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20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201A
KR20000055201A KR1019990003709A KR19990003709A KR20000055201A KR 20000055201 A KR20000055201 A KR 20000055201A KR 1019990003709 A KR1019990003709 A KR 1019990003709A KR 19990003709 A KR19990003709 A KR 19990003709A KR 20000055201 A KR20000055201 A KR 2000005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machine
tank
dam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시문
김동원
박영환
권오훈
김경환
이태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201A/ko
Priority to US09/272,128 priority patent/US6286344B1/en
Priority to JP23180699A priority patent/JP3193699B2/ja
Priority to CNB991203968A priority patent/CN1163648C/zh
Priority to DE19956973A priority patent/DE19956973B4/de
Publication of KR2000005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정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내에 세탁조를 고정하는 걸이부재의 상단이나 중간부분에 댐퍼 부재를 설치하여 세탁조와 걸이 부재의 간섭을 피하고 세탁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측면 상부에 다수의 브래킷이 설치된 세탁기 케이스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위치되고 외측면 하부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세탁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브래킷과 돌출부에 연결되는 걸이 부재와, 상기 걸이 부재의 상단부 또는 중간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부분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댐퍼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er}
본 발명은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정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내에 세탁조를 고정하는 걸이부재의 상단이나 중간부분에 댐퍼 부재를 설치하여 세탁조와 걸이 부재의 간섭을 피하고 세탁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의류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로서, 의류에 묻은 때는 세탁액 속에 넣으면 세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섬유에서 떨어지게 되나 세제만의 작용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류를 강제 발생시켜 마찰이나 진동 등의 기계적인 작용을 가하면 때가 빠지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 등을 세척하는 것이 세탁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측면 구성도로서, 그 구성은 세탁기 케이스(10)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어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탁조(20)와, 상기 세탁조(20)를 상기 세탁기 케이스(10)에 매달리도록 하는 동시에 댐퍼 기능을 수행하는 네 개의 걸이부재(30)와, 상기 세탁조(20)의 펄세이터(25) 및 세탁조(20)의 내조(2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20)는 하부에 네 개의 브래킷(22)이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재(30)의 하부 측이 걸리도록 되어 있는 외조(21)와, 상기 구동 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세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펄세이터(25)가 설치된 내조(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40)에는 클러치 장치 및 유성기어가 포함되어 상기 펄세이터(25) 및 내조(23)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걸이부재(30)는 그 상단부가 상기 세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브래킷(11)에 걸려 있고, 그 하단에는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댐퍼 케이스(37)내부에 스프링(36)이 구비된 댐퍼 부재(35)가 상기 외조(21)의 하부에 형성된 브래킷(22)에 걸려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조(20)는 상기 세탁기 케이스(10) 내부에 상기 걸이부재(30)를 통해서 매달려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내조(23)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세탁조(20)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세탁하기 위한 일정높이까지 물이 차 오르게 되고, 이후 상기 구동 모터(40)가 동작되어 상기 펄세이터(25) 및 내조(23)를 회전시키면서 세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탁을 실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모터(40)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외조(21)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밸브(27)가 열리면서 상기 세탁조(20) 내부의 물이 배수관(28)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20)에 다시 물이 공급되어 일정높이까지 차 오르게 되어 헹굼 운전을 하게 되는데, 헹굼 운전은 보통 2 ~ 3회에 걸쳐 이루어지고 상기한 세탁운전과 똑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구동 모터(40)를 동작시키는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및 헹굼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내조(23)만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운전이 진행된다. 즉 상기 내조(23)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23)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하여 상기 외조(21)로 이동된 후 상기 배수관(28)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탁기는 세탁기 케이스(10) 내에 걸이부재(30)로 매달린 세탁조(20)가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이 세탁조(20)의 중앙부로 몰려 포엉킴을 유발하게 되어 균일한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20)를 고정하는 걸이 부재(30)의 하단에 소정 부피를 가진 댐퍼 부재(3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20)와 댐퍼 부재(35)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세탁조(20)와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댐퍼 부재(35)를 설치하게 되면 세탁기 전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기내에 세탁조를 매달고 있는 걸이 부재의 상단이나 중앙부에 댐퍼 부재를 설치하여 댐퍼 부재와 세탁조의 간섭을 피하고, 세탁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세탁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세탁조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세정력 및 세탁 편차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어진 세탁조의 원심력 작용 상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세탁기 케이스 52 : 상부 브래킷
60 : 세탁조 61 : 외조
62 : 하부 브래킷 63 : 배수구
64 : 배수관 65 : 내조
66 : 펄세이터 70 : 걸이부재
71, 71a, 71b : 로드 72, 72a, 72b : 걸림구
75 : 댐퍼 부재 76 : 스프링
77 : 스토퍼 78 : 댐퍼 케이스
80 : 구동 모터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내측면 상부에 다수의 브래킷이 설치된 세탁기 케이스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위치되고 외측면 하부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세탁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브래킷과 돌출부에 연결되는 걸이 부재와, 상기 걸이 부재의 상단부 또는 중간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부분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댐퍼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세탁기 케이스(50)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50)내에 수직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θ) 만큼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내조(65)에서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탁조(60)와, 상기 세탁조(60)가 상기 세탁기 케이스(50)내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세탁기 케이스(50) 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세탁조(60)에 고정되는 4개의 걸이 부재(70)와, 상기 세탁조(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조(60)의 내조(65)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8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세탁기 케이스(50)는 상부에 뚜껑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재(7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각 모퉁이에 4개의 브래킷(52)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세탁조(60)는 상기 걸이 부재(70)를 통해 세탁기 케이스(50)내에 기울어지게 고정되는 외조(61)와, 상기 외조(61)내에서 상기 구동 모터(80)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세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펄세이터(66)가 설치된 내조(6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외조(61)와 내조(65)로 이루어진 세탁조(60)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임 각도(θ)가 0°< θ < 30°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 결과에 따라 세탁조(60)의 기울임 각도(θ)에 따라 세정도 및 세탁 편차가 변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세정력과 세탁편차가 각각 15°부근에서 최대와 최소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세탁편차는 세탁이 고르게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작을수록 좋다.
