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107A - Kitchen cabinet - Google Patents

Kitchen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107A
KR20000057107A KR1019990063169A KR19990063169A KR20000057107A KR 20000057107 A KR20000057107 A KR 20000057107A KR 1019990063169 A KR1019990063169 A KR 1019990063169A KR 19990063169 A KR19990063169 A KR 19990063169A KR 20000057107 A KR20000057107 A KR 2000005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rawer
plate
kitchen furnitur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후지와라도오루
하마다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구리낫프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리낫프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구리낫프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10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6Sliding drawers being part of the furniture base

Abstract

PURPOSE: A cabinet of kitchen furniture is provided to extend the receivable space and the capacity of a base cabine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n usage by classifying and by keeping each kitchenwa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expenses. CONSTITUTION: A composite kitchen table equipped a cabinet of kitchen furniture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 case body (1) regularly which opens the upper part and front from a bottom plate (11), a right and left side plate (12) and a rear plate (13); covering a top plate (T); placing a drawer (2)(3) equipped a front plate (21)(31) covering a front of a case body (1); forming a deep-set vertical end (4) near a bottom plate (11).

Description

주방가구의 캐비넷{KITCHEN CABINET}Kitchen Furniture Cabinet {KITCHEN CABINET}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의 구성부재로서의 싱크대, 조리대나 단일체로서의 싱크대, 가열대 등의 주방 가구용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such as a sink as a constituent member of a system kitchen, a sink as a countertop or unitary, a heating stand, and the like.

종래 시스템 키친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베이스 캐비넷은 일본 실개소 60-101045호(도 4)에 전형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단 서랍용 캐비넷, 좌우 여닫이문을 구비한 싱크용 캐비넷, 대형 슬라이드식 서랍을 수납한 캐비넷, 한쪽면 개방식의 문을 구비한 캐비넷(도 9) 등이 있고 약간 특수한 것으로서 일본 실개소59-60950호(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판 하부쪽을 출입 자유로운 웨건으로 한 것(도 10), 마찬가지로 일본 실개소59-60950호(도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복수의 얕은 서랍을 병렬하고, 그 하부쪽에 대형 서랍을 구비하도록 한 것(도 11) 등이 있다.A typical base cabinet used in a conventional system kitchen is a cabinet for a multi-stage drawer, a sink cabinet with right and left doors, and a large slide drawer, 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60-101045 (FIG. 4). Cabinets, cabinets with open doors on one side (Fig. 9), etc., which are slightly special, with the wagon free of access to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as shown in Japanese Laid-Open 59-60950 (Fig. 2). 10) Similarl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60950 (FIG. 3), a plurality of shallow drawers are arranged in parallel at the top, and a large drawer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FIG. 11).

어떤 시스템 키친도 상기와 같은 각종 베이스 캐비넷을 임의로 조합하여 병렬 설치하여 연결하고, 그 위에 싱크나 가열기 및 조리면을 구비한 워크탑(천정판)을 얹어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ny system kitchen is constructed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various base cabinets as described above, connecting them in parallel, and mounting and fixing a worktop (ceiling plate) having a sink, a heater, and a cooking surface thereon.

상기, 종래의 시스템 키친을 구조적으로 보면, 작업대가 되는 워크탑, 수납부가 되는 베이스 캐비넷 및 마루에 설치하여 베이스 캐비넷을 얹는 대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view of the conventional system kitchen,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worktop serving as a workbench, a base cabinet serving as a storage unit, and a large wheel installed on the floor to mount the base cabinet.

베이스 캐비넷과 대륜의 관계는, 베이스 캐비넷의 양측판 및 배면판을 연장하여 전면에 가로목을 걸치도록 한 것이다(도 12a), 대륜을 별체로 한 것(도 12b)과, 복수의 베이스 캐비넷을 하나의 대륜에 얹어 대형 캐비넷으로 한 것이 있다(도 12c).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cabinet and the large ring is that both side plates and the rear plate of the base cabinet are extended so that the front rail is extended (FIG. 12A). There is a large cabinet mounted on one large wheel (FIG. 12C).

