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760A -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760A
KR20000052760A KR1019990703565A KR19997003565A KR20000052760A KR 20000052760 A KR20000052760 A KR 20000052760A KR 1019990703565 A KR1019990703565 A KR 1019990703565A KR 19997003565 A KR19997003565 A KR 19997003565A KR 20000052760 A KR20000052760 A KR 20000052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block
user data
aip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침머만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0005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4Medium of transmission, e.g. fibre, cable, radio
    • H04L2012/5607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무선을 통해 연결된 이동 또는 정적 가입자를 가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시지 블록 내부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을 어드레싱하고 제어하기 위한 고정된 개수의 비트가 제어 블록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 블록은 충분히 정밀한 서브 프레임으로 세분되며, 제어 블록내에서 메시지 블록 내부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스타팅 시점이 정해진다. 대안적으로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고정된 스타팅 시점이 정해진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FORMAT CONVERSION DEVICE FOR CONTINUOUS FORMAT CONVERSION OF ATM CELLS WITH USER INFORMATION INTO MESSAGE BLOCKS OF A RADIO INTERFACE OF A DIGITAL RADIO NETWORK}
R.Haendel, "ATM을 가진 네트워크의 개발", telecom report 17 (1994), 1 장, Page 8-11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컨대 대역-ISDN과 같은 미래의 대역 네트워크는 ATM-원리에 따라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에서는 일련의 새로운 듀티가 가능하다.
그러나 GSM(Globl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현재 존재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ATM-통신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fon)-무선 전화 시스템도 또한 지금까지는 대역 ATM-통신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언어 전달의 무선 가입자 연결을 위해 주로 공간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구상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포맷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이동 루팅 장소(MSC)로 이루어진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인터페이스내에서 규정된 메시지 블록을 가급적 최대로 활용하여 ATM-셀을 움직이거나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된 정적 가입자에 전송할 수 있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 또는 3의 특징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15의 특징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무선을 통해 연결된 이동 또는 정적 가입자를 가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는 것은, 메시지 블록 내부에 사용자 데이터 블록이 전송되며, 상기 메시지 블록내에 사용자 데이터 블록을 어드레싱하고 제어하기 위한 고정된 개수의 비트를 가진 제어 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메시지 블록이 충분히 정밀한 서브 프레임으로 세분되며, 메시지 블록 내부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스타팅 시점을 제어 블록내에서 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메시지 블록 내부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용 스타팅 시점을 정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비트율을 플렉시블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 - 비트 위치에 의해서, 비트 위치의 규정된 분수부 또는 비트 위치의 배수가 정해짐 - 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지연을 메시지 블록 내부에서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고정된 개수의 비트가 관련 제어 채널로서 작동되며, 상기 채널을 통해서 ATM-셀을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연결을 동반하는 방식으로 교체된다. 그럼으로써, 간단하게 조작 가능한 내역 신호화가 가능해진다.
ATM-셀을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방법은, 메시지 블록 내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블록을 만들고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고정된 스타팅 시점을 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고정된 스타팅 시점에 의해서 상기 신호화 비용은 줄어든다. 단 하나의 또는 다수의 가능한 스타팅 시점이 정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내부에서는 ATM-셀을 위한 상이한 비트율을 가진 바람직하게 다수의 메시지 블록 타입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한가지 메시지 블록 타입이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다음으로 더 높은 신뢰할만한 비트율이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추가 형성예에 따라,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큰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이 ATM-셀의 사용자 정보에 의해 다만 부분적으로만 채워진다.
