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351A -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351A
KR20000063351A KR1020000036353A KR20000036353A KR20000063351A KR 20000063351 A KR20000063351 A KR 20000063351A KR 1020000036353 A KR1020000036353 A KR 1020000036353A KR 20000036353 A KR20000036353 A KR 20000036353A KR 20000063351 A KR20000063351 A KR 2000006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ngle pin
retaining wall
pin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홍성민
보국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민, 보국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민
Priority to KR102000003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351A/ko
Publication of KR2000006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351A/ko
Priority to KR10-2001-0034734A priority patent/KR100400169B1/ko
Priority to AU2001274653A priority patent/AU2001274653A1/en
Priority to PCT/KR2001/001056 priority patent/WO2002001007A2/en
Priority to CNB01811850XA priority patent/CN1194149C/zh
Priority to CA002412591A priority patent/CA2412591C/en
Priority to US09/891,244 priority patent/US20020001509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02D2200/1614Shapes round, e.g. circle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64Shapes polygonal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또는 경사각을 이루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의 폭보다 후면의 폭이 좁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는 길이의 대략 1/4 내지 1/2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사각형상의 핀홀이 천공되고, 상기 핀홀의 하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전면으로 향하여 확장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홀 및 수납홈의 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하로 관통되도록 수직홀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되 수납홈으로 관통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핀홀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블록의 수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높이가 작고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다수의 패턴 거리를 제공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진 앵글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글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로 적층되는 블록이 직립 또는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그 구조가 간편하고, 옹벽의 높이 및 토압의 저항에 따라 용이하게 앵글핀의 결합 방향을 조정하면서 수직벽 또는 경사벽을 축조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며, 굴곡면이 많은 산간, 혹은 해안선의 옹벽 작업에 있어서도 용이성과 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BLOCK FOR RETAING WALL WITH VARIOUS BATTER}
본 발명은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 방파제, 도로 및 택지의 경사면 등에 축조되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의 높이 및 토압에 따라 용이하게 수직벽 또는 경사벽과 다양한 곡선 형상의 벽 모양을 축조할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 모래 등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막기 위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주로 제방, 방파제, 도로 및 택지의 경사면 등에 축조되는 옹벽의 경우 콘크리트 성형구조물, 석조, 말뚝으로 구성된 목책이 사용되었으며, 근래에 들어와서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의 사용이 늘어가는 실정이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단일구조의 경우 상당량의 재료를 필요로 하며, 재료의 단가가 높아 경제적인 실효성이 없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4,229,123호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7-1721(1997.2.14)호가 제시되었다.
상기 전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4,229,123호의 경우는, 단일구조의 콘크리트구조물에서 벗어난 벽돌구조를 이루는 옹벽을 위한 블록을 제시하였다. 특히, 블록 내측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 크기의 구멍이 존재하여 토양 혹은 다른 재료로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래 열 블록의 상부에 일정 크기의 단을 형성하여 위 열에 구비되는 블록의 하부전단이 상기 아래 열 블록 상부의 단과 결합되어 옹벽 자체의 형성각을 수직 형태가 아닌 일정 크기의 각을 후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옹벽 후방에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자의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7-1721의 경우에는,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229,123호의 블록결합에 있어서, 블록 자체에 단을 두어 결합하지 않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봉형상의 핀을 사용하여 상, 하 블록의 결합을 이루었다. 이러한 봉형상의 핀을 이용하여 블록의 배열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옹벽의 곡면성을 이루기에 적합한 구조의 블록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229,123호의 경우는 결합이 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단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지정된 하나의 특정각 이외의 각을 이루기가 어렵고, 옹벽의 곡면 처리 시에는 곡면을 이루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록 상부의 단이 받는 하중이 한 점에 집중되기 때문에 안전성도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7-1721의 경우에는 봉형상의 핀을 이용함으로써 옹벽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약은 일부 제거되었으나, 일정 규모 이상의 옹벽에 필요한 후방각을 이루는 방법에 있어서는 핀과 포켓 사이의 어긋난 거리와 포켓 내의 여유공간에 의하여 한정된 후방각만을 얻도록 제한되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이 어렵고,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 규모 이상의 옹벽에서 옹벽 뒷면과 지면이 이루는 후방각이 지면의 수직각 90°보다 작도록 경사진 각을 이루며 축조되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굴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도 그와 동시에 일정한 후방각을 이루는 것이 옹벽의 안전성에 커다란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축조시 상부블록의 후퇴축조거리를 조절하여 옹벽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고, 옹벽을 직선, 오목 및 볼록한 곡선, 구불구불한 사형, 만곡형 또는 원형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축조할 수 있는 연결용 앵글핀과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들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록간 결합을 위한 앵글핀(angle pin)의 사시도,
