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612A -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612A
KR20000057612A KR1019990705399A KR19997005399A KR20000057612A KR 20000057612 A KR20000057612 A KR 20000057612A KR 1019990705399 A KR1019990705399 A KR 1019990705399A KR 19997005399 A KR19997005399 A KR 19997005399A KR 20000057612 A KR20000057612 A KR 2000005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p
wool
peroxidase
oxidase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영
Original Assignee
마가렛 에이.혼
제넨코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가렛 에이.혼, 제넨코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가렛 에이.혼
Publication of KR2000005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61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0Animal fibres
    • D06M2101/12Keratin fibres or sil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울과 반응시키기 적당한 조건하에 상기 수성 용액과 울 함유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울의 수축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PROCESS FOR IMPROVED SHRINK RESISTANCE IN WOOL}
미가공 울을 직물 또는 실로 바꾸는데는 긴 일련의 개별 공정들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울 처리 방법은 순서대로 세탁, 소면, 방적, 직조, 조각 염색 및 마무리(도1 참조)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시, 통제가 안 되는 수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수축 및 이완을 포함하는 혹종 형태의 기계적 작용에 놓여지는 젖은 울은 펠트화로 공지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현상은 본래 비교적 유연 구조였던 것이 서로 얽힌 단단한 섬유 덩어리가 될 때까지 개별 섬유들이 서로 더 가까이 패킹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도 증가는 자연히 통상적으로 수축이라 기술되는 표면적 또는 부피 감소를 동반한다. 펠트화는 울에 바람직한 특성 및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부여하는데 재질을 클로즈업하여 의류의 벌키함을 의도하는 경우(즉, 모자 및 재킷)에는 중요하나 종종 세탁되는 실과 수축으로 제품이 덜 바람직하거나 사용불능이 되는 경우에는 좋지 않다. 펠트화는 일반적으로 울 섬유 자체에 포함된 상피 스케일 구조와 관련된 방향 마찰 효과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예를들어, E.R. Trotman, "Dyeing and Chemical Technology of Textile Fibers", 6판, pp.218 et seq.,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s, New York, 1984)를 참조하시오).
섬유 업계에서는 수측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처리를 개발하여 왔다. 이들 처리는 Trotman에 의하여 4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는데 (1) 울 섬유의 스케일 구조를 방향 마찰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식으로 개질시키기; (2) 분자간 가교결합을 도입하여 탄성을 감소시키기; (3) 섬유를 표면을 가리는 필름으로 커버하여 방향 마찰 효과의 원인을 제거하기; 및 (4) 방적사 또는 섬유를 교차점에서 고정하는 중합체로 "점-용접"하여 치수 변화를 엄격히 제한하는 경직 골격을 부여하기를 포함한다. 제1 영역과 관련하여, 울 섬유의 스케일 구조를 개질시키는 가장 오랜 방법은 염소 기체, 소듐 하이포클로라이트 또는 디클로로이소시안우르산과 같은 염소를 베이스로 하는 화합물을 울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의 성공은 울 구조내 디설파이드 결합을 파괴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원래 생각되었으나 Trotman은 이것이 실제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고 말한다. 울 처리를 위한 기타의 섬유 개질 방법은 pH 11의 하이포클로라이트와 함께 포타슘 퍼망간에이트를 사용하기(영국 특허 제569,730호); pH 2 미만의 소듐 설페이트로 처리하기; 및 퍼모노설퍼산(일반적으로 pH 2 미만)으로 처리하기를 포함한다. 중합체의 도포로 수축을 감소하려는 시도는 제1 단계에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사용하고 제2 단계에 세바코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그래프트 중합 방법"이라 공지된 것을 포함하였다.
