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349A -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349A
KR20000054349A KR1020000030298A KR20000030298A KR20000054349A KR 20000054349 A KR20000054349 A KR 20000054349A KR 1020000030298 A KR1020000030298 A KR 1020000030298A KR 20000030298 A KR20000030298 A KR 20000030298A KR 20000054349 A KR20000054349 A KR 2000005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nce
simulator
standard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102000003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349A/ko
Publication of KR2000005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또는 노래에 맞추어서 화면의 표시되는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 또는 해당 기호를 보고 사용자가 스텝 및 동작을 모사의 정확도를 정량화 하댄스교습 또는 댄스게임을 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유 스텝이 가능한 3 차원 댄스 시뮬레이터의 사용자는 자연스러운 댄스의 스텝 과 몸의 동작을 모두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화면을 통하여 자신의 스텝 위치 및 동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상의 댄스 공간을 통한 승부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한 사용자의 댄스 교습 및 교정이 가능하고, 운동량을 체크하여 생활에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DDR 보다 사용이 용이하고 보다 높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또는 게임 장치가 음악 또는 노래의 진행에 따라 표준 댄스 스텝 및 동작 또는 해당기호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자가 흉내내는 과정에 있어서, 표준 댄스의 스텝, 동작을 댄서의 신체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제시하는 방법 및 과정과; 댄서의 자유로운 스텝과 동작을 영상 및 스텝의 소정 신호로 입력받는 과정과; 사용자가 자신의 스텝 및 동작을 표시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과정과; 제시된 표준 스텝 및 동작과 사용자가 흉내내는 스텝 및 동작을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한 결과를 정확성에 따라서 수치화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동작 정도를 운동량으로 정량화하는 과정과;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조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댄스의 스텝 및 동작을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서 자신의 스텝 및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사람과 통신망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댄스 시뮬레이터보다 사용이 용이하고 보다 높은 흥미 및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3 -Dimetional Dance Simulator with the Capability of Free Step}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유로운 스텝 및 동작을 수용할 수 있는 댄스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댄서의 스텝 및 동작을 영상 및 자유로운 스텝의 소정신호로 입력받고, 그 내용을 그래픽으로 형상화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음악 또는 노래에 맞추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자료의 표준 스텝 및 동작 또는 해당 기호를 보고 사용자가 스텝 및 동작을 모사하는 정도를 정량화 하여 댄스 교습 또는 댄스게임, 사용자의 운동량(체력) 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게임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달로 인해 터치 스크린, 전자 펜, 특수 목적 조이스틱, {DDR} 등 다양한 컴퓨터/게임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게임/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중 {DDR}은 음악의 리듬에 미리 정하여진 스텝을 댄서가 따라서 하고, 그 모사의 정확도를 {DDR} 입력장치를 통한 스텝의 위치정보를 판별하여 점수화 한다.
그러나, 종래의 {DDR}은 사용자가 움직일 수 있는 스텝 위치가 상하좌우 등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댄스 스텝을 수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스텝위치를 화면을 통하여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초보자가 {DDR} 사용에 익숙하여 지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댄스의 모사정도의 측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댄서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크기의 스텝 이동위치를 설정하여 자연스러운 댄스 스텝이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DDR}은 팔, 허리, 어깨 등 몸의 동작 중에서 스텝의 단순한 움직임만을 입력신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의 자연스러운 댄스 동작, 율동을 표현하는데 부족함이 많이 있다.
