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075A -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075A
KR20000061075A KR1019990009859A KR19990009859A KR20000061075A KR 20000061075 A KR20000061075 A KR 20000061075A KR 1019990009859 A KR1019990009859 A KR 1019990009859A KR 19990009859 A KR19990009859 A KR 19990009859A KR 20000061075 A KR20000061075 A KR 20000061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s
liposome
mol
lipid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쳉쥬이-칭
Original Assignee
린 중친
타이완 리포솜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 중친, 타이완 리포솜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린 중친
Priority to KR101999000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1075A/ko
Publication of KR2000006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특히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긴 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에 의해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리포솜의 통합성 및 상기 조성물의 저장 안전성이 증가되어진다.

Description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GGREGATION OF LIPOSOME}
본 발명은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특히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포솜의 응집이 긴 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리포솜의 통합성 및 상기 조성물의 저장 안전성이 증가되어진다.
리포솜은 다수의 다른 형태의 지질분자에 의해 구성되어질 수 있다. 다른 조성물 및 다른 약의 제조는 각자 자신의 특징을 가져야 한다. 투여 형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되는 리포솜 분자의 적절한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
방햄 및 해드는 1965년에 지질의 얇은 막을 수용염액에 부가한후 흔들면, 지질이 성상을 통하는 통로를 구비한 작은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사 및 베이스만은 1968년에 이러한 작은 비드를 리포솜으로 이름지었고, 리포솜은 지질 양층의 각각의 층에서 구성되는 마이크로미셀로서 명확한 정의를 내렸다.
1970년 이후, 리포솜은 약을 담체하기 위한 양호한 투여 형태로서 인식되어졌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특징에 의해 양호한 약 담체(擔體)로서 간주되어진다. 첫째로, 리포솜은 세포막의 조성과 유사한 조성을 가지고 유기체를 분해시킬 수 있는 인지질로 구성되고, 독성이 없으며 많은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이 줄어들지 않는다. 둘째로, 리포솜으로 캡슐화되는 약은 제어되는 율에 의해 천천히 방출될 수 있고, 약의 파마코키네틱스(pharmacokinetics)는 약의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셋째로, 높은 독성이 있는 약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리포솜으로 캡슐화하는 것에 의해 감소되어질 수 있다. 네째로, 리포솜의 지질 조성, 입자 크기, 구조, 제조방법 및 캡슐화된 약은 다른 상태에 접하더라도 매우 큰 유연성이 존재한다.
그레고리애디스등은(1975) 리포솜으로 악티노마이신 D를 캡슐화 했고 이것을 쥐의 임파종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리포솜의 투여 형태는 쥐의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었다. 그 이후, 리포솜은 연속적으로 메토트렉세이트, 독소루비신, 1-베타-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시스-디아민디클로로-플라티늄 및 그종류와 같은 항암약을 캡슐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졌고, 동물 모델에서 발견되는 산출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리포솜은 약의 처리효과를 증가시키고 또는 약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지질을 이용하는 리포솜의 초기 제조에서는, 기술적인 제한때문에, 다수층의 막으로 구성되는 단지 커다란 리포솜이, 즉 다시말하면 지름이 1-10 미크론인 MLV(multilamellar vesicle), 지질의 얇은 막을 수산화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졌다. 지질 양층사이에 포함되는 적은 물때문에, 이러한 리포솜은 수용성약을 캡슐화하는데 적당하지 않았고 이것으로 제한된 적용성을 갖었다.
몇년이 지나후에는, 초음파분해, 용매주입 및 세정제 투석의 발달에 따라, 연구자들은 하나의 지질양층으로 구성된 작은 리포솜(지름이 20-200nm)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작은 리포솜은 수용성 약을 캡슐하거나 막 단백질이 결핍된 생체막의 모델로서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것의 입자크기가 일정하지 않기때문에 의료용 약의 생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현재에는, 생산처리가 향상되어진 이후로, 하나의 지질양층으로 구성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리포솜이 필터 막 압출과 결합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에 의해 제조 되어질 수 있고, 여기서 리포솜의 입자크기는 필터막의 구멍크기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이러한 처리는 약학산업에 적용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당하다.