이들 방법은 상업적으로 허용되었으나 울 수축 보강제로서 현재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사용과 관련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어 왔다. 예를들어, 강산, 염소 및 염소를 베이스로 하는 화합물들은 폐기에 어려움이 있고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염소를 사용하는 것은 외관 및 촉감면에서 덜 바람직한 울 제품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염소 방법은 울의 실체성을 증가시켜 염료 흡수를 빠르게 하여 일정 수준의 염료 색상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선행 화학물질을 베이스로 하는 방법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업계는 대책을 찾아왔다. 개발된 이러한 한 대책은 울 섬유의 스케일을 개질시키고 펠트화 수축 저항성을 부여하는 프로테아제를 사용하는 것이다(예를들어, PCT 공개공보 제WO96/19611호; Levene 등, ISDC, 112권 pp.6-10(1996년 1월)을 참조하시오). 그러나, 몇가지 매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계의 세척성에 요구되는 한계내에서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건하에 프로테아제를 도포할 경우 공정은 섬유를 현저히 손상시킨다. Levene은 퍼옥시모노설퍼산, 디클로로이소시안우르산 또는 모노퍼옥시프탈산을 사용하여 임의로 온건한 예비 산화 단계를 거쳐서 혹은 거치지 않고, 프로테아제를 도포하기 전에 pH 8.5-9.0의 소듐 설파이트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기술된 어떤 프로테아제 처리도 섬유에 과도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적당한 내수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울의 펠트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제안된 기타 방법들에는 플라스마 처리(예를들어, Thomas등의 "기체(플라스마) 전기 방전 처리하는 환경 친화적인 울 피니싱 방법", Internatiol Textile Bulletin, 2권(1993); 일본 특허 출원 Tokkai Hei 4-327274) 및 볼프라메이트 존재시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임의로 합성 중합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내에서 처리하는 Delhey 방법이 포함된다.
퍼옥시다제 및 옥사다제를, 직물 표백처리, 염료 이동 억제 또는 새로운 섬유로부터의 과도한 염료 제거(EP 공개공보 제0 495 836호; PCT 공개공보 제WO92/18683호 및 제WO92/18687호) 및 얼룩 표백용 세제 첨가제(PCT 공개공보 89/09813호)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PCT 공개공보 제WO96/12845호 및 제96/12846호는 퍼옥시다제 또는 락카제와 같은 페놀 산화 효소 및 증대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색된 섬유, 특히 데님과 같은 셀룰로즈 섬유의 표면 색밀도에 있어 깨끗한 외관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 업계에서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현저한 진보를 이룩하였으나 울에 내수축성을 부여하는 환경 친화적이고 효과적이며 안전한 방법이 아직도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울 및 울을 기본으로 하는 직물, 실, 섬유 및 이로 만들어진 제품에 내수축성을 제공하는 대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울 및 울을 기본으로 하는 직물, 실, 섬유 및 이로 만들어진 제품에 내수축성을 제공하며, 독성의 불안전하거나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물질 또는 방법의 사용을 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의 양상은 과도한 울 수축 조건이 발생하는 단계를 대체 공정 단계로 대체하는, 울 섬유 가공시 대체 공정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 울 수축 감소 방법은 (a)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수성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울과 반응시키기 적당한 조건하에 울 함유 제품을 수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 및 (b)는 울을 수축 조건하에 두기 전에 혹은 그동안 행한다. 효소 활성을 증대시키는데 매개자를 사용할 경우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도포시 또는 그 전에 단계 (a) 및 (b)를 행한다.
본 발명의 비교 구체예에서는 수축성이 감소되도록 본 발명 방법으로 처리한 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 방법과 비교할때 몇가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한가지 이점은 본 발명 방법은 예를들어 염소와 같은 환경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선행 기술에서 사용하던 질 또는 양으로 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프로테아제를 사용할때 관찰되는 바와 같은 직물 생분해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기대되는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서 더 기술하겠다.
본 발명은 젖음 및/또는 세탁시 울의 수축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울을 옥시도레둑타제 효소와 접촉시켜 젖었을때 울의 수축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울 가공 절차를 예시한다.