그리고, 이런 기존 {DDR}의 스텝 위치, 이동거리의 고정스텝은 부적절하고 무리한 신체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댄서의 신체에 무리가 가해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 댄스 {DDR}과 같은 댄스 시뮬레이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악 또는 노래에 맞추어서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사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모습 또는 사용자가 선정한 캐릭터의 동작을 화면에 보여주고; 해당화면을 보고 모사하는 사용자의 스텝 및 동작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댄스의 교습, 댄스게임 또는 운동량 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댄스를 할 때에 신체에 무리가 가하여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유연도, 운동량, 사용 칼로리 측정을 기반으로 다이어트 계획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악 또는 노래에 맞추어서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다수의 사용자 각 각의 신체특성에 맞게 화면에 표시하고, 사이버 공간에 사용자들의 모습 또는 사용자가 선정한 캐릭터의 동작을 화면에 보여주고; 해당화면을 보고 모사하는 사용자의 스텝 및 동작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댄스의 교습 또는 댄스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3차원 댄스 시뮬레이션의 구성과 또 다른 시뮬레이션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게임의 초기에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한 초기인식 과정과; AV 출력부로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과; 스텝신호 입력부 및 영상신호 입력 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받은 소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댄스 스텝과 동작을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한 결과와 표준 스텝 및 동작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화 하는 과정과; 수치 화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의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을 AV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가상 댄스홀에서 각각의 AV 출력부로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출력 받는 과정과; 스텝신호 입력부 및 영상신호 입력 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서로의 입력신호를 각각의 AV 출력부로 형상화 하여주는 과정과; 입력받은 소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댄스 스텝과 동작을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한 결과와 표준 스텝 및 동작을 비교하여 사용자들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 화하는 과정과; 수치 화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는 과정과; 서로의 결과를 비교, 판정하여 주는 과정과; 사용자들의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과 사용자들의 가상 댄스홀에서의 모습 또는 캐릭터에 의하여 애니메이션된 모습을 AV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기능과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영상인식 장치(110), 자유로운 스텝의 인식 장치(115), 영상신호 입력부(120), 스텝신호 입력부(125), 제어부(130), AV 출력부(140), 저장장치(150), 외부장치 및 독립적 인터페이스(160), 또 다른 3-D 댄스 시뮬레이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은 상기 한 실시예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3D 댄스 시뮬레이터에서의 희망 곡의 선정과정(200)과 희망 작동 모드(단일 사용자, 다중 사용자, 교습, 단순 댄스 및 운동량관리와 다이어트등)를 선택한다(205). 사용자의 신체조건(신장, 몸무게 등의 신체 사이즈)을 입력받는다(210). 이 정보는 제어부(130)에 제공되며 저장장치(15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AV출력기에 사용자 캐릭터의 출력을 요구할 경우(215) 사용자에 의한 캐릭터 선택 및 제작과정(220)을 시행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15)위에 서면 사용자의 현재상태 및 자세를 영상입력장치(110)와 스텝인식 장치(115)를 통하여 입력받는다(230). 자료의 입력을 바탕으로 AV 출력기(140)는 사용자의 상태 및 자세를 출력한다(235). 사용자의 정보가 제작된 댄서의 표준 초기자세인지를 판단하여(240) 표준이 아닐 경우에는 교정을 요구(245)한 후에 다시 사용자의 현재상태 및 자세를 영상입력장치(110)와 스텝인식 장치(115)를 통하여 입력받는다(230). 제공되어진 사용자 정보에 따라 음악에 맞추어 작성된 표준 스텝의 위치 이동 거리/범위조정이 제어부(130)에서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초기상태 및 자세가 제작된 댄서의 표준 초기자세와 일치하면(240) 음악 및 노래가 시작된다(250). 음악이 진행되면,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의 위치 이동 및 동작(150)을 AV 출력기(140)에 출력을 하여주고(260) 사용자가 이를 따라 동작을 모사하는 정보를 영상인식 장치(110)와 스텝인식 장치(115)를 통하여 입력부(120,125)로 받고(262), 이를 다시 AV 출력기(14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서(264)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다. 저장장치(150)로부터의 제작된 댄서의 표준자료와 사용자의 동작 입력 자료를 비교하여(266) 일치도, 동작정도를 계산하고 게임의 데이터로 저장장치(150)에 저장/누적된다(268). 음악 및 노래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270) 진행 중이면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의 위치 이동 및 동작의 출력부터 사용자인식, 출력, 자료와의 비교, 계산/저장 과정을(260 ~ 268)을 반복하고, 음악 및 노래가 종료한 경우에는(270) 누적된 저장자료(150)로부터 사용자의 게임점수, 운동량, 다이어트 계획 등을 출력하여 준다(280).
