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637A - 지지대 형성 부재 - Google Patents

지지대 형성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637A
KR20000052637A KR1019990703400A KR19997003400A KR20000052637A KR 20000052637 A KR20000052637 A KR 20000052637A KR 1019990703400 A KR1019990703400 A KR 1019990703400A KR 19997003400 A KR19997003400 A KR 19997003400A KR 20000052637 A KR20000052637 A KR 2000005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intermediate member
support
wa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콥슨제이슨알
램버슨앤드류씨
윌슨제임스에이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0005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24Adjustable siz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를 제공하며, 이 부재는 (1)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상부벽과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주벽을 구비하는 상부 부재와, (2) 상부 부재의 주벽 또는 다른 하나의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상면을 각각 구비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복수 개의 중간 부재와, (3) 각각의 중간 부재에 삽입하기 위한 서랍 부재와, (4) 수평면에 지지되고 맨 아래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대 형성 부재{STAND FORMING MEMBERS}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어 지지대를 형성하는 지지대 형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부재로 조립되어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의 제1 형상의 사시도로서, 이 지지대를 상세히 볼 수 있게 특정 부재를 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상부 부재의 확대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에 포함된 U자 형상의 2개의 중간 부재중 하나의 확대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중간 부재의 확대 저면도.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에 포함된 2개의 서랍 부재중 하나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에 포함된 저부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부재로 조립되어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의 제2 형상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부재로 조립되어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의 제3 형상의 사시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어 (1) 수평면 위의 선택된 거리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거나, (2)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을 구비하는 수납용 지지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형성 부재는, (1)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부벽과 그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주벽(周壁)을 구비하는 상부 부재와, (2)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을 각각 구비하고 그 상면이 상부 부재의 주벽 또는 다른 하나의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 대략 U자 형상의 하나 이상, 가능하기로는 2, 3 또는 그 이상의 중간 부재와, (3) 닫힌 위치에서는 상기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측부 사이에 있고 각 중간 부재마다 하나씩 있는 서랍 부재로서, 상기 측부와 서랍 부재에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기 서랍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게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그 서랍 부재와, (4) 수평면에 지지되게 되어있고, 맨 아래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거나 상부 부재의 주벽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중간 부재가 없는 경우)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중간 부재와 상부 부재 각각은 소정의 높이(예컨대, 약인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부재들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지지대는 적절한 수의 중간 부재를 이용하여, 또는 중간 부재없이 수평면 위로 상기 예정 높이의 배수로서 선택된 높이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있다. 각각의 높이가인치인 4개의 중간 부재와 상부 부재를 이용하면, 높이가에 이르는 지지대를 조립할 수 있으며,인치 내지인치의 범위 내에서인치씩 증가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내의 높이는 가장 키가 큰 약 5%의 남자와 가장 키가 작은 약 5%의 여자를 제외한 모든 남녀에게 적절한 것으로 이해된다.
지지대 부재가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상부 부재에 있는 주벽의 높이의 치수는 그 주벽을 지지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의 개방측을 가로질러 가교(架橋)되는 주벽의 부분에 충분한 비임 강도를 제공하게 약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부재의 상부벽에는 그 상면을 따라 돌출하여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부 지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거의 동심인 일련의 아치형 리브와, 상부 부재의 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긴 교차형 리브가 마련되며, 이에 의하여 주벽, 아치형 리브 및 교차형 리브는 중량이 80 파운드에 이르는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구조적 강도를 상부벽에 제공한다.
또한, 서랍 부재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서랍 부재를 중간 부재 위에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각 중간 부재에 마련된 한 쌍의 대향하는 평행 레일과, 서랍 부재의 각 대향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탭을 구비하는데, 이들 탭은 레일의 상면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부재는 각 레일의 상면을 따라 상면 위로 돌출하는 정지구를 구비하여, 중간 부재가 열린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한 쌍의 전방 탭은 레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한 쌍의 후방 탭은 레일을 따라 이동해서 정지구와 결합되어 서랍 부재의 열린 위치를 정한다.