또한,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다수의 메시지 블록이 하나의 사용자 채널로 합쳐진다. 그럼으로써, 가입자에 사용되는 비트율이 ATM-전송의 요구 조건에 상응하게 확대된다. 다수의 메시지 블록을 합치는 동작은, 채널내로의 멀티플렉스에 의해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내에서의 다수의 메시지 블록(AIP)의 점유에 의해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내의 동일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또는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내의 상이한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언어 전송, 데이터 듀티 및 정보 듀티와 같은 새로운 듀티를 이동 단말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개선예에 따라 ATM-셀이 ISDN-전송 시스템 또는 대역-ISDN-전송 시스템을 통해서 라인 결합된 방식으로 전송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용 기지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공지된 GSM-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용 무선 네트워크로서, 상기 네트워크는 다수의 이동 루팅 장소(MSC)로 이루어지며, 이동 루팅 장소는 서로 교차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 네트워크 혹은 다른 방식의 네트워크(PSTN)로의 접근을 만들어준다. 상기 이동 루팅 장소(MSC)는 또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 장치(BSC)와 연결된다. 각각의 기지국 제어 장치(BSC)는 재차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S)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기지국(BS)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국(MS)과의 메시지 연결을 구성할 수 있는 무선국이다. 도 1에는 예를 들어 이동국(MS)에 대한 상기와 같은 무선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시간 멀티플렉스 방법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반송 주파수상에는 예를 들어서 8개의 시간 상태가 제공되며, 이 시간 상태는 상이한 통신 연결을 위해서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이 또한 다수의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면, 주파수 멀티플렉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네트워크(PSTN)를 통해 전송된 ATM-셀의 포맷 변환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변환은 기지국 제어 장치(BSC)에 속하는 포맷 변환 장치(FU)내에서 이루어진다. 포맷 변환 장치(FU)는 대안적으로 이동 루팅 장소(MSC)에서 또는 독립적인 코드 변환 장치내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맷 변환 장치(FU)의 기술적인 실현은 전문가에게 상응하는 전문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를 갖는 ATM-셀을 예컨대 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와 같은 미래의 이동 무선 스탠더드용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중요하다. 계획된 상기 시스템들은 도 1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상응하게 ATM-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하기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소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AN), 즉 예를 들어 CDMA-무선 전송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고정된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연결 장치에서는 2Mbit/s까지의 비트율을 갖는 ATM-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또한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은 J. Oudelaar, "Evolution towards UMTS", PIMRC 94, 5th IEEE International Symp.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The Haguem, NL, 18.-22. September 1994, S.852-856, and M. Lenti, H. Habeman "paging in UMTS", RACE Mobile Telecommunications Workshop, Vol. 1, Amsterdam, NL, 17.-19. Mai 1994, S.405-410에 개시되어 있다. 무선 전송은 고정된 기지국과 이동 기지국 혹은 제 2기지국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무선 채널의 전송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소음 간격(신호-소음-비율)(S/N)의 함수로서의 비트 에러율(BER)이다. 특정 비트 에러율(BER)을 위해서는 특정의 신호-소음-비율이 필요하며, 그 반대도 동일하다. 정해진 비트 에러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호-잡음-비율이 정해진 값에 미달되어서는 안된다. 신호-잡음-비율이 미리 주어진 경우에 비트 에러율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에러를 감소시키며 자동으로 제어되는 반복 방법, 소위 Automatic Repetition Request Method = ARQ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공지된 기술은 에러 보정 방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이다. 상기 테마에 대한 이동 무선에서는 통상적으로 약 1:2의 비트율 증가를 갖는 소위 Convolutional Coding 방법이 사용된다.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이동국 및 기지국의 송신 신호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상응하게 통상적으로 규정된 다수의 메시지 블록의 구조(AIP = Air Interface Packets)로 세분된다. 이것은 또한, TDMA-시스템으로서 RF-캐리어상에서의 다수의 결합을 전개하는 실재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한가지 통신 관계의 메시지 블록 사이에 다른 연결이 전개됨으로써 한가지 교통 관계의 메시지 블록 사이에 휴지기가 형성되며, 이 휴지기는 캐리어당 전체 연결의 개수에 의존한다. 다른 시스템은 CDMA-방법을 사용하며, 이 방법에서는 확장된 신호를 갖는 다수의 연결 관계들이 동시에 및 빈틈없이 연속적인 순서로 그리고 중간 휴지기 없이 전송된다. 메시지 블록 구조의 코드화되지 않은 기본 패턴은 2가지 전송 방식에서 동일하다.