"수축-감소"란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이 수축에 유리한 환경에서 가공될 경우 수축하려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수축 감소 특성은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되고 수축에 유리한 조건하에 처리되는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의 특성을 말하는데 혹종의 조건하에서 이렇게 처리되지 않은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에 비하여 수축이 덜 관찰된다.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은 의류 또는 예를들어 양탄자 모자등과 같은 울 함유 제품으로 직조 또는 가공되거나 되어질 혹종의 동물 털제품을 말한다. 따라서, 양, 낙타, 토끼, 거위, 야마로부터 얻은 울, 따라서 메리노 울, 셰틀랜드 울, 캐쉬미어 울, 알파카 울 또는 모헤아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될 수 있는 울은 섬유, 실 또는 직물 또는 편물을 포함한다. 울 함유 조성물은 기타의 울이 아닌 성분, 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울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수축 조건"이란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의 수축을 야기하는 조건을 말한다. 펠트화 수축을 부여하는 것으로 공지된 조건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Makinson, K., "Shrinkproofing of wool", Marcel Dekker Inc., New York(1979), pp.180, et seq.; Moncrief, R., "Wool Shrinkage and its Prevention", The National Trade Press Ltd., London(1953)pp.113-169, et seq.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물의 존재는 특히 기계적 교반과 더불어 펄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도 또한 펠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데 더 고온에서도 펠트화가 여전히 주요 문제가 되나 일반적으로 20-60℃의 온도에서 울 제품의 펠트화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H는 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몇몇 연구가들은 최대 펠트화는 pH 10에서라고 하나 어떤 경우에도 산 및 알카리는 모두 펠트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세제(비누)의 존재 또한 알카리 또는 중성 매질에서 펠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중성 염(예를들어 NaCl), 윤활제(예를들어, 오일, 왁스 및 그리스 또는 기타 물질), 알콜, 교반(예를들어, 세탁기내에서) 또한 울의 펠트화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각각의 환경 요소는 울의 펠트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혹종의 울은 심각한 정도르 펠트화될 수도 있을 것이나 그 효과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온건한 교반 조건하에 50℃의 세탁기에서 세제를 사용하는 것은 광범위하게 수축 보강되지 않은 울 제품에서 펠트화를 일으킬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울 및 수축-보강전에 취해진 예비-처리 단계의 차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수축을 야기할 조건을 항상 구체적으로 예견하거나 밝힐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도, 울 가공 단계 또는 단계들에서 어떤 조건이 어떤 울의 수축을 유도하는 것인가를 당업자가 결정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이다. 당업자는 울 제품에 특정 조건을 부여하고 결과하는 수축을 측정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요인 목록이 수축 조건에 모두 들어가지는 않을지라도 수축 조건 범위는 가장 적절하게는 특정 세트의 조건하에 울 제품에 수축이 발생하는가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종래의 수축 감소 방법"은 수축 조건하에 수축 경향이 감소된 울 제품을 생산하는 업계에 현재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울이 수축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고온의 알콜 및 암모늄 티오글리콜레이트,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벤조퀴논, 머큐리 아세테이트, 아릴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염소, 디클로로이소시안우르산, 퍼망간에이트, 퍼모노설퍼산 및 Zeset TP, Hercosett57, Primal K3, DC-109, Oligan 500, Synthappret LKF 또는 Synthappret BAP와 같은 중합체 필름으로 처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염소 베이스 수축 감소제"는 수축 보강을 목적으로 염소를 베이스로 하는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종래의 수축 감소 방법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소 베이스 수축 감소제는 염소 가스, 하이포클로라이트 및 디클로로이소시안우르산을 포함한다.