동일 부호가 동일 부품을 지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는 중합체 재료(예컨대, 충격
에 강한 폴리스티렌)로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지지대 성형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 성형 부재는 상부 부재(10), U자 형상의 중간 부재(12), 서랍 부재(14), 그리고 베이스 부재(16)를 포함하며, 이들 부재들은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어 수평면 위로 다른 거리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거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 부재를 구비하는 수납 지지대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대는 하나의 상부 부재(10)와, 2개의 중간 부재(12)와, 2개의 서랍 부재(14) 및 하나의 베이스 부재(16)로 구성된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와, 하나의 상부 부재(10)와, 하나의 중간 부재(12)와, 하나의 서랍 부재(14) 및 하나의 베이스 부재(16)로 구성된 도 9에 도시된 지지대와, 하나의 상부 부재(10)와, 3개의 중간 부재(12)와, 3개의 서랍 부재(14) 및 하나의 베이스 부재(16)로 구성된 도 10에 도시된 지지대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지지대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부 부재(10)는 대략 장방형의 상부벽(18, 예컨대 폭은 약 13 인치이고 깊이는 약인치)과, 상부벽(18)의 둘레에 있는 주벽(2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벽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의 보스와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부 지지면(20) 및 이에 대향하는 저면(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벽(22)은 상부벽(18)의 둘레와 결합하는 상부 엣지를 구비하고, 상부 지지면(20)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상기 저면(21)으로부터 돌출하며, 상부 엣지와 상부 지지면(20)에 대향하는 말단의 엣지면(24)을 구비한다.
대략 U자 형상의 각각의 중간 부재〔12, 상부 부재(10)의 지지면(20)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경우 U자 형상〕는 전단부(31)와 후단부(32)가 마련되고 대략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긴 측부(30)와, 이 측부(30)의 후단부들(32) 사이에 마련된 긴 후방 부분(34)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 부재(12)는 상부벽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측벽(35)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벽의 상면(38)에는 평탄한 중앙부(37)와 그 둘레의 오목부(39)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은 상부벽의 상면(38)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부벽의 측부로부터 보강 리브(33)를 지나서 돌출하며, 상기 보강 리브는 말단면이 중간 부재의 하면(36)을 형성한다. 상면의 오목부(39)는 상부 부재(10)의 둘레 벽(22) 상의 말단 엣지면(24) 또는 다른 하나의 중간 부재(12)의 저면(36)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닫힌 위치에서, 서랍 부재(14)는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12)의 측부들(30) 사이에 있으며, 그 닫힌 위치에서 측부(30)의 전단부(31) 사이로 연장하며 그 측부와 맞닿는 전방 패널(40)을 구비한다. 전방 패널(40) 상에 만곡되게 돌출된 서랍의 손잡이 스트립(41)은 서랍 부재(14)에 용이하게 손으로 결합된다. 전방 패널(40)이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서랍 부재(14)를 중간 부재(12)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며, 이 수단은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12)의 측부(30) 상에서 평행하게 반대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레일(42)과 서랍 부재(14)의 상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탭(44)을 포함하며, 이 수단에 의하여 복수 개의 서랍 부재(14)는 측부(30)의 전단부(31)를 넘어서 돌출한다.