도 2c는 앵글핀의 저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과 앵글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c는 도 3a의 블록과 앵글핀을 이용하여 수직벽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글핀의 d₁거리를 이용하여 결합된 블록과 앵글핀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블록과 앵글핀을 이용하여 경사벽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글핀의 d₂거리를 이용하여 결합된 블록과 앵글핀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블록과 앵글핀을 이용하여 경사벽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글핀의 d₃거리를 이용하여 결합된 블록과 앵글핀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c는 도 6a의 블록과 앵글핀을 이용하여 경사벽을 이루도록 적층하여 옹벽을 이루도록 한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a와 도 1b의 블록으로 구성된 직립벽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c와 도 1d의 블록으로 구성된 경사벽의 사시도,
도 7c는 도 6c의 경사벽이 지면에 설치되고 골재 및/또는 흙 등으로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c와 도 1d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곡선면을 이루는 경사벽의 옹벽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옹벽 축조용 블록은, 전면, 상부면, 바닥면, 후면 및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된 두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인 블록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 몸체는, 상기 바닥면에 소정 깊이로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앵글핀의 헤드부를 수납하는 수납홈, 상기 전면에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수납홈까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앵글핀의 삽입부와 끼워 맞춰지는 핀홀, 상기 핀홀 및 수납홈과 후면사이에 수직으로 관통된 수직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연결하는 앵글핀에 있어서, 블록의 핀홀의 단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측면을 갖는 삽입부: 상기 핀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거리를 각 측면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블록의 수납홈에 수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블록(1,2)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전면(13)의 폭보다 후면(14)의 폭이 좁도록 측면(15)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면(13)으로부터 후면(14)으로 향하는 길이의 대략 1/4 내지 1/2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핀홀(pin hole)(11)이 천공되며, 상기 핀홀(11)의 하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전면(13)으로 향하여 확장되는 수납홈(1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핀홀(11) 및 수납홈(12)의 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하로 관통되도록 천공된 수직홀(1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핀홀은 이에 삽입되는 앵글핀(후술함)의 삽입부의 단면형상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핀홀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핀홀(11)은 후술되는 앵글핀(도 2a 및 2b 참조)(20)의 삽입부(22)가 끼워지는 핀홀(pin hole)(11)이 폭 방향으로 긴 슬릿 홈이 천공되어 일실시예인 부호 1의 블록을 형성하거나 폭 방향의 일직선 위의 소정 (대략 5등분된 지점)의 4개의 지점에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가 끼워지는 정사각형상의 핀홀(11')을 각각 천공한 다른 실시예인 부호 2의 블록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핀홀(11) 경우에는 상기 앵글핀(20)과의 결합 위치를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핀홀(11')은 간격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2)의 엇갈림 적층시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용이성을 늘릴 수 있으며 그러한 결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1,2)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홈(12,12)은 일차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블록의 핀홀(11,1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앵글핀(20)의 헤드부(21)를 수납하여 상, 하층 블록의 결합에 이용된다. 상기 수납홈(12,12)의 후측면은 그 끝단은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핀홀(11)의 후측면과 일치되면서 형성되며, 그 폭은 전면(13)으로 향하여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의 가장 큰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1)과 블록(2)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옹벽을 축조하게 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옹벽의 축조시 패턴을 다양화시키기 위하여 폭 전체를 1/2로 축소한 부호 1'의 블록과 부호 2'의 블록을 형성하여 서로 혼합 배열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블록들은 상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면(13)의 폭보다 후면(14)이 좁게 형성됨으로써 곡면벽의 옹벽을 축조하는데 용이성을 가져온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렬로 배열된 하측 블록의 상부에 차기 열의 블록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앵글핀(20)의 사시도를 보이고 있다.
