성 및 결정된 신체상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표시부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석처리부;
    상기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낭 및 하나의 공기가압부가 상기 복수개의 압전센서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 및 공기가압부는 상기 각각의 압전센서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DB는 사상체질 또는 8체질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표시부에는 피검자의 사상체질 또는 8체질, 맥동 그래프, 맥동수, 맥동의 강도, 건강상태, 오장의 상태 등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DB는 사상체질 또는 8체질에 따른 피검자의 외형, 성격, 몸에 맞는 음식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KR10-2000-0045516A 2000-08-05 2000-08-05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KR10041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516A KR100418190B1 (ko) 2000-08-05 2000-08-05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516A KR100418190B1 (ko) 2000-08-05 2000-08-05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828A true KR20000063828A (ko) 2000-11-06
KR100418190B1 KR100418190B1 (ko) 2004-02-11

Family

ID=1968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516A KR100418190B1 (ko) 2000-08-05 2000-08-05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831A (ko) * 2001-04-18 2002-10-26 정원철 휴대용 맥진장치
CN106580273A (zh) * 2016-11-28 2017-04-26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脉搏波采集装置和脉搏波采集标定方法
CN106725363A (zh) * 2016-11-28 2017-05-31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脉搏波采集装置和脉搏波采集标定方法
KR102198816B1 (ko) * 2020-03-12 2021-01-05 주식회사 누베베 객관적인 팔체질 진단시스템 및 객관적 팔체질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404B1 (ko) 2011-08-31 2013-11-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파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018B1 (ko) * 1994-11-11 1998-12-15 김상균 맥진검출센서
KR19980010484U (ko) * 1996-08-07 1998-05-15 지성남 자가진단식 체질진단장치
KR100374780B1 (ko) * 1999-12-15 2003-03-04 한국해양연구원 휴대형 전자식 체질감별용 힘 측정기
KR100426689B1 (ko) * 2000-04-11 2004-04-13 김상균 맥진기와 그를 이용한 맥진진단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831A (ko) * 2001-04-18 2002-10-26 정원철 휴대용 맥진장치
CN106580273A (zh) * 2016-11-28 2017-04-26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脉搏波采集装置和脉搏波采集标定方法
CN106725363A (zh) * 2016-11-28 2017-05-31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脉搏波采集装置和脉搏波采集标定方法
KR102198816B1 (ko) * 2020-03-12 2021-01-05 주식회사 누베베 객관적인 팔체질 진단시스템 및 객관적 팔체질 모니터링 방법
WO2021182660A1 (ko) * 2020-03-12 2021-09-16 주식회사 누베베 객관적인 팔체질 진단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190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435B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CN105916439B (zh) 便携式电子血液动力传感器系统
US7429245B2 (en) Motion management in a fast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EP1970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fflessly and non-invasively measuring wrist blood pressure in association with communication device
US4320767A (en) Pocket-size electronic cuffless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calculator with optional temperature indicator, timer and memory
AU693299B2 (en) Educational and interactive health monitor and method
CN110381817A (zh) 用于提供血压传感器放置和接触质量的用户反馈的系统和方法
JP3876331B2 (ja) 非観血的血液分析物測定装置及び測定法
JP2023138651A (ja) マルチモード診断を伴う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CN108778146A (zh) 用于自动流体响应测量的系统及方法
US20130046191A1 (en)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arterial pulse pressure signals
KR20020009724A (ko) 원격진료측정장치 및 진료방법
CA2517880A1 (en) Patient monitoring an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855043B1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방법
CN101785665A (zh) 一种基于mems传感器的脉象诊断分析仪
KR20070075515A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90289A (ko) 단채널 휴대용 무선 심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418190B1 (ko) 전자식 체질진단시스템 및 신호처리 방법
WO2017114489A1 (zh) 一种具有健康监护及反馈治疗功能的手机
CN104200638B (zh) 基于移动互联网的居家智能诊疗终端
US20070100243A1 (en) Blood pressure sphygmomanometer for use with a common apparatus
KR20080043545A (ko) 휴대용 맥진기 및 그 맥진방법
CN107799178B (zh) 一种远程监控的健康服务方法及系统
US20170367676A1 (en) System for detecting disease of the internal organs from voice, waveform and physiological changes
JPH0966035A (ja) 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