지속 시간(TAIP)을 갖는 메시지 블록(AIP)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송될 데이터(사용자 정보 - 예컨대 언어 정보) 및 경우에 따라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 동기화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리앰블(preamble)(NHDR), 및 에러 보호(FEC)를 위해서 및 경우에 따라 TDMA-방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 없는 스위칭 시간(예컨대 송신기 스위치 온-스위치 오프, 시간-유도 및 보호 시간)을 위해서 제공되는 나머지 블록(NTAIL)으로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예를 들어 AN-구상에서 제공되는 2가지 타입의 메시지 블록(AIP)이 자세히 설명된다:
타입 1: 모든 메시지 블록(AIP)은 동일한 시간적 길이, 즉 TAIP= 5 ms를 갖는다. 프리앰블의 길이는 6 비트이며 나머지 블록은 0이다. 가능한 메시지 블록(AIP)들간의 차이는, 사용자 데이터 블록(정보 부분)을 구성하는 비트의 개수가 전송될 듀티(duty)의 비트율에 의존한다는 점이며, 이것은 표 1을 참조하라.
타입 2: 모든 메시지 블록(AIP)은 동일 개수의 비트, 즉 160개의 사용 비트를 가지며, 프리앰블은 15 비트 그리고 나머지 블록은 6 비트를 갖는다. 이 블록들은 가입자의 전송될 비트율에 상응하게 상기 블록의 지속 시간면에서 상이하며, 이것은 표 2를 참조하라. 이것에 덧붙여 설명되어야 할 것은, ISDN-단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멀티플렉스 형성당 각각 64 Kbit/s를 갖는 2개의 채널 및 16 Kbit/s를 갖는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2가지 타입의 ATM-셀이 제공되는데, 한가지 타입은 정상적인 ATM-셀이고 다른 한가지 타입은 단축 ATM-셀이다. 단축 ATM-셀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유럽 특허 공보 EP 0 616 480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만 16 비트 = 2 바이트만을 ATM-프리앰블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단축 ATM-셀은 정상적인 ATM-셀을 위한 424 비트(53 바이트) 대신에 전체적으로 400 비트(48 + 2 = 50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ATM-셀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블록 포맷의 변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능성은 ATM-셀의 셀 분할이다.
ATM-셀 분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축 ATM-셀이 동일 크기의 셀로 세분되어 메시지 블록(AIP)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된다. 표 6 및 표 7은 앞에서 설명된 2가지 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에 대한 특성을 보여준다. 지속 시간이 동일하고 예컨대 360 비트의 사용자 정보를 갖는 제 1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을 위해서는 50 바이트 = 400 비트의 길이를 갖는 단축 ATM-셀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00 비트의 2개의 부분으로 세분되며 각각의 부분은 하나의 메시지 블록(AIP)에 할당된다. 그럼으로써, 메시지 블록당 각각 사용 가능한 360 비트 중에서 다만 200 비트만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44.4% 만큼의 공백 비트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 160개의 동일 개수의 사용 비트를 갖는 제 2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을 위해서는, 400 비트의 단축 ATM-셀용 480 비트의 전송 용량을 갖는 3개의 메시지 블록(AIP)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공백 부분은 1 - 400/480 = 0.167 또는 16.7%에 달한다. 나머지 특성들은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현재 무선 인터페이스내에 규정된 메시지 블록(AIP)은 그것의 크기에 따라 다만 부분적으로만 단축 ATM-셀에 매칭된다는 사실로 인해, 상기 경우의 셀 분할 패턴은 덜 효율적이다.
