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486A -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486A
KR20000060486A KR1019990008812A KR19990008812A KR20000060486A KR 20000060486 A KR20000060486 A KR 20000060486A KR 1019990008812 A KR1019990008812 A KR 1019990008812A KR 19990008812 A KR19990008812 A KR 19990008812A KR 20000060486 A KR20000060486 A KR 2000006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powder
purgatory
hours
ginger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한
Original Assignee
김준한
대일광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한, 대일광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준한
Priority to KR101999000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0486A/ko
Publication of KR2000006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옥분을 함유하는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선된 생강을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생강을 0.1 내지 0.5mm의 두께로 세절하며, 세절된 생강으로부터 열 추출(50 ~100℃)한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50 ~100℃, 50 ~ 100mmHg, 1~ 5시간, 10 ~ 60Brix%)에서 농축하며, 그 생강 농축액을 부형재와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열풍 건조(50 ~ 100℃)하고, 건조된 생강 혼합분말의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기호성과 아울러 세포기능 활성화, 혈액순환 촉진 및 신진대사 촉진 등의 의학적 효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Ginger Tea Which Contains Nephrite Jade Powd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연옥(Nephrite)분이 함유된 생강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인체의 질환치료 능(能)(두통, 불면증, 소화불량, 손발저림 등),물체의 불순물 제거 능(중금속 제거 등),수질 개선능, 동식물의 생장촉진능을 갖는 투각섬석 양기석(透角閃石-陽起石)계열의 섬유가 매우 가느다란 교직섬유 현미(交織纖維 顯微)구조로 된 미세한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jade)이나 혹은 생강 등이 인체에 유용한 물질로 됨은 주지된 바와 같다. 먼저 전자(前者)의 옥은 경옥(硬玉)과 연옥(軟玉)으로 대별되는데, 경옥(jadeite)은 휘석족(煇石族 : pyroxene family)에 속하는 납 휘석조(組)광물로서 규산, 산화 알루미늄, 소다(soda)로 된 단사정계(單斜晶系)물질이며, 경도는 수정과같은 치밀한 덩어리이고, 빛은 흑색, 청록, 녹색이며,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옥이라 함은 이 경옥을 가리킨다.
반면에 연옥(Nephrite jade)은 이노규산염(Inosilicates)의 단사정계 휘섬석(煇閃石)광 물체로서, 고토질 대리암중 연옥과 사문석화 초염기성 연옥(蛇紋石化 超鹽氣性 軟玉)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의 품질은 그의 미세한 구조 즉, 투각섬석-양기석 정자가 속조(束組)와 섬유로 되는 조세(粗細)한 정도로 결정되며 섬유가 극히 가늘수록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의 권위 있는 의학계 문헌에 발표된 보고서(Mauda Palmer Die Verborgene의 "KRAFF der KRISTALLE und der EDELSTEINE")에 의하더라도 경옥과 연옥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상이한 광석으로서 이들은 대부분의 보석처럼 실리콘과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나, 경옥은 과립형 크리스탈로 형성되어 있는 데에 반해, 연옥은 섬유질, 머리털 같은 무수한 크리스탈과 미립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점에서 경옥과는 차이가 있고 특히, 연옥은 경옥에 있어서의 나트륨과 알루미늄 조성분과는 달리, 인체에 유익한 3가지 광물 즉, 칼슘, 철분,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연옥 착용시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 장애, 심장병 및 신장 장애로 인한 병고의 치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근에 발표된 바 있다.
한편, 동양의학의 고전인 동의보감에서도 옥을 오미주(烏米酒)와 지유주(地楡酒)에 넣으면, 물로 변하고 홀장수(忽漿水)에 넣으면 먹기가 좋으며 옥설(玉屑)을 마두대(麻豆大)와 같은 크기로 먹으면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키고 옥설 1되와 지유초(地楡草) 1되, 도미(稻米) 1되, 백로(白露) 3되를 같이 섞어서 구리그릇에 넣어 밥을 지으면 옥설이 물로 변하는데 이를 옥액(玉液)이라 하여 이른바 신선옥장(神仙玉漿)이라고 한다 라고 밝히고 있으며, 신농본초(神農本草), 당본초(唐本草), 본초강목(本草綱目)등에 의하면, 옥을 가루로 내어 깨알만 하게 하여 복용을 하면 오장육부를 윤택하게 하고 체내의 노폐물을 완전히 배출시켜 주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①위 중의 열을 제거하여 소화계통에 효과가 있고, ②기관지 천식과 신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빈열증에 좋고 갈증을 멎게 해주고, ③깨알같이 부숴 장복을 하면, 몸이 날아갈듯 가벼워지고 장수하게 되고, ④폐장의 기능을 윤활하게 해주며 성대의 발성을 도와주어 인후에 좋고, ⑤모발에 영양을 주고 오장의 기능을 자양해주며 특히 스트레스증 신경성 질환을 갈아 앉힌다고 하였으며, 그 밖에 근육이 긴장되고 쥐가 날때 백옥을 가루로 내어 먹으면 좋고 얼굴, 몸 등에 상처 자국이 있을 때 연옥으로 상처부위를 수일간 문지르면 흉터가 없어지는 등, 연옥의 주된 성분은 인체의 주된 요소와 일치하여 부작용이 없이 인체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일찍부터 잘 알려 져있다.