베이스 캐비넷 중에는 일체로 구성하여 내부에 복수의 간막이판을 배치하여 보강하고 구획하는 것도 있다.Some base cabinets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are disposed therein to reinforce and partition.

이 종래의 베이스 캐비넷의 구조에 있어서는 캐비넷의 종류나 대륜이 일체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기본적으로는 수납부와 대륜 사이에 베이스 캐비넷의 저판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때문에 대륜 내부가 활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복수의 베이스 캐비넷을 이용하는 시스템 키친에서는 상당한 용적이 비활용 공간이 되고 있었다.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se cabinet, it is generally common to have a base plate bottom plate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large wheel regardless of the type of cabinet or the large wheel, so that the inside of the large wheel cannot be utilized. Inevitably, the system kitchen using a plurality of base cabinets has become an unused space.

그래서, 대륜 내의 공간을 이용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실개소55-100548호(도 2)와 같이 박형의 서랍을 설치하거나(도 13), 접이식 발판을 수납하거나, 전면에 온풍을 분출하는 베이스 보드 히터를 내장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일부 제품화된 것도 있다.Therefore, as a means of utilizing the space in the large ring, 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5-100548 (FIG. 2), a thin drawer is installed (FIG. 13), a built-in baseboard heater for storing a folding footboard or blowing hot air to the front. Some have been proposed and some have been commercialized.

그러나, 이것은 대륜내의 공간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일 뿐, 시스템 키친 전체의 대륜에 의해 발생하는 비활용 공간을 해소, 활용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However, this uses only a part of the space in the wheel, and has been far from eliminating and utilizing the unused space generated by the wheel of the entire system kitchen.

또한, 일본 실개소59-103670호(도 2)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넷 내의 상부에 내부에 숨겨진 수납용기(서랍)를 구비하는 한편, 베이스 캐비넷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을 구비한 대형의 서랍을 설치하고, 이 쌍방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구성한 서랍을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물론, 종래와 같이 대륜을 갖는 구조이므로, 대륜의 높이만큼 저판이 올라간 구조가 되고, 각 서랍에 수납하는 물품의 높이에 제약이 있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03670 (Fig. 2)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covering the front side of the base cabinet, while having a storage container (drawer) hidden inside the base cabinet, as shown in Fig. 14. It is disclosed that one large drawer is provided and two drawers constituted by multiple stages are used. Of course, since the structure has a large wheel as in the prior art, the bottom plate is raised by the height of the large wheel, and the height of the article to be stored in each drawer is limited.

종래의 베이스 캐비넷, 특히 싱크용 캐비넷, 가열용 캐비넷에는 각종 냄비, 철판, 볼, 소쿠리, 핫 플레이트, 쌀통 등의 비교적 대형의 조리용 기구나 조리용 청주, 간장, 샐러드유 등을 넣은 대형의 병, 페트병 등을 수납하는 데에는 적합했지만, 이것을 저판 상에 나란히 세워 안에 수납하면 수납물의 확인이나 출입이 번거로워지고, 또한 이 상부가 비활용 공간이 되었다.Conventional base cabinets, especially sink cabinets and heating cabinets, are relatively large cooking utensils such as various pots, griddles, balls, colanders, hot plates and rice barrels, and large bottles containing cooking sake, soy sauce and salad oil. Although it was suitable for storing a PET bottle etc., when this was put up side by side on the bottom plate and stored inside, it became cumbersome to check things in and out, and this upper part became a non-utilization space.

캔식품, 건조물, 분말류, 면류 등의 보존식품, 도시락통이나 소형 용기류와 같은 소형물류를 수납하는 데에는 다단 서랍용 캐비넷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지만, 서랍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높이는 대륜과 천정판 사이로 제약되므로, 전체의 수납량을 증가시키지 못해 수납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Multi-stage drawer cabinets cannot be used to store canned food, dried foods, powders, preserved foods such as noodles, lunch boxes or small containers, but the height that can be used as a drawer is limited between the large wheel and the ceiling plate. Therefor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storage space was not sufficient because the total storage amount could not be increased.

