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645A -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645A
KR20000058645A KR1020000034283A KR20000034283A KR20000058645A KR 20000058645 A KR20000058645 A KR 20000058645A KR 1020000034283 A KR1020000034283 A KR 1020000034283A KR 20000034283 A KR20000034283 A KR 20000034283A KR 20000058645 A KR20000058645 A KR 2000005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m
loop
address
lsr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43B1 (ko
Inventor
신해준
김영탁
Original Assignee
신해준
김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준, 김영탁 filed Critical 신해준
Priority to KR102000003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LS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계층에 의존적이지 않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간 및 종단간의 루프 백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 OAM으로 구성된 장애관련 OAM과, 종단간의 지연(delay) 및 지연 변위(jitter) 같은 통신망 성능을 측정하는 성능측정 OAM(Performance OAM)과 종단간 연결 확인을 위한 연결성 확인 OAM으로 구성된 성능관련 OAM을 포함함으로써, 2계층의 특성과 상관없이 OAM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OAM system used by MPLS technique}
본 발명은 MPLS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계층에 의존적이지 않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는 실시간 통신 및 멀티미디어 통신 같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폭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되고있는데 중에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개발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기술은 차세대 인터넷의 핵심 네트워크 기술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여기서, 상기 IETF란 인터넷에 관련된 표준안을 작성하는 단체를 말하며, MPLS은 레이블을 이용한 고속 스위칭 기술을 말한다.
또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과 같은 초고속 통신망에 있어서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의 기능은 통신망의 효율적인 운용과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초고속 인터넷 구성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MPLS 통신망에서는 장애가 성능에 관련된 OAM 기능이 정의되어있지 않다. 여기서, 상기 ATM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로서, 대략 53bytes 고정 패킷을 사용하는 초고속 전송 방식으로 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B-ISDN)이 실행되었을 때 가장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식이며, OAM은 상기 ATM의 계층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식으로, 1계층을 관리하기 위한 F1,F2,F3 OAM이 정의 되어있고, ATM계층의 가상 경로(VP) 계층을 관리하기 위한 F4, 가상 채널(VC) 계층을 관리하기 위한 F5 OAM 기능이 정의 되어있다. OAM이 하는 구체적인 기능은 장애 발생을 알려주는 AIS(Alarm Indication Signal), RDI(Remote Defect Indication)과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연결 확인(Continuity Check) 기능, 장애의 발생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Loop-back 확인 기능 등이 정의 되어있다.
위에서 VC(Virtual Channel)는 ATM 네트워크 상의 노드간 논리적인 커넥션(가상 채널)이고, VP(Virtual Path)는 ATM 네트워크 상의 노드간 논리적인 커넥션(가상 경로)이며, AIS은 ATM, OAM 기능중의 하나로 장애가 발생했을 때 순방향으로 장애 발생을 알려주고, RDI는 ATM, OAM 기능중의 하나로 수신단이 AIS 신호를 받자마자 수신단으로 장애의 발생을 알려준다.
따라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OAM 기능은 통신망의 지연(delay)과 지연 변위(jitter) 같은 성능 분석과 연결성 테스트 및 장애의 효과적인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MPLS 기술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2 계층의 링크계층 프로토콜 의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2계층의 프로토콜 위에서 IP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프로토콜과의 접목이 용이하다.
