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369A -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369A
KR20000054369A KR1020000030473A KR20000030473A KR20000054369A KR 20000054369 A KR20000054369 A KR 20000054369A KR 1020000030473 A KR1020000030473 A KR 1020000030473A KR 20000030473 A KR20000030473 A KR 20000030473A KR 20000054369 A KR20000054369 A KR 2000005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reservation
seller
buy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현
Original Assignee
김종성
한화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한화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0003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369A/ko
Publication of KR2000005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369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신용을 동시에 증가시켜서, 종래의 상거래와 동일한 수준의 신용을 전자상거래에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예약구매방법은, 구매자가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선택단계;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에 해당하는 예약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고,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예약단계; 상기 상품의 인도여부에 대하여 입력하는 상품인도 확인단계; 및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상기 예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잔금결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URCHASING GOODS ONLINE BY RESERV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특정하면, 인터넷을 통한 상품 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이다. 더 한정하면,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소정의 예약금을 납부하고 상품을 예약한 후, 상품의 인도시에 잔금을 결제하는 상품 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이다.
전형적으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자는 다양한 상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자는 이들 다양한 상품 정보를 검색한 후, 상품을 주문하고, 신용카드 또는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그 상품대금을 전부 결제한다. 그리고, 판매자는 상품주문에 따라서 그 상품을 직접 또는 우편이나 택배로 배달하거나, 또는 편의점이나 PC방 등의 소정의 상품 인도 장소에서 구매자에게 그 상품을 인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상거래에서는 소위 "선결제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 프로세스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판매자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 통상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S101). 로그인 후에, 구매자는 상품을 검색하고 구입하려는 상품을 선택하여 쇼핑카트 또는 바구니에 저장시킨다(S102). 상품 선택이 끝나면, 구매자는 신용카드나 전자화폐 번호를 입력하여 상품대금 전액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며(S103), 이와 같은 구매 및 대금결제 결과가 구매자에게 출력되고, 추후에 e메일을 통하여 확인메시지가 전달되기도 한다. 그리고, 판매자는 구매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직접 배달하거나, 우편 또는 택배로 배달한다. 또는, 배달비용 감소를 꾀하기 위하여 구매자가 위치한 지역의 편의점이나 PC방에서 구매자가 직접 수령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결제 방식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는, 구매자가 인터넷 상에서만 상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그 품질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불리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대금을 먼저 결제하고, 추후에 상품을 인수한다. 따라서, 판매자가 배달을 지연시키거나, 불량 상품을 배달하는 경우에도 환불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신용이 보장되지 않으며, 이는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24036호 및 제2000-24037호에서는, 거래보증을 위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외에 제3자가 개입하여, 구매자가 될 회원의 e메일, 판매자 상품에 대한 상품 메시지, 주문상품에 대한 상품주문자의 입금액, 판매자의 상품발송에 대한 대금지급, 구매자의 정당한 반품에 대한 환불 등을 보증하고, 거래기간 동안 상품대금을 보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하면, 판매자와 구매자 이외에 제3자가 개입되기 때문에,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하고, 또한 별도의 수수료를 제3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며, 저가의 상품의 경우 이와 같은 추가적인 부담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언급된 선결제 방식의 종래기술의 단점과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제3자 보증방식의 단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실거래사회에서는, 인터넷 상에서는 상품 주문만을 행하고, 대금결제는 상품의 인도시에 행하는 "후결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후결제 방식에서는, 상품 인도시에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구매자가 판매자가 지정한 소정의 장소에서 상품을 수령하는 경우나 상품 배달자가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만,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결제 방법에 있어서, 현금지급 방법은 고가의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장치의 사용시에는 무선으로 구매자의 신용정보가 전송되므로 그 신용정보가 누설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 이와 같은 후결제 방법에 의하면, 구매자가 상품을 주문한 후 타당한 이유없이 상품구매를 취소하거나 상품을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로 인한 금전적 부담이 판매자에게 지워지므로,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동등한 신용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특히 적용하고자 하는 면세품의 판매에 