그러나 연옥의 경우에는 탁월한 의학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희소성으로 목걸이, 반지, 팔찌 등의 일부 신변장식용 보석 장신구에 만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생강은 일반적으로 폐를 돕고 위를 고르게 하며, 상한, 두통,상풍(傷風),비색(鼻色),해역(咳逆),구토등 을 다스린다. 생강껍질은 부종을 다스린다(본초강목과 본초비요)고 하는 의학적인 효능에 의해서 최근에는 분말 생강차(국내특허 공고번호 제 87-4576호 및 92-4881호)로 개발하여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연옥과 생강의 의학적 효능에 주목하여 개발하기에 이른 것으로, 생강으로부터 얻은 추출물과 유당(Lactose)등의 부형재를 혼합,건조하는 분말 생강차의 제조중에 있어서, 그 생강차의 총 중량에 연옥분 3 ~ 10 중량부를 혼합 한 것에 의해. 기호성과 아울러 세포기능 활성화, 혈액순환 촉진 및 신진대사 촉진 등의 의학적 효능을 갖도록한 연옥분을 함유하는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옥 분이 함유된 생강차는 청구항 1과 관련된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유당, 벌꿀등의 부형재를 혼합, 건조하여 된 생강차에 있어서,상기 생강차의 총 중량에 연옥분 3~10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연옥분의 입도는 150 내지 1000메쉬이며, 하기와 같은 조성비[반정량적 분석치(%)]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규소 34
마그네슘 10
칼슘 4.9
철 0.23
알루미늄 0.16
구리 0.17
코발트 0.046
망간 0.14
주석 0.024
베릴륨 0.00072
은 0.0013
티탄 0.0038
니켈 0.0028
크롬 0.0030
기타 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옥 분이 함유된 생강차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3과 관련된 정선된 생강을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생강을 0.1 내지 0.5mm의 두께로 세절하는 단계와, 세절된 생강으로부터 열 추출한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와, 생강 농축액을 부형재와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열풍 건조(50 ~ 100℃)하는 단계와, 건조된 생강 혼합분말의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 분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150 - 350 메쉬가 적당하나, 연성과 촉감이 증대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보다 미세한 입자인 350 - 1000 메쉬 정도의 연옥분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연옥분의 입자크기가 상기 범위보다 작아지게 되면 제품의 거칠기가 심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연옥 분의 첨가량이 3 중량 부 미만이면, 연옥첨가로 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연옥 분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연옥의 고유 효능이 향상되기는 하나, 연옥분의 첨가량이 너무 과다하면 원 재료의 성질을 저하시켜 제품을 취약하게 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연옥 분의 높은 가격 때문에 제품 단가가 상승되므로 총 중량의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 직하다.
상기 생강차의 제조시 인체에 유익한 로열젤리 및 이온물질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도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연옥분은 연옥으로 조각품 등의 제품을 만들고 남은 잔석을 세척, 미세하게 분쇄하여 이용하므로 원가절감의 면에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이 디기탈리스인나타 (Digitalis Ianata)의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도1은 생장배지에서 증식하는 세포의 배양액 전체부피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2는 세포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3은 세포의 생체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4는 세포의 건조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5는 세포 생장배지에서의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6은 연옥 분을 첨가한 후의 생산배지의 pH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을 함유한 수질의 분석기기의 상태 조건을 나타낸 표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을 함유한 수질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옥 분이 함유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강차 제조는, 먼저 정선된 생강을 대략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한다. 세척된 생강은 대략 0.1 ~ 0.5mm의 두께로 세절(細切)하며, 세절된 생강은 일반적인 교반이 가능한 추출기에서 대략 1시간 내지 8시간 교반하면서 열 추출(50 ~100℃)한 여과액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여과액은 일반적인 진공 (50 ~ 100mmHg)농축기(50 ~100℃, 1~ 5시간)에서 10 ~ 60Brix%로 농축한다.
상기 농축공정에서 농축시간은 생산량의 규모에 따르며, 또 농축시의 온도를 50℃이하로 하면 농축액의 회수가 느려 비 경제적이고,반대로 100℃이상으로 하면 농축액의 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농축시의 온도는 50 ~100℃가 바람 직하다. 또 농축 정도가 10Brix% 이하로 되면 농축 효과가 떨어지고, 60Brix% 이상으로 되면 혼합 공정에서 사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농축 정도는 10 ~ 60Brix%로 함이 바람 직하다.