도 2에 있어, 가상 공간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사이의 실시 예를 첨가하면,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게임에 참여하는 경우 화면에 가상의 댄스공간이 출력되고(235,260,264) 가상의 댄스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진행을 하게된다. 작동 모드의 선택(205)에 있어서 다수가 합동으로 팀을 구성하여 그룹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선택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각각에게 필요한 제작된 댄서의 표준자세 및 동작이 출력(260)된다. 도 3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작자료의 출력(364)에 있어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서로 상대의 게임의 상황을 알 수 있고 음악 및 노래의 종료 후 각각의 사용자의 누적 점수 등을 출력하는 과정에서(38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60)을 통하여 상대의 결과를 비교하고 승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더한다. 이것을 머드 타입의 3D 댄스 시뮬레이터라 할 수가 있다. 머드 모드에서는 댄서들이 가상공간에서 게임을 하는 것으로 댄서들은 통신수단(160)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실제 위치는 통신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면 참여가 허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악 및 노래를 따라서 제작된 사용자의 표준 스텝 및 동작과 이것을 보고 모사하는 사용자의 스텝 및 동작을 분석 비교하여, 사용자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 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의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을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흥미 있고 효율적으로 댄스교습 및 댄스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가상 댄스홀에서 각 각의 음악 및 노래를 따라서 제작된 댄서의 표준 스텝 및 동작과 이것을 보고 모사 하는 사용자들의 스텝 및 동작을 분석 비교하여, 사용자들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 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을 표시해 주며, 사용자들의 가상 댄스홀에서의 모습 또는 캐릭터에 의하여 애니메이션 된 모습 보여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간 흥미 있고 효율적으로 다자간 댄스교습 및 다자간 댄스게임 및 단순 댄스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댄스 시뮬레이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V 출력부로 저장자료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과;
    출력 과정에 있어서의 사용자 모습 또는 표준 자료의 캐릭터 및 사용자의 요구된 캐릭터를 제작하는 과정과;
    자유로운 스텝신호 입력부 및 영상신호 입력 부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소정의 신호로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사용자의 소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댄스 스텝과 동작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모습 또는 캐릭터에 의하여 애니메이션된 모습을 출력하여주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된 소정의 신호와 표준 스텝 및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화 하는 단계와;
    수치 화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사정도,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는 단계와;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의 모사정도,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을 AV 출력부로 출력하는 방법.
  2. 다수의 사용자들이 댄스 시뮬레이터를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가상댄스 교습 또는 게임에 참여함에 있어서,
    각각의 댄스 시뮬레이터에게 가상의 댄스공간을 통한 다수의 사용자의 동시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및 외부 인터페이스와;
    가상의 공간에서의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환경 또는 각각의 사용자의 요구상황에서의 댄스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과정과;
    가상 댄스홀에서 상호간의 AV 출력부로 저장자료의 표준 스텝 및 동작을 출력 받는 단계와;
    자유로운 스텝신호 입력부 및 영상신호 입력 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소정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받은 소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댄스 스텝과 동작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모습 또는 캐릭터에 의하여 애니메이션 된 모습을 출력하여주는 과정과;
    분석한 결과와 표준 스텝 및 동작을 비교하여 사용자들의 모사 정확도를 수치 화하는 과정과;
    수치 화한 결과를 누적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숙련도, 유연성, 운동량 등을 평가하는 과정과;
    사용자들의 모사정도, 숙련도, 유연성, 칼로리 소모량, 다이어트 계획 등과 사용자들의 가상 댄스홀에서의 모습 또는 캐릭터에 의하여 애니메이션된 모습을 AV 출력부로 출력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댄스 시뮬레이터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화면에 스텝의 위치 대신에 스텝이 이동해야하는 구역을 표시하는 방법과;
    댄스 시뮬레이터 입력 장치에 직접 표준 스텝 또는 표준 스텝이 위치하는 가변적인 구역을 표시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존의 댄스 시뮬레이터에 사용자의 움직임 및 동작이 입력신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영상입력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움직임을 고정된 단순한 위치가 아닌 자유로운 거리 및 방향으로의 입력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텝입력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뮬레이터의 출력을 사용자 모습의 직접 출력 또는 캐릭터의 출력과정과; 출력되는 캐릭터를 사용자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의하여 제작 또는 사전 제작된 캐릭터를 선택하는 단계.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댄스 시뮬레이터의 사용을 사용자의 운동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력관리 및 사용자의 다이어트계획과 결부시키어 저장장치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준 자료의 출력과 표준 자료와 사용자의 입력자료와의 비교 분석함에 있어서 고정적이 아닌 제작된 댄서의 자세 및 동작과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통합적으로 고려, 반영하여 출력 및 비교 분석하는 과정.