관하여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면세품은 출국항 내의 면세점에서 구입하거나, 시내의 면세점에서 미리 면세품을 구입하고, 출국시에 출국항에서 면세품을 인수하는 방법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출국시에 시간이 촉박하거나 출국항 내의 면세점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 구입이 어렵고, 후자의 경우에는 시내의 면세점을 방문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에는, 시간이 촉박한 관계로 상기와 같은 방법 모두가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면세품 판매 사이트를 개설하여, 구매자가 야간 등 휴식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직접 면세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온라인을 통한 면세품 판매에 있어서도, 일반 상품의 전자상거래와 동일하게 선결제방식은 구매자에게 불리하며, 또한, 후결제 방식에 있어서도, 구매자가 면세품을 온라인으로 예약하고, 출국항에서 주문된 면세품을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매자가 면세품 운송비 등의 금전적 부담을 지게 되는 등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동등한 신용도가 보장되지 않는다. 즉, 면세품의 온라인 전자상거래에서도, 상기 언급된 일반상품의 전자상거래에서와 동일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선결제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구매자와 판매자의 신용도를 동시에 증가시키는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매자와 판매자 외에 제3자가 개입하여야 하는 공지의 제3자 보증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후결제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특히 면세품의 판매에 적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온라인 상품구매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구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판매자용 서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품선택 및 예약금결제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예약취소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품인도확인 및 잔금결제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결제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은, 구매자가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선택단계; 구매자가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에 해당하는 예약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고, 예약번호가 부여되는 예약단계; 상기 상품의 인도여부에 대하여 입력하는 상품인도 확인단계; 및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상기 예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잔금결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예약단계 및 상기 상품인도 확인단계 사이에 예약취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약취소단계는, 구매자에게 예약금을 반환하는 단계 및 판매자에게 상품인도 중지지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약단계는, 구매자의 ID, 비밀번호, 기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상기 선택된 상품의 인수일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을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단계;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및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의 운송지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인도 확인단계는, 상기 예약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품인도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잔금결제단계는, 상기 예약단계에서와 동일한 결제수단 또는 구매자가 새로이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상기 잔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및 은행계좌이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면세품 판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약단계가, 보세운송면장취득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시스템은, 네트워크; 제어부, 입출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구입자용 수단; 제어부, 입출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품인도처용 수단; 및 제어부, 입출력수단, 저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판매자용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매자용 서버의 저장수단은, 구매자가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상품선택수단,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에 해당하는 예약금을 결제하고,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예약수단, 상기 상품의 인도여부를 입력받는 상품인도 확인수단, 및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상기 예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결제하는 잔금결제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예약취소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약취소수단은, 구매자에게 예약금을 반환하는 수단 및 상품인도 중지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예약수단은, 구매자의 ID, 비밀번호, 기타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상기 선택된 상품의 인수일을 입력받는 수단;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을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수단;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수단; 및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의 운송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품인도 확인수단은, 상기 예약번호를 입력받는 수단 및 상품인도 여부를 입력받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잔금결제수단은, 상기 예약수단에서와 동일한 결제수단 또는 구매자가 새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상기 잔금을 결제하는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및 은행계좌이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면세품 판매에 응용하는 경우, 상기 예약수단은, 보세운송면장취득 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백하고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매자용 수단(2), 판매자용 서버(3), 및 상품인도처용 수단(4)이 네트워크,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아울러, 상품대금 결제를 위한 결제기관용 서버(5)도 부가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구매자(2)가 인터넷(1)을 통하여 판매자(3)에게 소정의 상품을 예약하면, 판매자(3)는 상품을 경로(6)를 통하여 소정의 상품인도처(4)로 운송하고, 구매자(2)는 경로(7)를 통하여, 사전에 결정된 시기에 상품인도처(4)를 방문하여, 상품을 인수한다. 