상기 앵글핀(20)은 상기 블록(1,1',2,2')들의 핀홀(11,11')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측면을 갖는 삽입부(22)와, 상기 핀홀(11,1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거리를 각 측면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블록(1,1',2,2')의 수납홈(12,12)에 수납되는 헤드부(21)로 구성된다. 상기 앵글핀(20)은 경도가 강한 금속으로 형성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 등을 포함한 파이버 등의 강화 플라스틱 및 콘크리트 성형물을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2)의 형상은 상기 블록의 핀홀(11')의 형상과 동일한 정사각형 이루면서 끼워맞춰 결합된다.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는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부(22)의 상부에 상기 블록의 수납홈(12,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높이가 작으며, 직사각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4패턴의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옹벽을 축조할 때에 블록들이 제1패턴의 직립벽과, 제2~4패턴의 경사벽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부(22)와 상기 헤드부(21)의 끝단 측면중 D면은 영 또는 영에 가까운 거리(d0)이고, A,B,C면은 d₁<d₂<d₃로서 순차적으로 거리가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핀홀의 단면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등의 다각형인 경우, 앵글핀의 삽입부의 단면은 이와 대응하여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헤드부는 삽입부의 측면수에 따라 서로 다른 거리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블록(2)과 앵글핀(20)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립벽의 적층시 상기 헤드부(21)의 형상과 상, 하 블록간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도 3b에 따르면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에서 수직 연장선 상측과 상기 헤드부(21)의 면 D가 일치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블록(2)의 수납홈(12)의 후단면과도 그 위치가 일치되며, 블록(2)의 후면(14)을 향하여 결합되고, 상기 앵글핀(20)이 결합된 블록(2) 상단에는 차기의 블록(2) 역시 동일한 위치로 반복하여 결합된다. 특히, 도 3c에서는 이러한 결합의 단면을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립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를 블록(2)의 핀홀(11')에 끼울 때 헤드부(21)의 면 D가 블록(2)의 수납홈(12) 후단면에 접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 부분을 도 3c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최하단인 제1열(101)의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을 끼울 때 도 2에서의 면 D가 상기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한 후 제2열(102)의 블록(2)의 수납홈(12)의 후단이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의 면 D에 접하도록 적층하게 되고, 상기 방법으로 제3열(103) 및 제4열(104)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상부블록열을 쌓을 때마다의 후퇴거리(d0)가 거의 영이므로 항상 동일 수직선 L 상에 위치하게 되어 적층된 블록은 제1패턴인 거의 수직상태인 직립벽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직립벽의 옹벽은 높이가 낮으며 토압의 저항이 없는 곳에 사용된다.
다음은 제2패턴의 경사벽을 축조하는 일실시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앵글핀(20)의 d₁거리 값(혹은 면 A)을 이용한 블록(2)과 앵글핀(20)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도 4b에 따르면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에서 수직 연장선 상측과 상기 헤드부(21)의 면 A의 d₁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의 삽입부(22)를 끼울 때 헤드부(21)의 면 A가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여 결합되고, 상기 앵글핀(20)이 결합된 블록(2) 상단에는 차기의 블록(2) 역시 동일한 위치로 반복하여 결합된다. 이 부분을 도 4c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최하단인 제1열(201)의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을 끼울 때 도 2에서의 면 A가 상기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한 후 제2열(202)의 블록(2)의 수납홈(12)의 후단이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의 면 A에 접하도록 적층하게 되고, 상기 방법으로 제3열(203) 및 제4열(204)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항상 동일 경사선 L'을 이루면서 블록이 적층되어 제2패턴인 α각 경사벽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경사벽은 α값만큼 전술된 상기 제1패턴인 직립벽보다 후방으로 경사지게 축조되어 상기 직립벽보다 높이가 조금 높으면서 토압의 저항이 비교적 높지 않은 곳에 사용된다.
다음은 제3패턴의 경사벽을 축조하는 일실시예로서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앵글핀(20)의 d₂거리 값(혹은 면 B)을 이용한 블록(2)과 앵글핀(20)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도 5b에 따르면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에서 수직 연장선 상측과 상기 헤드부(21)의 면 B의 d₂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의 삽입부(22)를 끼울 때 헤드부(21)의 면 B가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여 결합되고, 상기 앵글핀(20)이 결합된 블록(2) 상단에는 차기의 블록(2) 역시 동일한 위치로 반복하여 결합된다. 이 부분을 도 5c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최하단인 제1열(301)의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을 끼울 때 도 2에서의 면 B가 상기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한 후 제2열(302)의 블록(2)의 수납홈(12)의 후단이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의 면 B에 접하도록 적층하게 되고, 상기 방법으로 제3열(303) 및 제4열(304)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항상 동일 경사선 L" 을 이루면서 적층된 블록은 제3패턴인 β각 경사벽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경사벽은 β값만큼 전술된 상기 제2패턴의 α값보다 후방으로 경사지게 축조되어 상기 제2패턴의 경사벽보다 높이가 더 높으면서 토압의 저항이 비교적 높은 곳에 사용된다.