  9. 제 2항에 있어서, 기존의 댄스 시뮬레이터에 통신 및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댄스 시뮬레이터의 다수의 사용자간의 동시 사용, 시합, 교습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가 합동으로 팀을 이루어 서로간에 다른 동작을 모사하여 그룹댄스를 시뮬레이팅하는 방법.
  11. 제 1항과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의 추적과정에서 트래킹 포인트를 시뮬레이터가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및 설정하는 방법과 마커를 이용하여 동작을 추적하여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과정.
KR1020000030298A 2000-06-02 2000-06-02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KR20000054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98A KR20000054349A (ko) 2000-06-02 2000-06-02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98A KR20000054349A (ko) 2000-06-02 2000-06-02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349A true KR20000054349A (ko) 2000-09-05

Family

ID=196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298A KR20000054349A (ko) 2000-06-02 2000-06-02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34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074A (ko) * 2000-10-06 2002-04-16 진주환 테크노 방의 운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02030535A1 (en) * 2000-10-11 2002-04-18 Dotace.Com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nd evaluating motion data used in motion game apparatus
KR20030065620A (ko) * 2002-01-30 2003-08-09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가상게임시스템의 동작인식장치 및 방법
KR100430840B1 (ko) * 2001-11-19 2004-05-10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동작비교를 통한 자세교정 운동 장치 및 동작비교 방법,이 동작비교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78953B1 (ko) * 2001-08-09 2005-03-28 고나미스포츠라이프가부시키가이샤 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타이밍 평가 장치 및 타이밍 평가 시스템
KR100747639B1 (ko) * 2005-09-12 2007-08-08 정진녀 넷트웍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쌍방향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캐릭터의 유희 및 지도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WO2009152064A2 (en) * 2008-06-12 2009-12-17 Motorola, Inc. Personalizing entertainment experiences based on user profiles
WO2010143872A2 (ko) * 2009-06-09 2010-12-16 Ko Young Joon 모션캡쳐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한 동작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64A (ko) * 1999-08-20 1999-12-06 최광현 리듬앤드댄스게임제어장치및풋키
JP2000037490A (ja) * 1998-07-24 2000-02-0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装置
KR20010081193A (ko) * 2000-02-10 2001-08-29 이수원 모션 캡쳐 기능을 활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법의 댄스게임 장치
KR20010091187A (ko) * 2000-03-13 2001-10-23 김정호 3차원 캐릭터 모션 시뮬레이션 게임기
KR20010095900A (ko) * 2000-04-12 2001-11-07 박명수 3차원 모션캡쳐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478A (ko) * 2000-05-31 2001-12-07 송우진 모션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90A (ja) * 1998-07-24 2000-02-08 Konami Co Ltd ダンスゲーム装置
KR19990083864A (ko) * 1999-08-20 1999-12-06 최광현 리듬앤드댄스게임제어장치및풋키
KR20010081193A (ko) * 2000-02-10 2001-08-29 이수원 모션 캡쳐 기능을 활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법의 댄스게임 장치
KR20010091187A (ko) * 2000-03-13 2001-10-23 김정호 3차원 캐릭터 모션 시뮬레이션 게임기
KR20010095900A (ko) * 2000-04-12 2001-11-07 박명수 3차원 모션캡쳐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478A (ko) * 2000-05-31 2001-12-07 송우진 모션 게임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074A (ko) * 2000-10-06 2002-04-16 진주환 테크노 방의 운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02030535A1 (en) * 2000-10-11 2002-04-18 Dotace.Com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nd evaluating motion data used in motion game apparatus
