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837A -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 Google Patents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837A
KR20000046837A KR1019980063564A KR19980063564A KR20000046837A KR 20000046837 A KR20000046837 A KR 20000046837A KR 1019980063564 A KR1019980063564 A KR 1019980063564A KR 19980063564 A KR19980063564 A KR 19980063564A KR 20000046837 A KR20000046837 A KR 20000046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fluid
diffuser
turbo compresso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431B1 (ko
Inventor
곽승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6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431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2Multi-stage pumps
    • F04D17/14Multi-stage pump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e.g. series-parallel, e.g. side-l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로 유입되어 고속 고압의 상태로 빠져나가 디퓨져부로 유입되면서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임펠러를 빠져나온 유체가 디퓨져부로 유입되면서 베인의 선단부,즉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부딪혀 강한 상호작용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가스의 유동에 의해 베인 리딩 에지의 양측면의 압력차에 의해 유체의 유동 변동(Fluctuation),즉 유체의 속도벡터가 불규칙하게 되어 심한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디퓨져부를 구성하는 베인의 선단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구멍을 형성하여 디퓨져부의 베인 선단부에서 발생되는 강한 유체의 유동 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본 발명은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발생부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로부터 고속 고압 상태로 가속된 유체가 디퓨져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 변동(Fluctuation)을 최소화하여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공기나 냉매 가스 등의 기체를 압축하는 기계이다. 상기 압축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그 동력발생부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기체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의 일예로 터보 압축기는 동력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정압으로 변환시키면서 가스를 고압 상태로 토출시키게 된다.
도 1은 상기 터보 압축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보 압축기는 흡입구(1)를 갖는 제1 압축실(10)과 토출구(21)를 갖는 제2 압축실(20)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모터실(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축실(10)과 제2 압축실(20)을 연통시킴과 더불어 상기 모터실(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스유로(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밀폐용기(100)의 모터실(3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1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구동축(120)이 상기 구동 모터(110)에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압축실(10)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압축실(20)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20)의 일측 단부에 흡입구(1)로 가스를 유입시켜 그 유입된 가스를 1단 압축하여 가스유로(40)를 통해 제2 압축실(20)로 유동시키는 제1 임펠러(200)가 상기 제1 압축실(1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한 상기 구동축(120)의 타측 단부에 1단 압축되어 제2 압축실(20)로 유입된 가스를 2단 압축하여 토출구(21)로 토출시키는 제2 임펠러(210)가 상기 제2 압축실(2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20)에는 구동축(12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130)과 구동축(120)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140)이 상기 구동 모터(1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50은 어큐뮬레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보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 모터(110)에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 모터(110)가 작동함과 더불어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이 구동축(120)에 전달되어 구동축(1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12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20)의 양단부에 결합된 제1 임펠러(200)와 제2 임펠러(210)가 제1,2 압축실(10)(20)에서 각각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임펠러(200)와 제2임펠러(210)의 회전력에 의해 어큐뮬레이터(150)를 통과한 냉매 가스가 흡입구(1)를 통해 제1 압축실(10)로 유입되어 1단 압축되고, 이 1단 압축된 냉매 가스는 가스유로(40)를 통해 제2 압축실(20)로 유입되며, 그 제2 압축실(20)로 유입된 1단 압축된 냉매 가스는 제2 압축실(20)에서 2단 압축되어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구조에서 냉매 가스가 압축되는 제1,2 압축실 및 그 압축실에서 회전하는 임펠러는 도 2a, 2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압축실(10)은 원뿔 형상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흡입구(1)와 연통되어 흡입 가스를 유도하는 인듀서부(2)와, 상기 인듀서부(2)와 연통되며 상기 임펠러(200)가 삽입되어 흡입되는 가스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켜주는 임펠러실(3)과, 상기 임펠러실(3)에 이어 임펠러실(3)과 가스유로(40)를 연통시킴과 더불어 증가된 가스의 운동에너지를 정압으로 변환시켜 가스유로(40)로 유도하는 디퓨져부(4) 및 볼류트부(5)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실(3)에 원뿔 형상 유사하게 형성된 임펠러(20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압축실(10)에서 냉매 가스가 압축되는 과정은 먼저, 임펠러(200)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1)로 유입된 냉매 가스가 인듀서부(2)를 통해 임펠러실(3)로 유입되며, 그 임펠러실(3)로 유입된 냉매 가스는 임펠러(200)의 회전력에 의해 운동에너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정압도 상승하게 되고, 그 상태의 냉매 가스가 디퓨져부(4)와 볼류트부(5)를 지나면서 냉매 가스의 운동에너지가 정압으로 변환되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퓨져부(4)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 높이 그리고 두께를 갖는 베인(6)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베인은 임펠러(200)의 중심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인(6)들의 일측단은 동일원상에 위치하게 되며 타측단 또한 동일원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인(6)의 일측단은 임펠러(200)의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임펠러(200)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로 유입되어 고속 고압의 상태로 빠져나가 디퓨져부(4)로 유입되면서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임펠러(200)를 빠져나온 유체가 디퓨져부(4)로 유입되면서 베인(6)의 선단부(6a),즉 리딩 에지(Leading edge)에 부딪혀 강한 상호작용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가스의 유동에 의해 베인 리딩 에지(6a)의 양측면의 압력차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 변동(Fluctuation),즉 유체의 속도 벡터가 불규칙하게 되어 심한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로부터 고속 고압 상태로 가속된 유체가 디퓨져부로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 변동을 최소화하여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보 압축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상기 터보 압축기의 압축실 및 임펠러를 중심으로 도시한 반단면도,
도 2b는 상기 터보 압축기의 압축실 및 임펠러를 중심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터보 압축기에서 임펠러의 회전력에 따른 디퓨져부의 베인 선단부에서 유체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가 구비된 압축실과 임펠러의 반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가 구비된 압축실 과 임펠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가 구비된 베인 선단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디퓨져부 6 ; 베인
6a ; 베인 선단부 6b ; 유동구멍
200 ; 임펠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유체를 가속시켜 고속 고압 상태로 유출시키는 임펠러와, 복수개의 베인이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유출된 고속 고압 상태의 유체가 통과하면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디퓨져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터보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선단부에 임펠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는 유동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는, 도 4a,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동력발생부를 구성하는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200)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압축실(10)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압축실(10)이 형성되는 몸체부(100a)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20)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100b)이 형성되며 그 축삽입구멍(100b)에 구동축(120)이 삽입되고 그 구동축(120)의 단부에 임펠러(200)가 결합된다.
