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872A -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872A
KR20000040872A KR1019980056615A KR19980056615A KR20000040872A KR 20000040872 A KR20000040872 A KR 20000040872A KR 1019980056615 A KR1019980056615 A KR 1019980056615A KR 19980056615 A KR19980056615 A KR 19980056615A KR 20000040872 A KR20000040872 A KR 2000004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volume level
average
changed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0872A/ko
Publication of KR2000004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기준 음량 레벨 모드 선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및 요일별 음량 레벨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분류별 평균 데이터를 생성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여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에 비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인 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캡션 방송이라고 판단되면 캡션 자막을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와,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캡션 기능을 오프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캡션 자막 방송을 수신할 때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량 조절에 의해 조정된 음량이 평균 레벨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캡션 기능을 온하고 다시 음량이 평균 레벨 상태로 복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캡션 자막을 통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n and off of caption function in televisions)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션 자막 방송을 수신할 때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량 조절에 의해 조정된 음량이 평균 레벨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캡션 기능을 온하고 다시 음량이 평균 레벨 상태로 복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캡션 자막을 통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션 영상장치는 영상신호의 기수 필드(odd field)의 21번째 라인에 실려있는 원래의 대사(캐릭터)를 디코더하여 텔레비전 화면의 특정 위치(상단 또는 하단의 정해진 위치)에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 video cassette recoder) 또는 텔레비전에 적용되고 있다.
즉, 외국어로 제작된 비디오 테이프를 자국의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모국어로 된 대사를 더빙하여 표시해주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국어로 더빙된 비디오 테이프는 시청자가 그 더빙된 자막의 표시여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오픈 캡션이라고 한다.
한편, 원래의 대사를 영상신호의 기수 필드 21번째 라인에 엔코딩시켜 놓고 이를 디코딩하여 시청자의 선택여부에 따라 자막으로 화면의 상단 혹은 하단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를 클로우즈드 캡션이라고 한다.
따라서, 캡션 영상장치는 클로우즈드 캡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그 데이터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특정위치, 즉 텔레비전을 총 15개의 라인(L1 - L15)으로 등분하고 상단 4개 라인(L1 - L4) 또는 하단 4개 라인(L12 - L15) 중 어느 한 쪽에 자막을 표시하여 주거나(캡션 모드), 도시되지 않은 텍스트 모드로 화면 전체의 15개 라인(L1 - L15)에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여 주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캡션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통상적인 텔레비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텔레비전은 키입력부(10), 마이컴(20), 튜너부(30), 영상/음성 신호처리부(40), 캡션 모듈(50), OSD부(60), 모니터(70), 스피커(80) 및 방송코드 검출부(9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는 예약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예약 선택키, 카테고리 이동을 위한 이동키, 카테고리를 최종 선택하기 위한 확인키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며, 통상적으로 원격지에서 입력이 가능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소정 적외선 반송파에 실린 키신호를 송/수신하여 후술하는 마이컴으로 인가한다.
마이컴(20)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키신호에 의해 튜너부(30), 영상/음성 신호처리부(40), 캡션 모듈(50) 및 OSD부(6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텔레비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로부터 예약 선택 키신호가 인가되면 VPS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분류되어 있는, 예를 들면 뉴스, 드라마, 스포츠 등의 모든 카테고리를 포함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화면을 상기 OSD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시키며, 키입력부로부터의 이동 키신호와 확인 키신호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도시 생략된 내부 메모리에 저장 제어한다.
튜너부(30)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대응하는 해당 채널로 동조되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영상/음성 신호처리부(40)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튜너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송신호를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및 출력이 가능한 신호로 각각 처리하여 영상 신호는 OSD부로, 음성 신호는 스피커로 각각 출력한다.
한편, 캡션 모듈(50)은 영상합성신호의 지정된 라인에 실려있는 캡션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캡션 데이터 추출부, 캡션 데이터 해독과 자막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캡션 마이컴, 캡션 실행에 필요한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제공하는 동기분리부, 상기 캡션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화면에 캡션 자막을 표시해주는 캡션 OSD부 및 상기 각 회로 블럭의 동작 클럭과 신호처리 타임 제어 신호들을 제공해주는 제어로직부로 구성되어 텔레비전 내에서의 캡션 기능을 수행한다.