게다가 생산처리에서, 리포솜의 초기 생산물은 가공하지 않은 재료인 천연지질이 사용되었다. 천연 지질은 일반적으로 리포솜상에 음전하를 제공하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카디오리핀 및 그 종류와 같은 음전하로된 인지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음전하로된 리포솜은 셀 아포프토시스 후에 생산된 퇴화한 입자와 비슷하므로, 피순환에 주입되었을때는 간, 비장 및 그 종류와 같은 기관을 포함하고 또한 RES(reticuloendothelial system)로서 언급되는 MPS(mononuclear phagocytic system)에 의해 신속하게 식작용을 영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의 리포솜은 상기 언급된 기관까지 약을 전달할 수 있어 리포솜의 적용이 작은 범위내에서 한정되었졌다. 이러한 리포솜은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에만 약을 운반할 수 있고 리포솜의 이용은 식세포까지 감염시키는 레이슈마니아증과 같은 병을 처리하는데 제한되었다.
더욱이, HDL(high density lipoprotein)은 리포솜을 만드는 천연지질에 의해 형성된 리포솜에 존재하는 인지질을 제거할 수 있고 리포솜의 안쪽에서 캡슐화된 약의 누출을 일으키고 효력을 잃게하여 약순환의 반감기에 영향을 미친다.
리포솜에 의해 운반되는 약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년동안 연구한 끝에, 피안에서 리포솜으로 캡슐화된 약의 순환시간이 다음과 같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것을 발견하였다. 즉 (1) 천연지질로 만들어진 리포솜은 RES에 의해 제거되어질 가능성이 적다. (2)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리포솜은 제거되어질 가능성이 적다. (3) 리포솜은 더욱 안정적인 높은 콜레스테롤 조성물을 갖는 디스터로일 포스파티딜 클로라인과 같은 높은 전이온도를 갖는 지질에 의해 구성된다. (4) 폴리알킬에테르에 의한 리포솜의 표면저항은 피안에서 제거되는 비율을 지연시킨다. 그래서, 높은 전이온도를 갖고 높은 콜레스테롤 상수(예를들면, 디스티로일 포스파티딜 클로라인: 콜레스테롤= 3:2 몰비율)를 갖는 지질로 지름이 20nm에서 100nm를 갖는 리포솜의 생산은 피순환에서 리포솜의 반감기를 증가시킨다. 더우기, 그러한 입자크기를 갖는 리포솜은 종양의 신산의 세포벽상에 누출구멍을 통과할 수 있어 항암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종양에서 많은 양으로 축적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종양의 처리효과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RES는 큰 입자크기를 갖는 리포솜과 음으로 전하된 리포솜을 더욱 빠르게 제거시킬 수 있고, 100nm보다 적은 입자크기를 갖는 중성의 리포솜 생산은 피안에서 약의 순환시기를 증가시킴으로서 입자크기가 리포솜 생산의 매우 중요한 성질이 된다. 중성의 리포솜은 클로이달 성질때문에 응집되어지고, 이것은 입자가 크게 침전되어지게 한다. 입자의 크기는 피안에서 약의 파마코키네틱스(pharmacokinetics)에 영향을 주고 이것에 의해 약의 처리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입자의 응집에 의해 발생되는 침전은 약의 효과적인 수명시간을 단축시킨다.