생강 농축액은 유당(락토스),포도당 및 벌꿀 등의 부형재와 일반적인 혼합기에 의해서 대략 1시간 동안 혼합되고, 이 혼합물은 대략 1내지 12시간 동안 50 ~ 100℃에서 열풍 건조함에 의해, 생강 특유의 맛과 풍미가 가해진 향기 좋은 기호성이 분말 생강차가 제조된다.
상기에서 건조 온도가 50℃ 이하이면 건조 속도가 느려서 상업적으로 큰 효과를 얻을수가 없고, 100℃이상 이면 생강 특유의 맛과 풍미성 및 향기가 손실되어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 건조 시간은 량이 적을 때에는 1시간에서 3시간이 바람 직하고, 양이 많을 때에는 대략 12시간이 바람 직하다.
위와 같이 건조된 생강 혼합분말에는 그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연옥분이 함유된 최종의 생강차가 얻어진다. 이렇게 혼합된 분말은 복용을 간단하게 하기위하여 소량 단위로 포장되어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정선된 생강을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였다. 세척된 생강을 0.1 내지 0.5mm의 두께로 세절하고, 세절된 생강으로부터 열 추출한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50 ~ 100mmHg, 50 ~100℃, 1~ 5시간)에서 10 ~ 60Brix%로 농축하였다.생강 농축액(35 중량부)을 유당, 포도당 및 벌꿀등의 부형재(62중량부)와 혼합하여 소정 시간(1내지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50 ~ 100℃)를 한다. 건조조된 생강 혼합분말의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3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2>
정선된 생강을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였다. 세척된 생강을 0.1 내지 0.5mm의 두께로 세절하고, 세절된 생강으로부터 열 추출한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50 ~ 100mmHg, 50 ~100℃, 1~ 5시간)에서 10 ~ 60Brix%로 농축하였다.생강 농축액(30 중량부)을 유당, 포도당 및 벌꿀등의 부형재(60중량부)와 혼합하여 소정 시간(1내지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50 ~ 100℃)를 한다. 건조조된 생강 혼합분말의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1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연옥분이 함유된 생강차의 실험 결과는 하기 실험예1 및 실험예 2와 같았다.
<실험 예1>
본 실험 예에서는 연옥 분을 첨가한 생강차의 기호도, 미감, 용해도를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연옥 함유 생강차와, 연옥분을 함유하지 않은 생강차(대조용)를 시험자들은 모르도록 대략 10g 이하의 범위에서 시험자들의 취향에 따라 그대로 먹게 하거나 혹은 물에 녹여서 먹게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표시하였다.
특징 옥염(응답자수) 대조용 소금(응답자수) 모르겠다(응답자수)
더 상쾌한 맛을 준다. 28 20 2
기호성이 우수하다. 30 16 4
좋은 향기가 느껴진다 25 21 4
용해도가 우수하다. 23 20 7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연옥 분을 첨가한 생강차는 대조용 일반 생강차 보다 우수하거나 필적할 만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험 예 2>
두통, 손발저림, 소화불량, 변비 등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진단되는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율무차를 1일 3 ~ 5g 정도 씩 대략 30일간 계속 섭취하도록 하고, 설문조사에 의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2에 표시하였다.
효과판정질환명 별무효과 효과있음 상당한효과 완치근접효과
두통 2 6 3 1 12
변비 1 7 5 4 17
소변불통 3 4 1 4 12
소화불량 1 4 3 1 9
7(14%) 21(42%) 12(24%) 10(20%) 50(100%)
상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제품을 꾸준히 섭취할 경우 두통(83%),변비(94%),소변불통(75%),소화불량(89%)이 완화되어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3>
이하의 실험 예들은 본 발명의 생강차에 첨가된 연옥 원료 중 납, 중금속 및 기타 유독 성분의 존재를 시험한 것이다.
<납함량 시험>
시 료 옥 분
시료성상 백색분말
작업번호 미합중국 F.D.A부설연구소연방 IW 091394-1
방 법 원자흡광 분석
결 과 검출되지 않음
<중금속>
시 료 옥분
시료성상 백색
작업번호 연방 IW 080894-4
방 법 USP 23
결 과 검출되지 않음
<무기물 용리시험>
시 료 옥분
시료성상 백색
작업번호 연방 IW 080894-4
방 법 하기와 같음
결 과 하기와 같음
100g의 시료를 오토클레이브 처리에 의해 1리터의 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분석하였다.이는 하기 표 6과 같다.