KR100412932B1 (ko) * 2000-10-11 2003-12-31 주식회사 닷에이스 모션 게임 장치의 모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평가방법
KR100478953B1 (ko) * 2001-08-09 2005-03-28 고나미스포츠라이프가부시키가이샤 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타이밍 평가 장치 및 타이밍 평가 시스템
KR100430840B1 (ko) * 2001-11-19 2004-05-10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동작비교를 통한 자세교정 운동 장치 및 동작비교 방법,이 동작비교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30065620A (ko) * 2002-01-30 2003-08-09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가상게임시스템의 동작인식장치 및 방법
KR100747639B1 (ko) * 2005-09-12 2007-08-08 정진녀 넷트웍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쌍방향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캐릭터의 유희 및 지도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WO2009152064A2 (en) * 2008-06-12 2009-12-17 Motorola, Inc. Personalizing entertainment experiences based on user profiles
WO2009152064A3 (en) * 2008-06-12 2010-03-11 Motorola, Inc. Personalizing entertainment experiences based on user profiles
US8175530B2 (en) 2008-06-12 2012-05-08 Motorola Mobility, Inc. Personalizing entertainment experiences based on user profiles
WO2010143872A2 (ko) * 2009-06-09 2010-12-16 Ko Young Joon 모션캡쳐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한 동작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43872A3 (ko) * 2009-06-09 2011-03-31 Ko Young Joon 모션캡쳐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한 동작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mabe et al. Playful training with augmented reality games: case studies towards reality-oriented system design
Shiratori et al. Accelerometer-based user interfaces for the control of a physically simulated character
KR100900794B1 (ko) 댄스 게임방법 및 이 방법이 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LaViola et al. 3D spatial interaction: applications for art, design, and science
US20140168100A1 (en) Video-game controller assemblies designed for progressive control of actionable-objects displayed on touchscreens: expanding the method and breadth of touch-input delivery
US20070262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put to character animation
CN104881128A (zh) 基于实物在虚拟现实场景中显示目标图像的方法及系统
CN104867171A (zh) 一种三维角色的过渡动画生成方法
Zhao et al.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football training
KR20000054349A (ko) 자유 스텝이 가능한 3차원 댄스 시뮬레이터
Wong et al. Designing wii controller: a powerful musical instrument in an interactive music performance system
Faust et al. Haptic feedback in pervasive games
Brehmer et al. Activate your GAIM: a toolkit for input in active games
Chhor et al. Breakout: Design and evaluation of a serious game for health employing intel realsense
Woźniak et al. Health, fun, and engagement: Computing technologies that support physical activity
Fernandez-Cervantes et al. A grammar-based framework for rehabilitation exergames
Yu et al. Design Space of Visual Feedforward And Corrective Feedback in XR-Based Motion Guidance Systems
Bernardes et al. Integrating the Wii controller with enJine: 3D interfaces extending the frontiers of a didactic game engine
Otaduy et al. Interaction: interface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Liu et al. A hand-waving dance teaching system based on kinect
KR102225912B1 (ko)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Zhang et al. The exergame for Tae-Bo learning with virtual reality
KR101727250B1 (ko) 휨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이동상태 입력용 가상 현실 기기용 입력 장치
US20040113931A1 (en) Human-computer interfaces incorporating haptics and path-based interaction
Che et al. Fitness Bow: An Intelligent Supervised Mo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