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916A -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916A
KR20000056916A KR1019990006674A KR19990006674A KR20000056916A KR 20000056916 A KR20000056916 A KR 20000056916A KR 1019990006674 A KR1019990006674 A KR 1019990006674A KR 19990006674 A KR19990006674 A KR 19990006674A KR 20000056916 A KR20000056916 A KR 2000005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formation
billing
call server
sn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우
차신
이남걸
민상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6916A/ko
Publication of KR2000005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CSIP, CSCP 및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콜 서버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과금요소를 수집하여 일정규격으로 변환한 후 저장하기 위해 상기 CSCP에 형성되는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과, 상기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로부터 수집된 과금요소에 대한 과금정산 수행 및 과금정산 결과를 상기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CSIP에 형성되는 과금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합당한 과금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management of the call server}
본 발명은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과 인터넷망을 통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레포니의 콜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 전산망의 발달로 인한 데이터망의 확장과 연속적이고 버스티(bursty)한 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가 통신 채널을 점유하게 됨에 따라 시스템들과 전산망은 전화, 팩스, 700 음성 정보 서비스, 무선 호출 서비스, 인터넷 폰 서비스, 폰뱅킹 서비스, 콜 센터전용의 구내 교환 등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도로 인해 전화가 네트워크 상의 또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컴퓨터가 다양한 서버 기능을 하는 것과 같이 전화를 통해서도 다양한 정보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자원들을 음성이나 팩스 형식으로 변환하여 공중회선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통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있다.
또한, 컴퓨터를 통해 모든 정보를 검색하는 것처럼 전화나 팩스에서도 똑같이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이와 같이 전화가 네트워크 상의 또 다른 응용 분야로 자리잡음에 따라 전화 통화를 위한 지원 인력의 감소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확장시키기에 가장 적절한 환경으로는 전송제어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TCP/IP) 기반의 LAN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최근 폭발적인 수요를 지닌 인터넷과의 연동에 유용하며 하나의 PC(personal computer) 기반의 전화 사설망의 개념을 적용하기에도 적절하다.
이러한 LAN과 텔레퍼니망의 통합 기술 접근 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은 IP(Internet Protocol)패킷에 음성 신호를 싣는 방법이며, 전화 사설망에서 ARS(Automatic Route Selection)나 음성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콜 센터를 사용하듯이 LAN 텔레퍼니에서도 다양한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음성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er : VMS), 비디오 서비스 등을 수행시키기 위한 콜 서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콜 서버는 외부 PSTN과의 연동관계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PC기반의 사설망의 부과 서비스, 운영관리, 과금관리 등의 PC기반의 전화 사설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등 많은 일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콜 서버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콜 서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콜 서버 시스템은 CSIP(Call Server Internet Policy)(10)와, CSCP(Call Server Call-related Procession)(20)와, 외부 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30)로 크게 나뉜다.
상기 CSIP(10)는 콜 서버의 부가 서비스의 확장과 인텔리젠트한 시스템 운영과 콜 서버의 전체적인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 및 등록제어모듈(11), VMS 관리모듈(12), TTS 관리모듈(13),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제어모듈(11)은 콜 서버의 서비스를 받을 사용자들의 권한 및 콜 시그널 서비스 운영정책을 결정하며, 상기 VMS 관리모듈(12)은 콜 서버의 부가 서비스의 일종으로 콜 했던 사용자가 응답이 없는 경우 VMS(voice mail server)에 연결시켜 음성 메일을 전송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TTS 관리모듈(13)은 시외 중계 교환을 관리하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콜 포워딩(forwarding), 홀딩(holding), 및 콜 트랜스퍼링(transferring)을 수행시키고, 또한 다중 콜 포워딩의 경우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CSCP에서는 단일 콜 포워딩으로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CSCP(20)는 콜 관련 서비스들의 메시지 생성과 전달 시그널의 라우팅 등 상기 CSIP(10)를 통해서 얻어진 결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관리테이블(21), 주소변환모듈(23),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2), 미디어 처리제어모듈(24), 네트워크 모니터링모듈(25), 다중통화 세션 관리모듈(26)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관리테이블(21)은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제어모듈(11)과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주소변환모듈(23)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및 관리한다.
주소변환모듈(23)은 통화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이 서비스에 대한 등록 콜 및 서비스 상용 콜이 들어오는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의 정보를 입력받아 실질적인 메시지를 생성한다.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2)은 통화 시그널의 실질적인 전달을 담당하며, 미디어 처리제어모듈(24)은 각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미디어 전송을 위해 미디어의 종류와 코덱 방식을 정하고 현 네트워크에 적합한 전송속도를 알려준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25)은 미디어의 적절한 전송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대역폭등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제어모듈(11)로부터 수집 및 전달한다.