분석물질 결과(ppm) 검출한도(ppm)
비소(As) ND 0.05
바륨(Ba) ND 0.20
카드뮴(Cd) 0.006 0.005
염소(Cl) ND 1
크롬(Cr) ND 0.01
구리(Cu) ND 0.05
철(Fe) ND 0.10
납(Pb) ND 0.05
망간(Mn) ND 0.02
수은(Hg) ND 0.0005
질산염(NO3) ND 0.1
셀레늄(Se) ND 0.05
은(Ag) ND 0.01
황산염(SO4) 1.85 1
아연(Zn) ND 0.01
* ND=농도가 검출한도 미만이거나 검출되지 않음
상기 실험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연옥분은 인체에 유해한 납, 중금속, 기타 유독 성분이 없으므로, 생강차 등에 첨가시 안정성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4>
본 실험 예에서는 실험구(토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생강차 제조에 사용된 연옥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표 7과 같이 수행하였다.
<1차적 눈 자극시험>
시 료 옥 분
시료 성상 유백색 분말
방 법 하기와 같음
결 과 하기와 같음
방법 : 미합중국 연방등록 Vol 43. No 163-1978.8.22 p37359
실험과정 : 0.1 ml의 추출물을 한쪽 눈의 뒤집은 아래 눈꺼풀에 놓은 다음,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놓기 전에 1초 동안 살며시 잡아 준다. 다른 한쪽 눈은 처리하지 않고 대조 예로 관찰한다. 여섯 마리 토끼의 처리된 눈은 세척하지 않은채로 두고, 세 마리 토끼의 눈은 처리 직후 미온수를 1분 동안 흘려 세척한다. 시료로 처리하기에 앞서 형광 법에 의해 눈을 미리 검사하고, 각막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동물만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눈의 병변을 처리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7일 및 14일에 관찰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표 8과 같았다.
<눈의 병변 정도>
토끼 시간 각막 불투명도 각막 면적 홍채값 결막적조 결막 케모시스 결막분비
#1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2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3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4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5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6미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7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8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9세척 24H 0 0 0 0 0 0
48H 0 0 0 0 0 0
72H 0 0 0 0 0 0
7D 0 0 0 0 0 0
점수 각막 ( 0 ) 홍채(0 ) 결막 ( 0 )
I. 각막
(A) 불투명도 - 밀도 (해독을 위한 영역)
정상 - 0
확산영역이 흩어져 있음 - 홍채의 세부가 선명하게 보임 - 1
쉽게 식별되는 반투명 영역, 홍채의 세부가 약간 희미함 - 2
유백색 영역,홍채의 세부가 보이지 않음,동공의 크기가 거의 식별불가능- 3
불투명, 홍채가 보이지 않음 - 4
(B) 각막의 면적
정상 - 0
1/4 이하, 그러나 0은 아님 - 1
1/4 이상, 1/2 이하 - 2
1/2 이상, 3/4 이하 - 3
3/4 이상, 전체면적 이하 - 4
점수는 A × B × 5, 총 최대치 = 80
II. 홍채
(A) 값
정상 - 0
정상 이상으로 접힘,충혈,부음,각막 주위 출혈(이들 증세가 임의의 크기로, 단독 또는 조합으로 나타남),홍채는 여전히 빛에 반응함(느린 반응이 뚜렷함) - 1
빛에 반응하지 않음, 출혈, 총체적 파괴 (이들 증세의 하나 또는 모두) - 2
점수는 A × 5, 가능한 총 최대치 = 10
III. 결막
(A) 적조 (눈꺼풀의 결막에만 관계됨)
정상 - 0
혈관이 정상 이상으로 확실히 충혈됨 - 1
더 많은 확산, 더 깊은 심홍색 나타남, 개개의 혈관이 쉽게 구별되지 않음-2
확산이 쇠고기처럼 붉음 - 2
(B) 케모시스
부음이 없음 - 0
(눈 깜박임 막을 포함하여) 정상 이상의 임의의 붓는 현상 - 1
눈꺼풀이 부분적으로 뒤집어지면서 명백히 부음 - 2
눈꺼풀 반쯤 닫히고 부음 - 3
눈꺼풀 반정도 내지 완전히 닫히고 부음 - 4
(C) 분비
정상 - 0
정상과는 다른 임의의 현상(정상 동물의 안쪽 눈 끝에서 관찰되는 소량의 것은 포함하지 않음) - 1
눈꺼풀과 눈꺼풀에 인접한 눈썹에만 젖은 분비물 - 2
눈 주위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함 - 3
점수 (A + B + C) × 2 , 총 최대치 = 20
결론 : 이 시료는 눈에 대한 자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됨, 따라서 눈 에 관련된 제품에 사용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차적 피부 자극시험>
시 료 옥 분
시료 성상 백색 분말
방 법 하기와 같음
결 과 하기와 같음
방법 : 미합중국 연방 등록 Vol. 43, No. 163
CTFA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기술적 지침