리포솜의 제조에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의 작은 양을 부과함으로서 리포솜의 응집과 침전률을 줄일 수 있다. 예를들면,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의 0.6%몰보다 많은 양에서 디스티얼올리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PEG-DSPE)으로 유도된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5000)의 첨가는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013556 호에서는 피에서 리포솜의 순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1-20 몰%의 폴리알킬에테르를 첨가시키는 것이 언급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약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어떤 실험적 데이타에서는 높은 전이온도 지질과 높은 콜레스테롤 상수(예를들면, 디스티얼올리포스파티딜클로라인 : 콜레스테롤 = 3: 2 몰율)를 포함하고 50에서 100nm의 지름을 갖는 리포솜이 항암약이나 닥소루비신을 캡슐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때는, 피에서 리포솜의 순환시간을 확장시키기 위한 많은 양의 폴리알킬에테르의 이용이 종양의 영역에서 항암약의 축적 양보다 적어야 한다.
그래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의 상수(<1몰%)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항암약의 리포솜 투약형태의 처리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양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 특히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리포솜의 응집을 긴-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리포솜의 통합성과 상기 조성물의 저장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1)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일정기간동안 유지되도록 상기 (1)공정의 생산물에 200-2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몰%에서 1.0 몰%까지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1)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0.01몰%에서 1.0몰%까지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로 리포솜을 제조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1)공정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1)상기 리포솜의 제조후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일정 기간동안 유지되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몰%에서 1.0몰%까지 첨가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처 보호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1)공정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많은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와 1b는 다른 비율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7일이상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한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를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비율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1일 이상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한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다른 비율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3일 이상 토포테칸을 캡슐화한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를 도시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는 조성물 특히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되어져, 리포솜의 응집이 긴-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리포솜의 통합성(integrity)과 상기 조성물의 저장 안전성이 증가한다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긴-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폴리알킬에테르 지질로 언급되어진다.
비록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이 약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이 허용되더라도, 장기간 사용할때 부작용을 가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 한가지 중요한 요점은 리포솜의 안정성이 리포솜의 낮은 함유량에서도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다른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테스트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부터, 작은 양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함으로서 리포솜의 침전 및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면 보다 나은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은 폴리알킬에테르 일부와 지질 일부를 포함한다. 폴리알킬에테르 일부는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메틸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메틸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그와같은 종류와 같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유사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지질 일부는 지질양층안으로 삽입할 수 있는 히드로필릭 엔드(hydrophilic end) 및 리포필릭 엔드(lipophilic end)를 구비하는 산출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알킬에테르를 공유결합되게 연결될 수 있는 어떤 분자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포필릭 엔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화수소 사슬 또는 스테로이드 일부분으로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황산 암모늄, 독소루비신 및 토포테칸을 각각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도시되어지는데, 매우 작은 양, 예를들어 0.2 몰%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2000의 분자량을 갖는 유도체)를 첨가하는 것에의해 상기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속도는 줄어들 수 있고, 5000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유도체를 사용하면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의 0.6 몰%로 6개월 이상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투여량, 예를들어 0.01 - 1몰%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1년이상까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 생산물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것은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증명되어지고, 이것의 절차 및 데이터는 하기의 실시예와 표에서 설명되어진다.
도 1a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몰%, 0.2몰%, 0.6몰%, 및 0.99몰%의 PEG2000-DSPE가 각각 첨가되어지고, 반면에 도 1b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몰%, 0.2몰%, 0.6몰% 및 0.99몰%의 PEG5000-DSPE가 각각 첨가되어진다. 도 1a에서는 리포솜의 세개의 그룹 예를들면, 0.2몰%, 0.6몰% 및 0.99몰%의 PEG2000-DSPE가 첨가되어 얻어진 결과와, PEG2000-DSPE가 없는 예를들어 0%의 PEG-PE가 첨가되어 얻어진 결과를 비교한 것이 도시되어지고 PEG-DSPE가 연결된 부족분의 첨가는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을 줄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b에서는 0.6몰% 이상의 양으로 PEG5000-DSPE를 첨가함으로서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몰%, 0.2몰%, 0.6몰% 및 0.99몰%의 PEG2000-DSPE가 각각 첨가되어진다. 항암약,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에서 0.2몰% 이상의 양으로 PEG2000-DSPE를 첨가하면,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하는 상기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몰%, 0.2몰% PEG2000-DSPE, 0.6몰% PEG2000-DSPE, 0.99몰% PEG2000-DSPE, 0.2몰% PEG5000-DSPE, 0.6몰% PEG5000-DSPE, 및 0.99몰%의 PEG5000-DSPE가 각각 첨가되어진다. 항암약 및 토포테칸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경우에는, PEG-PE가 첨가된 3일후, 0.2몰%, 0.6몰%의 PEG2000-DSPE 및 0.2몰%의 PEG5000-DSPE가 각각 첨가될때는 침전이 거의 없고, 0.99몰% PEG2000-DSPE, 0.6몰% PEG5000-DSPE, 및 0.99몰%의 PEG5000-DSPE가 각각 첨가되었을때는 리포솜의 침전 및 응집이 없었다.