하지만 MPLS 기술은 아직 장애 및 성능 관리적인 측면에서 그 기능이 정의 되지 않은 것이 많고, 또한 효율적인 장애 및 성능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은 ATM의 OAM 기술과 유사한 기술인데, 만약에 2계층이 ATM인 경우에는 이러한 OAM 기능의 별도 정의가 필요 없으나 서두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MPLS 특성이 2계층에 의존적이지 않은 기술이기에 ATM이 아닌 Frame Relay 나 PPP 같은 프로토콜을 쓸 경우는 별도의 OAM 기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MPLS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계층에 의존적이지 않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간 및 종단간의 루프 백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 OAM으로 구성된 장애관련 OAM과, 종단간의 지연(delay) 및 지연 변위(jitter) 같은 통신망 성능을 측정하는 성능측정 OAM(Performance OAM)과 종단간 연결 확인을 위한 연결성 확인 OAM으로 구성된 성능관련 OAM을 포함함으로써, 2계층의 특성과 상관없이 OAM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애관련 OAM 기능은 루프 백 시험을 시작하는 LSR의 OAM 프로세스에서 장애관련 OAM 패킷을 생성하고, 이후 루프 백 시험의 중간 LSR 또는 목적지 LSR에서는 OAM 패킷의 Mode의 값을 검사하되, OAM 패킷 Mode 0일 경우, OAM 패킷의 루프 백 목적지 LSR 식별자(Loop-back destination LSR Identifier)의 IP 주소가 자기 자신인지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 목적지일 경우에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자기 자신이 목적지가 아닐 경우 Loop-back destination LSR ID의 IP address로 갈 수 있는 next hop으로 전송한다.
상기 OAM 패킷 Mode 1일 경우, Addr Pointer에서 가리키는 Address List의 IP address가 자기 자신인지를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라면 Addr list size 크기와 Addr Pointer의 값을 비교하여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인지를 검사하며, 만약 마지막 부분이라면 LSR의 IP address와 Address List의 마지막 IP address를 비교하여 같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만약 같지 않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2(Explicit path Error)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이 아니라면 Addr Pointer값을 1 증가시키고, Address List의 다음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Packet을 전달한다.
상기 성능관련 OAM은 Ingress OAM process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생성하고, Performance 측정을 위해 선택한 LSP를 통해 OAM packet 전달하며, Egress LSR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받아들여 처리하고, Egress Identifier와 자신의 IP address를 비교하여 자신이 목적지가 맞는지 확인하고, OAM packet를 보낸 Ingress LSR address와 LSP ID를 기록하며, Time Stamp의 시간과 OAM packet이 들어온 시간으로부터 Packet의 LSP에서의 Delay와 기존의 OAM Packet의 도착 interval로부터 jitter를 측정한 후 Sequence Number를 검사하여 OAM packet의 손실을 검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관련 OAM 기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련 OAM 기능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AM 패킷 헤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백 OAM 패킷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측정 OAM 및 연결 확인 OAM 패킷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관련 OAM 기능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련 OAM 기능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MPLS 통신망에 적용할 OAM의 기능은 크게 장애관련 OAM 과 성능관련 OAM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각각의 관리 구간에 따라서 종단간 OAM 과 구간 OAM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관련 OAM 기능은 구간 및 종단간의 루프 백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 OA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체적인 실행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루프 백 시험을 시작하는 LSR의 OAM 프로세스에서 장애관련 OAM 패킷을 생성하고, 이후 루프 백 시험의 중간 LSR 또는 목적지 LSR에서는 OAM 패킷의 Mode의 값을 검사한다.
상술한 루프-백 테스트(Loop-back test)는 ATM OAM 기능 중 하나로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지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송신측에서 루프-백은 시행할 노드를 지정하면 해당 구간까지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종단간 및 구간별로 루프-백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속성 검사(Continuity Check)는 ATM OAM 기능 중 하나로 통신망에 설정된 연결에 대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LSR(Label Switching Router)는 MLPS에서 레이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이다.
상기에서, OAM 패킷의 Mode 0일 경우, OAM 패킷의 루프 백 목적지 LSR 식별자(Loop-back destination LSR Identifier)의 IP 주소가 자기 자신인지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 목적지일 경우에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낸다. 또한, 자기 자신이 목적지가 아닐 경우 Loop-back destination LSR ID의 IP address로 갈 수 있는 next hop으로 전송한다(도 5 참고).