메시지 블록(AIP)으로의 ATM-셀의 포맷 변환은 기본적으로 연속으로 및 가급적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가입자의 이용 비트율이 ATM-가입자의 이용 비트율과 동일한 경우에는, 메시지 블록(AIP)이 완전히 채워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메시지 블록(AIP)은 데이터율 및 ATM-셀의 스타팅 시점에 의존하여 다만 부분적으로만 채워진다. 메시지 블록(AIP)내에서 단축 ATM-셀의 스타팅 시점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 추가의 정보가 전송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2개 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이 관찰된다. 표 3은, 동일한 시간적 길이를 가지며 표 1에서 나타난 제 1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의 상이한 파라미터를 보여준다. 제 2열은 사용자 정보에 삽입된 단축 메시지 블록(AIP)의 스타팅 정보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180 비트 내부에서 하나의 위치를 어드레싱하기 위해서는, 8-비트-어드레스가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상기 목적을 위해서는 전송 용량의 4.4%가 할당되며, 사용자 데이터 블록내에서는 다만 172 비트만이 5초 동안 ATM-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으로부터,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172 비트/5 ms = 34.4 Kbit/s의 ATM-비트율이 결과된다. 그러나 최대로 허용되는 ATM-가입자 비트율은 이미 단축 ATM-셀의 전송을 위한 ARQ의 사용 없이 재차 팩터 48:(48+2) 바이트 = 384:400 비트 = 0.96 만큼 감소된다. 이 경우 상기 비율은 33.024 Kbit/s에 달하며 표 3에서 마지막 열에 기재되어 있다.
표 4는, 동일한 비트 개수를 가지며 표 2에 나타난 제 2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의 상이한 파라미터를 보여준다. 사용자 정보 내부에서 하나의 위치를 어드레싱하기 위해서는, 8 비트의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 어드레싱을 위해서는 5%의 전송 용량이 소모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다만 152 비트만이 ATM-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ATM-비트율이 3.8 Kbit/s인 경우에. 이것은 152 비트/3.8 Kbit/s = 40 ms의 지속 시간을 갖는 메시지 블록(AIP)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에도, 단축 ATM-셀의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 ATM-가입자 비트율은 ARQ의 사용 없이 재차 팩터 0.96 만큼 3,648 Kbit/s로 감소되며, 상기 비율은 표 4의 마지막 열에 기재되어 있다.
임의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AIP)으로의 ATM-셀의 제한되지 않은 변환 패턴을 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임의의 스타팅 시점을 인지하기 위한 메시지 블록의 사용 데이터 블록(정보 부분) 내부에 서브 프레임이 사용된다. 그럼으로써, 시간 지연 없이 ATM-셀이 메시지 블록(AIP)의 구조로 포맷 변환된다. 이 경우 메시지 블록(AIP)당 비트의 고정된 부분은 포맷 변환의 어드레싱 및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제한되지 않은 변환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메시지 블록(AIP)은 그것의 정보 부분에서 단축 ATM-셀이 시작될 수 있는 위치의 고정된 시간 서브 프레임을 가진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언제나 정보 부분의 시작에서 스타팅된다. 상기 서브 프레임의 배수만이 데이터 전송의 스타팅을 위해서 각각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민감한 서브 프레임이 필요하다.
데이터 검출시 단축 ATM-셀의 처음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연속 변환 패턴의 경우보다 더 적은 어드레싱 비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메시지 블록당 소수의 비트는 서브 프레임 위치를 연속으로 식별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동안에는 원리로부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중간 저장의 이유에서 서브 프레임 소자 크기의 최소의 신호 지연이 감수되어야 한다.
