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317A - 한글 영문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영문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317A
KR20000041317A KR1019980057165A KR19980057165A KR20000041317A KR 20000041317 A KR20000041317 A KR 20000041317A KR 1019980057165 A KR1019980057165 A KR 1019980057165A KR 19980057165 A KR19980057165 A KR 19980057165A KR 20000041317 A KR20000041317 A KR 2000004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english
assigned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균
김무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317A/ko
Publication of KR2000004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 및 영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가지는 키 입력장치에 있어 한글 및 영문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한글 영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키에 대응되어 한글의 자음과 영문의 알파벳이 순번을 가지고 세 개씩 소정 키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자음 및 알파벳의 세 개씩 할당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키에는 자음 'ㅎ'과 알파벳'Y Z'이 할당되고, 상기 자음 'ㅎ'이 할당된 키 다음의 해당 키로는 입력 요구되는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모음 '·', 모음 'ㅣ', 모음 'ㅡ'이 할당되는 키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에 있어 소정 키 입력이 있으면 해당 키의 입력횟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자모 및 알파벳 입력을 수행하고, 제1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문자 입력을 종료하고, 상기 제1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이전 입력 상태로 되돌리며, 제2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영문/한글/숫자 입력 모드로의 변환을 이루며, 상기 제2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다음 입력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글 영문 입력 장치
본 발명은 한글 및 영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가지는 키 입력장치에 있어 한글 및 영문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한글 영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 및 그에 상응하는 전화단말 장치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아라비아 숫자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구비된다. 특히, 휴대용 무선 전화기 등과 같이 전화기에 있어서 다기능 소형화의 요구가 대두되면서, 한글 및 영문 입력에 따른 여러 기능들의 구현 이루어졌고 이에 종래 다양한 방식의 한글 영문 입력장치들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구조 또한 종래 실시되는 키입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러나, 영문과 달리 한글의 입력은 한글이 가진 자모의 특성상 많은 키를 필요로 하지만, 크기가 제한된 키패드(keypad)상에서 모든 한글에 대하여 키를 하나씩 가질 수는 없다. 공중전화기나 가정용 전화기 그리고 휴대용 무선 전화기 등은 대개 12개의 키[예: 0∼9, #, *]를 기본으로 갖고 있는데, 한글 입력에 이들 12개만의 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키 조합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처럼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때 사용자는 많은 회수의 키 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많은 키 조합들을 기억하기가 어렵고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키 입력장치 있어 보다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키입력 횟수가 감소된 그러한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가지는 키 입력장치에 있어 한글 및 영문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한글 영문 입력 장치를 제공합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키에 대응되어 한글의 자음과 영문의 알파벳이 순번을 가지고 세 개씩 소정 키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자음 및 알파벳의 세 개씩 할당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키에는 자음 'ㅎ'과 알파벳'Y Z'이 할당되고, 상기 자음 'ㅎ'이 할당된 키 다음의 해당 키로는 입력 요구되는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모음 '·', 모음 'l', 모음 'ㅡ'이 할당되는 키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에 있어 소정 키 입력이 있으면 해당 키의 입력횟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자모 및 알파벳 입력을 수행하고, 제1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문자 입력을 종료하고, 상기 제1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이전 입력 상태로 되돌리며, 제2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영문/한글/숫자 입력 모드로의 변환을 이루며, 상기 제2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다음 입력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한글 영문 입력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적용된 종래의 한글 영문 입력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영문 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영문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3×4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키패드에서 첫 번째 행의 세 키는 한글의 경우 각각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이며, 영문의 경우 'A B C', 'D E F', 'G H I'이다. 한글의 경우나 영문의 경우 모두다 해당 언어의 자음 순서 및 알파벳 순서이며 한 키에 세 개의 자음 및 알파벳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두 번째 행의 세 키 또한 한글의 경우 자음 순서에 따라 각각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이며, 영문의 경우 알파벳 순서이므로 'J K L', 'M N O'. 'P Q R'이다. 그러나 세 번째 행의 세 키에 있어서는 앞서 두 개 행의 키와는 다르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열의 키는 한글의 경우 'ㅎ'이 되며, 영문의 경우 첫 번째 열의 키 및 두 번째 열의 키는 각각 'S T U', 'V W X'가 된다. 그리고 세 번째 열의 키는 'Y Z'가 된다. 이는 한글 자음의 경우는 20개로 이루어짐에 따른 것이며 영문의 경우 알파벳이 16자임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열의 키와 세 번째 열의 키는 한글의 경우 각각 모음 '·', 모음 'l'로 이루어진다. 이는 이미 공지의 기술인 '천지인'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적용하고자 함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열 키는 모음 'ㅡ'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한 '천지인'에 따른 모음 입력 방법은 다음 표 1과 같은 키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음 조합 형태 모음 조합 형태
ㅣ + · ㅣ + · +ㅣ
ㅣ + · + · ㅣ + · +· + ㅣ
· + ㅣ · + ㅣ +ㅣ
· + · + ㅣ + ㅣ · + ㅡ
· + ㅡ + ㅣ + · · +ㅡ + ㅣ +·+ㅣ
· + ㅡ +ㅣ · + · + ㅡ
ㅡ + · ㅡ +· + ·+ ㅣ
ㅡ + · +·+ㅣ +ㅣ ㅡ + · +ㅣ
ㅡ + · + ·
ㅡ + ㅣ
그리고, 네 번째 행의 첫 번째 열키 '*'와 세 번째 열키 '#'는 각각 제1기능키 제2기능키로 사용된다. 상기 제1기능키의 경우 1회 문자 입력 상태에서 1회 입력에 있어서는 종료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정 지정 시간내의 연속적인 2회 입력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에 있어 활성화된 커서를 이전 입력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상 'Back Space'동작이라 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능키의 경우에 있어서는 1회 입력에 있어 문자 입력시 입력되는 문자 종류를 변환하는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문자 종류 변환 모드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의 예를 들면 한글 입력상태에서 상기 제1기능키의 입력이 있으면 영문 입력상태로 전환하고, 영문 입력상태에서 상기 제1기능키의 입력이 있으면 숫자 입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제2기능키의 경우 소정 시간내에 연속적인 2회 입력이 발생하면 이는 빈공백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을 이룬다. 이를 통상 'Space'동작이라 칭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한글에 있어 키패드 구조를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각 키에는 세 개의 자음이 이루어지며, 각 키 행의 순서는 각각 자음의 순서와 같다. 그리고 'ㅎ'에 있어서 예외적으로 한 개의 키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모음과의 배열을 맞추고 나머지 키들의 배열 규칙을 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키패드 구조를 통한 한글 문자 및 문장의 입력 실시 예를 하기 설명한다.