베이스 부재(16)는 수평면(예컨대, 책상 상부)에 지지되게 되어 있는 저부 지지면(50)과, 맨 아래 중간 부재(12)의 하면(36) 또는 상부 부재(10)의 주벽(22)에 있는 말단 엣지면(24)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 대향하는 상면(52)을 구비한다.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장방형 관통 구멍(53)이 베이스 부재(16)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를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부 부재(10)는 중량이 약 80 파운드인 21 인치 모니터를 포함한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상부 부재(10)에 있는 주벽(22)의 높이 치수는 그 주벽을 지지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12)의 개방측을 가로질러 가교되는 주벽(22)의 일부가 굴곡되는 것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비임 강도를 제공하도록 약인치이다(예컨대, 두께는 0.110 인치로 비교적 얇지만). 또한, 상부 부재(10)의 상부벽(18)에는 반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거의 동심인 2열의 아치형 리브(54)가 마련되며, 상기 아치형 리브는 그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하여 모니터가 지지되는 그 상부 지지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벽(18)은 그 저면(2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복수 개의 긴 교차형 리브(56, 예컨대 0.008인치의 두께와 0.6인치의 높이)를 구비하며, 이 교차형 리브(56)는 일련의 아치형 리브(54) 사이를 포함한 여러 위치에서 교차하여 상부벽(18)의 평면부에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부 부재(10), 중간 부재(12) 및 저부 부재(16)는 중간 부재(12)의 측부(30)가 그 사이에 서랍 부재(14)를 수용할 수 있게 일정 간격을 두고 적절히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서로 적절히 수직 배열되게 하여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중간 부재(12)의 측벽(35)에는 그 하면(36)에 인접한 대향하는 내부면(66)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16)는 그 상면(52) 위로 돌출된 긴 러그(67)를 포함하며, 이 러그는 중간 부재(12)의 두 측부(30)와 후방부(34)를 따라서 따라 대향하는 두 내부면(66) 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양측부(30)와 후방부(34)를 베이스 부재(16)의 상면(52)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긴 측부(30)와 후방부(34)는 오목면부(39)와 중간 부재(12)에 있는 상면(38)의 중앙 표면부 사이에 수직면(71)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직면(71)은 상부 부재(10)의 주벽(22)의 내면을 따라 또는 다른 중간 부재(12)의 측부(30)와 후방부(34)의 측벽(35)에 있는 대향하는 내부면(66)을 따라 근접하게 배치되게 되어 있다.
지지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중간 부재(1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중간 부재(12)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중간 부재(12)와 같이 상이한 수의 중간 부재(12)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보다 많은 수의 중간 부재(12)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부 부재가 베이스 부재(16)에 직접 지지되게 중간 부재가 없을 수 있다. 예로서, 중간 부재(12)는 각각 상면(38)과 하면(36) 사이의 높이 치수가 약인치일 수 있으며, 또한 상면(20)과 그 말단 엣지면(24) 사이의 상부 부재(10)의 높이 치수는 약인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부재(10)와 중간 부재(12)는 상부 부재(10)의 상면(20)과 베이스 부재(16)의 지지면(50) 사이의 높이가인치씩 증가하는 여러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대를 조립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서랍 부재(14)는 서랍 부재(14)가 닫힌 위치에서 중간 부재(12)의 측부를 따라 위치되는 대향 측벽(68)을 구비한다.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서랍 부재(14)를 중간 부재(12)에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중간 부재(12)에 마련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행 레일(4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탭(44)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은 상면(38)의 오목부(39)에 인접한 그 측부(30)로부터 서로를 향해서 돌출하며, 중간 부재의 상면(38)에 인접한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탭은 서랍 부재(14)의 대향하는 각 측벽(68)의 상부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상부 엣지는 레일(42)의 상면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쌍을 이룬 각각의 탭(44)은 전방 패널(40)에 인접한 전방 탭(70)과 서랍 부재(14)의 대향 단부에 인접한 후방 탭(72)을 포함한다. 중간 부재(12)는 측부(30)의 전단부(31)에 인접한 각 레일의 상면을 따라 그 상면 위로 돌출하는 정지구(74)를 포함하며, 레일은 이 정지구로부터 돌출한다. 서랍 부재(14)가 열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전방 탭(70)은 레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2개의 후방 탭(72)은 레일(42)을 따라 정지구(74)와 맞물리게 이동하여 서랍 부재(14)의 열린 위치를 정한다. 서랍 부재(14)의 측벽(68)의 높이는 오목한 상면부(39)와 그 하면(36) 사이에 있는 중간 부재(12)의 높이보다 약간 낮아서, 서랍 부재(14)가 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서랍 부재(14)는인치의 종이 또는 A4 종이가 그 위에 평평하게 놓일 수 있는 크기의 수평한 저부벽(76)을 구비한다. 저부벽(76)은 전방 패널(40)에 인접한 관통 구멍(78)을 구비하여 서랍 부재(14)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관통 개구(78)를 통하여 손가락을 넣어 저부벽(76)으로부터 물건(예컨대, 종이 시트)을 들어올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분리기(도시 생략)가 서랍 부재(14)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각의 지지대 형성 부재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예에 대한 많은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물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청구범위의 용어에 의하여 설명된 구조물과 그 균등물에 의하여만 한정된다.

