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140A -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140A
KR20000050140A KR1020000026604A KR20000026604A KR20000050140A KR 20000050140 A KR20000050140 A KR 20000050140A KR 1020000026604 A KR1020000026604 A KR 1020000026604A KR 20000026604 A KR20000026604 A KR 20000026604A KR 20000050140 A KR20000050140 A KR 2000005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terminal
signal
mobile
watch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엽
Original Assignee
우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엽 filed Critical 우상엽
Priority to KR102000002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140A/ko
Publication of KR2000005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등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확인 및 이의 통제가 가능토록 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기위치신호와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자기상황신호를 송출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과;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상황신호와 자기위치신호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 및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수단을 구비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를 군 통제용 또는 미아발생 방지용 등 다방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기능을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POSITION DEFINE SYSTEM IN WRIST 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GPS(Global Position System)등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확인 및 이의 통제가 가능토록 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현재 다양한 방식 및 형태의 개인휴대단말기 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중 하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를 들 수 있다.
휴대시계형 단말기는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 비해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휴대를 위해 소형화가 필수이므로 현재는 그 기능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현재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주로 개개인간의 통신에 이용되므로 다수를 동시에 컨트롤하기는 곤란하였으며, 현재까지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신체기능을 센싱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기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GPS등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중앙 통제기와의 연계하에 위치인식 및 이를 통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감시가 가능토록 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시계형 단말기에 신체의 기능을 센싱할 수 있는 각종센서를 부착하여 노약자나 심신장애자 등의 상태 파악 및 감시가 가능토록 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외형 및 위치 표시도.
도 4는 도 1의 중앙 통제소에서의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표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상세 구성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500 : 휴대시계형 단말기 200,600 : 중앙 통제소
300,700 : 중계기 101,501 : 기능 설정부
102,502 : 송수신부 103,503 : 타이머
104,504 : 데이터 저장부 105,505 : 프로그램 롬
106,506 : 표시부 107,507 : 제어부
108,508 : 경보부 109 : 센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은,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기위치신호와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자기상황신호를 송출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과;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상황신호와 자기위치신호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 및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센싱하여 해당 신체기능감지신호를 송출하며,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기위치신호를 송출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과;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위치신호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신체기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며, 감시결과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휴대시계형 단말기(100), 중앙 통제소(200),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와 중앙 통제소(200)의 연계를 위한 중계기(300)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는 중앙 통제소(200)에서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기위치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중앙 통제소(200)로부터 위치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며, 자신의 위험 발생시 위험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소(200)는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를 제어함과 더불어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위치신호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도면에는 GPS용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음)를 이용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된 결과를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에 알려주는 기능 등을 행한다.
도 2는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각종 키 입력을 위한 기능 설정부(101)와, 상기 중앙 통제소(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2)와, 시간표시를 위한 타이머(103)와, 자신의 고유번호(ID)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04)와,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롬(105)과, 시간 표시를 비롯하여 후술될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06)와, 상기 송수신부(102)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의 상기 표시부(106)에의 표시기능의 제어 및 상기 프로그램 롬(105)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능 설정부(101)를 통해 설정되는 각종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며, 자기위치신호 및 위험신호 등을 발생하는 제어부(107)와, 상기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위험상황 발생시 경고기능을 행하는 경보부(108)로 구성되며, 상기 경보부(108)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 구동에 있어서 전원이 필요한 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전원부는 통상의 시계 바테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설정부(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설정키(101a),(101b)로 구성되나 그 개수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는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이며, 표시부(106)는 LC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07)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소(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종 기능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각 중계기의 위치 데이터(지도 데이터) 및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갖는 데이터 저장부, 프로그램 롬, 표시부 및 송수신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통제소(200)는 별도의 단말기이거나 또는 PC 및 서버 등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군 통제용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는 평상시 타이머(103)에 의해 표시부(106)에 시간 표시를 행하며, 현재 자기의 위치를 중앙 통제소(200)에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기위치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수신부(102)를 통해 송출한다.
이 송출된 자기위치신호는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가장 가까이 위치한 중계기(300)를 거쳐 중앙 통제소(200)에 수신된다. 물론,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에서 송출되는 자기위치신호는 휴대시계형 단말기(100)가 중앙 통제소(200)의 근방에 위치해 있을 경우 중계기(3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중앙 통제소(200)에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수신한 중앙 통제소(200)는 각각의 중계기(300)의 위치 데이터(지도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기위치신호를 송출한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 파악은 가능하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의 파악은 어려우므로 이때 GPS용의 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위도, 경도 및 고도 등을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자기위치신호를 송출한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 또는 기타의 위치측정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소(200)는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면 중앙 통제소(200)의 표시부에 표시함과 더불어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위치표시 데이터로써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에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통제소(200)의 표시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도 및 경도 등의 좌표 지도가 표시되어 있고, 해당 위치에 해당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고유번호(P1∼Pn)가 표시된다.