한편, Mode 1일 경우, Addr Pointer에서 가리키는 Address List의 IP address가 자기 자신인지를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라면 Addr list size 크기와 Addr Pointer의 값을 비교하여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인지를 검사하며, 만약 마지막 부분이라면 LSR의 IP address와 Address List의 마지막 IP address를 비교하여 같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낸다. 만약 같지 않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2(Explicit path Error)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낸다.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이 아니라면 Addr Pointer값을 1 증가시키고 Address List의 다음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Packet을 전달한다(도 5 참고). 이와 같은 장애관련 OAM 기능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OAM packet Fields 내용
OAM Type 0×02
OAM Function 0×01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 Loop-back test를 시작하는 LSR의 IP address
Loop-back destination LSR Identifier Loop-back test의 목적지 LSR의 IP address
Mode Hop-by-hop 방식일 경우 0명시적 라우팅 방식일 경우 1
Address list size Mode 0일 경우 0Mode 1일 경우 Address List의 크기
Address Pointer 초기값 0
Response 초기값 0
Address List Hop-by-hop(mode 0)일 경우 사용하지 않고, Explicit(mode 1)일 경우 루프 백 테스트를 수행할 LSP가 지나가는 LSP의 IP address의 List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관련 OAM은 종단간의 지연(delay) 및 지연 변위(jitter) 같은 통신망 성능을 측정하는 성능측정 OAM(Performance OAM)과 종단간 연결 확인을 위한 연결성 확인 OAM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그 실행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Ingress OAM process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생성하고, Performance 측정을 위해 선택한 LSP를 통해 OAM packet 전달하며, Egress LSR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받아들여 처리한다.
Egress Identifier와 자신의 IP address를 비교하여 자신이 목적지가 맞는지 확인하고, OAM packet를 보낸 Ingress LSR address와 LSP ID를 기록하며, Time Stamp의 시간과 OAM packet이 들어온 시간으로부터 Packet의 LSP에서의 Delay와 기존의 OAM Packet의 도착 interval로부터 jitter를 측정한 후 Sequence Number를 검사하여 OAM packet의 손실을 검사한다.
이와 같은 성능관련 OAM 기능 실행 절차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의 표2와 같다.
Fields 내용
OAM Type 0×01
OAM Function 0×01
Ingress Identifier Ingress LSR의 IP address
Egress Identifier Egress LSR의 IP address
LSP ID Performance 측정을 위해 선택한 LSP의 ID
Sequence Number OAM packet의 일련번호
Time Stamp OAM packet이 생성될 때의 시간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AM 패킷 헤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백 OAM 패킷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측정 OAM 및 연결 확인 OAM 패킷 구성도이다.
OAM 패킷의 헤더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AM Type과, OAM Function과, PDU Length로 구성된다. 여기서, OAM Type은 OAM의 형태(Performance management: 0x01, Fault management: 0x02)를 나타내고, OAM Function은 OAM Type에 대한 function(Performance management: 0x01, Performance check: 0x01, Fault management: 0x02, Loop-back Request: 0x01, Loop-back response: 0x02)을 나타내며, PDU Length는 전체 PDU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루프-백 체크용 OAM 패킷 포맷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와, Loop-back destination Identifier와, Mode와, Addr list size와, Addr Pointer와, Response와, Address List로 구성된다.
여기서,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는 Loop-back test를 시작하는 LSR의 IP address이고, Loop-back destination Identifier는 Loop-back test의 목적지 IP address이다.
Mode는 Loop-back의 mode로서, mode 0일 경우 Hop-by-hop Loop-back test와, ingress LSR에서 Loop-back destination ID가 나타내는 LSR까지 hop-by-hop 방식을 사용한 Loop-back test 수행한다. 한편, mode 1일 경우 Explicit Loop-back test와, Address List field에서 지정하는 path에 대한 Loop-back test 수행한다.
Addr list size는 Loop-back test를 수행할 LSR의 IP Address로서, Mode 0일 경우 Addr list size의 값은 0이 된다. 한편, Mode 1일 경우 Addr list size의 값은 Address List의 길이가 되며 최대값은 255가 된다.