또한, 대륜을 설치하는 종래의 구조는 대륜이 베이스 캐비넷과 일체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재료나 공정이 증가되어 비용상승의 요인이 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large wheels are provided has increased the material and process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large wheels are integrated with the base cabinet, which contributes to the cost increase.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 키친 등의 베이스 캐비넷의 대륜을 없애어 함몰수직단부의 기능만을 남기고, 과제인 대륜에 의한 비활용 공간의 해소, 베이스 캐비넷의 수용용적의 증가, 대형 부엌용품이나 조리기구와 소형 용기류의 분별 수납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large wheels of a base cabinet such as a conventional system kitchen as described above, leaving only the function of the recessed vertical end, eliminating the unused space by the large wheel which is a problem,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se cabinet, and a large kitch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the separate storage of articles, cooking utensils and small container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주방 가구용 캐비넷을 구비한 복합 조리가구,1 is a composite cooking furniture having 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최하단의 서랍의 정면판을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late of the lowermost drawer;

도 3은 동일하게 가장 하단의 서랍의 정면판을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late of the bottom drawer in the same manner,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조리대용 캐비넷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 cabinet for a counter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싱크용 캐비넷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inet for si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서랍용 캐비넷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inet for a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가열기용 캐비넷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cabinet for a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주방가구용 캐비넷을 구비한 주방가구로, 식기 세정 건조기를 조립한 것을 도시한 도면,8 is a kitchen furniture provided with 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assembly of a dish washing dryer;

도 9는 시스템 키친의 종래예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a system kitchen;

도 10은 종래의 웨건을 구비한 싱크대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k having a conventional wagon,

도 11은 종래의 서랍을 구비한 베이스 캐비넷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cabinet with a conventional drawer,

도 12a 내지 도 12c는 종래예의 베이스 캐비넷의 대륜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12A to 12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large wheel of the base cabinet of the prior art;

도 13은 종래 대륜에 서랍을 설치하도록 한 베이스 캐비넷의 사시도 및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cabinet for installing a drawer in a conventional wheel;

도 14는 종래 대형·소형의 서랍을 설치하도록 한 베이스 캐비넷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se cabinet in which a conventional large and small drawer is provid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S: 수조 G: 가열조리기S: Bath G: Cooker

T: 천정판 F: 복합조리가구T: Ceiling plate F: Composite cooking furniture

K: 베이스 캐비넷 1: 상자체K: base cabinet 1: box

2,3: 서랍 4: 함몰수직단부2,3 drawer 4: recessed vertical end

11: 저판 12: 측판11: bottom plate 12: side plate

13: 배면판 31: 전면판13: back panel 31: front panel

31a: 손잡이31a: handle

그래서,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저판, 좌우의 측판, 배면판 및 천정판으로 구성한, 전면을 개방한 상자체를 구성하고, 전면의 최하단 전체에 복수의 서랍을 배치하고 상기 서랍의 전면판은 상자체의 저판에 가까운 부분을 움푹 들어가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which concerns on invention of Claim 1 comprises the box body which opened the front surface which consists of a bottom board, the left and right side boards, a back board, and a ceiling board, arrange | positions a some drawer in the whole lowermost front of the said drawer, The fron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by recessing the portion close to the bottom plate of the box.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상술한 구성을 전제로, 상자체의 전면 거의 전체에 서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binet of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is provided with a drawer almost entire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x, assum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청구항 3의 발명은 상술한 주방가주의 캐비넷에 있어서, 최하단의 서랍은 서랍의 거의 전체를 열 수 있는 슬라이드 레일을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mentioned cabinet of the kitchen, the lowermost drawer is configured to use a slide rail that can open almost the entirety of the drawer.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저판, 좌우의 측판, 배면판으로 구성하고 상부면과 전면을 개방한 복수의 상자체를 병렬 설치 연결하여, 하나의 천정판으로 덮고, 각각의 상자체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을 구비한 서랍을 복수단 배치하고 최하단의 서랍의 전면판은 저판에 가까운 곳을 움푹 패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a back plate, and a plurality of box bodies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n open front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covered with one ceiling plate, and each box body A plurality of drawers having a front plate covering the front of the drawer i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front plate of the lowermost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is made to dent a portion close to the bottom plate.