"옥시도레둑타제"효소는 특정 기질(들)에 대하여 산화 또는 환원 반응 또는 반응들을 촉매하는 혹종의 효소를 의미한다. 과산화수소(퍼옥시다제) 또는 산소 분자(옥시다제)를 사용하여 기질을 산화시키는 옥시도레둑타제 효소가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한 퍼옥시다제는 식물(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또는 미생물(예를들어, 망간 퍼옥시다제 또는 Bacillus pumilus로부터 얻어지는 마이크로허옥시다제)에서 유도되는 것들이다. 적당한 퍼옥시다제의 예는 동물, 식물 또는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 유도된 EC 1.11.1.7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바람직한 옥시다제는 락카제, 카테콜 옥시다제, 빌리루빈 옥시다제 및 모노페놀 모노옥시게나제 효소이다. 적당한 락카제의 예는 동물, 식물 또는 미생물에서 유도된 EC 1.10.3.2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 적당한 퍼옥시다제 및/또는 옥시다제는 분류학적 그룹 Zygomycetes, Deuteromycetes, Ascomycetes, Basidiomycetes 및 Hyphomycetes에서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물에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퍼옥시다제 및/또는 옥시다제가 유도될 수 있는 구체적인 종에는 Aspergillus spp,; Rhizoctonia spp.; Gliocldium spp.; Sordaria spp.; Hypoxylon spp.; Zalerion spp.; Gongronella spp.; Aigialus spp.; Lophiostoma spp.; Haiosarpheia spp.; Quintaria spp.; Cirrenalia spp.; F. oxysporum를 포함하는 Fusarium spp.; H. insolens를 포함하는 Humicola spp.,; T. reesei, T. longibrachiatum를 포함하는 Trichoderma spp.,; M. verrucana를 포함하는 Myrothecium spp.,; V. alboatrum, V. dahie를 포함하는 Verticillum spp.,; A ramosus를 포함하는 Arthromyces spp.,; C. fumago를 포함하는 Caldariomyces spp.,; U. chartarum를 포함하는 Ulocladium spp.,; E. alli를 포함하는 Embellisia spp.,; Cladosporium spp.; C. cinerus, C. macrothizus를 포함하는 Coprinus spp.; P. chrysosporium를 포함하는 Phanerochaete spp.; Corolus spp.; T. versicolor를 포함하는 Trametes spp., Rhizopus spp., M. hiemalis를 포함하는 Mucor spp. ; S. spheroides, S. themoviolaceius를 포함하는 Streptomyces spp.,; S. verticillium를 포함하는 Streptoverticillum spp.,; B. pumilus, B. stearothermophilus를 포함하는 Bacillus spp.; Rhodobactersphaeroides spp.; R. palustri를 포함하는 Rhodomonas spp.; S. lactis를 포함하는 Streptococcus spp.; P. fluroescens, P. purrocinia를 포함하는 Psudomonas spp.; M. virescens를 포함하는 Myxococcus spp. ;and D. halodes를 포함하는 Dreschlera sp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락카제는 Trametes spp, 특히 Trametes versicolor 또는 Pleurotus spp, 특히 Pleurotus ostreatus에서 유도된다.
퍼옥시다제 및 락카제와 같은 옥시도레둑타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혹종의 화학물질이 적당한 기질 또는 기질들과 효소의 반응성 증대를 용이하게 하는 "촉진제" 또는 "매개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매개제는 ABTS, HOBT, 1-니트로소-2-나프톨-3,6-디수폰산 및 예를들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는 PCT 공개공보 제92/20857호, 제92/09741호, 제94/29510호, 제94/12621호, 제94/12620호, 제94/12619호, 제95/01426호 및 류럽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0 447 672호, 제0 447 673호에 기술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출원인들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매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종종 얻어지는 결과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염료는 옥시다제 및 퍼옥시다제와 매개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울을 염색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인데 염료는 직물에 색을 가하고 옥시도레둑타제 반응 매개제로서 작용하는 두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도포 전에 수행한다. PCT 공개공보 제WO92/18683호 및 제WO92/1868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몇몇 옥시도레둑타제는 직물에 부착되어 있거나 이에 도포되는 염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염료가 바람직한 상태로 남아 있도록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도포 전에 수행하여야 한다.
"염색"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시 울 제품의 색을 변화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염색은 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수의 방법 및/또는 조성물 중 혹종에 따라 색을 변화시킬 목적으로 울 제품을 염료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a)옥시도레둑타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상기 옥시도레둑타제 효소를 울과 반응시키기 적당한 조건하에 상기 수성 용액과 울 함유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울의 수축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 및 (b)는 울을 수축 조건하에 두기 전에 행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단계(a) 및 (b)는 염료의 도포 전에 행한다.
본 발명은 널리 공지된 울가공 방법에 합체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과 관련하여 옥시도레둑타제 효소는 충분한 활성이 존재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성 용액에 놓여야 한다. 적당한 양의 효소는 약 1.0-50mg/L이고 활성은 약 100-4000 ABTS u/L일 것이다. 적절한 pH, 온도 및 환경 요소(예를들어, 염, 완충액, 안정화제)는 사용하는 효소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Trametes versicolor로부터 얻은 락카제에 대하여, 적절한 pH는약 3-6이고 적절한 온도는 약 25-70℃이다.