100nm보다 적은 입자크기를 갖고 독소루비신 또는 토포테칸을 캡슐화하는 천연 리포솜의 경우에는, 0.9몰% PEG5000-DSPE를 첨가함으로서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1년이상까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 생성물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약은 예를들어 1-베타-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시스-디아미노클로로-플라티늄, 플라티늄 동족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비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나벨바인, 안티포레이트, 택솔, 토포테칸, 미토마이신 C 또는 캄프토테신에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3)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 및 (4) 상기 (1)공정의 생산물에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과 일정기간 유지하도록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에서 1.0몰%까지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3)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에서 1.0몰% 포함하는 지질로 리포솜을 제조하는 공정; 및 (4)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1)공정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3) 상기 리포솜 제조후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적절한 시기동안 유지되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에서 1.0몰%까지 첨가하는 공정; 및 (4)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위하여 상기 (1)공정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즉 다시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의 첨가는 리포솜에 의한 약을 캡슐화시킨후 뿐만아니라 리포솜의 제조후에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제조
단층의 리포솜은 표준의 얇은-필름 수화 방법과 압출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DPPC(dipamitoylphosphatidyl choline), 콜레스테롤, 및 DSPC(distearoylphosphatidyl choline)는 다른 몰 조성, 예를들면, DSPC : 콜레스테롤 = 3 : 2 또는 DPPC : 콜레스테롤 = 3 : 2 몰 비율로 클로로포름에서 분해되어진다. 균일하게 혼합된 후에는, 용매가 압력이 감소되는 데시케이터(dessicator) 안에서 제거되어지고, 잔류물은 55℃에서 pH가 5.0인 150mM 황산 암모늄[ (NH4)2SO4]으로 수화되어진다.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은 물 욕(water bath)에서 액체질소로 다섯번동안 반복적으로 냉각되거나 해동되어지고 이때 60℃아래에 온도에서 압출기에 의해 0.1㎛ 폴리카보네이트 막과 0.05㎛ 필터막에서 다섯번 여과되어진다.
실시예 2 :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제조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 외부의 황산암모늄은 세파덱스 G-50(Pharmacia)상에서 제거되어진다. 그때에, 10μ몰 인지질당 1mg의 독소루비신이 첨가되어지고, 60℃로 가열되어지며 30분동안 100rpm에서 흔들어준다. 그후에는, 이것이 3분동안 얼음으로 빠르게 냉각되어진다. 다시 따듯하게 하면, 리포솜 외부에 독소루비신은 pH가 7.2인 100 mM HEPES나 144 mM NaCl 또는 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가지는 용출액에 의해 분자체 칼럼상에서 제거되어진다. 리포솜을 포함하는 분설(fraction)은 원하는 리포솜의 제조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모아진다. 이렇게 얻어진 리포솜은 0.22㎛의 필터막을 통하여 여과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포솜의 저장성을 유용하기 위하여 그안에 아르곤을 제거한다.