청구항 5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상술한 발명의 구성을 전제로, 천정판에 일체로 수조를 설치하여 싱크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of Claim 5 provided the water tank integrally with the ceiling board on the premise of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mentioned above, and was set as the sink.

청구항 6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천정판에 가열기를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inet of kitchen furniture of Claim 6 is a thing of Claim 5 which embedded the heater in the ceiling boar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7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단에 서랍식 식기 세정 건조기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of Claim 7 is provided with the drawer type dish washing dryer in the upper part in the invention of Claim 5 or Claim 6.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8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전제로,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of Claim 8 arrange | positions the piping for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and drainage inside and outside close to a back plate by the premise of invention of Claim 5 or 7.

청구항 9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 및 가스용 배관, 전원용 배선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of Claim 9, the invention of Claim 6 or 7 WHEREIN: It arrange | positions the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the piping for gas, the piping for gas, and the wiring for power supply inside and outside close to a back plate.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주방가구용 캐비넷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shown in drawing.

도 1은 수조(S) 및 가열조리기(G)를 조립하도록 한 천정판(T)(테이블탑)을 구비하도록 한 긴 복합조리가구(F)로 한 것으로 시스템 키친의 주된 구성부재를 구성하는 것이다.1 is a long composite cooking furniture F having a ceiling plate T (tabletop) for assembling a water tank S and a heating cooker G, and constitutes a main component of the system kitchen. .

이 복합조리가구(F)를 구성하는 베이스 캐비넷(K)은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11), 좌우의 측판(12) 및 배면판(13)에서 상면과 전면을 개방한 복수의 각종 캐비넷을 구성하는 상자체(1)를, I형으로 배치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 베이스 캐비넷(K)의 상부면을 하나의 천정판(T)로 덮고 각각의 상자체(1)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21)을 구비한 서랍(2)을 복수단 배치하고, 최하단의 서랍(3)의 전면판(31)은 저판(11)에 가까운 부분을 움푹 파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4)로 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4, 5, 6, and 7, the base cabinet K constituting the composite cooking furniture F has a bottom plate 11, left and right side plates 12 and a back plate 13. The casing 1 constituting a plurality of cabinets having opened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by connecting in an I-shap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abinet K with one ceiling plate T, respectively. The drawer 2 provided with the front plate 21 which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box 1 of this invention is arrange | position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front plate 31 of the drawer 3 of the lowest stage is recessed near the bottom plate 11 The pie is made into the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4.

또한, 상자체(1)의 측판(12)의 전면측은 함몰수직단부(4)의 높이 및 안길이에 걸쳐서 역 L형으로 절단 제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plate 12 of the box 1 is cut off in reverse L shape over the height and depth of the recessed vertical end part 4.

상자체(1)의 측판(12)의 내측에는 슬라이드(12a)(상세한 도시는 생략)를 설치하고, 서랍(2)의 측면판(21b)에 설치한 슬라이드 롤러(상세한 도시는 생략)가 슬라이드 레일(12a) 내에 들어가도록 하여 매끄럽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 slide 12a (not shown in detail) is provided inside the side plate 12 of the box 1, and a slide roller (not shown in detail) provided on the side plate 21b of the drawer 2 slides. It i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smoothly in the rail 12a.

또한, 서랍(2,3)에 사용하는 슬라이드 레일(12a)은 서랍(2,3)의 거의 전체를 열 수 있는 것으로 하면 수납 출입 사용의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Moreover, if the slide rail 12a used for the drawers 2 and 3 can open almost the whole of the drawers 2 and 3, the convenience of storing and using will be improved remarkably.

그리고, 적어도 최하단의 서랍(3)에는 서랍의 거의 전체가 출입할 수 있는 슬라이드 레일(12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lide rail 12a which can draw in and out substantially the whole drawer at least in the drawer 3 of the lowest stage.