실 예로서 '사랑해'라는 한글 문자의 입력 원할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패드 구조에 있어 44(ㅅ), 98(ㅏ), 23(ㄹ), 98(ㅏ), 46(ㅇ), 77(ㅎ), 989(ㅐ)키의 입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또 다른 일 예로서, '흙밭'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는, 77(ㅎ), 0(ㅡ), 23(ㄹ), 11(ㄱ), 32(ㅂ), 98(ㅏ), 65(ㅌ)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되고, '깎는다'의 경우에는 12(ㄲ), 98(ㅏ), 12(ㄲ), 13(ㄴ), 0(ㅡ), 13(ㄴ), 21(ㄷ), 98(ㅏ)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는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 의 한글 규칙에 위배되지 않게 된다.
영문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구조의 원리를 설명하면, 각 키는 세 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각 키 행의 순서는 알파벳 순서로 이루어지며 'Y Z'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하나의 키에 구조된다. 이 또한 나머지 키들의 규칙을 깨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영문 입력의 실예를 하기 설명하면, 먼저, 'LOVE' 입력시에는 46(L), 56(O), 87(V), 22(E)의 순차적인 입력이 수행되며, 'SKY'의 경우에는 77(S), 45(K), 97(Y)의 입력 수행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한된 키 수를 가지는 키입력 장치의 영문 한글 입력에 있어, 한글 영문의 입력 일원화를 이룰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즉, 문자 입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더 빠른 속도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한글 및 영문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 키에 대응되어 한글의 자음과 영문의 알파벳이 순번을 가지고 세 개씩 소정 키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자음 및 알파벳의 세 개씩 할당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키에는 자음 'ㅎ'과 알파벳'Y Z'이 할당되고, 상기 자음 'ㅎ'이 할당된 키 다음의 해당 키로는 입력 요구되는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모음 '·', 모음 'l', 모음 'ㅡ'이 할당되는 키패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영문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있어, 소정 키 입력이 있으면 해당키의 입력횟수에 대응하는 순번의 자모 및 알파벳 입력을 수행하고, 제1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문자 입력을 종료하고, 상기 제1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이전 입력 상태로 되돌리며, 제2기능키의 입력이 1회 있으면 영문/한글/숫자 입력 모드로의 변환을 이루며, 상기 제2기능키의 입력이 지정 시간내에 2회 있으면 커서를 다음 입력 상태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영문 입력 장치.
KR1019980057165A 1998-12-22 1998-12-22 한글 영문 입력장치 KR20000041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65A KR20000041317A (ko) 1998-12-22 1998-12-22 한글 영문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65A KR20000041317A (ko) 1998-12-22 1998-12-22 한글 영문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317A true KR20000041317A (ko) 2000-07-15

Family

ID=1956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165A KR20000041317A (ko) 1998-12-22 1998-12-22 한글 영문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3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52B1 (ko) * 2000-07-19 2004-09-01 윤필규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1043337B1 (ko) * 2004-01-20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래그 패턴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5365B1 (ko) * 2005-04-08 2013-06-14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601507B1 (ko) * 2014-10-1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US10093364B2 (en) 2015-08-21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Balanc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52B1 (ko) * 2000-07-19 2004-09-01 윤필규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1043337B1 (ko) * 2004-01-20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래그 패턴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5365B1 (ko) * 2005-04-08 2013-06-14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601507B1 (ko) * 2014-10-1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US10093364B2 (en) 2015-08-21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Balanc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76B1 (ko)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0769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KR20000041317A (ko) 한글 영문 입력장치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18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415728B1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00042790A (ko) 도트매트릭스 키패드의 키버튼을 통한 한글 입력 장치
JP2001356872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KR200200876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100484424B1 (ko) 숫자 입력 겸용 문자 입력 자판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347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10062256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