상기 중앙 통제소(200)에서 송출되는 위치표시 데이터는 중계기(300)를 거쳐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송수신부(102)에 수신되며, 이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06)에 표시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 경도 130°, 위도 120°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고도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는 고도 데이터까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04)에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표시부(106)에 해당지역의 지도를 표시할 경우에는 지도상에 자신의 위치가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위험 발생시 사용자는 기능 설정부(101)의 기능 설정키를 이용해 자신의 상황이 위험함을 알리기 위한 위험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제어부(107)에 의해 발생되어 송수신부(102)를 통해 송출된다.
상기 위험신호를 수신한 중앙 통제소(200)는 해당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고유번호 표시시 해당 고유번호를 점멸하여 군 지휘본부 등에서 위험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를 분실했을 경우, 이를 중앙 통제소(200)에 알려주면 중앙 통제소(200)는 해당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고유번호를 삭제하고, 이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는 기능을 마비시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통제소(200)는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고유번호 입력시 현재의 PCS 폰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고유번호가 입력되도록 하며, 일정한 문자 또는 메시지(예 : 암호)를 전체의 휴대시계형 단말기 또는 개별적으로 전송 가능하다.
상기 중앙 통제소(200)에서 암호를 전송했을 경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는 기능 설정부(101)의 정해진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중앙 통제소(100)에서 암호의 확인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100)가 서로 근접(예 : 20m 이내)해 있을 경우, 기능 설정부(101)의 기능 설정키에 의해 동일 종류 즉, 아군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능 설정부(101)의 특정한 기능 설정키에 해당 기능을 설정해 두면 된다.
한편, 적군공습 등의 긴급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중앙 통제소(200)는 경보를 위한 특정 신호를 송출하면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는 이를 수신하여 경보부(108)를 통해 경보할 수 있으며, 이때 경보의 한 방법으로는 경보부(108)를 진동 발생기 등으로 구성하여 진동을 발생하여 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표시부(106)의 시계표시 바탕화면에 별도의 경보 표시를 통하여 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 실시 예의 시스템을 노약자나 심신장애자 등의 보호 및 감시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체기능이 비정상적일 경우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및 중앙 통제소(600)에서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기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 등을 갖는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를 항상 감시하면서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에서 위험신호 수신시 해당 연락처로 연락을 해주거나 또는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로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소(600) 및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와 중앙 통제소(600)의 연계를 위한 중계기(70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중앙 통제소(600)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를 제어함과 더불어 휴대시계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위치신호 및 GPS용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600)의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기능 등을 가짐은 물론이다.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키 입력을 위한 기능 설정부(501)와, 상기 중앙 통제소(6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02)와, 시간표시를 위한 타이머(503)와, 자신의 고유번호(ID)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504)와,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롬(505)과, 시간 표시를 비롯하여 후술될 제어부(507)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506)와, 상기 송수신부(502)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의 상기 표시부(506)에의 표시기능의 제어 및 상기 프로그램 롬(505)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능 설정부(501)를 통해 설정되는 각종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며, 자기위치신호 및 후술될 센서부(509)에 의해 센싱되는 신체기능에 해당하는 신체기능감지신호 등을 발생하는 제어부(507)와, 상기 제어부(507)의 제어에 따라 위험상황 발생시 경고기능을 행하는 경보부(508) 및 사용자의 심장박동 등의 신체기능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부(50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508)는 부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509)는 사용자의 각종 신체기능을 센싱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소(600)는 통상의 서버의 구성과 같이, 각종 기능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각 중계기의 위치 데이터(지도 데이터) 및 휴대시계형 단말기(600)에 대한 정보 및 위험상황시의 연락처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저장부, 프로그램 롬, 표시부 및 송수신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노약자나 질병자의 보호목적으로 사용할 경우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실시 예와 동일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약한다.
먼저,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기위치신호를 송수신부(502)를 통해 송출하게 되며, 이는 중앙 통제소(600)에 수신된 후, GPS용 위성 및 기타 위치측정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위치정보로부터 정확한 위치가 파악된다. 이 파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중앙 통제소(600)는 자신의 표시부에 휴대시계형 단말기(100)의 위치를 표시하며, 또한 파악된 결과를 위치표시 데이터로써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로 송출된다.
