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729A -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729A
KR20000040729A KR1019980056448A KR19980056448A KR20000040729A KR 20000040729 A KR20000040729 A KR 20000040729A KR 1019980056448 A KR1019980056448 A KR 1019980056448A KR 19980056448 A KR19980056448 A KR 19980056448A KR 20000040729 A KR20000040729 A KR 2000004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thin film
crystallization
silicon thin
catalys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780B1 (ko
Inventor
이경언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8005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780B1/ko
Priority to US09/466,175 priority patent/US6537898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2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crystallisation enhan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유도결정화에 의하여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에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으로,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실리콘 혼합타겟을 사용하여 스퍼터링에 의하여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며, 극미량의 금속물질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대한 금속물질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인 하나의 층만을 사용하여 MIC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공정 단순화에 있어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본 발명은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유도결정화(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 MIC)에 의하여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결정질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 poly-Si TFT)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 a-Si TFT)에 비해 전계효과 이동도가 크고, 빛 조사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poly-Si TFT는 능동행렬 액정표지장치(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 AMLCD)의 구동소자 및 주변회로의 기본소자로 응용된다.
다결정질 실리콘을 제작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보고되어 있는데, 그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다결정 실리콘을 직접 증착하는 방법과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결정화하는 단계를 거쳐서 다결정질 실리콘을 만드는 방법이다.
다결정 실리콘을 직접 증착하는 방법에는 열화학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 Photo CVD, HR(hydrogen radical) CVD,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CVD, PE(plasma enhanced) CVD, LP(low pressure) CVD 등의 방법들이 있다.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결정화하는 방법에는 고상결정화 (solid phase crystallization : SPC)법과 액상결정화 (liquid phase crystallization : LPC)법또는, 엑시머 레이저 (excimer laser) 등의 펄스 레이저 (pulse laser)에 의한 결정화법등이 있다.
최근에는 대면적의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TFT-LCD) 제작에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하기 위하여 결정화 온도를 낮추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금속유도결정화(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 MIC)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정한 종류의 금속을 비정질 실리콘과 접촉시키면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 온도를 50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이러한 MIC 효과는 많은 금속 원자들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C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결정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다르다. 즉, Si에 접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결정화 현상이 달라질 수 있다.
Al, Au, Ag 등의 금속은 Si와의 경계면에서 Si의 확산에 의해서 지배된다. 금속과 Si의 경계면에서 Si의 확산에 의한 준안정상태의 실리사이드상을 형성하는데, 이 실리사이드는 결정화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되어, 실리콘의 결정화를 촉진한다.
이에 반하여 Ni, Ti 등의 금속은 어닐링에 의한 금속의 확산이 지배적이다. 즉, 금속과 Si 경계면에서 Si층 방향으로의 금속 확산에 의하여 실리사이드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실리사이드가 결정화를 촉진하여 결정화 온도를 낮춘다. Ni에 의한 금속 유도 결정화는 Ni 실리사이드의 마지막 상인 NiSi2가 결정화핵으로 작용하여 결정화를 촉진한다.
도 1a부터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절연기판(100) 상에 실리콘 산화막으로 완충막(10)을 형성한 후, 완충막(10) 상에 결정화될 비정질 실리콘 박막(11)을 증착하고 나서, 결정화 촉매층으로 작용하는 금속박막, 예를 들어, Ni 박막(13)을 형성한다.
Ni 박막(13)은 통상의 금속물질 증착기술인 스퍼터링에 의하여 완충막(10) 상에 Ni을 얇게 증착하여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비정질 실리콘 박막(11)의 결정화를 위하여 상기 결과의 기판에 열처리작업을 진행한다.