최하단의 서랍(3)의 전면판(31)은 손잡이(31a)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를 움푹 패이게 하고 또한 거의 역 J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 전면판(31b)을 거쳐 단부(31c)에 연결하고, 단부(31c)를 통하여 움푹 패이도록 하여 마루면에 가까운 하부 전면판(31d) 함몰수직단부(4)로 하여 형성된다.The front plate 31 of the lowermost drawer 3 is recessed at the top to form the handle 31a and formed into an almost inverted J shape, and is formed at the end 31c via the upper front plate 31b. The lower front plate 31d is formed as the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4 close to the floor surface by making a recess through the end portion 31c.

함몰수직단부(4)의 높이는 10㎝, 그 위의 상부 전면판(31b)의 높이는 15㎝ 정도로 해 둔다.The height of the recessed vertical end 4 is set to 10 cm, and the height of the upper front plate 31b thereon is about 15 cm.

이 전면판(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의 압출성형품으로 본체(311)를 형성하고, 단부(31c)를 수납 포켓으로 하도록, 그 단면에서 세워지는 구획판(312)을 함몰수직단부(4)의 배면에 설치하고, 양측에 ABS 수지 등에 의한 사출성형품인 사이드캡(313)을 끼워 형성하고 있다.2 and 3, the front plate 31 forms a main body 311 from an extruded product of aluminum, and the partition plate 312 is erected at its cross section so that the end portion 31c is a storage pocket.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4, and side caps 313, which are injection molded articles made of ABS resin or the like, are sandwiched on both sides.

손잡이(31a)는 전면에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통상 형태와 동등한 사용 편리성을 얻을 수 있고 단부(31c) 상을 수납 포켓으로 함으로써 포장용 필름, 파스타류, 메밀국수, 우동 등의 나누어서 수납해 둘 수 있다.Since the handle 31a does not protrude to the front sid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usability as the normal form, and by storing the packaging film, pasta, soba noodles, udon, etc. separately by using the end 31c as a storage pocket. Can be.

상자체(1) 및 전면판(21)을 구비한 복수단의 서랍(2,3)으로 이루어진 캐비넷은 도 1의 복합조리가구(F)에서는 천정판(T)을 제거하여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분할된 각종 캐비넷을 병렬 배치하여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cabin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rawers (2,3) having a box (1) and the front plate 21 is removed from the ceiling plate (T) in the composite cooking furniture (F) of FIG. Various cabinets divided as shown in the arrangement is configured by connecting in parallel.

도 4는 조리대 캐비넷(A)에서, 배면판(13)을 내측에 넣어 배관 공간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고, 2단의 서랍(2,3)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In FIG. 4, in the countertop cabinet A, the back plate 13 is put inside and the piping space is comprised, and the two drawers 2 and 3 are provided.

도 5는 싱크용 캐비넷(B)에서, 배면판(13) 내측의 배면 하부에는 배관용 공간을 수직의 받침대(14) 및 L형의 배관 프레이트(15)로 구획 형성하고 있다. 측판(12)의 전면 상부 내측에는 싱크의 전단을 가리기 위한 보조막판(16)을 걸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급수, 급탕 및 배수를 위한 배관을 배면판(13)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하여 서랍(2,2,3)의 수납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5, in the sink cabinet B, the piping space is partitioned by the vertical base 14 and the L-shaped piping plate 15 in the lower back surface inside the back plate 13.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membrane plate 16 for covering the front end of the sink is arrang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side plate 12.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rawers 2, 2 and 3 by arranging piping for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and drainage inside and outside close to the back plate 13.

도 6은 서랍 캐비넷(C)에서, 3단의 서랍(2,2,3)으로 한 것으로 배면판(13)을 내측에 넣어 배면에 배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In FIG. 6, in the drawer cabinet C, three drawers 2, 2, and 3 are used, and the back plate 13 is placed inside to form a piping space on the back.