접촉 단계는 옥시도레둑타제 효소가 충분히 울과 반응할 정도의 조건에서 그런 시간동안 행하여야한다. 반응에 필요한 시간은 효소의 활성 정도, 온도, pH 및 다른 환경 요소를 기준으로 달라질 것이나 본 발명가는 사용 효소에 대하여 적절한 조건하에 반응 시간은 2분 내지 48시간, 바라직하게는 약 15분 내지 10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지 3시간이 될 것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온건한 교반하에 울 또는 울 함유 물질과 옥시도레둑타제 효소를 접촉시키는 것이 예외적인 수축 보강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은 교반은 예를들어, 시판되는 세탁기(예를들어, 터널 세탁기, 가정용 세탁기, 예를들어, 교반기, 드럼 또는 펄스기) 또는 직물 가공에서 교반을 부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최소한 온건한 교반"이란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고 주어진 울 또는 울 함유 물질의 5%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의 수축이 일어나는 주어진 환경하의 교반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본 방법은 울을 수축 조건하에 두는 단계시 또는 그 전에서 본 방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울 가공시 어떤 단계가 특히 수축을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그 단계시 경험하는 수축 정도를 감소 혹은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울을 그 단계시 또는 그 전에 처리하여야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방법은 온건한 또는 고도의 교반시, 즉 세탁 또는 기타 직물에 가해지는 기계적 변형시 또는 그 전에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적당한 영역을 기술하는 것은 청구의 범위이므로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함이며 한정의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Trametes versicolor로부터 얻은 락카제로 울 처리시 수축 감소
(A) 등급을 매긴 울 플란넬 천조각을 다음 조건하에 1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Terg-O-Tometer에서 처리하였다.
실험 조건
·장치: Terg-O-Tometer
·교반 속도: 100 RPM
·처리 온도: 50℃
·처리 pH: Trametes versicolor에 대하여 4.5(50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처리 시간: 3시간
·액체 비: 63:1
물질
·락카제: Trametes versicolor 약 1500 unit/L
·매개제: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기질: 등급을 매긴 울 플란넬(Test Fabrics사로부터 구입 #538)
본래 천 크기 - 3 x 3 인치
락카제 활성은 다음과 같이 Bourbonnais 등의 Appl. Env.Microb., Vol.61, No5 (1995)에 기술된 바와 같이 ABTS 단위로 측정하였다:
효소 분석. 락카제 활성은 ABTS의 산화로 측정하였다. 분석 혼합물은 0.5mM의 ABTS, 0.1M의 소듐 아세테이트(pH 5.0) 및 적당한 양의 효소를 함유하였다. ABTS의 산화는 A420(ε420, 3.6 x 104M-1· cm-1)의 증가를 측정하여 모니터하였다. 효소 활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단위로 표현하였다: 1U = ABTS 1μmol/min.
수축 %의 측정
처리 전후에 직물의 길이와 너비를 측정하였다. 수축%는 처리 전후에 더한 치수(길이+너비)의 차를 처리 전에 더한 치수(길이+너비)로 나투어 100을 곱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rametes versicolor에서 얻은 락카제 및 HOBT로 처리한 울은 HOBT만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현저히 수축이 감소되었다.
(B) 두 상이한 매개제(ABTS 및 HOBT)와 Trametes versicolor 락카제를 함께 사용하고, Trametes versicolor 단독으로 사용하여 울의 수축 효과에 대하여 테스트하였다.
실험 조건
·장치: Terg-O-Tometer
·교반 속도: 100 RPM
·처리 온도: 48℃
·처리 pH: 4.5(50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처리 시간: 3시간
·액체 비: 43:1
물질
·락카제: Trametes versicolor 약 1500 unit/L
·매개제:
ABTS: 2,2'-아지도-비스(3-에틸벤즈 티아졸린-6-설폰산)
HOBT: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
·기질: 등급을 매긴 100% 울 플란넬(Test Fabrics #538)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rametes versicolor 락카제/HOBT 시스템은 락카제가 없는 혹종의 시스템보다 직물 수축이 현저히 낮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매개제가 없는 락카제는 락카제 없는 혹종의 시스템에 비하여 직물 수축이 현저히 낮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저속 교반하에 락카제/매개제로 울 처리
이 실시예에서는 처리 단계시 교반 속도를 100 RPM에서 30 RPM으로 감소시켜 기계적인 작용을 감소시켰다. 실험 후 모든 샘플들을 여러번 세탁하여 항펠트화에 대한 락카제 처리 효과를 증명하였다.