실험과정 : 흰토끼의 벗겨낸 피부와 원래의 피부에 대한 패치 테스트 기술을 사용하였다. 털은 등 부위와 옆구리에서 짧게 깎았다. 약 10 cm 떨어진 등의 두 영역을 패치 위치로 선정하였다. 한쪽 영역은 패치 영역에 4군데 작은 표피절개를 만들어 피부를 벗겨낸다[그중 둘은 나머지에 수직으로 하여 tic-tac-toe(우물정자 모양)방식으로 한다].외과 거어즈의 1인치 사방의 패치를 얇은 고무밴드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시킨다. 시료를 각 부위에 패치 밑에 0.5ml(g)의 양으로 도입한다. 동물의 몸체를 24시간의 노출시간 동안 고무 처리된 천으로 감싼다. 동물은 노출 시간동안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패치를 제거한 후, 각 부위에서 나타난 반응을 하기에 기재된 점수를 토대로 평가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피부반응의 평가
홍반 및 가피 형성
홍반 없음 - 0
매우 약한 홍반 (겨우 인식할 수 있을 정도) - 1
제대로 식별되는 홍반 - 2
보통 내지 심한 홍반 - 3
심한 홍반(비트 색의 붉은)내지 약간의 가피 형성(깊은 손상) - 4
부종형성
부종없음 - 0
매우 약한 부종 (겨우 인식할 수 있을 정도) - 1
약간의 부종 (영역의 가장자리가 두드러진 것이 분명함) - 2
보통정도의 부종 (약 1 mm 정도 올라옴) - 3
결과
토끼 24 시간 72 시간
원래의 피부 마모된 피부 원래의 피부 마모된 피부
ER ED ER ED ER ED ER ED
#1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5 0 0 0 0 0 0 0 0
#6 0 0 0 0 0 0 0 0
결론 : 이 시료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됨. 따라서 피부 치료 제품 등의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경구 독성 [(0.5 g)/100 g 체중] 실험>
시 료 연옥분
시료 성상 백색 분말
방 법 하기와 같음
결 과 하기 표19와 같음
성별 초기체중(g) 투여량(ml) 나중체중(g) 독성유무
1 F 207 1.0 219 없음
2 F 211 1.1 226 없음
3 F 215 1.1 225 없음
4 F 208 1.0 217 없음
5 F 200 1.0 213 없음
6 M 227 1.1 235 없음
7 M 216 1.1 224 없음
8 M 205 1.0 218 없음
9 M 210 1.1 224 없음
10 M 212 1.1 221 없음
시료의 제조 : 멸균 증류수에 시료 일부를 넣고 10분간 끓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체중 100g 당 0.5g의 양으로 삽관에 의해 투여하였다.
결론 : 시료는 경구적 독성이 없어야 한다는 기준에 적합하였다.
<실험 예 5>
본 실험 예는 연옥 분이 생체에 미치는 여러 가지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인하대학교 생체정보시스템 공학 연구실에 의뢰하여 수행한 실험의 과정과 결과이다.
본 실험에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 70%가 물이므로 물의변화와 인체에 대한 영향사이에는 많은 관련이 있으리라는 판단아래 경수를 대상으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어서 디기탈리스(Digitalis)식물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경수변화
<실험1>
인공적으로 만든 경수 100ppm을 각각 4개의 플라스크에 50ml씩 옮긴후 그 중 2개의 플라스크 바닥에 연옥을 약 10분간 놓았다.
경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에틸렌 디아민아세이트산(이하,"EDTA"라한다. 역가 2.9412)를 이용한 적정방법을 사용하였다. pH10의 완충용액을 1ml, 지시약으로 EBT를 사용하였다.
경수의 색이 EDTA에 의해 변하는 순간까지의 EDTA의 양으로 경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색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실험에서는 변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결과1>
경수 100ppm에서는 EDTA 1.70ml 소요.
연옥 실험 후 EDTA 1.25ml 소요, 따라서100.00ppm의 경도가 73.53ppm으로 저하됨. 즉,100.00ppm의 경도가 26.47% 연화되었음.
<실험2>
실험 1과 같은 방법으로 만든 100ppm의 경수 200ml를 비이커에 옮겨 연옥을 담구었다.
약 30분 후에 비이커에 담긴 물을 3개의 플라스크에 나누어 경도의 변화를 측정해 보았다. 이 실험에서는 좀더 정밀한 실험을 하기 위해서 경수의 색이 EDTA에 의해서 변한 뒤에도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까지 EDTA를 투입하여 그때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결과2>
연옥 실험전의 100ppm의 경수가 각각
89.62ppm
91.19ppm
89.62ppm
평균 90.14ppm, 따라서 9.9% 경도 감소
<실험3>
이번 실험은 일반수돗물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수돗물을 용기에 담은 뒤 6개의 플라스크에 옮긴 후 그중 3개의 플라스크 바닥에 연옥을 놓고 약 5분 후에 경도 측정을 했다.