Claims (18)

  1.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어 수평면 위로 다른 거리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지지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로서,
    상부벽과 그 둘레의 주벽(周壁)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벽에는 둘레부,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부 지지면 및 이에 대향하는 저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벽은 상부 엣지에서 상기 상부벽의 둘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지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상기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주벽은 또한 상부 엣지와 상부 지지면에 대향하는 말단의 엣지면을 구비하는 상부 부재와,
    전단부와 후단부를 구비하고 대략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긴 측부와, 상기 측부의 후단부들 사이에 긴 후방부를 구비하는 대략 U자 형상의 하나 이상의 중간 부재로서, 이 중간 부재의 하면은 상기 후방부와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부재의 주벽에 있는 말단 엣지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면이 상기 하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그 중간 부재와,
    닫힌 위치에서는, 대략 U자 형상의 중간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측부의 전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패널을 구비하는 서랍 부재와,
    상기 서랍 부재가 상기 측부들 사이에 있고 전방 패널이 상기 측부의 전단부들 사이에 있는 닫힌 위치와, 상기 복수의 서랍 부재가 상기 측부의 전단부를 넘어서 돌출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서랍 부재를 상기 중간 부재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서랍 부재에 마련되는 지지 수단과,
    수평면에 지지되게 되어 있는 저부 지지면과, 이에 대향하며 중간 부재의 저면 또는 상부 부재의 주벽에 있는 말단 엣지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면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중간 부재와, 각 중간 부재마다 하나의 서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부재의 각각의 상면은 상기 상부 부재의 말단 엣지면 또는 다른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중간 부재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다른 중간 부재의 상면에서 지지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의 상부벽에는 그 상면을 따라 돌출하여 모니터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부 지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거의 동심인 일련의 아치형 리브와, 상부 부재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복수 개의 긴 교차형 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벽, 아치형 리브 및 교차형 리브는 상기 상부 부재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는 서랍 부재가 닫힌 위치에서 상기 중간 부재의 측부를 따라 위치되는 대향 측벽을 구비하며,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서랍 부재를 상기 중간 부재에 지지하는 상기 지지 수단은 중간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측부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평행 레일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탭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측부의 상면에 인접한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탭은 서랍 부재의 대향하는 각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이 탭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의 각 측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탭은 전방 패널에 인접한 전방 탭과 상기 전방 패널에 대향하는 측단부에 인접한 후방 탭을 구비하며, 상기 탭은 상기 측벽의 상부 엣지를 따라 있으며, 중간 부재는 레일이 돌출하는 측부의 전단부에 인접한 각 레일의 상면을 따라 그 상면 위로 돌출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며, 서랍 부재가 열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전방 탭은 레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2개의 후방 탭은 레일을 따라 정지구와 맞물리게 이동하여 서랍 부재의 열린 위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는 수평한 저부벽을 구비하고, 이 저부벽은 상기 전방 패널에 인접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서랍 부재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이용자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손가락을 넣어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중간 부재는 상부벽과 측벽을 구비하며, 이 상부벽은상기 각 측부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벽의 종방향 연장 엣지를 따라 대향하는 내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벽의 측부로부터 멀리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그 상면 위로 러그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러그 돌출부는 중간 부재의 두 측부와 후방부를 따라서 상기 측벽의 대향하는 두 내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 측부와 긴 후방부는 각각 상기 중간 부재의 둘레에서 서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두 표면 중 하나는 상기 상면의 중앙부로부터 오목한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에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며, 다른 하나의 표면은 상기 상면의 오목부와 중앙부 사이로 연장하며 다른 중간 부분의 상기 측벽에 있는 대향하는 내부면을 따라 근접하게 위치되독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말단 엣지면 사이의 거리인 상기 상부 부재에 있는 주벽의 높이 치수는 약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간 부재의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의 높이 치수는 약인치이며, 상기 상부 부재의 주벽의 상면과 말단 엣지면 사이의 높이 치수는 약인치이며, 상기 상부 부재의 말단 엣지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저면과 상기 상부 부재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약인치씩 증가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1.