선택적으로, 상품인도처(4)를 별도로 두지 않고, 판매자(3)가 직접 구매자(2)에게 예약된 상품을 경로(8)를 통하여 배달할 수도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상품인도처(4)에서 구매자(2)가 상품을 인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구매자용 수단(2)은, 제어부, 입출력수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통상적인 PC, 인터넷TV 등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품인도처용 수단(4)은, 상기 구매자용 수단(2)과 동일하게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PC방, 편의점 등 각 지역에 기반을 둔 장소에 설치되거나, 판매자용 서버(3)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장소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결제기관용 서버(5)는 통상적인 금융기관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융기관은 신용카드 결제기관, 은행, 전자화폐 발행기관, 전자 상품권 발행기관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판매자용 서버(3)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판매자용 서버(3)는 통상적인 서버이며, 제어부(31),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 입출력수단(35), 및 저장수단(36)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단(36)은, 상기 제어부(31)를 운영하는 O/S 프로그램과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33), 및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는 예를 들어, 구매자정보DB(36a), 대금결제정보DB(36b), 약관정보DB(36c), 상품정보DB(36d), 상품구매정보(36e), 상품운송정보DB(36f)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33)에 의하여, 제어부(31)가 제어되며, 인터넷 상에 웹페이지(32)가 구축된다. 웹페이지(32)의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인터넷 쇼핑몰의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고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33)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온라인 예약구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에 설명된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 예약구매 방법에 관하여 대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예약구매 방법에 의하면, 먼저,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품을 선택하고 예약금을 결제한다(S1). 그리고, 구매자가 소정기간 내에 예약취소를 하는 경우(S2)에는 예약금이 환불된다(S5). 예약이 취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장소에서, 상품인도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온라인 예약구매 시스템에 입력하면(S3), 상품대금 중 잔금이 결제된다(S4). 만일, 구매자가 상품을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예약금은 위약금으로서 환불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약구매 방법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상품선택 및 예약금결제 단계(S1)를 도시하고 있다.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S11), 판매자가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결정한다(S12). 이와 같은 상품 검색 및 결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어온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쇼핑카트나 바구니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품을 선택한 후, 동시에 결제할 수도 있다. 일단, 상품결정이 이루어지면, 구매자정보를 입력한다(S13). 구매자 정보는 구매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e메일 주소 등 구매자의 각종 신상 정보 중에서 선택되며, 만일 구매자가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이미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해 놓은 상태라면, 간단히, "Amazon.com Inc."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5,960,4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여, 한번의 클릭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구매자 정보입력(S13)이 종료되면, 구매자는 상품인수일을 선택하여 입력한다(S14). 판매자는, 이 단계에서, 운송일자 등을 감안하여 상품인도가 가능한 시기를 제시하여야 한다. 상품인수일 선택 후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법적규정과 상품 인수처 등을 제시함과 아울러,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계약에 따른 법적 효력을 명시하는 약관이 출력된다(S15). 그리고나서, 구매자는 예약금을 결제한다(S16). 그 후에, 예약번호 또는 구매번호가 발급되어, 출력된다(S17). 바람직하기로는, 예약사실을 확인시키기 위하여, 구매자의 e메일 주소로 e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시에 판매자의 출력수단에는, 구매에 관한 정보 및 상품 운송지시가 출력된다. 이 상품 운송 지시에 따라서, 판매자는 상품을 직접 구매자에게 배달하거나, 또는 판매자의 상품인도처로 운송한다.
상기 예약금 결제 단계(S16)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약금 결제 단계(S16)에서는 우선 결제되어야 할 금액이 구매자에게 출력된다(S161). 결제 금액은 상품 가격 중, 소정의 금액으로서, 상품 운송비에 해당하는 일정액일 수도 있고, 상품 가격의 소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약금은, 본 발명의 예약구매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품가격이나, 구매상품의 총수량 또는 총가격을 감안하여,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출력된다. 그리고나서, 구매자가 결제수단을 선택한다(S162). 결제수단은, 전자화폐,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온라인으로 이용가능한 수단에서 선택될 수 있다. 결제 수단 종류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단계로 진행된다(S163).