OSD부(60)는 텔레비전 화면상에 OSD(on screen display) 문자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대응하는 문자 신호를 판독하여 소정 설정된 화면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영상/음성 신호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나 블루백(Blue-Back) 신호에 합성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코드 검출부(90)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튜너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인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캡션 텔레비전은 캡션 자막 방송을 수신할 때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키입력을 통해 설정해야 하므로 음성과 자막에만 신경을 집중하지 못하고 캡션 기능의 설정에 집중력을 할애하여 외국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션 자막 방송을 수신할 때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량 조절에 의해 조정된 음량이 평균 레벨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캡션 기능을 온하고 다시 음량이 평균 레벨 상태로 복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캡션 자막을 통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캡션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마이컴
30 : 튜너부 40 : 영상/음성 신호처리부
50 : 캡션 모듈 60 : OSD부
70 : 모니터 80 : 스피커
90 : 방송코드 검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의 특징은,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준 음량 레벨 모드 선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및 요일별 음량 레벨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분류별 평균 데이터를 생성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여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에 비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변화된 음량 레벨이 평균 음량에 비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인 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수신되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이라고 판단되면 캡션 자막을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캡션 모드에서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변화된 음량 레벨이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캡션 기능을 오프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통상적인 캡션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캡션 모듈의 캡션 데이터 추출부에서 영상신호에 실려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캡션 마이컴에 공급한다. 그 후, 캡션 마이컴은 캡션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어 코드와 캐릭터 코드를 디코드하여 캡션 자막이 표시될 위치, 들여쓰기, 표시형태(속성) 등을 해독하며 또한 실제로 표시될 글자를 해독하여 이 해독 결과를 제어신호로서 캡션 OSD부에 공급한다. 그러면, 캡션 OSD부는 상술한 캡션 마이컴의 디코드 결과에 따른 제어를 받아 내부의 폰트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캡션 자막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OSD부를 통해 모니터에 캡션 자막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캡션 자막은 캡션 모드에서 통상 화면 15라인(L1 - L15) 중에 하단의 4개 라인(L12 - L15)에 표시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단의 4개 라인(L1 - L4)에 표시하기도 한다. 이는 상기 캡션 모듈의 동기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신호로 하고 제어로직부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수행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캡션 기능의 온/오프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션 기능의 온/오프 제어방법은 텔레비전이 온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사용자가 음량 레벨 데이터를 새로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시간대별 및 요일별의 평균 음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30), 음량에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변화된 음량이 평균 음량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현 수신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인 지를 판다하는 단계(S60), 캡션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S70), 음량에 변화가 있는 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S80), 변화된 음량이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S90) 및 표시된 캡션 기능을 오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먼저, 단계(S10)에서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온하여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이컴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 후 키입력을 검색한다. 이 때,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키입력부를 통해 채널을 선택하면 마이컴은 선택 채널의 방송신호가 튜닝되도록 튜너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영상/음성 신호처리부 및 출력부(모니터와 스피커)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과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 후, 단계(S20)에서 마이컴은 사용자가 음량 레벨 데이터를 시간대별 및 요일별로 새롭게 선정하기를 소망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지금까지와는 다른 패턴으로 텔레비전의 기준 음량을 선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새로운 음량 패턴을 소망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각 분류별 평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단계 S30).
그리고, 상기와 같이 특정 방송신호를 적당한 음량으로 시청하던 도중에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리모콘 또는 키입력부에 설정된 음량 조정 키를 조작하면 마이컴은 이를 인식하여 음량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크기로 설정하고(단계 S40), 이와 같이 설정된 음량이 상기 단계(S20)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평균 음량 레벨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지를 판단한다(단계 S50).
상기 단계(S50)에서 음량 레벨이 평균 음량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40)로 진행하여 다시 음량 레벨에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며,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 예를 들면 평균 음량의 50%를 밑도는 경우에는 캡션 자막을 표시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즉, 단계(S60)에서 마이컴은 현재 수신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인 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는 단계(S70)에서 캡션 자막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캡션 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캡션 자막을 표시할 수가 없으므로 단계(S40)로 진행하여 음량 레벨에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와는 별도의 프로그램에서 음량 변화가 있을 경우에 캡션 기능을 온하기 위한 준비를 행한다.
한편, 캡션 자막을 표시하는 경우에 다시 음량 레벨에 변화가 있어 평균 레벨 이상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캡션 기능을 오프하기 위해 단계(S80)에서 음량 레벨에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단계(S90)에서 평균 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80 및 90)에서 변화된 음량이 평균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마이컴은 캡션 기능을 자동으로 오프하여 사용자가 직접 키입력을 통해 캡션 기능을 오프하는 수고를 던다(단계 S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한정이나 부가 등을 가하여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캡션 자막 방송을 수신할 때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량 조절에 의해 조정된 음량이 평균 레벨보다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캡션 기능을 온하고 다시 음량이 평균 레벨 상태로 복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캡션 자막을 통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준 음량 레벨 모드 선택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및 요일별 음량 레벨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분류별 평균 데이터를 생성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여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에 비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작은 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변화된 음량 레벨이 평균 음량에 비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인 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수신되는 프로그램이 캡션 방송이라고 판단되면 캡션 자막을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현재의 음량 레벨을 변화시키는 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캡션 모드에서 음량 레벨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변화된 음량 레벨이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변화된 음량 레벨이 평균 음량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캡션 기능을 오프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그 변화된 음량 레벨과 저장되어 있는 평균 음량 레벨의 비교시 임계치는 평균 레벨의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KR1019980056615A 1998-12-21 1998-12-21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KR2000004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615A KR20000040872A (ko) 1998-12-21 1998-12-21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615A KR20000040872A (ko) 1998-12-21 1998-12-21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872A true KR20000040872A (ko) 2000-07-05

Family

ID=1956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615A KR20000040872A (ko) 1998-12-21 1998-12-21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08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162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sed format
JP2655305B2 (ja) キャプション字幕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64003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broadcast information
US20100232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Captioning
KR20000061347A (ko) 티브이의 방송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US201403312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of supplementary information in tv programs
KR100592075B1 (ko)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H1023344A (ja) 放送受信装置
KR20000040872A (ko)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US20050166226A1 (en) Parental control channel list tracking
KR100364714B1 (ko) 캡션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장치 및 방법
JP3311834B2 (ja) 字幕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0158273B1 (ko) 티브이의 방송 스케쥴 탐색방법
KR20000037640A (ko) 텔레비전에서 캡션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06760B1 (ko) 텔레비전의자막처리방법
KR100726439B1 (ko) 자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050109670A (ko) 네트워크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10001243A (ko) 텔레비젼의 캡션데이터 출력지연장치
KR100237243B1 (ko) 모드기억형 캡션영상장치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1423A (ko) 티브이의 캡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26432B1 (ko) 캡션 방송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