이와 같은 세탁조(60)가 기울어지게 설치됐을 때 세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세탁 편차가 줄어드는 것은 내조(65)가 회전할 때 내부의 수류 발생이 원주 방향뿐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포유동이 복잡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세탁물의 세정력이 향상된다.
즉, 도 4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일정각도(θ) 기울어진 세탁조(D)의 한 질점(m)에서의 힘의 분포를 살펴보면, 우선 수직방향으로는 중력(mg)이, 세탁조(D)의 경사면(S)으로는 펄세이터 또는 세탁조(D) 내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CF)이 각각 작용하게 되는데, 경사면(S)에서 세탁조(D)의 한 질점(m)에 작용하는 힘은 경사면(S)의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원심력(CF)과 중력에 의한 힘(mg * sinθ)을 합친 힘(CF + mg * sinθ)이 작용하게 되고, 경사면(S)의 올라가는 방향으로는 원심력(CF)에서 중력에 의한 힘(mg * sinθ)을 뺀 힘(CF - mg * sinθ)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조(D)가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세탁조에 비하여 한 질점에 작용하는 힘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복잡한 포유동을 형성하게 되어 세정력이 증가되는 동시에 세탁편차가 감소되는 것이다.
하지만, 세탁조(D)가 심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원심력(CF)의 영향보다는 중력(mg)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세탁조(D)의 불균형이 심화되어 회전구동의 어려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세탁조(D)의 벽면을 따라 발생되는 포유동이 약해지게 되어 세탁물이 고르게 퍼지면서 세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하나로 뭉쳐지게 된다. 결국, 하나로 뭉쳐진 세탁물의 내부 세탁물은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세정력은 감소되고 세탁편차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60)의 기울어진 각도(θ)는 0°< θ < 30°의 범위내에서 세탁조건과 세탁기의 구조에 따라 적정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의 시험 결과에 따라서는 세탁조의 기울임 각도(θ)가 15°정도 유지되게 설치됨으로써 세탁능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는 세탁조(60)는 세탁물 수납 및 내부 확인이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위치하는 세탁기 케이스(50)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걸이 부재(70)는 긴 봉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탁기 케이스(50) 내에 4개가 설치되는 바, 상단부는 상기 세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서 돌출 고정된 상부 브래킷(52)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세탁조(60)의 외조(61)에서 돌출된 하부 브래킷(62)에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걸이 부재(70)는 긴 봉형의 로드(71)와, 상기 로드(7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브래킷(52)을 통해 상기 세탁조(60)를 탄성력 있게 지지하는 댐퍼 부재(75)와, 상기 로드(71)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플랜지형으로 형성된 걸림구(7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 부재(75)는 상기 로드(71)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상부 브래킷(5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걸이 부재(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76)과, 상기 로드(71)의 상단에 플랜지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76)에 지지되는 스토퍼(77)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50)의 브래킷(52)의 상측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76)과 스토퍼(77)를 보호하는 댐퍼 케이스(78)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52)(62)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4개씩이 설치되고, 가운데 부분에 홀(52a)(62a)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동 모터(80)는 모터와 내조 직결식이나 클러치 방식 중 어느 방식을 채용하여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60)의 외조(61)의 낮은 쪽에는 배수구(63)가 설치되고, 이 배수구(63)로부터 세탁기 케이스(50) 외측으로 배수관(64)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배수구(63)나 배수관(64) 상에는 배수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조(60)는 세탁기 케이스(50)에 걸이 부재(70)를 통해 매달리듯 고정되고, 내조(65)가 구동 모터(8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세탁물을 세정하게 되므로 세탁조(65)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내조의 회전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 부재(70)의 상단부에 댐퍼 부재(75)가 설치되어 세탁조(60)와 댐퍼 부재(75)의 간섭을 피하면서 세탁조(60)의 세정 작동 중 발생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통상 걸이 부재는 어느 정도 경사진 각도로 위치된 상태에서 세탁조를 매달리도록 고정하게 되고, 이 걸이 부재에 설치된 댐퍼 부재도 일정한 부피를 갖게 되므로 댐퍼 부재와 세탁조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세탁기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우 세탁조(60)와 댐퍼 부재(75) 사이의 간섭을 피하면서도 일반 세탁기와 같이 동일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탁기 케이스(50)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 부재(70)에 장착되는 댐퍼 부재(75)를 하단에 설치하지 않고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댐퍼 기능을 확보하면서도 세탁조(60)와 댐퍼 부재(75)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댐퍼 부재(75)는 세탁조(6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걸이 부재(70)의 로드(71) 및 스토퍼(77)에 전달되고, 상기 스토퍼(77)가 코일 스프링(76)을 통해 세탁기 케이스(50)의 브래킷(5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세탁기 작동시 발생되는 세탁조(60)의 고유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댐퍼 부재가 걸이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된 것과는 다르게 댐퍼 부재(75')가 걸이 