먼저 전자화폐가 결제수단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전자화폐의 일련번호를 입력하고(S164), 확인절차를 통해서 전자화폐가 구매자에게 전송된다(S165). 구체적인 사항은 본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통상적인 전자화폐 외에도, 상품권의 형식으로 발행되는 전자 상품권도 전자화폐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신용카드가 결제수단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한후(S166), 확인절차를 통하여 신용카드결제(S167)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계좌이체 방법은, 구매자가 온라인 은행거래 또는 사이버 뱅킹에 가입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은행과 거래하는 경우,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ID 및 비밀번호가 부여되는데, 은행과 판매자의 사전계약에 의하여, 이러한 ID 및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하여 계좌이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계좌이체"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이버뱅킹시 사용되는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S168), 확인절차를 거쳐서 자동적으로 구매자의 계좌로 부터 소정의 예약금이 판매자의 계좌로 전송된다(S169). 이와 같이, 상품대금 중 소정의 금액을 예약금으로서 먼저 결제하며, 이로써 상품선택 및 예약금 결제 단계(S1)가 종료된다.
구매자에게 상품이 인도되기 전, 소정의 예약취소가능 기간 내에, 구매자는 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S2). 도 6을 참조하여, 예약취소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매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판매자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S21), 예약취소란에 접속하여, 예약번호를 입력한다(S22). 선택적으로, 판매자의 사이트에, 이미 등록된 구매자의 ID로 로그인하는 경우, 예약사항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예약번호의 입력없이도 간단하게 예약취소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약번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예약취소가능 기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23). 예약취소 가능기간은 상품운송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로 하는 것이 통상적이겠지만, 여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예약취소 가능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약취소확인(S24)에 따라서, 구매자에게 예약금이 환불(S5)되고, 아울러, 판매자에게는 상품운송 중지 지시가 내려진다. 그러나, 예약취소 가능 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예약취소가 불가능하고, 상품을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약금을 되돌려 받을 수 없다. 이 예약취소 단계는, 구매자가 예약취소를 시도하는 경우에만, 전체 프로세스 중에 삽입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품선택 및 예약금 결제단계(S1)에서 상품인도확인 단계(S3)로 직접 이어진다.
도 7을 참조하여 상품인도 확인 단계(S3)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전에 결정된 상품인도처에 구매자가 도착하여 예약된 상품을 인수하면, 그곳에 설치된 네트워크 에 접속된 PC 등을 이용하여, 판매자나, 판매자를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자(이하, "판매자 등"이라 함)가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31). 이 때, 판매자 등은 판매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하고, 잔금결제란에 인도된 상품과 관련된 예약번호를 입력한다(S32). 예약번호를 입력하면, 상품인도 확인을 위한 메시지가 출력되고(S33), 상품인도를 확인한 경우에, 잔금결제 단계(S4)로 이어진다. 잔금 결제 단계(S4)에서는, 상품 대금 중 이미 지불된 예약금을 제외한 잔액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출력되며, 구매자의 결제여부 확인을 거쳐서 예약단계에서 사용된 결제수단과 동일한 결제수단으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예약번호 입력 단계(S32) 내지 잔금결제단계(S4)는, 만일 스마트카드 등의 IC 카드형 전자화폐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카드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사용하여, 상품인도처용 수단에 예약번호 등의 사항을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이루지게 할 수도 있다. 만일 구매자가 예약단계에 사용하였던 결제수단과 상이한 결제수단을 사용하려는 의사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예약금 결제단계(S16)와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결제수단을 다시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인도된 상품이 인터넷 상의 판매자의 사이트에서 제시한 것과 다르거나, 불량상품이어서, 즉, 판매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구매자가 상품인수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상품인도확인 단계 후에, 판매자 귀책사유에 기인한 예약금 환불단계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사전 결정된 상품인도일에 구매자가 상품을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날짜의 업무종료 후나, 그 익일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매자 등이 판매자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예약번호를 입력한후, 상품인도 확인(S33)에서 "아니오"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잔금 결제없이 거래가 종료된다. 이미 지불된 예약금은 위약금으로서 판매자에게 귀속된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품을 판매자 등이 직접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경우라면, 구매자의 PC등을 통하여 인터넷 상의 판매자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 동일한 방식으로 잔금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있어서 구매자용 수단(2)이 상품인도처용 수단(4)을 대신하게 된다.