도 7은 가열기용 캐비넷(D)으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단의 서랍(2,2,3)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지만, 최상단의 서랍(2)은 가열기측부의 좁은 공간에 의한 폭이 좁게 안길이가 넓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Fig. 7 is a heater cabinet D, as shown in Fig. 1, which has three drawers 2, 2, and 3, but the top drawer 2 has a width due to the narrow space of the heater side. It consists of a narrow and wide depth.

도 8은 조리대 캐비넷(A)의 상단의 서랍(2)에 붙박이 기기로서의 식기 세정 건조기(W)를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식기세정건조기(W)를 인출하여 위로부터 식기를 출입시킬 수 있으므로, 싱크에서 세정한 식기의 출입을 낮지도 높지고 않은 적절한 작업 자세로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G. 8 is intended to assemble the dish washing dryer W as a built-in appliance in the drawer 2 at the top of the countertop cabinet A. As shown in FIG. Since the dishwashing machine W can be taken out and the dishes can be brought in and out from above, the dishes cleaned in the sink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working posture, which is neither low nor high.

상단의 서랍(2)에 내장하는 기기로서는 그 밖에 세탁기, 건조기, 취반기, 쌀통 등을 생각할 수 있다.As a device built in the upper drawer 2, a washing machine, a dryer, a cooker, a rice container, etc. can be considered.

또한, 이 붙박이 기기의 전면판이 종래의 서랍(2) 보다 낮으므로, 도시한 예에서는 식기 세정 건조기(W)의 전면판(21)을 길게 하고 있다. 이 이외에, 하부에 장식판을 끼우고 조정하거나 서랍 이외의 수납 공간으로서 대응하도록 해도 좋다.Moreover, since the front plate of this built-in apparatus is lower than the conventional drawer 2, in the example shown, the front plate 21 of the dish washing dryer W is made long. In addition to this, a decorative plate may be inserted and adjust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or may correspond to a storage space other than a drawer.

지금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각종 캐비넷을 I형 병렬하여 연결한 것이지만, 베이스 캐비넷(K)을 하나의 저판, 좌우의 측판, 하나의 배면판으로 구성하여 전면으로부터 배면판에 이르는 간막이판으로 보강하여 구획하여 구성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s, a plurality of various cabinets are connected in I type in parallel, but the base cabinet K is composed of one bottom plat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one back plate, and is reinforced with a partition plate from the front to the back plate. It may be partitioned and configured.

또한, 전면의 거의 전체를 서랍(2,3)으로 한 것으로서 제시했지만, 적어도 최하단의 서랍(3)의 태반을, 함몰수직단부 이상의 높이로 한 것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almost the whole front surface was shown as what used the drawers 2 and 3, you may make the placenta of the drawer 3 of the lowest end into the height above the recessed vertical end part at least.

일부를 서랍(3)으로 하지 않고, 함몰수직단부에 온풍 분출구를 구비하도록 한 베이스 보드히터를 조립하도록 해도 좋다.Instead of a part of the drawer 3, the base board heater may be assembled so that the recessed vertical end is provided with a hot air blower outlet.