제 1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을 위해 8 비트의 프레임 길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가 형성된다. 180 비트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을 연속으로 식별하기 위한 5 비트-어드레스가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위해서는 175 비트가 사용된다. 175개 (= 이용 가능한 비트 - 5개의 어드레싱 비트) 중에서 8 비트 = 1 바이트로 나눌 수 있는 최대 개수는 168이며, 이 개수는 175 - 168 = 7 공백 비트의 차이를 갖는다. 전술한 연속 변환 패턴과 비교하면, 360, 720 및 1440 비트의 사용자 정보를 갖는 마지막 3가지 타입을 위한 제한되지 않은 상기 변환 패턴의 특성이 더 유리하다.
8 비트의 서브 프레임 크기를 갖는 제한되지 않은 변환 방법을 일정수의 비트를 갖는, 표 2에 도시된 메시지 블록(AIP)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5 비트의 어드레스에서 3개의 공백 비트가 형성된다. 즉, 160 비트의 사용자 정보에서 총 8 비트가 형성된다. 이것은 재차 사용자 정보의 5%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특성은 연속 변환 방법과 비교해서 동일하다.
제한되지 않은 변환 방법의 장점은 기본적으로, ISDN-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에 도달되는 ATM-셀이 다만 최대 8 비트의 지연에 의해서 무선 전송 프로토콜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는 또한, 사용자 데이터 블록의 고정된 수의 비트를 연결을 동반하는 모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관련 제어 채널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동일한 지속 시간(TAIP)을 갖는 제 1그룹의 메시지 블록(AIP)을 위해서는, 즉 포맷 변환의 제어를 위해서는, 관련 제어 채널로서 각각의 메시지 블록 타입을 위한 메시지 블록당 예를 들어 20 비트의 하부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의 효과적인 비트율은 관련 가정하에서 20 비트/ 5 ms = 4 Kbit/s에 달한다. 표 8은 상기 실시예에 대한 특성을 보여준다.
제어 채널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변환을 사용함으로써, 표 8에 기재된 특성은 표 3에 기재된 연속 변환의 경우보다 별로 유리하지 않다. 그러나, 포맷 변환의 처리시 매우 바람직하다고 나타나는 사용자 정보 및 제어 정보로의 분명한 세분이 이루어진다.
ATM-셀을 위한 메시지 블록으로의 제한되지 않은 변환 방법은 하기의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다: 무선 가입자의 가입자 비트율이 이용 가능한 메시지 블록 타입들 중에서 하나의 타입의 신뢰할만한 ATM-비트율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블록 타입이 사용된다. 본 경우에 메시지 블록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축 ATM-셀로 채워진다.
ATM-가입자 비트율이 이용 가능한 가장 낮은 메시지 블록 타입의 신뢰할만한 ATM-비트율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메시지 블록들이 ATM-셀의 데이터 비율에 의존하여 다만 부분적으로만 사용자 정보로 채워진다.
ATM-가입자 비트율이 한가지 메시지 블록 타입의 신뢰할만한 비트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더 높은 신뢰할만한 ATM-비트율을 갖는 메시지 블록 타입이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필요한 전송율이 메시지 블록내에서 최대로 전송 가능한 비트율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더 높은 전송율을 실현하기 위해서 다수의 메시지 블록 타입이 하나의 사용자 채널로 집중된다. 이것은 하나의 채널내에 멀티플렉스를 형성함으로써, TDMA-시스템내에 있는 다수의 메시지 블록을 점유함으로써, 하나의 CDMA-시스템내에 있는 동일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또는 하나의 FDMA-시스템내에 있는 상이한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Claims (15)

  1. -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전송하며,
    -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어드레싱하고 제어하기 위해 고정된 개수의 비트를 가진 메시지 블록(AIP)내에 제어 블록(NHDR)을 제공하며,
    - 메시지 블록(AIP)을 충분히 정교한 서브 프레임으로 세분하며,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스타팅 시점이 상기 제어 블록(NHDR)내로 고정 입력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무선을 통해 연결된 가입자를 가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AIP)으로 연속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고정된 개수의 비트를 관련 제어 채널로서 작동시키며, 상기 채널을 통해서 ATM-셀을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연결 동반 방식으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고정된 스타팅 시점을 고정 입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무선을 통해 연결된 가입자를 가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AIP)으로 연속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메시지 블록(AIP)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충분히 정밀한 서브 프레임으로 세분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스타팅 시점을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비트율을 가진 다수의 메시지 블록 타입을 ATM-셀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크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한가지 메시지 블록 타입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다음으로 더 높은 신뢰할만한 비트율을 가진 메시지 블록 타입이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연결 관계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ATM-셀의 사용자 정보로 다만 부분적으로만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비트율이 ATM-셀의 비트율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다수의 메시지 블록(AIP)을 하나의 사용자 채널로 합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치는 동작을 채널내로의 멀티플렉스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치는 동작을 TDMA-시스템내에서의 다수의 메시지 블록(AIP)의 점유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치는 동작을 CDMA-시스템내의 동일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의 합치는 동작을 FDMA-시스템내의 상이한 주파수의 다수의 평행한 채널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TM-셀을 ISDN-전송 시스템 또는 대역-ISDN-전송 시스템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이 전송되며,