실시예 3 : 토포테칸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제조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 외부의 황산암모늄은 세파덱스 G-50(Pharmacia)상에서 제거되어진다. 그때에, 10μ몰 인지질당 1mg의 토포테칸이 첨가되어지고, 60℃로 가열되어지며 30분동안 100rpm에서 흔들어준다. 그후에는, 이것이 3분동안 얼음으로 빠르게 냉각되어진다. 다시 따듯하게 하면, 리포솜 외부에 토포테칸은 pH가 7.2인 100 mM HEPES나 144 mM NaCl 또는 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가지는 용출액에 의해 분자체 칼럼상에서 제거되어진다. 리포솜을 포함하는 분설(fraction)은 원하는 리포솜의 제조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모아진다. 이렇게 얻어진 리포솜은 0.22㎛의 필터막을 통하여 여과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포솜의 저장성을 유용하기 위하여 그안에 아르곤을 제거한다.
실시예 4 : 다른 함유량 및 다른 분자 무게를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이 리포솜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결과
황산암모늄, 독소루비신 및 토포테칸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세 유형은 각각 0, 0.2, 0.6, 및 0.99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유도된 디스티얼올리포스파티딜 클로라인 에타놀아민(영국, 겐자임, 2000 또는 5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부분의 유도체)이 첨가되어지고 그 결과로 얻어진 용액은 24시간동안 37℃로 저장되어지고 그 다음에 4℃에서 저장되어진다. 그런후,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의 확장이 다른 시간별로 관찰되어지고 아직 침전되지 않은 현탁액은 잔여 인지질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거되어진다.
다른 비율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
4℃에서저장(일) No PEG 0.2몰%PEG2000 0.6몰%PEG2000 0.9몰%PEG2000 0.2몰%PEG5000 0.6몰%PEG5000 0.99몰%PEG5000
0 ***** NP NP NP NP NP NP
1 ***** NP NP NP NP NP NP
3 ***** * NP NP NP NP NP
7 ***** * * * * NP NP
14 ***** * * * * NP NP
23 ***** * * * * NP NP
100 ******* *** ** ** ** NP NP
200 ******* *** ** ** ** NP NP
*는 침전의 확장을 나타내고; NP는 침전이 없는것을 나타낸다.
표 1에서는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을 나타낸것으로,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부분으로 이루어진 보다 큰 양의 폴리알킬에테르가 첨가되어지면,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이 보다 많이 줄어들 수 있다. 0.6몰%와 0.9몰%의 PEG5000-DSPE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리포솜이 응집 및 침전의 발생없이 4℃에서 200일이상 안정하게 될 수 있다.
다른 비율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
4℃ 저장(일) 0 1 8 59 90
No PEG NP ** *** **** ****
0.2몰%PEG2000 NP NP NP ** ***
0.6몰%PEG2000 NP NP NP NP **
0.99몰%PEG2000 NP NP NP NP *
0.2몰%PEG5000 NP NP NP NP *
0.6몰%PEG5000 NP NP NP NP NP
0.99몰%PEG2000 NP NP NP NP NP
*는 침전의 확장을 나타내고, NP는 침전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표 2에서의 결과는 독소루비신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비율이 황산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비율과 유사하고,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부분으로 이루어진 보다 큰 양의 폴리알킬에테르가 첨가되어지면,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이 보다 많이 줄어들 수 있음을 나타낸다. 0.6몰%와 0.9몰%의 PEG5000-DSPE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리포솜이 응집 및 침전의 발생없이 4℃에서 90일이상 안정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 5 : 리포솜의 회복측정
리포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DSPC)는 인지질이며 한 분자당 인산염 그룹을 가지기 때문에, 용액에서 인산염 그룹의 함유량 측정은 리포솜 용액안에 지질의 농도를 제공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바트레트(Bartlett,1959)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산염 그룹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적당한 양의 샘플로 실험되어지는데 0, 20, 40, 및 80 μㅣ 표준 인산염 용액(인 표준, 6.5 mmol/ml, 시그마 케미컬, 세인트. 루이스, MO, USA)이 실험관에 각각 첨가되어진다. 각각의 관에서는, 400μㅣ 10 N H2SO4(Merck, NJ, USA)이 첨가되어지고, 균일하게 혼합되어진다. 그때, 반응이 30분동안 170℃에 실험관 건조욕에서 일어난다. 관은 제거되어지고 냉각되어진다. 100μㅣ의 9% H2O2가 각각의 관에 첨가되어지고 다시 30분동안 170℃의 실험관 건조욕안에서 반응한다. 그후에, 관은 제거되어지고 냉각되며, 0.22%의 몰리브덴 암모늄의 4.6ml를 첨가한다. 와동으로 흔들어주는 동안에는, 15% 아스코르빈산의 100μㅣ가 관의 개구부를 통하여 첨가되어지고 10분동안 100℃에서 비등수로 끓인다. 제거되어지고 냉각된 후에는, 830nm에서 흡수가 분광광도계(Ultraspec Ⅲ, Pharmacia, Sweden)로 측정된다. 얻어진 데이터는 실험되어진 샘플에서 포함하는 인을 제공하는 염기성 용액에 대하여 후퇴된 선형이고 이것에 의해 리포솜 용액의 지질 농도를 추론할 수 있다.