또한, 복합조리가구를 L형으로 배치하면 꺾이는 모퉁이 부분에는 서랍을 구성할 수 없고 서랍끼리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므로 일부를 서랍으로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posite cooking furniture is placed in the L-shape, drawers cannot b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olding corners, and collisions between drawers cannot be avoided.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전면의 최하단 전체에, 복수의 서랍을 배치하고 이 서랍의 전면판은 상자체의 저판에 가까운 곳을 움푹 패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했으므로, 종래의 비활용 공간이었던 대륜까지 수납 공간이 확대되어, 베이스 캐비넷의 수납용량이 증가된 것이다.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plurality of drawers are arranged in the entire lowermost end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front plate of the drawer is a recessed vertical end portion in which a portion close to the bottom plate of the box is recessed, thus storing up to a large wheel, which was a conventional unused space. The space is enlarged, 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se cabinet is increased.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자체의 전면 거의 전체에 서랍을 설치하는 구성을 취했으므로, 최하단 서랍의 위쪽 서랍은 약간 높은 위치가 되므로, 대형의 조리기구, 보존용 병, 캔, 조리용 청주, 맛술, 와인 등을 수납하면 편리하게 넣고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최하단의 서랍에는 소형의 용기류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빈도나 수납물의 크기, 중량에 맞춘 사용이 편리한 수납이 가능해진 것이다.In the invention of claim 2, since the drawer is provided almost entirely in front of the box, the upper drawer of the lowermost drawer is at a slightly higher position, so that large cooking utensils, preservation bottles, cans, cooking sake, sake, When you store wine, etc., you can easily put in and take out. In the lower drawer, small containers and the like can be stored. It is now possible to use it easily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size and weight of objects.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최하단의 서랍을 거의 전체를 열 수 있는 슬라이드 레일을 사용하도록 했으므로, 가장 안쪽까지 간단하게 수납하고 넣고 꺼낼 수 있게 된다.In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lowermost drawer is made to use a slide rail which can open almost the whole, it is possible to simply store and insert the outermost drawer.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복수의 상자체를 병렬배치하고 연결하여 하나의 천정판으로 덮고 각각의 상자체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을 구비한 서랍을 복수단 배치하며, 최하단의 서랍의 전면판은 저판에 가까운 곳을 움푹 파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한 것으로, 미리 서랍을 조립한 상자체로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정을 분할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현장에 각각의 상자체와 천정판을 별도 반입하여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In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plurality of box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rawer having a front plate covering one front plate and covering the front of each box is arranged in plural stages, and the front plate of the bottom drawer is placed on the bottom plate. It is designed to be a recessed vertical end by digging a nearby place, and can be manufactured as a box assembled with drawers in advance,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divided, and if necessary, each box and ceiling plate are separately brought in and assembled. It becomes easy.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싱크대로 한 것으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복합조리가구로 한 것이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sink is used, and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a composite cooking furniture.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단의 서랍식 식기 세정 건조기를 조립하도록 한 것이므로 식기의 출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천정판 상의 작업 공간이 식기 세정 건조기에 의해 분할되지 않고 종래 불가능했던 식기 세정 건조기의 아래를 수납부로 할 수 있어 수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drawer-type dish washing dryer at the top is assembled so that the dishes can be easily moved in and out. In addition, the working space on the ceiling plate is not divided by the dish washing dryer, and the storage portion can be placed under the dish washing dryer, which has not been possible in the past, thereby increasing the storage amount.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에 있어서,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수납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fth or seventh aspect, the piping for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and drainage can be arranged inside and outside close to the back plate, so that the storage volume can be increased.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주방가구의 캐비넷에 있어서,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 및 유리용 배관, 전원용 배선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함으로써, 수납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in 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storage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arranging the water supply, the hot water supply, the water pipe, the glass pipe, and the power supply wiring in or near the back plate. It is.

Claims (9)

