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720A -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 Google Patents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720A
KR20000061720A KR1019990010991A KR19990010991A KR20000061720A KR 20000061720 A KR20000061720 A KR 20000061720A KR 1019990010991 A KR1019990010991 A KR 1019990010991A KR 19990010991 A KR19990010991 A KR 19990010991A KR 20000061720 A KR20000061720 A KR 2000006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throom
ceiling
bracket
u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717B1 (ko
Inventor
김강우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1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7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운데의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양 옆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로 이루어진 경량 복합 파넬(panel)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내에 전기선, 배관 등을 매립시키고, 한쪽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에 타일을 부착시키며, 천정 파넬을 얹기 위한 천정 파넬 상치 홈을 형성시킨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전기선, 배관 등이 벽 내에 매립되어 있고, 재질 자체가 불연재이며 또한 내충격성, 방음성, 단열성, 못 박기의 용이성 등의 기능이 우수한 일체형 벽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조적(租積)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의 습식 욕실 또는 건식 욕실에 있어서의 조적벽으로 인한 문제점, 즉 조적벽으로 인한 무거운 중량 및 미장 양생 기간으로 인한 긴 건축 공기와 종래의 건식 욕실에 있어서의 이중벽으로 인한 전용면적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Prefabricated Bathroom with the Integrated Wall}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운데의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양 옆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로 이루어진 경량 복합 파넬(panel)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내에 전기선, 배관 등을 매립시키고, 한쪽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에 타일을 부착시키며, 천정 파넬을 얹기 위한 천정 파넬 상치 홈을 형성시킨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그 시공방법에 따라 “습식 욕실”, “건식 욕실”의 2종류로 구분되는데, “조립식 욕실”은 이러한 2종류의 욕실 중 “건식 욕실”에 해당된다.
이러한 습식 욕실과 건식 욕실의 종래 기술을 각각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욕실 벽의 1면을 옹벽(3)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3면을 조적(租積)공사한 벽(4)으로 구성한 종래의 습식 욕실을 보인다. 이때 욕실 벽의 2면을 옹벽(3)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2면을 조적공사한 벽(4)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은 바닥 슬래브(slab)이고, 2는 천정 슬래브이며, 5는 욕실 바닥이고, 6은 욕실 천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습식 욕실은 우선 바닥 슬래브(1)와 천정 슬래브(2)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에 1면 또는 2면의 욕실 벽을 옹벽(3)으로 공사한다. 이때 옹벽(3)을 이루는 콘크리트를 거푸집(형틀)에 주입하기 전에 전기선이 삽입된 파이프, 배관 등을 거푸집 내에 고정시켜 놓고 그런 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옹벽(3)을 구성함으로써 벽(3) 내에 전기선, 배관 등이 매립되도록 한다.
다음, 옹벽(3)을 제외한 나머지 3면 또는 2면의 욕실 벽을 바닥 슬래브(1)에서 천정 슬래브(2)까지 조적하여 조적벽(4)으로 만든다. 이때 바닥 슬래브(1)에서 벽돌을 쌓아 조적벽(4)을 구성하는 동안 전기선이 삽입된 파이프, 배관 등을 벽돌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적벽(4) 내에 전기선, 배관 등이 매립되도록 한다.
다음, 옹벽 및 조적공사가 끝난 욕실 벽(3, 4)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미장을 한 후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한다.
다음, 옹벽 및 조적공사가 끝난 욕실 벽(3, 4)의 내부쪽 면 즉, 욕실 내부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미장을 한 후 방수처리를 하고 타일 또는 석재를 부착하여 마감한다.
다음, 옹벽(3) 및 조적벽(4) 윗쪽에 각목을 고정한 후 각목 아래에 욕실 천정(6)을 부착한다.
다음, 바닥 슬래브(1)에 배관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방수처리를 하고 타일을 부착함으로써 욕실 바닥(5)을 구성하여 종래의 습식 욕실을 만든다.