    -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을 어드레싱하고 제어하기 위해 고정된 개수의 비트를 가진 메시지 블록(AIP)내에 제어 블록(NHDR)을 제공하며,
    - 메시지 블록(AIP)을 충분히 정교한 서브 프레임으로 세분하며,
    - 메시지 블록(AIP) 내부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블록(NPLD)의 스타팅 시점이 상기 제어 블록(NHDR)내로 고정 입력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무선을 통해 연결된 가입자를 가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AIP)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포맷 변환 장치.
KR1019990703565A 1996-10-24 1997-10-02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52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4305 1996-10-24
DE19644305.9 1996-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760A true KR20000052760A (ko) 2000-08-25

Family

ID=780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565A KR20000052760A (ko) 1996-10-24 1997-10-02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34674A1 (ko)
JP (1) JP2001502507A (ko)
KR (1) KR20000052760A (ko)
WO (1) WO1998018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482A (en) * 1994-11-23 1996-10-22 Yurie Systems, Inc. Low speed radio link system and method designed for ATM trans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8284A1 (de) 1998-04-30
JP2001502507A (ja) 2001-02-20
EP0934674A1 (de) 199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0586B1 (en) Method for accessing and providing access to a packet channel
FI115014B (fi) Menetelmä ja laite tiedon välittämiseksi digitaalisessa radiojärjestelmässä
KR100373740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고속데이터전송
KR100642401B1 (ko) 가상 링크가 가변 전송 능력을 가진 무선 통신 시스템
US7050415B2 (en) Wireless network with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US5574973A (en) Method of registering/-reassigning a call in a dual mode communication network
KR10046396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코드어의복호화를간략화하는방법및장치
RU2321953C2 (ru) Логический уровень rlp станции связи
EP0781495B1 (en) Transmission of control messages in digital telephony
KR100461213B1 (ko) 오버헤드 메시지 갱신 방법 및 시스템
US7822420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allocating a channel required for a radio transmission
FI100211B (fi) Suurinopeuksinen datasiirto matkaviestinverkoissa
US20030206530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control traffic
MXPA97002010A (en)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messages in telefonia digi
KR19990064311A (ko) 대역폭 할당
MXPA97001965A (en) Transmission of control messages in telephone digi
JP2000078668A (ja) Tdmaワイア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情報を搬送する方法
US2006000236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WO1998049851A2 (en) Method for voice quality improvement in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MXPA97001972A (en) Method of restriction for channel access depending on the classes of subscriber and load of the system
US716224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o a mobile station
KR20000052760A (ko) 사용자 정보를 가진 atm-셀을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블록으로 연속적으로 포맷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580753B1 (en)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via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telecommunication system
WO1996008940A2 (en) Call handoff in digital radio telephony
WO2005064972A1 (en) Method, terminal unit and base station unit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