실험 조건
·장치: Terg-O-Tometer
·교반 속도: 30 RPM
·처리 온도: 40℃
·처리 pH: 4.5(50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처리 시간: 3시간
·액체 비: 40:1
물질
·락카제: Trametes versicolor 약 1500 unit/L
·매개제:
ABTS: 2,2'-아지도-비스(3-에틸벤즈 티아졸린-6-설폰산)
HOBT: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
·기질: 등급을 매긴 100% 울 플란넬(Test Fabrics #538)
수축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세팅된 조건하에 모든 샘플들은 매우 작은 정도의 치수 변화를 보였다.
실시예 3
계면활성제 존재하에 락카제 및 매개제로 울 처리
이 실시예에서는, 앞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앞의 실시예보다 많은 정도의 Trametes versicolor 락카제를 테스트하였다.
실험 조건
·장치: Terg-O-Tometer
·교반 속도: 100 RPM
·처리 온도: 50℃
·처리 pH: Trametes versicolor. 4.5(50mM 아세테이트 완충액)
·처리 시간: 3시간
·액체 비: 78:1
·습윤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1% Triton X-100) 약 1mL/L
물질
·락카제: Trametes versicolor 약 1500 unit/L
·매개제:
ABTS: 2,2'-아지도-비스(3-에틸벤즈 티아졸린-6-설폰산)
HOBT: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
·기질: 등급을 매긴 100% 울 플란넬(Test Fabrics #538)
수축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Trametes versicolor아 HOBT 시스템은 가장 적은 정도의 펠트화 수축율을 보였다. 매개제 없이 Trametes versicolor만으로 처리한 것은 처리시 펠트화 수축의 감소를 보였다.

Claims (23)

  1. (a)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울과 반응시키기 적당한 조건하에 상기 수성 용액과 울 함유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울의 수축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을 수축 조건에 둘 때 또는 그 전에 상기 (a) 및 (b)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축 조건하에 상기 울을 처리하는 단계(c)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가 교반을 포함하는 조건 하에 상기 울을 세탁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다제 또는 옥시다제가 F. oxysporum를 포함하는 Fusarium spp.; H. insolens를 포함하는 Humicola spp.,; T. reesei, T. longibrachiatum를 포함하는 Trichoderma spp.,; M. verrucana를 포함하는 Myrothecium spp.,; V. alboatrum, V. dahie를 포함하는 Verticillum spp.,; A ramosus를 포함하는 Arthromyces spp.,; C. fumago를 포함하는 Caldariomyces spp.,; U. chartarum를 포함하는 Ulocladium spp.,; E. alli를 포함하는 Embellisia spp.,; Cladosporium spp.; C. cinerus, C. macrothizus를 포함하는 Coprinus spp.; P. chrysosporium를 포함하는 Phanerochaete spp.; Corolus spp.; T. versicolor를 포함하는 Trametes spp., Rhizopus spp., M. hiemalis를 포함하는 Mucor spp. ; S. spheroides, S. themoviolaceius를 포함하는 Streptomyces spp.,; S. verticillium를 포함하는 Streptoverticillum spp.,; B. pumilus, B. stearothermophilus를 포함하는 Bacillus spp.; Rhodobactersphaeroides spp.; R. palustri를 포함하는 Rhodomonas spp.; S. lactis를 포함하는 Streptococcus spp.; P. fluroescens, P. purrocinia를 포함하는 Psudomonas spp.; M. virescens를 포함하는 Myxococcus spp. ;및 D. halodes를 포함하는 Dreschlera spp.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다제 또는 옥시다제가 락카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카제가 Trametes spp. 또는 Pleurotus spp.에서 유도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카제가 Trametes versicolor에서 유도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염료의 도포시 또는 그 전에 가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액이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 및 촉진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염소를 베이스로 하는 수축 감소제, 퍼모노설퍼산, 소듐 설페이트 또는 기타 종래의 수축 감소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단계(b)의 전후 또는 그 동안 상기 울을 가공하는 방법.