회복 = (실험된 샘플에서 지질의 농도/리포솜의 침착전에 지질의 농도)
× 100%
다른 비율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한 3일후 오리지널 인지질에 침착되지 않은 인지질(리포솜)의 퍼센티지와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에 미치는 결과.
폴리알킬에테르 지질% %오리지널 인지질(회복) 표준편차 (S.D.)
No PEG 29.31% 0.73%
0.2 몰%PEG2000 70.83% 2.66%
0.6 몰%PEG2000 88.01% 1.28%
0.99 몰%PEG2000 97.88% 1.70%
0.2 몰%PEG5000 89.91% 2.03%
0.6 몰%PEG2000 100.68% 1.76%
0.99 몰%PEG2000 100.00% 1.98%
표 3으로부터 리포솜의 응집 및 침전후에, 용액안에서 리포솜의 수가 감소되어지고 0.6 몰% 및 0.99 몰%의 PEG5000-DSPE의 첨가는 침전없이 용액안에서 리포솜의 완전한 현탁액을 발생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리포솜의 입자크기 분석
리포솜의 입자크기 분석은 레이저 광 분산의 원리를 기초하여 리포솜의 입자 크기 분산을 측정하는 입자 크기 분석기(N4 플러스, COULTER, USA)로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개별적인 리포솜은 용액안에서 부유할때 자유운동상태이고, 이러한 현상을 브라운 운동이라 불려진다. 레이저 광 조사에서, 리포솜에 의해 흩어지는 광은 분석기에 의해 발견되어지고 즉시 리포솜의 입자크기의 평균값 및 분포을 얻기 위하여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타로 변형된다.
다른 비율의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첨가시킴으로서 황산 암모늄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지름에 미치는 결과.
폴리알킬에테르 지질% 지름(nm), 평균값/표준편차
No PEG 68/18.73
0.2몰%PEG2000 69.9/21.33
0.6몰%PEG2000 73.8/20
0.99몰%PEG2000 73.9/20.42
0.2몰%PEG5000 75.7/11
0.6몰%PEG5000 75.5/18.67
0.99몰%PEG5000 79.4/1.82
표 4로부터 다른 길이를 가지는 폴리알킬에테르의 다른 비율의 첨가는 리포솜의 입자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긴 길이를 갖는 폴리알킬에테르의 더 높은 비율이 더 높게 첨가될수록, 리포솜의 지름은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리포솜안에 폴리알킬에테르의 삽입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의 안정성이 증가되어질 수 있고 또한 리포솜의 효과적인 수명을 1년이상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많은 변화와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과학 및 유용한 기술의 향상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제한되어지고 개시된다.