부재(7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댐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내조(61') 및 외조(65')로 이루어진 세탁조(60')가 세탁기 케이스(50')내에 걸이 부재(70')를 통해 매달리듯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걸이 부재(70')는 중간 부분에서 두 개의 로드(71a)(71b)로 나누어지고, 이 두 개의 로드(71a)(71b)는 댐퍼 부재(75')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댐퍼 부재(75')는 상측 로드(71a)의 하단에 플랜지형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스토퍼(77')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측 로드(71b)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77')가 삽입되어 있는 댐퍼 케이스(78')와, 상기 댐퍼 케이스(78')와 상기 스토퍼(77')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코일 스프링형의 댐퍼 스프링(76')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두 개의 로드(71a)(71b)는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세탁기 케이스(50')의 브래킷(52')과 세탁조(60)의 브래킷(62')에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구(72a)(72b)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조(6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두 개의 로드(71a)(71b)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댐퍼 케이스(78')와 스토퍼(77') 사이에 설치된 댐퍼 스프링(76')이 완충 작용을 하면서 세탁조(60')에서 발생되는 고유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세탁조가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세탁기에 적용된 실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세탁조가 기울어지지 않은 통상의 세탁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조를 매달고 있는 걸이 부재의 상단부나 중앙부에 댐퍼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댐퍼 부재와 세탁조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세탁기의 부피를 줄여 동일 부피로 세탁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내측면 상부에 다수의 브래킷이 설치된 세탁기 케이스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위치되고 외측면 하부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내에 세탁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브래킷과 돌출부에 연결되는 걸이 부재와, 상기 걸이 부재의 상단부 또는 중간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부분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댐퍼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수단은 상기 걸이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걸이 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세탁기 케이스의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수단은 상기 걸이 부재의 중간부분에 설치될 경우, 상기 걸이 부재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걸이 부재의 끝단에는 스토퍼가 고정되고, 하측 걸이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된 댐퍼 케이스가 고정되며, 상기 댐퍼 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스토퍼 사이에는 댐퍼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90003709A 1999-02-04 1999-02-04 세탁기 KR20000055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09A KR20000055201A (ko) 1999-02-04 1999-02-04 세탁기
US09/272,128 US6286344B1 (en) 1999-02-04 1999-03-19 Washing machine with tilted tub assembly
JP23180699A JP3193699B2 (ja) 1999-02-04 1999-07-15 洗濯槽が傾いた洗濯機
CNB991203968A CN1163648C (zh) 1999-02-04 1999-09-24 带有倾斜桶组件的洗衣机
DE19956973A DE19956973B4 (de) 1999-02-04 1999-11-26 Waschmaschine mit gekippter Trogbaueinhe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09A KR20000055201A (ko) 1999-02-04 1999-02-04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01A true KR20000055201A (ko) 2000-09-05

Family

ID=1957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09A KR20000055201A (ko) 1999-02-04 1999-02-04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2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352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352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699B2 (ja) 洗濯槽が傾いた洗濯機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EP298029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uspension assemblies
KR100211866B1 (ko)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
US2987189A (en) Vibration isolating system
JP200702099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00055201A (ko) 세탁기
KR100323529B1 (ko) 세탁기
KR100366691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323506B1 (ko) 세탁조가 기울어진 세탁기
KR100323530B1 (ko) 하부 프레임을 갖는 기울어진 세탁기
JPH08206388A (ja) 脱水洗濯機
KR100315772B1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KR100323532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20000007769A (ko) 세탁기의 댐퍼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20000055200A (ko) 세탁조 및 그 바닥면이 기울어진 세탁기
KR200141501Y1 (ko) 전자동세탁기의 감쇠장치
KR20000055199A (ko) 세탁 내조가 기울어진 세탁기
KR100513006B1 (ko) 모노 터브 드럼 세탁기
KR100802474B1 (ko) 세탁기
KR0169351B1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KR200152444Y1 (ko)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
KR0135844Y1 (ko) 세탁기의 걸이봉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