상기 압축실(10)은 일측에 흡입구(1)와 연통되어 흡입 가스를 유도하는 인듀서부(2)와, 상기 인듀서부(2)와 연통됨과 아울러 임펠러(200)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임펠러실(3)과, 상기 임펠러실(3)에 이어 임펠러(200)에 의해 고속 고압 상태로 가속된 가스의 운동에너지를 정압으로 변환시키는 디퓨져부(4) 및 볼류트부(5)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부(4)의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 높이 그리고 두께를 갖는 베인(6)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베인(6)들의 선단은 임펠러(200)의 외주면,즉 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한 임펠러(200)의 중심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6)들의 선단부,즉 리딩 에지(6a)에 임펠러(20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는 유동구멍(6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동구멍(6b)은 베인(6)의 선단에서 베인(6) 전체 길이의 20%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구멍(6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인(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그 수는 하나 또는 그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이 구동축(120)을 통해 임펠러(200)에 전달되어 임펠러(200)가 시계방향(도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임펠러(20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구(1)로 유입된 냉매 가스가 인듀서부(2)를 통해 임펠러실(3)로 유입되면서 임펠러(200)를 통해 디퓨져부(4)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유체는 임펠러(200)에 의해 고속 고압의 상태로 변환되어 디퓨져부(4)로 빠져나가게 되며 그 유체는 디퓨져부(4)를 통과하면서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200)를 통해 빠져나가는 고온 고속 상태의 유체가 디퓨져부(4)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체가 디퓨져부(4)의 베인 선단부(6a)에 부딪혀 강한 상호작용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유체의 유동에 의한 베인 선단부(6a)의 양측면 압력차에 의해서 베인(6)의 선단부(6a)에서 유체의 유동 변동(Fluctuation),즉 유체의 속도 벡터가 불규칙하게 되며 그 베인(6)의 선단부(6a)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유동은 베인(6)의 선단부(6a)에 형성된 유동구멍(6b)를 통해 베인 선단부(6a)의 양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베인 선단부(6a)에서 발생되는 강한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베인 선단부(6a)에서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체 유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보 압축기 소음저감구조는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고속 고압 상태로 변환된 유체가 디퓨져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디퓨져부의 베인 선단부에서 발생되는 강한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하게 되어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유체를 가속시켜 고속 고압 상태로 유출시키는 임펠러와, 복수개의 베인이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유출된 고속 고압 상태의 유체가 통과하면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디퓨져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터보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선단부에 임펠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변동을 감소시키는 유동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구멍은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19980063564A 1998-12-31 1998-12-31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028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64A KR100284431B1 (ko) 1998-12-31 1998-12-31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64A KR100284431B1 (ko) 1998-12-31 1998-12-31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837A true KR20000046837A (ko) 2000-07-25
KR100284431B1 KR100284431B1 (ko) 2001-03-02

Family

ID=1957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564A KR100284431B1 (ko) 1998-12-31 1998-12-31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47B1 (ko) 2011-11-03 2013-04-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퓨져 블록 및 이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431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599B1 (ko) 터보압축기
US5810557A (en) Fan wheel for an inline centrifugal fan
US7866937B2 (en) Method of pumping gaseous matter via a supersonic centrifugal pump
KR100284431B1 (ko) 터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0339570B1 (ko) 베인 디퓨져 구조
JPS60252197A (ja) 真空ポンプ
KR100339550B1 (ko) 터보 압축기의 디퓨져 구조
JP2757922B2 (ja) 遠心圧縮機
KR19980024652U (ko) 원심 압축기용 임펠러
KR100311387B1 (ko) 터보압축기의디퓨져구조
JP2001090690A (ja) 真空ポンプ
KR20070095745A (ko) 원심압축기
KR100343711B1 (ko) 터보 압축기의 냉각구조
KR20000059506A (ko) 터보 압축기의 디퓨져구조
JPS63280893A (ja) タ−ボ真空ポンプ
KR100273375B1 (ko) 터보압축기의 유로저항 저감구조
US20080240903A1 (en) Method of Pumping Gaseous Matter via a Supersonic Centrifugal Pump
KR100320207B1 (ko) 터보 압축기
KR20000003085A (ko) 터보 압축기의 간극누설 저감구조
KR100405984B1 (ko) 터보 압축기의 디퓨저 장착구조
KR100339551B1 (ko) 터보 압축기의 베인 지지장치
KR20010073552A (ko) 터보 압축기의 흡입유동 안정구조
KR100339545B1 (ko) 터보 압축기
JPH0545832Y2 (ko)
KR100273378B1 (ko) 터보 압축기의 가스 압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