이러한 종래의 습식 욕실은 욕실 벽을 옹벽(3) 및 조적벽(4)으로 구성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중량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체 건물의 하중 유지를 위한 골조(콘크리트 구조체, 내력벽)를 더욱 튼튼하게 구성해야 했다.
또 종래의 습식 욕실은 조적 및 미장을 한 후 양생 공정을 거쳐야 하였는데 이러한 양생 공정으로 인하여 건축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습식 욕실은 조적벽(4)의 두께가 약 100㎜ 정도로 두꺼워 욕실 면적 또는 거실 면적 등 전용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 종래의 습식 욕실은 벽 또는 바닥의 재질 특성상 방수처리가 필수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타일 또는 석재 등을 건축 공사 현장에서 부착함으로써 공사가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건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욕실 벽의 1면을 옹벽(3) 및 벽 파넬(9)의 이중벽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3면을 조적공사한 벽(4) 및 벽 파넬(9)의 이중벽으로 구성한 종래의 건식 욕실을 보인다. 이때 욕실 벽의 2면을 옹벽(3) 및 벽 파넬(9)의 이중벽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2면을 조적벽(4) 및 벽 파넬(9)의 이중벽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식 욕실은 우선 바닥 슬래브(1)와 천정 슬래브(2)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에 1면 또는 2면의 욕실 벽을 옹벽(3)으로 공사한다.
다음, 옹벽(3) 안쪽에 조립식 욕실(7)을 설치한다.
조립식 욕실(7)은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미도시)을 상치한 후 방수판(8)에 배관 등을 설치한 다음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8)을 방수판 프레임(미도시)에 상치한 후 방수판(8) 4면의 가장자리에 벽 파넬(9)을 세워 조립한 다음 벽 파넬(9) 위에 천정 파넬(10)을 조립하여 설치한다. 이때 벽 파넬(9)의 뒷면에 전기선, 배관 등이 설치된다.
다음, 이러한 조립식 욕실(7)의 외부에 옹벽(3)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3면 또는 2면에 바닥 슬래브(1)에서 천정 슬래브(2)까지 조적하여 조적벽(4)을 만든다.
이때 조립식 욕실(7)의 벽 파넬(9) 뒷면으로 전기선, 배관 등이 드러나 있어 이러한 벽 파넬(9) 자체에 벽지 등의 마감재를 사용할 수 없고 또한 벽 파넬(9) 자체가 불연재가 아닐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방음성, 단열성, 못 박기의 용이성 등의 기능성에 있어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벽 파넬(9) 외부에 조적벽(4)을 만든다.
다음, 옹벽 및 조적공사가 끝난 욕실 벽(3, 4)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미장을 한 후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하여 종래의 건식 욕실을 만든다.
이러한 종래의 건식 욕실은 옹벽(3) 및 조적벽(4) 내에 조립식 욕실(7)이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방수처리를 할 필요가 없고 또한 건축 공사 현장에서 타일 등을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욕실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건식 욕실은 종래의 습식 욕실과 마찬가지로 욕실 벽을 옹벽(3) 및 조적벽(4)으로 구성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중량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체 건물의 하중 유지를 위한 골조(콘크리트 구조체, 내력벽)를 더욱 튼튼하게 구성해야 했다.