다음은 제4패턴의 경사벽을 축조하는 일실시예로서 도 6a 내지 도 6c는 앵글핀(20)의 d₃거리 값(혹은 면 C)을 이용한 블록(2)과 앵글핀(20)의 결합을 보이고 있다.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에서 수직 연장선 상측과 상기 헤드부(21)의 면 C의 d₃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의 삽입부(22)를 끼울 때 헤드부(21)의 면 C가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여 결합되고, 상기 앵글핀(20)이 결합된 블록(2) 상단에는 차기의 블록(2) 역시 동일한 위치로 반복하여 결합된다. 이 부분을 도 6c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최하단인 제1열(401)의 블록(2)의 핀홀(11')에 앵글핀(20)을 끼울 때 도 2에서의 면 C가 상기 블록(2)의 후면(14)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한 후 제2열(402)의 블록(2)의 수납홈(12)의 후단이 상기 앵글핀(20)의 헤드부(21)의 면 C에 접하도록 적층하게 되고, 상기 방법으로 제3열(403) 및 제4열(404)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항상 동일 경사선 L"' 을 이루면서 적층된 블록은 제4패턴인 γ각 경사벽의 옹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경사벽은 γ값만큼 전술된 상기 제3패턴의 β값보다 후방으로 더욱 경사지게 축조되어 상기 제3패턴의 경사벽보다 높이가 더욱 높으면서 토압의 저항이 아주 높은 곳에 사용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최하단의 블록 열의 상부에 적층되는 차기 열의 블록은 하부열의 블록과 블록사이에 겹치게 결합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되며, 상기 겹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는 핀홀(11)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즉 블록과 블록 사이를 이등분으로 균등하게 겹치게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는 블록의 중앙의 2개의 핀홀(11)을 사용하게 되고, 블록과 블록 사이를 일측은 1/3, 타측은 2/3로 분할하여 겹치게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앵글핀(20)의 삽입부(22)는 블록의 중앙의 1개의 핀홀(11)과 외측의 핀홀(11)을 사용하여 적층시키게 된다. 또한, 외형의 패턴을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도 1d와 같이 폭이 1/2인 블록을 혼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앵글핀(20)의 삽입부(22)가 사각형상의 핀홀(11)에 결합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도 1a 및 1b와 같이 블록의 핀홀(11)이 길게 천공된 것을 사용하여 적층되는 블록의 외형을 더욱 다양한 패턴으로 조경할 수 있음은 물론 더욱 편리한 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앵글핀(20)의 삽입부(22) 및 헤드부(21)가 사각으로 구성되어 4가지 패턴의 거리를 제공하여 1가지 패턴의 직립벽 및 3가지 패턴의 경사벽을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육각 및 팔각형 등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이 끼워져 회전되지 않도록 블록의 핀홀(11,11')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경사벽의 패턴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7a는 도 1a 및 1b 의 블록(1,1') 그리고 도 3c에서의 결합구조의 제1패턴으로 축조된 직립벽인 옹벽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블록(1)과 블록(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블록을 좌우상하로 배열 및 적층하여 외형이 다양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7b는 도 1c 및 1d 의 블록(2,2') 그리고 도 4c에서의 결합구조의 제2패턴으로 축조된 경사벽인 옹벽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블록(2)과 블록(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블록을 좌우상하로 배열 및 적층하여 외형이 다양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7c는 도 1a 내지 1d 의 블록(1,1',2,2') 그리고 도 6c에서의 결합구조의 제4패턴으로 축조된 경사벽인 옹벽을 지면으로부터 매립하면서 축조한 단면도로서, 계단형을 이루면서 경사로 적층된 블록의 수직홀(16)에 몰탈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를 충진하면서 축조함으로써 옹벽 자체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축조가 완료된 옹벽은 안전하게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2,2')으로 구성된 곡선면을 이루며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벽의 평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3)의 폭에 대해 후면(14)의 폭이 좁은(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는 본 발명의 블록을 통해 옹벽의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앵글핀(20)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정되어 전면의 곡면처리시 곡면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앵글핀(20)을 상기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하여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곡선면이 많은 산간 도로나 해안도로의 옹벽 축조에 있어서 더욱 큰 안전성과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블록(2,2')의 전면(13)의 양측 모서리부분은 곡면벽을 축조할 때 편리하도록 모떼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그 구조가 간편하고, 옹벽의 높이 및 토압의 저항에 따라 용이하게 앵글핀의 결합 방향을 조정하면서 수직벽 또는 경사벽을 축조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며, 굴곡면이 많은 산간, 혹은 해안선의 옹벽 작업에 있어서도 용이성과 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전면(13), 상부면, 바닥면, 후면(14) 및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된 두개의 측면(15)을 포함하는 육면체인 블록(1,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1,2) 몸체는,
    상기 바닥면에 소정 깊이로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앵글핀의 헤드부를 수납하는 수납홈(12),
    상기 전면(13)에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수납홈(12)까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앵글핀의 삽입부와 끼워 맞춰지는 핀홀(11. 11'),
    상기 핀홀(11, 11') 및 수납홈(12)과 후면(14)사이에 수직으로 관통된 수직홀(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2) 몸체는 사다리꼴 형상인 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11)은 전면과 평행하게 동일 폭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긴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11')은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11')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6. 블록을 연결하는 앵글핀(20)에 있어서,
    블록의 핀홀(11.11')의 단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측면을 갖는 삽입부(22):
    상기 핀홀(11,1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에서 돌출거리를 각 측면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블록의 수납홈(12)에 수납되는 헤드부(21)를 포함하는 블록 연결용 앵글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연결용 앵글핀.
