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619A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0619A KR20000040619A KR1019980056289A KR19980056289A KR20000040619A KR 20000040619 A KR20000040619 A KR 20000040619A KR 1019980056289 A KR1019980056289 A KR 1019980056289A KR 19980056289 A KR19980056289 A KR 19980056289A KR 20000040619 A KR20000040619 A KR 200000406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steel
- temperature
- rolling
- streng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구조용, 장갑판재, 포재료, 로켓트 모타케이스, 랜딩기어, 무기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량의 니오븀(Nb)을 첨가하고 직접소입(Direct Quenching)을 적용시켜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압연후 2회의 재가열 및 소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가인 Co 함량의 하한관리 범위를 넓혀 저렴하게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중량%로 C :0.10-0.14%, Mn :0.05-0.25%, Si:0.1%이하, Ni:9.5-10.5%, Co: 6.0-8.5%, Cr:1.8-2.2%, Mo:0.9-1.1%, Ti:0.04%이하, Nb:0.01-0.04%, P:0.008%이하, S:0.005%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에서 가열한 후 각 압연 패스당 10-30%의 압하율 및 750-900℃의 마무리압연온도조건으로 열간압연한 직후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다음, 480-530℃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량의 니오븀(Nb)을 첨가하고 직접소입(Direct Quenching)을 적용시켜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압연후 2회의 재가열 및 소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가인 Co 함량의 하한관리 범위를 넓혀 저렴하게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해구조용, 장갑판재, 포재료, 로켓트 모타케이스, 랜딩기어, 무기시스템 등에는 주로 항복강도 120kgf/㎟급 고장력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중량%로 C : 0.10-0.14%, Mn : 0.05-0.25%, Si : 0.1%이하, Ni : 9.5-10.5%, Co : 7.5-8.5%, Cr : 1.8-2.2%, Mo : 0.9-1.1%, Ti : 0.04%이하, P : 0.01%이하, S : 0.006%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200℃이상에서 충분히 가열한 후 약 950℃부근의 마무리압연온도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이어 상온까지 공냉한 다음, 900℃로 재가열(오스테나이트화 열처리)하여 1시간 유지후 수냉하고 다시 840℃로 재가열하여 1시간 유지 후 수냉을 실시하는 2회의 반복된 재가열처리 한후 480-530℃에서 템퍼링을 실시하여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압연후 2회의 재가열 및 소입공정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고가의 합금원소인 Co를 적어도 7.5%이상 첨가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직접소입의 적용에 의해 2회의 재가열(오스테나이트화) 열처리를 생략하여 종래의 재가열제조법에 비해 제조 경비를 대폭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고가인 합금원소 Co를 줄어줄 수 있는 경제적인 고장력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발명강과 종래강의 강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발명강과 종래강의 저온 충격인성을 비교한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장력강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10-0.14%, Mn :0.05-0.25%, Si:0.1%이하, Ni:9.5-10.5%, Co: 6.0-8.5%, Cr:1.8-2.2%, Mo:0.9-1.1%, Ti:0.04%이하, Nb:0.01-0.04%, P:0.008%이하, S:0.005%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에서 가열한 후 각 압연 패스당 10-30%의 압하율 및 750-900℃의 마무리압연온도조건으로 열간압연한 직후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다음, 480-530℃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량의 Nb을 필수적인 합금원소로 첨가하여 강의 압연후 재결정온도를 높여주어 미재결정 압하를 충분히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미재결정 압하로 제이압연효과를 증대시켜 많은 전위의 도입으로 강도를 상승하도록 하는데, 이는 Nb의 기여하는 작용이다. 따라서, 강의 템퍼링시 전위의 회복지연을 위해 다량 첨가되는 Co의 첨가량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기타 합금성분의 조절과 함께 그 제조조건의 유기적인 연결로 달성되는 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강슬라브 성분]
상기 C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0.10%이상 첨가되어야 하며, 0.14% 이상 첨가시는 용접성을 해치며 탄화물 형성 이외의 고용 C에 의해 인성이 연화되므로 0.10-0.14%범위로 제한한다.
Mn은 강도의 증가를 위해 0.05%이상 첨가하나 0.25%이상으로 필요이상의 첨가는 MnS와 같은 개재물의 형성으로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0.05-0.25%의 범위로 제한한다.
Si는 탈산작용을 하고 Mn과 같이 강도향상에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지만 과대한 SiO2등의 산화물을 형성하여 인성을 해칠 우려가 있으므로 0.1%이하로 제한한다.
Ni은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는 합금원소이지만 고가인 관계로 9.5-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는 2차 강화형 합금에서 매우 중요한 합금원소로 lath martensite 기지의 전위회복을 지연시켜 미세한 M2C 탄화물의 석출을 조장시켜 강도의 향상에 지대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미량 Nb의 첨가로 재결정온도를 높여주어 직접소입의 최대효과를 도모하므로 Co의 하한관리 범위를 넓혀줄 수 있으나 6.0%이하의 첨가는 강도의 확보가 어렵고 고가인 관계로 6.0-8.5%로 제한한다.