Claims (9)

  1.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의 응집이 긴-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리포솜의 통합성과 상기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사슬 중합체-지질 결합은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메틸-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메틸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렌 옥시드,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은 1-베타-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시스-디아미노클로로-플라티늄, 플라티늄 동족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비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나벨바인, 안티포레이트, 택솔, 토포테칸, 미토마이신 C 또는 캄프토테신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고 일정기간동안 유지되도록 상기 (1)공정의 생산물에 200-2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몰%에서 1.0 몰%까지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200-2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0.01몰%에서 1.0몰%까지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로 리포솜을 제조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공정(1)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약을 캡슐화하는 리포솜이 포함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리포솜을 제조한 후 200-2000달톤의 분자량을 갖고 적절한 시기동안 유지되는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을 0.01몰%에서 1.0몰%까지 첨가하는 공정; 및
    (2) 상기 리포솜을 응집 및 침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공정(1)에서 얻어진 리포솜으로 약을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에테르 지질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메틸-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메틸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히드록시 프로필렌 옥시드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은 1-베타-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 시토신 아라비노사이트, 시스-디아미노클로로-플라티늄, 플라티늄 동족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비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나벨바인, 안티포레이트, 택솔, 토포테칸, 미토마이신 C 또는 캄프토테신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09859A 1999-03-23 1999-03-23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000061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59A KR20000061075A (ko) 1999-03-23 1999-03-23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59A KR20000061075A (ko) 1999-03-23 1999-03-23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075A true KR20000061075A (ko) 2000-10-16

Family

ID=5478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859A KR20000061075A (ko) 1999-03-23 1999-03-23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1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825B1 (ko) * 2006-02-08 2007-08-01 한국화학연구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 빗 모양 고분자로 개질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3084B1 (ko) * 2002-12-31 2012-04-04 자이더스 비에스브이 파마 프라이빗 리미티드 장기간 순환성 비-페길레이티드 리포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84B1 (ko) * 2002-12-31 2012-04-04 자이더스 비에스브이 파마 프라이빗 리미티드 장기간 순환성 비-페길레이티드 리포좀
KR100744825B1 (ko) * 2006-02-08 2007-08-01 한국화학연구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 빗 모양 고분자로 개질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wekar et al. Liposome-as drug carriers.
EP1343475B1 (en) Self forming, thermodynamically stable liposomes
Johnsson et al. Effect of PEO− PPO− PEO triblock copolymers on structure and stability of phosphatidylcholine liposomes
KR0134982B1 (ko) 충실성종양 치료용 조성물
EP1531800B1 (en) Stealth lipid nanocapsule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a carrier for active principle(s)
EP0445131A1 (en) LIPOSOMES.
Elorza et al. Comparison of particle size and encapsulation parameters of three liposomal preparations
US20030113369A1 (en) Liposomes with enhanced circulation time and method of treatment
TWI224970B (en) Liposome composition for encapsulating drugs
Sakuragi et al. Transformation from multilamellar to unilamellar vesicles by addition of a cationic lipid to pegylated liposomes explored with synchrotron small angle X-ray scattering
KR20000061075A (ko) 리포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Reddy et al. Niosomes as nanocarrier systems: a review
Sherpa et al.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Method of preparations and applications
US20160263030A1 (en) Platinum aggreg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hemin et al. Supramolecular organization of S12363-liposomes prepared with two different remote loading processes
US20010051183A1 (en) Liposomes with enhanced circulation time and method of treatment
EP2680821B1 (en) Liposome formulation comprising an anti-tumour active substance,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it
CN1094346C (zh) 包裹药物微脂粒的制造方法
Vemuri et al. Encapsulation of a water soluble drug in a liposome preparation: removal of free drug by washing
DE19913640A1 (de)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Vorbeugung der Aggregation von Liposomen
Guo et al. Poly (ethylene glycol)-conjugated surfactants promote or inhibit aggregation of phospholipids
Farhad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gel-Core Liposome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s
Li Development of a novel method for studying permeability of PEG-ylated liposomes
Yamauchi et al. Controlled release of a protein kinase inhibitor UCN-01 from liposomes influenced by the particle size
JP2001508425A (ja) 均質に荷電した粒状ベクター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製薬学的もしくは化粧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