열처리 결과, Si층 방향으로의 Ni 확산에 의하여 실리사이드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실리사이드가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결정화 온도를 낮춘 상태에서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다결정 실리콘 박막(19)으로 결정화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결정화 촉매로 작용하는 Ni 박막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고 실리콘 결정화를 진행한다. 따라서, 결정화된 실리콘 박막에는 Ni량이 박막 두께량만큼 다량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Ni로 오염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로 제작된 TFT는 소자특성이 불량하여 소자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유도 결정화에 의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되,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을 형성하여 이 실리콘층을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하는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이다.
이 때,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실리콘 혼합타겟을 사용하여 스퍼터링에 의하여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A부터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부터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하기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부터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완충막(20)을 형성하고, 완충막(20) 상에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을 적정 두께로 형성한다.
완충막(20)은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과정에서 기판(200)의 이물질이 실리콘 박막에 침투하여 실리콘 박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은 종래의 기술 개념에서 각각 분리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과 실리콘 결정화 촉매층을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층으로하여 형성한 것이다.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은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이 적절한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실리콘 타겟(이하, 금속-실리콘 혼합타겟(composite target)이라 함)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혼합타겟을 스퍼터링하여 증착된 박막은 소정의 물질이 소정의 비율을 가지도록 하는 소정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혼합타겟 제작시, 구성물질의 구성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은 Ni,Cu, Fe, Co, Ru, Rh, Pd, Os, Ir, Pt, Sc, Ti, V, Cr, Mn, Zn, Au, Ag 등과 같이 실리콘 결정화를 유도하는 금속물질인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이 극미량인 1000ppm이하의 비율을 차지하는 금속-실리콘 혼합타겟을 스퍼터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Ni이 극미량인 1000ppm이하의 비율을 차지하는 Ni-Si 혼합타겟을 스퍼터링할 경우에는 1000ppm 이하의 Ni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Ni을 함유한 Si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의 기판에 열처리를 진행하거나, 열처리와 전압인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29)을 형성한다.
결정화과정에서,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의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은 주변의 실리콘과 반응하여 실리사이드를 형성한다. 이 실리리사이드는 실리콘 결정화의 촉매로 작용하게 되고,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은 전체에 걸쳐 균일한 실리콘 결정화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결정화 과정에서는 극미량의 금속물질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대한 금속물질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인 하나의 층만을 사용하여 MIC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공정 단순화에 있어서 잇점이 있다.
도 3a부터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비교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 상에 결정화 유도층인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을 한 층 더 형성하는 것이 다르다. 편의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완충막(20)을 형성한 후, 완충막(20) 상에 결정화가 진행될 비정질 실리콘 박막(22)을 형성한다. 이어서, 비정질 실리콘 박막(22) 상에 실리콘 결정화 유도층인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 박막 (23)을 형성한다.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 박막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21)의 형성방법과 동일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의 기판에 열처리를 진행하거나, 열처리와 전압인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22)과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 박막 (23)이 결정화되어 다결정 실리콘 박막(29)이 형성된다.
이 때,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 박막 (23)에서 결정화가 진행되어 제 1 다결정 실리콘 박막(29-1)이 형성되고, 제 1 다결정 실리콘 박막(29-1)이 그 하단의 비정질 실리콘 박막(22)의 결정화를 유도하여 제 2 다결정 실리콘 박막(29-2)을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결정화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서술한 바와 같이, 극미량의 금속물질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대한 금속물질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결정화 과정에서는 극미량의 금속물질을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대한 금속물질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인 하나의 층만을 사용하여 MIC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공정 단순화에 있어서 잇점이 있다.