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중간 부재와 2개의 서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2. 제9항에 있어서, 3개의 중간 부재와 3개의 서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3.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조립되어 수납 지지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로서,
    상부벽과 그 둘레의 주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벽에는 둘레부, 상면 및 이에 대향하는 저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벽은 상부 엣지에서 상기 상부벽의 둘레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지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상기 저면으로부터 멀리 돌출하며, 상기 주벽은 또한 상부 엣지와 상면에 대향하는 말단의 엣지면을 구비하는 상부 부재와,
    전단부와 후단부를 구비하고 대략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긴 측부와, 상기 측부의 후단부들 사이에 긴 후방부를 구비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복수 개의 중간 부재로서, 상기 상부 부재의 주벽에 있는 말단 엣지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면과 이에 대향하는 하면을 구비하는 그 중간 부재와,
    닫힌 위치에서는 상기 중간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측부의 전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패널을 구비하며 각 중간 부재에 대해 있는 서랍 부재와,
    상기 서랍 부재가 상기 측부들 사이에 있고 전방 패널이 상기 측부의 전단부들 사이에 있는 닫힌 위치와, 상기 복수의 서랍 부재가 상기 측부의 전단부를 넘어서 돌출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서랍 부재를 상기 중간 부재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서랍 부재에 마련되는 지지 수단과,
    수평면에 지지되게 되어 있는 저부 지지면과, 이에 대향하며 중간 부재의 저면 또는 상부 부재의 주벽에 있는 말단 엣지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상면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은 상기 상부 부재의 말단 엣지면 또는 다른 중간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어있으며, 상기 중간 부재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또는 다른 중간 부재의 상면에 지지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는 서랍 부재가 닫힌 위치에서 상기 중간 부재의 측부를 따라 위치되게 되어 있는 대향 측벽을 구비하며,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서랍 부재를 상기 중간 부재에 지지하는 상기 지지 수단은 중간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측벽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평행 레일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탭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에 인접한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탭은 서랍 부재의 대향하는 각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이 탭은 상기 레일의 상면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의 각 측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탭은 전방 패널에 인접한 전방 탭과 상기 전방 패널에 대향하는 측단부에 인접한 후방 탭을 구비하며, 상기 탭은 상기 서랍 부재의 상부 엣지를 따라 있으며, 중간 부재는 레일이 돌출하는 측부의 전단부에 인접한 각 레일의 상면을 따라 그 상면 위로 돌출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며, 서랍 부재가 열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전방 탭은 레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2개의 후방 탭은 레일을 따라 정지구와 맞물리게 이동하여 서랍 부재의 열린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부재는 수평한 저부벽을 구비하고, 이 저부벽은 상기 전방 패널에 인접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서랍 부재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이용자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중간 부재는 상부벽과 측벽을 구비하며, 이 상부벽은상기 각 측부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벽의 종방향 연장 엣지를 따라 대향하는 내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벽의 측부로부터 멀리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그 상면 위로 부재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부재 돌출부는 중간 부재의 두 측부와 후방부를 따라서 상기 측벽의 대향하는 두 내부면 사이에 위치되게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중간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긴 측부와 긴 후방부는 각각 상기 중간 부재의 둘레에서 서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두 표면 중 하나는 상기 상면의 중앙부로부터 오목한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에 있는 제2 부분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의 표면은 상기 상면의 오목부와 중앙부 사이로 연장하며 다른 중간 부분의 상기 측벽에 있는 대향하는 내부면을 따라 근접하게 위치되독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형성 부재.