  12. (a)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울과 반응시키기 적당한 조건하에 상기 수성 용액과 울 함유 제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 및 (b)는 염료의 도포 전에 수행하는, 울의 수축 감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울을 수축 조건 하에 처리하는 단계(c)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계(c)가 교반을 포함하는 조건 하에 상기 울을 세탁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다제 또는 옥시다제가 F. oxysporum를 포함하는 Fusarium spp.; H. insolens를 포함하는 Humicola spp.,; T. reesei, T. longibrachiatum를 포함하는 Trichoderma spp.,; M. verrucana를 포함하는 Myrothecium spp.,; V. alboatrum, V. dahie를 포함하는 Verticillum spp.,; A ramosus를 포함하는 Arthromyces spp.,; C. fumago를 포함하는 Caldariomyces spp.,; U. chartarum를 포함하는 Ulocladium spp.,; E. alli를 포함하는 Embellisia spp.,; Cladosporium spp.; C. cinerus, C. macrothizus를 포함하는 Coprinus spp.; P. chrysosporium를 포함하는 Phanerochaete spp.; Corolus spp.; T. versicolor를 포함하는 Trametes spp., Rhizopus spp., M. hiemalis를 포함하는 Mucor spp. ; S. spheroides, S. themoviolaceius를 포함하는 Streptomyces spp.,; S. verticillium를 포함하는 Streptoverticillum spp.,; B. pumilus, B. stearothermophilus를 포함하는 Bacillus spp.; Rhodobactersphaeroides spp.; R. palustri를 포함하는 Rhodomonas spp.; S. lactis를 포함하는 Streptococcus spp.; P. fluroescens, P. purrocinia를 포함하는 Psudomonas spp.; M. virescens를 포함하는 Myxococcus spp. ;및 D. halodes를 포함하는 Dreschlera spp.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다제 또는 옥시다제가 락카제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락카제가 Trametes spp. 또는 Pleurotus spp.에서 유도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락카제가 Trametes versicolor에서 유도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액이 옥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 및 매개제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염소를 베이스로 하는 수축 감소제, 퍼모노설퍼산, 소듐 설페이트 또는 기타 종래의 수축 감소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단계(b)의 전후 또는 그 동안 상기 울을 가공하는 방법
  21. 제1항의 방법으로 처리한 울 직물, 실 또는 섬유.
  22. 제12항의 방법으로 처리한 울 직물, 실 또는 섬유.
  23. 제1항, 제2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울을 온건하게 교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건하에 단계(b)를 수행하는 방법.
KR1019990705399A 1996-12-17 1997-12-16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20000057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68,872 US5980579A (en) 1996-12-17 1996-12-17 Process for improved shrink resistance in wool
US8/768,872 1996-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612A true KR20000057612A (ko) 2000-09-25

Family

ID=250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5399A KR20000057612A (ko) 1996-12-17 1997-12-16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80579A (ko)
EP (1) EP0946812B1 (ko)
JP (1) JP2001506323A (ko)
KR (1) KR20000057612A (ko)
CN (2) CN1111220C (ko)
AT (1) ATE264938T1 (ko)
AU (1) AU5609298A (ko)
BR (1) BR9714043A (ko)
CA (1) CA2275421A1 (ko)
DE (1) DE69728787T2 (ko)
DK (1) DK0946812T3 (ko)
WO (1) WO1998027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380A (en) * 1997-06-09 1999-07-27 Novo Nordisk A/S Treatment of fabrics garments or yarns with haloperoxidase
US6051033A (en) * 1998-05-20 2000-04-18 Novo Nordisk Brochem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US6140109A (en) * 1998-05-20 2000-10-31 Novo Nordisk Biochem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US6099588A (en) * 1999-02-23 2000-08-08 Novo Nordisk Biochem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treatment of wool
US6385954B2 (en) * 1999-04-15 2002-05-14 Ruth Huffman Processing of american buffalo hair to produce a yarn
US6237315B1 (en) * 1999-04-15 2001-05-29 Ruth Huffman Processing american buffalo hair to produce a yarn
EP1311719B1 (en) * 2000-08-15 2010-10-06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A method for treating proteinaceous fibres
GB0203522D0 (en) * 2002-02-14 2002-04-03 Prec Process Textiles Ltd Treating proteinaceous material