Claims (7)

  1. 기판 상에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사이에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과 상기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함께 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 을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실리콘 혼합타겟을 사용하여 스퍼터링에 의하여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실리콘 혼합타겟에는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이 실리콘에 대하여 1000ppm이하의 비율을 가지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결정화촉매물질은 Cu, Ni, Fe, Co, Ru, Rh, Pd, Os, Ir, Pt, Sc, Ti, V, Cr, Mn, Zn, Au, Ag 등과 같이 실리콘 결정화를 유도하는 금속물질인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결정화 촉매물질을 함유한 실리콘층은 Ni을 함유한 Si층인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는 기판에 열처리를 진행하거나, 열처리와 전압인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KR1019980056448A 1998-12-19 1998-12-19 실리콘박막을결정화하는방법 KR100348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48A KR100348780B1 (ko) 1998-12-19 1998-12-19 실리콘박막을결정화하는방법
US09/466,175 US6537898B1 (en) 1998-12-19 1999-12-17 Method of crystallizing a silicon film with a metal cataly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48A KR100348780B1 (ko) 1998-12-19 1998-12-19 실리콘박막을결정화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29A true KR20000040729A (ko) 2000-07-05
KR100348780B1 KR100348780B1 (ko) 2002-12-26

Family

ID=1956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48A KR100348780B1 (ko) 1998-12-19 1998-12-19 실리콘박막을결정화하는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37898B1 (ko)
KR (1) KR1003487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392A (ko) * 2000-10-25 2002-05-03 마찌다 가쯔히꼬 폴리실리콘 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020057241A (ko) * 2000-12-30 2002-07-1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폴리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0387982B1 (ko) * 2000-10-05 2003-06-18 한국과학기술원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형실리콘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0426380B1 (ko) * 2001-03-30 2004-04-08 주승기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제조 방법
KR100466962B1 (ko) * 2001-12-27 2005-01-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폴리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620888B1 (ko) * 2004-01-29 2006-09-13 네오폴리((주)) 비정질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2143B1 (en) 2003-10-23 2007-04-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Low temperature production of large-grain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s
WO2009018472A1 (en) * 2007-07-31 2009-02-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temperature formation of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films via enhanced metal-induced crystallization
CN104900496A (zh) * 2015-05-05 2015-09-09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面心立方相硅晶体薄膜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78219B (ko) * 1993-03-12 1996-06-11 Handotai Energy Kenkyusho Kk
US6162667A (en) * 1994-03-28 2000-12-19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s
JP3889071B2 (ja) * 1995-08-04 2007-03-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結晶性半導体作製方法
US6046083A (en) * 1998-06-26 2000-04-04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Growth enhancement of hemispherical grain silicon on a doped polysilicon storage node capacitor structure,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pplica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82B1 (ko) * 2000-10-05 2003-06-18 한국과학기술원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형실리콘 태양전지 제조방법
KR20020032392A (ko) * 2000-10-25 2002-05-03 마찌다 가쯔히꼬 폴리실리콘 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020057241A (ko) * 2000-12-30 2002-07-1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폴리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0426380B1 (ko) * 2001-03-30 2004-04-08 주승기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제조 방법
KR100466962B1 (ko) * 2001-12-27 2005-01-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폴리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620888B1 (ko) * 2004-01-29 2006-09-13 네오폴리((주)) 비정질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37898B1 (en) 2003-03-25
KR100348780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768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crystal orientation
US750397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EP1722403B1 (en) Fabrication method for a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JP3504336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6613613B2 (en) Thin film type monolithic semiconductor device
KR100863446B1 (ko) 반도체층의 도핑방법, 박막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박막 반도체 소자
US20030180990A1 (en) Method of fabricating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JPH075833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00100187A (ko) 다결정 실리콘층의 제조방법
US5183780A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348780B1 (ko) 실리콘박막을결정화하는방법
KR100577795B1 (ko) 다결정 실리콘막 형성방법
KR100600874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654132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KR100470021B1 (ko) 실리콘 결정화 방법과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25156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611658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6140159A (en) Method for activating an ohmic layer for a thin film transistor
KR20040019594A (ko)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0442289B1 (ko) 다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20090427A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및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434314B1 (ko) 다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75131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KR20020017782A (ko) 실리콘 결정화 방법
KR100471392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514

Effective date: 200206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10013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514

Effective date: 2002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