KR1019990703400A 1996-10-21 1997-01-28 지지대 형성 부재 KR20000052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34,281 US5788346A (en) 1996-10-21 1996-10-21 Stand forming members
US8/734,281 1996-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37A true KR20000052637A (ko) 2000-08-25

Family

ID=2495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400A KR20000052637A (ko) 1996-10-21 1997-01-28 지지대 형성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88346A (ko)
EP (1) EP0944343B1 (ko)
JP (1) JP3867133B2 (ko)
KR (1) KR20000052637A (ko)
CA (1) CA2268171A1 (ko)
DE (1) DE69711917T2 (ko)
WO (1) WO1998017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288A (en) * 1998-06-04 2000-03-14 Shih; Kun-Chi Desktop computer rack
US20040140742A1 (en) * 2003-01-17 2004-07-22 Liu Jan Ban Table device for supporting computer
US20050110371A1 (en) * 2003-11-21 2005-05-26 Chin-Chu Li Pedestal assembly
US9395034B1 (en) * 2006-08-04 2016-07-19 J.F.R. Enterprises, Inc. Equipment pad that includes one or more risers
WO2013106768A1 (en) * 2012-01-12 2013-07-18 EMS Mind Reader LL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a storage draw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7892A (en) * 1938-10-28 1941-01-07 James W Stewart Drawer construction
US2926978A (en) * 1956-08-16 1960-03-01 Union Steel Chest Corp Utility cabinet
US3133771A (en) * 1962-04-11 1964-05-19 Jack R Dorman Stackable small parts container
US3606506A (en) * 1969-03-05 1971-09-20 Armstrong Cork Co Modular units for furniture and cabinet construction
US3642337A (en) * 1970-08-21 1972-02-15 Jay Manheim Cassette container
US3805935A (en) * 1972-06-27 1974-04-23 Lipe Rollway Corp Impingement cooling means for friction clutch or disc brake
US4206955A (en) * 1978-08-01 1980-06-10 Cooper Jack M Closet storage unit
US4192562A (en) * 1978-08-22 1980-03-11 Bishoff Mark L Interfitting and removable modular, frame, storage units
US4592601A (en) * 1984-08-03 1986-06-03 Maclean-Fogg Company Expandable modular storage system
US5062609A (en) * 1990-07-16 1991-11-05 Curtis Manufacturing Company, Inc. Combined keyboard storage, monitor support and document storage shelf apparatus
EP0643936A1 (de) * 1993-08-31 1995-03-22 Otto Dr. Moser Datenverarbeitungsstation auf die Arbeitsflächen von Behandlungsmöbeln in der Zahnarzt-Praxis oder auf Arbeitsflächen anderer Arbeitsbereiche
US5466057A (en) * 1994-03-16 1995-11-14 Blankenburg; Karl Modular storage apparatus
IT235041Y1 (it) * 1994-11-03 2000-03-31 Exponent Italia Srl Dispositivo per organizzare una stazione di lavoro da uffic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1917T2 (de) 2002-11-14
EP0944343B1 (en) 2002-04-10
EP0944343A1 (en) 1999-09-29
WO1998017148A1 (en) 1998-04-30
DE69711917D1 (de) 2002-05-16
JP3867133B2 (ja) 2007-01-10
CA2268171A1 (en) 1998-04-30
JP2001502574A (ja) 2001-02-27
US5788346A (en) 199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8003A (en) Stackable tray carrying units
US4887724A (en) Tiered tray assembly
US5582296A (en) Stackable load bearing tray
US4379541A (en) Holder for a container
US7806282B1 (en) Storage unit with shelves having inclined front end portions to facilitate scooping parts and components
US4674724A (en) Collapsible stand especially for books
US4162014A (en) Vertical file construction
US5823332A (en) Multimedia storage device
US5072835A (en) Tape cartridge holder
US4062452A (en) Document filing apparatus
US5125511A (en) Blow molded box
JPH1156500A (ja) 引き出しフレームまたは引き出しレール、及び引き出しフレームまたは引き出しレールを備えた引き出し
US4722453A (en) Data storage tray
CA1338443C (en) Printed material support holder
KR20000052637A (ko) 지지대 형성 부재
WO1998031609A1 (en) Support system for files
JPH09202378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等の収納ケース
US20040206657A1 (en) Packing structure and packing member of corrugated cardboard
US4763831A (en) Variable length/width packaging box
US5407085A (en) Display rack
US4872733A (en) Multi-position base for supporting a cabinet
US5456370A (en) Display rack
US5676262A (en) Bakeware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US5207319A (en) Container for floppy disk, compact disk or other members of similar configuration
US20050110371A1 (en) Pedest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