저판, 좌우의 측판, 배면판 및 천정판으로 전면을 개방한 상자체를 구성하고 전면의 최하단에 복수의 서랍을 배치하며, 상기 서랍의 전면판은 상자체의 저판에 가까운 부분을 움푹 패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It consists of a bottom panel, left and right side panels, a back panel, and a ceiling panel, which form a box with the front open, and a plurality of drawers ar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and the front panel of the drawer is recessed near the bottom of the box. Cabinet of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vertical e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자체의 전면 거의 전체에 서랍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drawer is installed almost all over the front of the box.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최하단의 서랍은 서랍의 거의 전체를 열 수 있는 슬라이드 레일을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The bottom drawer is 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which uses a slide rail that can open almost the entire drawer. 저판, 좌우의 측판, 배면판으로 상부면과 전면을 개방한 복수의 상자체를 병렬배치하고 연결하여 하나의 천정판으로 덮고, 각각의 상자체의 전면을 덮는 전면판을 구비한 서랍을 복수단 배치하고 최하단의 서랍의 전면판은 저판에 가까운 곳을 움푹 패이게 하여 함몰수직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Multiple drawers with a front plate covering the front of each box, covered with a single ceiling plate by parallel arrangement and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boxes with the bottom plate,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the back plate in parallel. The cabinet of the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anel of the drawer at the bottom of the drawer is recessed near the bottom plate to form a recessed vertical end.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and 4, 천정판에 일체로 수조를 설치하여 싱크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캐비넷.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ntertop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pla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천정판에 가열기를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Cabinet of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by embedding heater in ceiling plat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단에 서랍식의 식기 세정 건조기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drawer-type dish washing dryer is installed at the top.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pipes for water supply, hot water and drainage are arranged inside and outside the back plat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급수, 급탕, 배수용 배관 및 가스용 배관, 전원용 배선을 배면판에 가까운 안팎에 정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캐비넷.A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haracterized by arranging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drainage pipes, gas pipes, and power supply wires inside and outside the rear plate.
KR1019990063169A 1999-02-17 1999-12-28 Kitchen cabinet KR200000571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38099A JP2000236964A (en) 1999-02-17 1999-02-17 Kitchen cabinet
JP11-38099 1999-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107A true KR20000057107A (en) 2000-09-15

Family

ID=1251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169A KR20000057107A (en) 1999-02-17 1999-12-28 Kitchen cabin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236964A (en)
KR (1) KR20000057107A (en)
AT (1) AT500361B1 (en)
DE (1) DE100066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563B2 (en) * 2001-04-11 2011-03-09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cabinet
JP2003061764A (en) * 2001-08-24 2003-03-04 Cleanup Corp Base cabinet for kitchen
JP4617961B2 (en) * 2005-03-30 2011-01-2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Kitchen equipment
JP2011147626A (en) * 2010-01-22 2011-08-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Kitchen counter furniture
JP5484366B2 (en) * 2011-01-28 2014-05-07 クリナップ株式会社 Storage
JP2012157400A (en) * 2011-01-28 2012-08-23 Cleanup Corp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3548A1 (en) * 1972-01-27 1973-08-02 Gen Electric FURNITURE ELEMENTS
DE8702736U1 (en) * 1987-02-23 1987-04-23 Leicht Einbaukuechen Gmbh, 7070 Schwaebisch Gmuend, De
DE8903297U1 (en) * 1989-03-16 1989-05-03 Ninkaplast Gmbh, 4902 Bad Salzuflen, De
DE19500672C2 (en) * 1995-01-12 1999-07-15 Blanco Gmbh & Co Kg Waste collection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00361A1 (en) 2005-12-15
JP2000236964A (en) 2000-09-05
AT500361B1 (en) 2006-12-15
DE10006665A1 (en) 200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7107A (en) Kitchen cabinet
CN108078231A (en) Modular kitchen integrates apparatus
KR20160044182A (en) Versatile Kitchen Drawer
JP3554677B2 (en) Kitchen furniture cabinet
JP4636437B2 (en) Corner cabinet and cabinet unit
JP2004290420A (en) Kitchen furniture equipped with vertical pocket
KR100592479B1 (en) Multi-table
KR101893866B1 (en) Multipurpose table for fast food shops
KR20100002340A (en) Multi table
JP4312935B2 (en) Kitchen corner storage device
JPH05130919A (en) Island kitchen
KR200363200Y1 (en) Shelf suitable to kinchi refrigerator
CN219651583U (en) Lunch box and disinfection device suitable for same
KR200363441Y1 (en) Furniture with sub-table
LU100619B1 (en) Cabinet facilitating cooking
JPH0716342Y2 (en) Kitchen cabinets
KR200256085Y1 (en) Kitchen sink
KR200324914Y1 (en) a top recipience cabinet of sink
JP3198737U (en) Multi dining storage furniture
KR20230143366A (en) Storage cabinet for space application of indoor
KR200270923Y1 (en) Kitchen furniture
JP2001087150A (en) Washstand
KR200329656Y1 (en) A table capable of containing cruets
JPH0731716Y2 (en) Kitchen storage
JP2008253322A (en) Kitchen storage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