다중통화 세션 관리모듈(26)은 다중통화와 세션설정 및 관리하고 각 미디어 전송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30)는 시스템 구성과 사용자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콜 서버장치는 네트워크 부하가 많은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와 네트워크 부하가 적은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같은 시간과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진 서비스를 제공받았다고 해서 같은 요금을 부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콜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CSIP, CSCP 및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콜 서버 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 과금요소를 수집하여 일정규격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해 상기 CSCP에 형성되는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과, 상기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로부터 수집된 과금요소에 대한 과금정산 수행 및 과금정산 결과를 상기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CSIP에 형성되는 과금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콜 서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과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과금관리모듈 및 관련응용 시스템 관리모듈과 사용자 시스템과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 과금관리모듈 206 : 관련응용 시스템 관리모듈
206a : 정보수집모듈 206b : 정보변환모듈
206c : 과금요소 SNMP MIB 206d : SNMP 전달모듈
600 : 사용자 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과금관리모듈 및 관련 응용시스템 관리모듈 과 사용자 시스템과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는 과금에 관련된 요소들을 추출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간이 통신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이하, SNMP라 약칭함)규격에 맞는 MIB로 변환한 후 저장하는 관련 응용 시스템 관리모듈(206)과, 수집된 정보를 가지고 과금정산 및 과금정산 결과값을 외부 시스템 관리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과금관리모듈(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금관리모듈(105)은 CSIP(10)에 형성되며, 상기 관련 응용 시스템 관리모듈(206)은 CSCP(2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과금관리모듈(105) 및 관련 응용 시스템 관리모듈(206)과 사용자 시스템(600)과의 연동 관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련 응용 시스템 관리모듈(206)은 외부로부터 과금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206a)과, 상기 정보수집모듈(206a)에서 수집된 정보를 SNMP로 변환하는 정보변환모듈(206b)과, 상기 정보변환모듈(206b)의 출력을 저장하는 과금요소 SNMP MIB(206c)와, 상기 과금요소 SNMP MIB(206c)에 저장된 과금정보를 사용자의 정보요구 신호에 따라 상기 과금관리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과금계산정보 및 최종과금 여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SNMP 전달모듈(206d)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수집모듈(206a)은 과금관련 요소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변환모듈(206b)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금관련 요소로는 부가서비스 사용종류, 부가서비스 사용시간, 체증정도여부, 네트워크 사용시간, 게이트웨이 사용시간, 서비스를 통한 체증량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부가서비스 사용 종류 및 사용시간에 따른 과금책정 방식은 부가서비스 사용종류에 대한 비용차이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의해 우선 순위가 설정되며, 서비스 사용시간이 많을 수록 높은 과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체증정도에 따른 과금방식은 체증이 높은 시간대에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들에게는 적은 과금을 할당하도록 하며, 네트워크 사용시간에 대한 과금방식은 네트워크 접속시간의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과금이 부여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사용시간에 대한 과금방식은 게이트웨이 사용시간은 PSTN망에 대한 사용시간이므로 특수하게 과금이 적용되며, 서비스를 통한 체증량에 따른 과금방식은 서비스의 요구에 의한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과금할당을 처리하겠다는 방식이다.
정보변환모듈(206b)은 상기 정보수집모듈(206a)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SNMP로 변환하여 과금요소 SNMP MIB(206c)에 저장한다.
과금요소 SNMP MIB(206c)는 SNMP 전달모듈(206d)이 필요할 때마다 과금요소 SNMP MIB(206c)에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과금정보 요구 폴링이 상기 SNMP 전달모듈(206d)에 입력되면 상기 SNMP 전달모듈(206d)은 상기 과금관리모듈(105)과 데이터 통신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액제 부과방식, 체증시 부과방식 및 서비스 품질에 따른 부가 방식들을 적용하기 위해서 과금방식의 요소들을 뽑아 정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과금요소들의 실질적인 값을 수집하고 그 값을 MIB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 시스템의 과금장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합당한 과금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CSIP, CSCP 및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콜 서버 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과금요소를 수집하여 일정규격으로 변환한 후 저장하기 위해 상기 CSCP에 형성되는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
    상기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로부터 수집된 과금요소에 대한 각각의 과금정산수행 및 과금정산 결과를 상기 외부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CSIP에 형성되는 과금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응용시스템 관리모듈은 외부로부터 과금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에서 수집된 정보를 SNMP 규격으로 변환하는 정보변환모듈;
    상기 정보변환모듈의 출력을 저장하는 과금요소 SNMP MIB; 그리고,
    상기 과금요소 MIB에 저장된 과금정보를 사용자의 정보요구 신호에 따라 상기 과금관리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과금계산정보 및 최종과금 여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SNMP 전달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KR1019990006674A 1999-02-27 1999-02-27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KR20000056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74A KR20000056916A (ko) 1999-02-27 1999-02-27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74A KR20000056916A (ko) 1999-02-27 1999-02-27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16A true KR20000056916A (ko) 2000-09-15

Family

ID=1957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74A KR20000056916A (ko) 1999-02-27 1999-02-27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6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273B1 (ko) 최저가로 랜 상에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통합하는 장치 및 방법
US7336649B1 (en) Hybrid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telephony system
US6570855B1 (en) Automatic call manager traffic gate feature
US6938080B1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managing data exchanges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in a managed packet network
US200400306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consumer for a packet based telecommunications transmission
EP1113647A2 (en) Simplified IP service control
KR10047518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VoIP 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1503572A (ja) インターネット遠距離通信システム
EP1113620A1 (en) Handheld integrated IP device
JPH114292A (ja) 通信システム
US6438218B1 (en) Internet telephone service
JP2004524755A5 (ko)
KR100314084B1 (ko) 인터넷 브라우져를 이용한 상담 장치 및 방법
KR100357476B1 (ko)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US7319693B2 (en) Integrate network switching system
JP2001230819A (ja) Ip専用回線
US200400280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a packet based communication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JP4289012B2 (ja) Ip電話付加サービス提供方法
RU22803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нтеграции речевого сигнала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 локальным сетям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маршрутизации с наименьшей стоимостью
RU200311736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нтеграции речевого сигнала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маршрутизации с наименьшей стоимостью
KR20000056916A (ko) 콜 서버의 과금관리 장치
US6917625B1 (en) Intelligent peripheral concentrator
KR20000046339A (ko) 인터넷 폰 기능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 방법
KR100323714B1 (ko)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