상기 위치표시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는 데이터 저장부(504)에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표시부(506)에 지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여 이 지도상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기(500)는 상기 자기위치신호의 송출이외에도 센서부(509)에서 센싱되는 센싱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509)는 심장 박동을 센싱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센서부(509)에서 센싱되는 심장박동값이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사용자에 맞게 기 설정되어 있는 정상범위의 값이면 제어부(507)는 사용자의 위험상황시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위험신호를 정상신호로써 송출한다.
이때, 중앙 통제소(600)의 표시부에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해당 고유번호와 함께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위치가 표시된다.
만일, 센서부(509)에서 센싱되는 심장박동값이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사용자에 맞게 기 설정되어 있는 정상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제어부(507)는 송수신부(102)를 통해 위험신호를 정상신호와는 다른 위험을 알리는 신호로써 송출한다.
이때, 중앙 통제소(600)의 표시부에는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위치와 함께 표시되는 해당 고유번호가 점멸되어 표시되며, 신체기능 센싱결과의 위험신호를 수신한 중앙 통제소(600)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연락처로 연락을 행하며, 또한 경보를 위한 신호를 송출하여 휴대시계형 단말기(500)의 경보부(508)를 통해 부저음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이 정지하여 센서부(509)에서 심장박동을 센싱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507)는 위험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통제소(600)의 표시부에는 해당 휴대시계형 단말기(500)가 표시되지 않게 되어 중앙 통제소(600)는 이에 맞는 응급대처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서 자기위치신호를 송출함에 따라 중앙 통제소에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미아 방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개인휴대단말기에 비해 휴대가 간편한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기능을 다양화함으로써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시계형 단말기를 군 통제용 및 노약자와 질병자 보호 및 미아방지 등의 다방면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기위치신호와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자기상황신호를 송출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과;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상황신호와 자기위치신호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 및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은
    긴급상황 발생시 자기상황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은
    상기 중앙 통제수단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자신의 고유번호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과;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기위치신호 및 자기상황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휴대시계형 단말수단 자신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부터 긴급상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를 경보하기 위한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에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을 통해 송출하는 위치표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수단의 좌표 또는 지도상에 상기 위치표시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진동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 결과를 해당 고유번호와 함께 자신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자기상황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고유번호를 점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문자 또는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암호인 것을 특징을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1.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센싱하여 해당 신체기능감지신호를 송출하며,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자기위치신호를 송출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위치신호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신체기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며, 감시결과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은
    사용자의 신체기능 센싱 값이 없을 경우 신체기능감지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은
    상기 중앙 통제수단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과;
    자신의 고유번호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과;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센싱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기위치신호 및 상기 센서수단의 센싱 결과에 따른 신체기능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휴대시계형 단말수단 자신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부터 긴급상황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를 경보하기 위한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에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인식을 통해 송출하는 위치표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수단의 좌표 또는 지도상에 상기 위치표시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LC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부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위치파악 결과를 해당 고유번호와 함께 자신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신체기능감지신호가 정상적인 신체기능감지신호가 아니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휴대시계형 단말수단의 고유번호를 점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긴급상황신호의 송출시 해당 연락처로 연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문자 또는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KR1020000026604A 2000-05-18 2000-05-18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KR2000005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04A KR20000050140A (ko) 2000-05-18 2000-05-18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04A KR20000050140A (ko) 2000-05-18 2000-05-18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140A true KR20000050140A (ko) 2000-08-05

Family

ID=1966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604A KR20000050140A (ko) 2000-05-18 2000-05-18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521A (zh) * 2019-03-29 2019-06-1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电子乘车信息的进出站监控方法及智能穿戴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521A (zh) * 2019-03-29 2019-06-1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电子乘车信息的进出站监控方法及智能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0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US5652570A (en) Individual location system
US9235972B2 (en) Personal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US5461365A (en) Multi-hazard alarm system using selectable power-level transmission and localization
US20010048364A1 (en) Remote-to-remote position locating system
KR100377686B1 (ko) 자체위치선정용원격감시시스템
US6239700B1 (en) Personal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US9898915B2 (en) Tracking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US6624754B1 (en) Personal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US74892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ttitude of a remotely monitored device
US20070282173A1 (en) Vital sign sending method and a sending apparatus thereof
US20170035367A1 (en) Personal safety monitoring using a multi-sensor apparatus
JPH1040483A (ja) 所在検出システム
JP2006141902A (ja) 安否確認装置、安否確認方法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KR101122889B1 (ko) 통신 단말
JP2009301457A (ja) 救援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20000050140A (ko) 휴대시계형 단말기의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847092B1 (ko)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04865A (ko) 손목형 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010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tamper detection
KR102192784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WO2015004510A1 (en) A novel safe guard device as insurance for life
KR20200079942A (ko) Gps 사고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등산용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