<결과3>
*연옥실험을 하지 않은 수돗물
97.48ppm
97.48ppm
97.48ppm
평균 97.48ppm
*연옥 실험후의 수돗물
91.19ppm
91.19ppm
91.19ppm
평균 91.19ppm 따라서, 6.5%의 경도 감소
나. 연옥이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현탁식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① 생장배지에서의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세포생장에 미치는 연옥의 영향
도 1은 생장배지에서 증식하는 세포의 배양액 전체부피변화를 11일 동안 관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세포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라나는 세포의 증가와 비례하여 배지성분의 고갈과 배지의 증발이 일어나므로 전체적인 배양액의 부피변화는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하게 된다. 특히 대기중의 습도나 온도는 배지의 증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와 같은 요소는 또한 세포 생장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옥을 사용한 경우는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전체 배양액의 부피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대조군 보다 연옥을 사용한 경우가 배지의 증발이나 영양분 고갈에 맞선 보다 빠른 세포 생장속도를 가지므로 고갈되는 배지의 빠른 감소를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가라앉힌 세포만의 부피변화를 측정한 도2와 같이 세포를 접종한지 4일째부터 11일째까지 계속 연옥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세포부피가 더 많은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므로 이와 같은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옥을 사용한 경우는 연옥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빠른 세포생장속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양소의 고갈과 배지증발로 인한 전체 배양액 부피의 감소를 상쇄시켜 대조군보다 전체부피의 감소속도가 지연되는 결과라고 할 수있다. 또한 증가된 세포만의 부피를 비교한 결과도 4일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세포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므로 이와 같은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세포의 증식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척도가 되는 세포 생체중량과 건조중량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세포의 생장곡선은 S자 형태의 곡선으로 표시되는데 이를 분류하면 4단계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배지에 적응하는 기간으로서 세포의 증식은 없고 질량이 증가하지 않은 상태로 머무르는 상태인 유도기(lag phase)와 이 시기가 지나 급속한 증식속도로 질량이 증가하여 가파른 기울기를 가진 곡선을 나타내는 대수기(exponential phase), 어느 정도 생장이 최대가 되어 증식이 주춤하는 상태로 더 이상의 질량증가를 보이지 않는 정상기(stationary phase), 그리고 영양성분의 고갈과 독성성분의 배출과 세포밀도의 포화상태에 의해 세포가 파열되어 죽어버리는 경향으로 전체 세포부피나 질량이 감소하는 사멸기(dead phase)로 나눌 수 있다.
도 3과 도4는 세포 생체중량과 건조중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이 4단계의 생장곡선에 따르고 있다. 연옥을 사용한 경우는 7일째 이후에 연옥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약간씩 높은 증식 속도를 보이다가 증식이 멈추어 세포생체질량의 감소를 보이는 대조군과는 다르게 증식이 10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배지내의 주 대사기질로 작용하는 영양성분인 글루코스(glucose)의 농도변화와 비교할 때 이 영양소가 거의 고갈되어 배지 내에서의 농도가 0이 되는 시점에서도 지속적으로 세포생장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연옥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같이 영향성분이 고갈되는 이 시점에서 증식이 멈추고 생장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옥을 사용한 경우는 이와는 다른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세포생장에 연옥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4에서도 나타나는데 3일째 이후 대조군 보다 높은 속도로 증식하는 세포생장을 보이고 있고, 이후 9일째부터는 도3과 같은 현상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생장배지에서 연옥을 가까이 하여 자란 세포는 그렇지 않았던 대조군에 비해 세포생장에 좋은 영향을 보였다. 약 10일정도의 생장한계 기간은 나타내는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식물세포는 연옥을 사용하여 배양할 경우 10일 이후까지도 새 배지로의 교환 없이 세포의 괴사 등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오히려 세포증식마저 보이는 현상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생산공정에서 세포생장과 농도의 최적화를 위한 유리한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② 배지 pH의 변화에 미치는 연옥의 영향
도5는 세포생장 배지에서의 pH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6은 연옥분을 첨가한 후의 생산배지의 pH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5는 생장배지에서 연옥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대조 군에서의 배지 pH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대조 군은 일반적인 식물세포의 경우 적용되는 배지내 pH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낮아지다가 어느 정도 선에서 유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옥을 사용한 경우 7일째까지는 대조군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다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연옥분을 직접 배양액에 첨가한 생산배지에서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6의 결과에서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옥 분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pH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연옥분을 첨가한 경우는 어느 정도로 그 값이 유지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연옥에 함유된 광물성분에 의한 이온반응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③ 연옥에 대한 수질의 분석실험 결과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분을 함유한 수질 분석기기의 상태 조건을 나타낸 표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옥분을 함유한 수질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7 및 도8로부터 데이터를 각 샘플에 대하여 정리하면 표 13에서 표 16과 같다. 