또 종래의 건식 욕실은 종래의 습식 욕실과 마찬가지로 조적 및 미장을 한 후 양생공정을 거쳐야 하였는데 이러한 양생 공정으로 인하여 건축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건식 욕실은 이러한 옹벽(3) 및 조적벽(4) 내에 다시 조립식 욕실(7)의 벽 파넬(9)이 있어 이중벽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욕실 면적 또는 거실 면적 등 전용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건식 욕실에 있어서, 가운데의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양 옆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로 이루어진 경량 복합 파넬을 조적벽(4) 대신 사용한 경우도 있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조적벽(4)으로 인하여 중량이 큰 문제점 및 조적 후 미장 양생 기간으로 인하여 건축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은 해결되지만 이중벽으로 전용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은 해소되지 못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욕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운데의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양 옆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로 이루어진 경량 복합 파넬에 있어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내에 전기선, 배관 등을 매립시키고 한쪽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에 타일을 부착시키며 천정 파넬을 얹기 위한 천정 파넬 상치 홈을 형성시킨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을 이루는 일체형 벽은 무게가 가볍고, 두께가 얇으며, 전기선, 배관 등이 벽 내에 매립되어 있고, 재질 자체가 불연재이며 또한 내충격성, 방음성, 단열성, 못 박기의 용이성 등의 기능이 우수하여 별도의 조적(租積)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는 종래의 습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건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조립식 욕실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들을 조립하는 모습.
도 9는 본 발명의 일체형 벽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체형 벽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 슬래브 2 : 천정 슬래브
3 : 옹벽 4 : 조적벽
5 : 욕실 바닥 6 : 욕실 천정
7 : 조립식 욕실 8 : 방수판
9 : 벽 파넬 10 : 천정 파넬
20 : 조립식 욕실 30 : 방수판 프레임
40 : 방수판 50 : 일체형 벽
50´: 일체형 벽 51 : 돌출부
52 : 함몰부 53 :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54 : 무석면 시멘트 보드 55 : 무석면 시멘트 보드
56 : 전기선, 배관 57 : 타일
58 : 천정 파넬 상치 홈 59 : 천정 파넬 상치 홈
60 : 천정 파넬 61 : 상부 브래킷
62 : 하부 브래킷 63 : 브래킷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욕실 벽의 1면을 옹벽(3)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3면을 일체형 벽(50)으로 구성한 조립식 욕실을 보인다. 미설명 부호 1은 바닥 슬래브(slab)이고, 2는 천정 슬래브이며, 40은 방수판이고, 60은 천정 파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욕실 벽의 2면을 옹벽(3)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2면을 일체형 벽(50)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욕실 벽의 3면을 옹벽(3)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면을 일체형 벽(50)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욕실 벽의 4면을 일체형 벽(5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일체형 벽(50)이 특징이므로 일체형 벽(50)에 대하여 먼저 살펴본 후에 이 일체형 벽(50)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을 보도록 한다.
일체형 벽(50)을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의 사시도로서, 한쪽 측면부에 횡단면이 “凸”형인 돌출부(51)가 있고, 다른쪽 측면부에 횡단면이 “凹”형인 함몰부(52)가 있다. 이때 돌출부(51)와 함몰부(52)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들을 조립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의 돌출부(51)를 이웃하는 일체형 벽(50´)의 함몰부(52)에 끼워 조립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의 종단면도로서, 무석면 시멘트 보드(54),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53), 무석면 시멘트 보드(55), 타일(57) 및 천정 파넬 상치 홈(58)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벽(50)을 보인다. 이때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53) 내에는 전기선, 배관(56) 등이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은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 양 옆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로 이루어진 종래의 경량 복합 파넬을 개량한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53) 내에 전기선, 배관(56) 등을 매립시킨 것과 한쪽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55)에 타일(57)을 부착시킨 것과 천정 파넬을 얹기 위한 천정 파넬 상치 홈(58)을 형성시킨 것이 종래의 경량 복합 파넬과 다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4.5㎜ 두께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54)와 4.5㎜ 두께의 무석면 시멘트 보드(55)를 41∼66㎜ 거리를 두어 평행하게 세우고 그 사이에 전기선, 배관(56) 등을 고정한 다음 포틀랜드 시멘트와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로 이루어진 충전물을 충전하여 경화시킨다. 무석면 시멘트 보드(54, 55)는 셀룰로오스 파이버와 시멘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 무석면 시멘트 보드(55)에 방수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일(57)을 부착한다. 방수 접착제로는 아크릴수지계 접착제 또는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한다.