실시예 2
이상에서는, 통상적인 상품의 판매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예약 구매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면세품의 온라인 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에 한정하여 기술한다.
면세품의 온라인 판매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인 시스템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거의 동일하고, 다만, 경로(8)에 의하여, 직접 구매자에게 상품을 배달하는 경우만이 배제된다. 그리고, 상품 인도처(4)는 출국항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3의 판매자용 서버의 구성에 있어서, 저장수단(36)내의 상품운송정보DB(36f)에, 면세품을 보세지역 외부를 통해 출국항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필요한 "보세운송면장"의 취득지시에 관한 정보가 더 추가된다. 선택적으로, 상품이 인수되고 완전히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 수반되어야 하는 "관할세관에 보고"에 관한 지시정보가 상품구매정보DB(36e)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세품 판매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인 프로세스의 구성도,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상품선택 및 예약금결제 단계(S1) 중, 구매자 정보입력 단계(S13)에서, 구매자의 여권번호와 출국항을 입력하여야 하고, 또한 상품인수일 선택단계(S14)에서 상품인수일은 출국일자가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상품선택 및 예약금 결제단계(S1)에 있어서, 예약번호 발급단계(S17) 후에 판매자에게 면세품 운송지시와 아울러 "보세운송면장" 취득지시가 동시에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상품인도확인 및 잔금결제 단계(S3 및 S4)에 있어서, 잔금결제단계(S4)가 종료된후, "관할세관에 보고"에 관한 지시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사항외에는, 본 발명을 면세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은 앞서 실시예1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는 것은 당업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를 특별히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구매자는 상품대금을 상품 인수 후에 판매자에게 결제하므로, 종래의 선결제 방식에 있어서, 불량상품 인도 등에도 불구하고 환불절차가 까다로웠던 단점을 해결하며, 아울러, 예약금을 상품예약시에 먼저 결제하므로, 구매자가 상품을 타당한 이유없이 인수하지 않는 경우에도 판매자의 금전적 부담을 해소시킨다. 따라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신용을 동시에 증가시킴으로써, 기존의 오프라인 거래와 동일한 수준의 신용을 온라인을 통한 전자상거래에 부여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구매자와 판매자 외에 제3의 중개자의 보증없이도 간단한 구성으로 신용이 보장되는 상품 예약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후결제 방식의 문제점도 극복한다. 또한, 면세품에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면세품의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다.

Claims (12)

  1. 온라인 상품예약구매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가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선택단계;
    상기 구매자가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에 해당하는 예약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고, 예약번호가 부여되는 예약단계;
    상기 상품의 인도여부에 대하여 입력하는 상품인도 확인단계; 및
    구매자가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상기 예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잔금결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단계 및 상기 상품인도 확인단계 사이에 예약취소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약취소단계는, 구매자에게 예약금을 반환하는 단계및 판매자에게 상품인도 중지지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단계는,
    구매자의 ID, 비밀번호, 기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품의 인수일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을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단계;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및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의 운송지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인도 확인단계는, 상기 예약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품인도 여부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금결제단계는, 상기 예약단계에서와 동일한 결제수단 또는 구매자가 새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상기 잔금을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또는 은행계좌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면세품이며, 상기 예약단계가, 보세운송면장취득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방법.
  7.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부, 입출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구입자용 수단;
    제어부, 입출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품인도처용 수단; 및
    제어부, 입출력수단, 저장수단,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판매자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용 서버의 저장수단은, 구매자가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구매하려는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상품선택수단,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에 해당하는 예약금을 결제하고,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예약수단, 상기 상품의 인도여부를 입력받는 상품인도 확인수단, 및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상기 예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결제하는 잔금결제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예약취소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약취소수단은, 구매자에게 예약금을 반환하는 수단 및 상품인도 중지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수단은,
    구매자의 ID,비밀번호, 기타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수단;
    상기 선택된 상품의 인수일을 입력받는 수단;
    상기 상품의 대금 중 소정의 금액을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판매자에게 결제하는 수단;
    예약번호를 부여하는 수단; 및
    판매자에게 상기 상품의 운송지시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인도 확인수단은, 상기 예약번호를 입력받는 수단 및 상품인도 여부를 입력받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잔금결제수단은, 상기 예약수단에서와 동일한 결제수단 또는 구매자가 새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상기 잔금을 결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또는 은행계좌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면세품이며, 상기 예약수단은, 보세운송면장취득 지시를 판매자에게 출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 시스템.