Addr Pointer는 Address List상에서의 현재 LSR 위치를 가리킨다. 여기서, Mode 0일 경우 mode 0에서는 Addr Pointer field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Mode 1일 경우 Addr Pointer의 기본값은 0으로 Addr List에서의 첫번째 address를 나타낸다. Addr Pointer는 자기 자신의 IP address를 나타내며, 만약 자기 자신의 IP address를 나타내지 않으면 Response Message에 Error를 표시해서 ingress LSR로 보내준다.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Address List의 IP Address가 자신의 주소가 맞다면 다음의 Address List의 주소로 Packet을 forwarding시킨다. 이때 Addr Pointer의 값을 1 증가시킨다.
Response는 Loop-back test에 대한 결과를 표시한다. Loop-back test의 최종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 Loop-back test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거나 Explicit Path에 대한 error가 발생했을 때 message를 담아 보낸다. 여기서, Default Value는 0x00이고, Loop-back test Success는 0x01이며, Explicit path Error는 0x02이다
Address List는 Mode 1인 Explicit Loop-back test mode일 때 사용되며, Loop-back test를 할 path를 거치는 LSR의 IP address로 구성된다.
또한, 성능 측정용 OAM 패킷 포맷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ess Identifier와, LSP ID와, Sequence Number와, Time Stamp로 구성된다.
여기서, Egress Identifier는 Egress LSR의 IP address를 나타내고, LSP ID는 Performance를 측정하고자 하는 LSP의 ID를 나타낸다. Sequence Number는 발생시키는 OAM packet에 대해 일련번호를 붙인다. 이때 사용하는 일련번호는 LSP에서 Packet loss 발생여부에 대해 알아볼 때 사용한다. Time Stamp는 Ingress LSR OAM process에서 Packet을 발생시킬 때 값을 넣는다. 이 값은 Egress LSR에서 packet delay와 jitter 등의 측정에 사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하면, 기존에 사용된 OAM 기능은 ATM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망에서만 적용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MPLS를 구성하는 어떤 2계층 프로토콜이 있더라도 2계층의 특성과 상관없는 OAM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구간 및 종단간의 루프 백 테스트를 위한 루프-백 OAM으로 구성된 장애관련 OAM과, 종단간의 지연(delay) 및 지연 변위(jitter) 같은 통신망 성능을 측정하는 성능측정 OAM(Performance OAM)과 종단간 연결 확인을 위한 연결성 확인 OAM으로 구성된 성능관련 OAM을 포함함으로써, 2계층의 특성과 상관없이 OAM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련 OAM 기능은
    루프 백 시험을 시작하는 LSR의 OAM 프로세스에서 장애관련 OAM 패킷을 생성하고, 이후 루프 백 시험의 중간 LSR 또는 목적지 LSR에서는 OAM 패킷의 Mode의 값을 검사하되, OAM 패킷 Mode 0일 경우, OAM 패킷의 루프 백 목적지 LSR 식별자(Loop-back destination LSR Identifier)의 IP 주소가 자기 자신인지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 목적지일 경우에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자기 자신이 목적지가 아닐 경우 Loop-back destination LSR ID의 IP address로 갈 수 있는 next hop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AM 패킷 Mode 1일 경우, Addr Pointer에서 가리키는 Address List의 IP address가 자기 자신인지를 검사하고, 자기 자신이라면 Addr list size 크기와 Addr Pointer의 값을 비교하여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인지를 검사하며, 만약 마지막 부분이라면 LSR의 IP address와 Address List의 마지막 IP address를 비교하여 같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1(Loop-back test Success)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만약 같지 않다면 OAM Function의 값을 0x02(Loop-back Response)로 바꾸고, Response field에 0x02(Explicit path Error)의 값을 주어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에서 지정하는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돌려보내며,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Address List의 마지막 부분이 아니라면 Addr Pointer값을 1 증가시키고, Address List의 다음 IP address를 가지는 LSR로 Packet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관련 OAM은