KR1020000036353A 2000-06-29 2000-06-29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00063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353A KR20000063351A (ko) 2000-06-29 2000-06-29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01-0034734A KR100400169B1 (ko) 2000-06-29 2001-06-19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AU2001274653A AU2001274653A1 (en) 2000-06-29 2001-06-21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PCT/KR2001/001056 WO2002001007A2 (en) 2000-06-29 2001-06-21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CNB01811850XA CN1194149C (zh) 2000-06-29 2001-06-21 块体挡土墙及其退进结构的定位结构
CA002412591A CA2412591C (en) 2000-06-29 2001-06-21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US09/891,244 US20020001509A1 (en) 2000-06-29 2001-06-27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353A KR20000063351A (ko) 2000-06-29 2000-06-29 옹벽 축조용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600U Division KR200214299Y1 (ko) 2000-08-30 2000-08-30 옹벽 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51A true KR20000063351A (ko) 2000-11-06

Family

ID=19674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353A KR20000063351A (ko) 2000-06-29 2000-06-29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01-0034734A KR100400169B1 (ko) 2000-06-29 2001-06-19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734A KR100400169B1 (ko) 2000-06-29 2001-06-19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633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69B1 (ko) * 2000-06-29 2003-10-01 공학봉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KR102239292B1 (ko) * 2020-01-15 2021-04-09 이현우 결합핀 및 이를 이용한 경관 벽체용 블록의 결합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972B1 (ko) 2005-06-10 2007-02-15 김목치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748433B1 (ko) * 2006-10-30 2007-08-10 송회복 전면이 층을 이루고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713894B1 (ko) 2016-09-21 2017-03-09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KR102267291B1 (ko) 2019-06-12 2021-06-21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331654B1 (ko) 2020-03-18 2021-11-25 이현우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834A (en) * 1990-07-26 1991-09-03 Graystone Block Co., Inc.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5161918A (en) * 1991-01-30 1992-11-10 Wedgerock Corporation Set-back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 and offset pin therefor
KR100290257B1 (ko) * 1998-05-13 2001-05-15 황광웅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US6115983A (en) * 1999-01-14 2000-09-12 E. P. Henry Corporation Block assembly and wall constructed therefrom
US6149352A (en) * 1999-02-11 2000-11-21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20000063351A (ko) * 2000-06-29 2000-11-06 홍성민 옹벽 축조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69B1 (ko) * 2000-06-29 2003-10-01 공학봉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KR102239292B1 (ko) * 2020-01-15 2021-04-09 이현우 결합핀 및 이를 이용한 경관 벽체용 블록의 결합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225A (ko) 2002-01-09
KR100400169B1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278E1 (en) Retaining wall block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US7328537B2 (en)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US7244079B1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0432363B1 (ko) 옹벽 블록 시스템
ES2257069T3 (es) Bloque para muro de contencion.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7168218B2 (en) Mortarless fence block system
US5161918A (en) Set-back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 and offset pin therefor
US5984589A (en) Wall construction block with retaining pin inserts
US5252017A (en) Setback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 and offset pin therefor
AU2002362879A1 (en)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WO2007089898A2 (en) Modular block wall system
US5848511A (en) Blocks for constructing low-rise ornamental wall and method
KR100683972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00006335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US20040159065A1 (en) Retaining wall block
US20100132298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200214299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5413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JPH0754360A (ja)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JPH0738394Y2 (ja) 構築用ブロック
KR200358082Y1 (ko) 조적식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