KR1020000030473A 2000-06-02 2000-06-02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4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73A KR20000054369A (ko) 2000-06-02 2000-06-02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473A KR20000054369A (ko) 2000-06-02 2000-06-02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369A true KR20000054369A (ko) 2000-09-05

Family

ID=1967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473A KR20000054369A (ko) 2000-06-02 2000-06-02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36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48A (ko) * 2000-06-07 2000-09-05 김종성 인터넷을 통한 면세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KR20010008382A (ko) * 2000-11-29 2001-02-05 안종선 다중 확인을 통한 전자 지불 방법 및 장치
KR20010025303A (ko) * 2000-12-09 2001-04-06 조달현 상품 날짜별예약, 공동구매 입찰시스템
KR20010044356A (ko) * 2001-02-12 2001-06-05 박상철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지불방법
KR20010112007A (ko) * 2000-06-14 2001-12-20 염평삼 인터넷기반의 선구매 계약에 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65049A (ko) * 2001-02-05 2002-08-13 주식회사 랩소프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030065875A (ko) * 2002-02-01 2003-08-09 주식회사 리브로 예약제를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360B1 (ko) * 2011-03-31 2013-01-22 인포뱅크 주식회사 분할결제를 이용한 에스크로 방식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48A (ko) * 2000-06-07 2000-09-05 김종성 인터넷을 통한 면세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KR20010112007A (ko) * 2000-06-14 2001-12-20 염평삼 인터넷기반의 선구매 계약에 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08382A (ko) * 2000-11-29 2001-02-05 안종선 다중 확인을 통한 전자 지불 방법 및 장치
KR20010025303A (ko) * 2000-12-09 2001-04-06 조달현 상품 날짜별예약, 공동구매 입찰시스템
KR20020065049A (ko) * 2001-02-05 2002-08-13 주식회사 랩소프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010044356A (ko) * 2001-02-12 2001-06-05 박상철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지불방법
KR20030065875A (ko) * 2002-02-01 2003-08-09 주식회사 리브로 예약제를 통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360B1 (ko) * 2011-03-31 2013-01-22 인포뱅크 주식회사 분할결제를 이용한 에스크로 방식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7658B2 (en) Electronic bearer bond online transaction system
US8200545B2 (en) Multi-Merchant payment system
US75938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transactions and shipment tracking over the internet
US71778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between consumers over the internet
US20140164091A1 (en) Multi-Merchant Payment System Using Shopper Identifiers
KR100867132B1 (ko)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JP2018536954A (ja) 電子商取引での物品配送料金算出システム
CN110603556A (zh) 具有消费者控制的支付部分的改进数字商务
KR102129949B1 (ko) 신용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관련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코드
KR20000054369A (ko) 온라인 상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0886A (ko) 상품 대금을 선지급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3760A (ko) 금융기관의 전자상거래 전용계좌와 개인용 이동전화기를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전자상거래 방법
US20030041022A1 (en) Electronic money instrument
KR20000037228A (ko) 전자상거래의 지불유보 시스템
KR2002000937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방법 및 상거래시스템
WO2001037172A1 (en) Cash payment system
WO201922166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communication requests from a plurality of users
KR20010096577A (ko) 전자상거래의 매매보호 시스템
KR101307831B1 (ko) 현금결제 전자 직거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46075B1 (ko) 전자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1547A (ko) 외국인 세금 환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448A (ko) 인터넷을 통한 면세품 예약구매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1144A (ko) 지불유보 은행계좌를 이용한 대금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59344A (ko) 해외의 벤더 사이트와 직접 연동하여 국내의 인터넷구매대행몰에서 물품을 직접 구매하게 하기 위한 구매대행방법
KR20170064037A (ko) 공급망 관리에서의 매매보호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