    Ingress OAM process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생성하고, Performance 측정을 위해 선택한 LSP를 통해 OAM packet 전달하며, Egress LSR에서 performance OAM packet을 받아들여 처리하고, Egress Identifier와 자신의 IP address를 비교하여 자신이 목적지가 맞는지 확인하고, OAM packet를 보낸 Ingress LSR address와 LSP ID를 기록하며, Time Stamp의 시간과 OAM packet이 들어온 시간으로부터 Packet의 LSP에서의 Delay와 기존의 OAM Packet의 도착 interval로부터 jitter를 측정한 후 Sequence Number를 검사하여 OAM packet의 손실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AM 패킷의 헤더 포맷은
    OAM의 형태를 나타내는 OAM Type과,
    OAM Type에 대한 function을 나타내는 OAM Function과,
    전체 PDU의 길이를 나타내는 PDU Leng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백 체크용 OAM 패킷 포맷은
    Loop-back test를 시작하는 LSR의 IP address를 나타내는 Loop-back start LSR Identifier와,
    Loop-back test의 목적지 IP address를 나타내는 Loop-back destination Identifier와,
    Loop-back의 mode로서, mode 0일 경우 Hop-by-hop Loop-back test와, ingress LSR에서 Loop-back destination ID가 나타내는 LSR까지 hop-by-hop 방식을 사용한 Loop-back test 수행하는 한편, mode 1일 경우 Explicit Loop-back test와, Address List field에서 지정하는 path에 대한 Loop-back test 수행하는 Mode와,
    Loop-back test를 수행할 LSR의 IP Address로서, Mode 0일 경우 Addr list size의 값은 0이 되는 한편, Mode 1일 경우 Addr list size의 값은 Address List의 길이가 되며 최대값은 255가 되는 Addr list size와,
    Address List상에서의 현재 LSR 위치를 가리키는 Addr Pointer와,
    Loop-back test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Response와,
    Mode 1인 Explicit Loop-back test mode일 때 사용되며, Loop-back test를 할 path를 거치는 LSR의 IP address로 구성되는 Address Li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ddr Pointer는
    Mode 0일 경우 mode 0에서는 Addr Pointer field를 사용하지 않는 한편, Mode 1일 경우 Addr Pointer의 기본값은 0으로 Addr List에서의 첫번째 address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ddr Pointer는
    자기 자신의 IP address를 나타내며, 만약 자기 자신의 IP address를 나타내지 않으면 Response Message에 Error를 표시해서 ingress LSR로 보내주고, Addr Pointer가 가리키는 Address List의 IP Address가 자신의 주소가 맞다면 다음의 Address List의 주소로 Packet을 forwarding시키며, 이때 Addr Pointer의 값을 1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esponse는
    Loop-back test의 최종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 Loop-back test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거나 Explicit Path에 대한 error가 발생했을 때 message를 담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용 OAM 패킷 포맷은
    Egress LSR의 IP address를 나타내는 Egress Identifier와,
    Performance를 측정하고자 하는 LSP의 ID를 나타내는 LSP ID와,
    발생시키는 OAM packet에 대해 일련번호를 붙이는 Sequence Number와,
    Ingress LSR OAM process에서 Packet을 발생시킬 때 값을 넣는 Time Stam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LS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OAM 시스템.