표 13은 용액중에 20g의 연옥 덩어리를 넣어 48시간이 경과한 후 샘플 1에 대한 각 분석항목을 측정한 것이다. 이 표 13에서는 각 측정 항목의 변화량이 없어 연옥에 의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표 14는 용액 외부에 20g의 연옥 덩어리를 두어 48시간이 경과 한후 샘플 2에 각 분석항목에 대한 측정값으로, 이 실험에서도 각 분석 항목에 대한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표 16도 용액 외부에 연옥분을 두어 48시간이 경과 한 후 샘플 4에 각 분석항목에 대한 측정값으로, 이 실험에서도 각 분석 항목에 대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샘플 3인 경우는 용액 중에 연옥분 20g을 넣은 후에 48시간이 경과된 샘플을 각 분석 항목을 측정한 데이터가 표 15에 표시되어 있는데 이 표 15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많은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인체에 유해한 Cr과 Pb, Ni, Co는 48시간 경과 후에 크게 변화되었다. Cr은 연옥분을 넣지 않은 경우 즉, 반응 전에는 45.30mg인 것이 연옥분을 넣은 48시간 후에는 0로 되어 제거되었고, Pb도 역시 13.76mg에서 0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Ni은 51.8mg에서 1.733mg으로 감소되었으며, Co도 역시 52.69mg에서 11.94mg으로 감소되었다. 인체에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Mg은 48.36mg에서 55.74mg으로 증가 하였는데 연옥자체의 성분과 결합하여 증가했으나 경도 변화는 없었다.증류수의 수소이온 농도가 pH 3.5로 산성을 띄고 있었으나 반응 후에는 pH6.8로 중성으로 변하였고, 전도도 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흡착력은 1g당 약 3 ∼ 4mmol.q(당량)으로 물리적으로 큰 양이다.
용액중의 반응전과 반응후의 분석결과 연옥(용액중의 연옥덩어리).(샘플 1): 용액 중 연옥 덩어리(20g)
항 목 반응 전 반응후(48hr) 변화량
pH 3.5 3.82 -
Ni 51.8mg 51.75mg -
Co 52.69mg 52.54mg -
Cr 45.30mg 43.88mg -
Mg 48.36mg 48.59mg -
Pb 13.76mg 13.90mg -
용액외부에 연옥덩어리를 둔 경우의 분석결과. (샘플 2) : 용액 외(外) 연옥 덩어리(20g)
항 목 반응 전 반응후(48hr) 변화량
pH 3.5 3.65 -
Ni 51.8mg 48.92mg -
Co 52.69mg 49.83mg -
Cr 45.30mg 41.23mg -
Mg 48.36mg 47.97mg -
Pb 13.76mg 15.1mg -
용액 중에 연옥 분을 첨가한 경우의 분석결과.(샘플3): 용액 중 연옥분(20g)
항 목 반응 전 반응후 (48hr) 변화량
pH 3.5 6.8 +3.3
Ni 51.8mg 1.733mg -50.06mg
Co 52.69mg 11.94mg -40.75mg
Cr 45.30mg 0mg -45.30mg
Mg 48.36mg 55.74mg +7.38mg
Pb 13.76mg 0mg -13.76mg
용액외부에 연옥분을 둔 경우의 분석결과(샘플 4): 용액 외(外) 연옥분(20g)
항 목 반응 전 반응후(48hr) 변화량
pH 3.5 3.7 -
Ni 51.8mg 51.53mg -
Co 52.69mg 52.55mg -
Cr 45.30mg 43.0mg -
Mg 48.36mg 48.39mg -
Pb 13.76mg 14.29g -
상술한바와 같이, 연옥을 가까이 두고 일주일간 배양한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식물현탁 세포의 경우 연옥이 없었던 경우의 약 30% 이상의 증식을 보였다. 이는 고농도 배양을 위한 종래의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식물세포에 대한 증식효과를 위해 수행했던 여러 가지 실험에서조차 보기 드문 좋은 증식 결과이다. 또 연옥이 경수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한 실험에서는 연옥이 물과 접촉하지 않고도 경수를 연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증류수를 사용한 물에 대한 성분분석 실험에서 연옥분을 침전시켜 48시간 경과후의 성분분석에서는 pH의 증가와 함께 Ni, Co성분의 감소, Cr, Pb의 제거등 중금속의 제거와 함께 Mg의 증가 등의 현상을 초래한 특이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옥 분은 아직까지 명백하게 이론적으로 규명된 바는 없으나 물과 접촉하지 않고도 물의 경도를 변화시키고, 또 디기탈리스 인나타(Digitalis lanata)식물 현탁세포를 30%이상 증식시킬 뿐 아니라, Ni, Co성분의 감소, Cr, Pb의 제거 등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을 제거 시켰다는 것은 연옥 분의 전자기파 파장의 방사 영향과 연옥에 함유된 광물성분에 의한 이온반응에 의한 것으로 확실시된다. 이러한 사실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품에서 나타난 효능에 의해서도 증명된다고 할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들은 본 발명의 연옥분을 함유하는 생강차의 경우 생강차의 특성과 더불어 연옥의 영향으로 인하여 중금속의 제거, pH의 조절 및 경수의 연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임을 충분히 시사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강이 갖는 일반적인 효과 이외에 상기 실험 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연옥에 의한 물분자의 활성화, 혈액순환 촉진, 세포기능의 활성화 등의 요인이 발생되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유당, 벌꿀등의 부형재를 혼합, 건조하여 된 생강차에 있어서,
    상기 생강차의 총 중량에 연옥분 3~10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연옥분을 함유하는 생강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옥분의 입도는 150 내지 1000메쉬이며, 하기와 같은 조성비[반정량적 분석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옥분이 함유된 생강차.