다음, 톱 또는 그라인더로 천정 파넬 상치 홈(58)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완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58)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ㄴ”자형으로 만들 수 있지만 이러한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만들 수 있다.
도 10은 “ㄷ”자형의 천정 파넬 상치 홈(59)을 가진 일체형 벽(50)을 보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사용하여 조립식 욕실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도이다.
여기서는 욕실 벽의 4면을 일체형 벽(50)으로 구성한 도 6의 조립식 욕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바닥 슬래브(1)와 천정 슬래브(2)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에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사용하여 조립식 욕실(20)을 설치한다.
조립식 욕실(20)은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30)을 상치한 후, 방수판(40)에 배관 등을 설치한 다음,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4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상치한 후, 방수판(40)의 4면의 가장자리에 본 발명의 일체형 벽(50)을 세우고 하부 브래킷(62)으로 일체형 벽(5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상부 브래킷(61)으로 일체형 벽(50)을 천정 슬래브(2)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이때 천정 슬래브(2)와 일체형 벽(50) 간의 틈은 시멘트 또는 실리콘수지로 메워 없앤다.
다음, 일체형 벽(50)의 타일(57)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58)에 브래킷(63)을 조립한 후 이 브래킷(63)이 조립된 홈(58)에 천정 파넬(60)을 얹는다. 단, 도 9의 일체형 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체형 벽의 천정 파넬 상치 홈(59)에 천정 파넬(50)을 삽입한다.
다음, 옹벽(3) 및 일체형 벽(50)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하여 조립식 욕실(20)을 완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전기선, 배관 등이 벽(50) 내에 매립되어 있고, 재질 자체가 불연재이며 또한 내충격성, 방음성, 단열성, 못 박기의 용이성 등의 기능이 우수한 일체형 벽(50)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조적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의 습식 욕실 또는 건식 욕실에 있어서의 조적벽으로 인한 문제점, 즉 조적벽으로 인한 무거운 중량 및 미장 양생 기간으로 인한 긴 건축 공기와 종래의 건식 욕실에 있어서의 이중벽으로 인한 전용면적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일체형 벽(50)을 사용함으로써 건물 하중을 경감시키고, 건축 공기를 단축시키며, 욕실면적 또는 거실면적 등 전용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6)

1면의 욕실 벽을 옹벽(3)으로 공사한 후,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 (30)을 상치한 다음, 방수판(40)에 배관 등을 설치하고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 (4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상치한 후, 방수판(40)의 옹벽(3)이 없는 3면의 가장자리에 일체형 벽(50)을 세우고 하부 브래킷(62)으로 일체형 벽(5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상부 브래킷(61)으로 일체형 벽(50)을 천정 슬래브(2)에 고정시킨 다음,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에 브래킷(63)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63)이 조립된 홈에 천정 파넬(60)을 얹은 후, 옹벽(3) 및 일체형 벽(50)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한 조립식 욕실(20).
2면의 욕실 벽을 옹벽(3)으로 공사한 후,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 (30)을 상치한 다음, 방수판(40)에 배관 등을 설치하고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 (4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상치한 후, 방수판(40)의 옹벽(3)이 없는 2면의 가장자리에 일체형 벽(50)을 세우고 하부 브래킷(62)으로 일체형 벽(5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상부 브래킷(61)으로 일체형 벽(50)을 천정 슬래브(2)에 고정시킨 다음,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에 브래킷(63)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63)이 조립된 홈에 천정 파넬(60)을 얹은 후, 옹벽(3) 및 일체형 벽(50)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한 조립식 욕실(20).
3면의 욕실 벽을 옹벽(3)으로 공사한 후,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 (30)을 상치한 다음, 방수판(40)에 배관 등을 설치하고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 (4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상치한 후, 방수판(40)의 옹벽(3)이 없는 1면의 가장자리에 일체형 벽(50)을 세우고 하부 브래킷(62)으로 일체형 벽(5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상부 브래킷(61)으로 일체형 벽(50)을 천정 슬래브(2)에 고정시킨 다음,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에 브래킷(63)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63)이 조립된 홈에 천정 파넬(60)을 얹은 후, 옹벽(3) 및 일체형 벽(50)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한 조립식 욕실(20).