WO2006096567A1 (en) * 2005-03-04 2006-09-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Washable wool stretch fabrics with dimensional stability
US20130255324A1 (en) 2012-03-30 2013-10-03 Deckers Outdoor Corporation Density enhancement method for wool pile fabric
US9222216B2 (en) 2014-04-09 2015-12-29 University Of Calcutta Methods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US20150330019A1 (en) * 2014-05-19 2015-11-19 Basf Se Biocatalytic hydrophilization of polyolefines
WO2018140740A1 (en) 2017-01-27 2018-08-02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US11713524B2 (en) 2017-01-27 2023-08-0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CN114411291A (zh) * 2022-02-08 2022-04-29 张家港天宇精梳羊毛有限公司 一种非均匀缩率羊毛条生产制条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4781A (en) * 1954-03-25 1958-11-26 Wool Ind Res Association A process for treating wool, wool goods or wool-containing goods to reduce their tendency to felting
JPH02502032A (ja) * 1987-10-28 1990-07-05 シェーラー ハルドトゥルム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ールの酵素処理
US5529928A (en) * 1987-10-28 1996-06-25 Schoeller Hardtrum Ag Enzymatic treatment of wool
GB8820561D0 (en) * 1988-08-31 1988-09-28 Precision Proc Textiles Ltd Method for treatment of wool
FR2694018B1 (fr) * 1992-07-23 1994-09-16 Oreal Utilisation de laccases d'origine végétale comme agents oxydants en cosmétique, compositions cosmétiques les contenant,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les mettant en Óoeuvre et procédé d'obtention de ces enzymes.
JPH08506009A (ja) * 1992-12-01 1996-07-02 ノボ ノルディス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酵素反応の増強
DK77393D0 (da) * 1993-06-29 1993-06-29 Novo Nordisk As Aktivering af enz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0579A (en) 1999-11-09
DK0946812T3 (da) 2004-08-16
DE69728787D1 (de) 2004-05-27
CN1439767A (zh) 2003-09-03
ATE264938T1 (de) 2004-05-15
JP2001506323A (ja) 2001-05-15
AU5609298A (en) 1998-07-15
CN1244898A (zh) 2000-02-16
DE69728787T2 (de) 2005-04-28
EP0946812A1 (en) 1999-10-06
CN1215218C (zh) 2005-08-17
WO1998027264A1 (en) 1998-06-25
BR9714043A (pt) 2000-05-09
CA2275421A1 (en) 1998-06-25
CN1111220C (zh) 2003-06-11
EP0946812B1 (en)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2260A (en) Single-bath biopreparation and dyeing of textiles
Shahid et al. Enzymatic processing of natural fibres: white biotechnolo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uran et al. Enzyme applications in the textile industry
EP0943028B1 (en) Alkaline enzyme scouring of cotton textiles
US6258129B1 (en)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EP0885311B1 (en) Enzyme treatment to enhance wettability and absorbency of textiles
KR20000057612A (ko) 울의 내수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US20060042020A1 (en) Treatment of fabrics, fibers, or yarns
WO1999060199A1 (en) A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Cegarra The state of the art in textile biotechnology
Choudhury Enzyme applications in textile chemical processing
US6140109A (en)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wool
MXPA99005625A (en) Process for improved shrink resistance in wool
Heine et al. Bioprocessing for smart textiles and clothing
Sharma Textile Biotechnology in Europe--Hydrolases and Oxidoreductases in Processing.
Song et al. Effects of surfactants on pectinase treatment of cotton/chitosan blends
Sharma and Oxidoreductases in Processing
Lacasse et al. Pretreatment
Radhakrishnaiah et al. Environmentally Benign Preparatory Processes–Introducing a Closed-Loop System Team members
Menezes et al. Application of enzymes for sustainable textile chemical processing
MXPA99003104A (en) Alkaline enzyme scouring of cotton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