    규소 34
    마그네슘 10
    칼슘 4.9
    철 0.23
    알루미늄 0.16
    구리 0.17
    코발트 0.046
    망간 0.14
    주석 0.024
    베릴륨 0.00072
    은 0.0013
    티탄 0.0038
    니켈 0.0028
    크롬 0.0030
    기타 0
  3. 정선된 생강을 24시간 물에 침지하여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생강을 0.1 내지 0.5mm의 두께로 세절하는 단계;
    세절된 생강으로부터 열 추출한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
    생강 농축액을 부형재와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열풍 건조(50 ~ 100℃)하는 단계;및
    건조된 생강 혼합분말의 총중량에 150 내지 1000메쉬의 입도를 갖는 연옥분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옥분이 함유된 생강차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옥분은 하기와 같은 조성비[반정량적 분석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옥분이 함유된 생강차의 제조방법.
    규소 34
    마그네슘 10
    칼슘 4.9
    철 0.23
    알루미늄 0.16
    구리 0.17
    코발트 0.046
    망간 0.14
    주석 0.024
    베릴륨 0.00072
    은 0.0013
    티탄 0.0038
    니켈 0.0028
    크롬 0.0030
    기타 0
KR1019990008812A 1999-03-16 1999-03-16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812A KR20000060486A (ko) 1999-03-16 1999-03-16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812A KR20000060486A (ko) 1999-03-16 1999-03-16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486A true KR20000060486A (ko) 2000-10-16

Family

ID=1957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812A KR20000060486A (ko) 1999-03-16 1999-03-16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048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881A (ko) * 1988-09-13 1990-04-13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유기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피복 조성물
CN1102078A (zh) * 1993-11-01 1995-05-03 赵新智 姜茶饮料及其制作方法
KR0118114B1 (ko) * 1994-01-11 1997-12-19 김준한 청량음료의 제조공정중에 연옥분을 첨가하는 방법 및 그 제품
KR0164451B1 (ko) * 1996-04-29 1998-12-01 김준한 연옥분이 함유된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881A (ko) * 1988-09-13 1990-04-13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유기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피복 조성물
CN1102078A (zh) * 1993-11-01 1995-05-03 赵新智 姜茶饮料及其制作方法
KR0118114B1 (ko) * 1994-01-11 1997-12-19 김준한 청량음료의 제조공정중에 연옥분을 첨가하는 방법 및 그 제품
KR0164451B1 (ko) * 1996-04-29 1998-12-01 김준한 연옥분이 함유된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694B1 (ko) 연옥분이 함유된 화장료와 그 제조방법
CN1919996A (zh) 一种金樱果酒及其生产方法
KR0118114B1 (ko) 청량음료의 제조공정중에 연옥분을 첨가하는 방법 및 그 제품
KR100310160B1 (ko) 연옥분을 함유한 죽염 및 그 제조방법
KR100326847B1 (ko) 연옥분이 함유된 치약과 그 제조방법
KR20000060486A (ko) 연옥분을 함유한 생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308574B1 (ko) 옥염및그제조방법
KR102424401B1 (ko)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장 협잡물 악취저감 및 유기물 감량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 협잡물 처리방법
KR100227469B1 (ko) 휴대가능한 기상(氣相)의 연옥 흡입용 캔
KR0164451B1 (ko) 연옥분이 함유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39682B1 (ko) 연옥(軟玉)이 함유된 퍼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670A (ko) 연옥분을 함유한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970A (ko) 연옥분이 함유된 홍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484A (ko) 연옥분을 함유한 율무차 및 그 제조방법
KR0146158B1 (ko) 연옥분(軟玉紛)이 함침된 스테이플 화이버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257995B1 (ko) 연옥을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 및 정제와 그 제조방법
KR0167317B1 (ko) 연옥분이 함유된 정수기용 필터
JP2757173B2 (ja) 軟玉粉が含浸された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20000038283A (ko) 연옥 분이 함유된 실리콘 고무와 그 제조방법
KR960016415B1 (ko) 연옥분(軟玉粉)이 함유된 유리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0151794B1 (ko) 연옥분이 함침된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357420B1 (ko) 연옥(軟玉)분을 주재로한 액상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226247A (ja) 軟玉粉含有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782869A (zh) 石斛养生茶
CN108719714A (zh) 一种防晕车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