바닥 슬래브(1)에 방수판 프레임(30)을 상치한 후, 방수판(40)에 배관 등을 설치하고 이 배관이 설치된 방수판(4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상치한 다음, 방수판(40)의 4면의 가장자리에 일체형 벽(50)을 세우고 하부 브래킷(62)으로 일체형 벽(50)을 방수판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상부 브래킷(61)으로 일체형 벽(50)을 천정 슬래브(2)에 고정시킨 후,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에 브래킷(63)을 조립하고 이 브래킷(63)이 조립된 홈에 천정 파넬(60)을 얹은 다음, 옹벽(3) 및 일체형 벽(50)의 외부쪽 면 즉, 거실 또는 방 쪽을 향하는 욕실 벽면에 벽지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한 조립식 욕실(20).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일체형 벽(50)이 무석면 시멘트 보드(54), 전기선, 배관(56) 등이 매립된 발포폴리스티렌 시멘트 보드(53), 무석면 시멘트 보드(55), 타일(57) 및 천정 파넬 상치 홈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측면부에 돌출부(51)가 있고 다른쪽 측면부에 함몰부(52)가 있는 것인 조립식 욕실(20).
제 5항에 있어서, 일체형 벽(50)의 천정 파넬 상치 홈이 “ㄴ”자형인 천정 파넬 상치 홈(58)이거나, 또는 “ㄷ”자형인 천정 파넬 상치 홈(59)인 조립식 욕실(20).
KR1019990010991A 1999-03-30 1999-03-30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35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991A KR100354717B1 (ko) 1999-03-30 1999-03-30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991A KR100354717B1 (ko) 1999-03-30 1999-03-30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20A true KR20000061720A (ko) 2000-10-25
KR100354717B1 KR100354717B1 (ko) 2002-10-05

Family

ID=1957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91A KR100354717B1 (ko) 1999-03-30 1999-03-30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03B1 (ko) * 1999-10-18 2003-10-01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벽 일체형 유니트 욕실구조
KR101358625B1 (ko) * 2008-05-19 2014-02-0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15A (ja) * 1993-01-13 1994-08-02 Arita Unitec Kk 浴室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0147238B1 (ko) * 1994-12-03 1998-09-15 정순착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478435B2 (ja) * 1995-05-25 2003-12-1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バス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0259422B1 (ko) * 1997-09-04 2000-06-15 성재갑 조립식 욕실의 시공방법
KR100244019B1 (ko) * 1997-10-11 2000-02-01 강혜정 조립식 욕실의 시공방법
JPH11182072A (ja) * 1997-12-24 1999-07-06 Misawa Homes Co Ltd 浴室構造及び浴室の組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03B1 (ko) * 1999-10-18 2003-10-01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벽 일체형 유니트 욕실구조
KR101358625B1 (ko) * 2008-05-19 2014-02-0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717B1 (ko)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494B1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200437459Y1 (ko) 차음성능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연결구조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130015092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505836B1 (ko) 건축용 벽돌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80062087A (ko) 조립식 욕실 벽체 및 그 설치 방법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GB2363404A (en) Wall cladding: thermal insulation
KR101250680B1 (ko) 건식욕실건조방법
KR200387933Y1 (ko) 조립식 단열재 패널
KR100453879B1 (ko)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4466A (ko) 화장실 건식시공방법
KR960002341B1 (ko) 욕실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249940B1 (ko)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KR20200016423A (ko) 다수개의 패널이 상호 결합하여 벽체를 이루는 패널구조물 및 그 패널구조물이 구비된 벽체용패널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0730239B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및 그시공방법
KR0155603B1 (ko)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부재
KR101358625B1 (ko) 조립식 모듈
CN107268844B (zh) 一种装配式墙体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