KR1020000034283A 2000-06-21 2000-06-21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KR10033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83A KR100337143B1 (ko) 2000-06-21 2000-06-21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83A KR100337143B1 (ko) 2000-06-21 2000-06-21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645A true KR20000058645A (ko) 2000-10-05
KR100337143B1 KR100337143B1 (ko) 2002-05-18

Family

ID=1967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283A KR100337143B1 (ko) 2000-06-21 2000-06-21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1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581A (ko) * 2000-12-27 2002-07-05 오길록 엠피엘에스 에지 라우터에서 모의 전용선 서비스 패킷들의분류 및 전달을 위한 큐오에스 에프이씨 구성 및 패킷검색 방법
KR100349655B1 (ko) * 2000-10-28 2002-08-24 주식회사 케이티 엠피엘에스 망에서 연결 보호 및 복구를 위한 연결 설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연결 장애 복구 방법
KR20020077573A (ko) * 2001-04-02 2002-10-12 주식회사 대하넷 레이어3 스위치칩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엠피엘에스모듈
KR100441891B1 (ko) * 2002-06-15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구성 정보 자료구조 및 관리장치, 관리방법
KR100539916B1 (ko) * 2002-09-03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형 광 가입자망에서 oam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KR100737341B1 (ko) * 2005-12-08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ls lsp에 대한 성능 측정방법
KR100825748B1 (ko) * 2006-07-03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망에서의 지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32907B1 (ko) * 2006-12-05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on 시스템에서 oam 모듈의 구성 정보 변경 요구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53B1 (ko) 2005-11-03 2007-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패킷 전송망에서의 단대단 지연 측정 방법, 비동기패킷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833510B1 (ko) 2006-08-03 2008-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ls 네트워크 상에서 oam 성능 감시 패킷을 이용한lsp의 성능 파라미터 측정 방법과 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55B1 (ko) * 2000-10-28 2002-08-24 주식회사 케이티 엠피엘에스 망에서 연결 보호 및 복구를 위한 연결 설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연결 장애 복구 방법
KR20020053581A (ko) * 2000-12-27 2002-07-05 오길록 엠피엘에스 에지 라우터에서 모의 전용선 서비스 패킷들의분류 및 전달을 위한 큐오에스 에프이씨 구성 및 패킷검색 방법
KR20020077573A (ko) * 2001-04-02 2002-10-12 주식회사 대하넷 레이어3 스위치칩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엠피엘에스모듈
KR100441891B1 (ko) * 2002-06-15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의 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구성 정보 자료구조 및 관리장치, 관리방법
KR100539916B1 (ko) * 2002-09-03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형 광 가입자망에서 oam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KR100737341B1 (ko) * 2005-12-08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ls lsp에 대한 성능 측정방법
US7561524B2 (en) 2005-12-08 2009-07-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MPLS LSP
KR100825748B1 (ko) * 2006-07-03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망에서의 지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32907B1 (ko) * 2006-12-05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on 시스템에서 oam 모듈의 구성 정보 변경 요구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143B1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615B2 (en) Multi-hop reflector sessions
JP3894232B2 (ja) Atmスイッチのパーフォマンス監視
KR100540408B1 (ko) 넥스트 홉 루프백을 이용한 절단된 접속 검출 방법 및 장치
US6222820B1 (en) Method of VCC/VPC redundancy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s
US7620712B1 (en) Availability measurement in networks
US7835290B2 (en) Method for measuring end-to-end delay in asynchronous packet transfer network, and asynchronous packet transmitter and receiver
US7995572B2 (en) Communication path monito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8270300B2 (en) Extension to RSVP protocol for supporting OAM configuration
US20070271484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detecting a connection fault
US6185213B1 (en) Packet transfer control method and node device using plurality of dedicated cut-through paths
US20080273467A1 (en) Methods for determining pw connection state and for notifying ac connection state and the associated equipments
US20020159393A1 (en) Loop back testing for multi-protocol hybrid networks
KR100337143B1 (ko) 엠피엘에스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오에이엠 시스템
EP19437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op-back and continue in packet-based network
US7106698B1 (en) System for triggering the control plane in an a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transmission network
Cavendish et al.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in MPLS networks
Cisco Troubleshooting Tag and MLPS Switching Connections
Cisco Troubleshooting Tag and MPLS Switching Connections
Cisco Commands: debug ipx ipxwan through debug lane client
JP3777574B2 (ja) Lanスイッチ及び試験方法
KR101034915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통신망에서의 메트로이더넷-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복합 연결 관리 방법
JP2002344534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及びmpls/atm変換プログラム
Behringer Experiments for Advanced Backbone Services
Tanaka et al. A development of circuit emulation system on TDM over Ethernet comprising OAM and protection function
Perelló et al.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in MPLS based Ethernet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