Cr은 M2C 탄화물에 직접 관계하는 합금원소로 이를 위해 1.8% 이상 첨가하여야 하며 너무 과다한 첨가는 용접성을 해치므로 1.8-2.2%로 한정한다.
Mo는 Cr과 같이 M2C 탄화물의 석출에 직접관련된 합금원소로 이를 위해 0.9% 이상 첨가되어야 하며 고가이므로 0.9-1.1%로 제한한다.
P는 충격인성을 해치고 소려취성을 유발시키는 원소이므로 그 함량은 0.010%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유효하다.
S는 충격인성과 용접성을 해치는 원소이므로 0.005%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는 미세한 TiC의 석출을 일으켜 강도를 증가시키고 용접부 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합금원소이다. 그 함유량이 0.04% 이상으로 첨가되면 TiO2등과 같은 불필요한 개개물의 형성을 조장시키므로 0.04% 이내로 한정한다.
Nb은 본 발명의 핵심적 원소로서 재결정온도를 증가시켜 압연시 제어압연효과를 증대시켜 많은 전위의 도입으로 강도의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그 함유량이 0.01%이하로 되면 재결정온도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0.04% 이상의 첨가는 과도한 NbC 등의 불필요한 탄화물을 조장시키므로 0.01-0.04%의 범위로 한정한다.
[제조조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슬라브를 열간압연하기 위해 1,150∼1,3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열온도가 1,150℃이하의 경우 압연종료온도를 낮추기 어렵고, 1,300℃이상으로 가열되면 결정립의 이상성장을 초래하여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하고 이어 열간압연하는데, 이때는 각 압연패스당 압하율을 10∼30%로 하고 마무리압연온도(압연종료온도)를 750∼900℃로 한다. 각 압연 패스당 압하율이 높을수록 강도와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적어도 10%의 압하율로 하나 30% 이상의 압하는 저온구역에서 압연설비의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각 압연패스 당 압하율은 10-30%로 압연종료시 까지 연속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무리압연온도가 750℃이하인 경우 압연설비의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고, 900℃이상의 압연종료온도는 재결정 온도구역이므로 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열간압연하고 이어 냉각하는데, 이때의 냉각개시 즉, 열간압연 종료후 유지시간은 짧을수록 미재결정 압하효과를 크게할 수 있으며, 반면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미재결정 압하효과가 줄어들므로 상기 압연종료후 유지시간은 30초 이내로 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압연종료후 냉각속도는 빠를수록 강도의 확보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제조시 후판냉각의 최대범위인 50℃/sec를 그 상한으로 5℃/sec 이하의 냉각속도는 강도의 확보에 불리한 베이나이트와 같은 조직의 생성이 우려되므로 냉각속도는 5-50℃/sec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직접소입후 템퍼링온도는 강도 및 인성의 확보를 위해 적절한 온도범위내에서 관리가 필요하다. 2차 강화형 고장력강은 어느 특정온도 구역에서 최대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템퍼링 온도가 480℃ 이하 및 530℃이상의 온도에서는 강도의 확보가 불가능하므로 템퍼링온도는 480-5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아래 표 1의 발명강과 종래강을 표 2의 조건에 따라 제조한 다음, 강의 기계적성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강종 | 화학조성(중량%) | ||||||||||
C | Mn | Si | P | S | Ni | Co | Cr | Mo | Ti | Nb | |
종래강1 | 0.12 | 0.12 | 0.05 | 0.004 | 0.003 | 10.2 | 8.0 | 2.1 | 1.02 | 0.015 | -* |
발명강A | 0.12 | 0.15 | 0.06 | 0.004 | 0.004 | 9.8 | 6.5 | 1.9 | 0.98 | 0.020 | 0.032 |
발명강B | 0.11 | 0.10 | 0.04 | 0.005 | 0.003 | 9.7 | 7.0 | 2.0 | 1.05 | 0.020 | 0.025 |
* 발명의 조건을 벗어난 것임 |
구분 | 제조공정 | FRT (℃) | CR (℃/sec) | HT (sec) | 템퍼링온도(℃) | YS (kgf/㎟) | TS (kgf/㎟) | vE85(J) | |
발명재A1 | 발명강A | 직접소입 | 800 | 10 | 20 | 490 | 122.5 | 161.8 | 79.6 |
발명재A2 | 510 | 125.0 | 165.1 | 78.5 | |||||
발명재A3 | 850 | 30 | 10 | 520 | 123.4 | 162.0 | 70.8 | ||
발명재B1 | 발명강B | 800 | 30 | 30 | 500 | 126.4 | 164.7 | 75.3 | |
발명재B2 | 850 | 10 | 10 | 510 | 125.2 | 165.0 | 73.5 | ||
발명재B3 | 900 | 20 | 20 | 510 | 127.0 | 168.0 | 74.4 | ||
발명재B4 | 530 | 121.1 | 160.3 | 70.5 | |||||
종래재1 | 종래강 | 2회재가열소입 | 900 | 수냉 | - | 490 | 121.5 | 159.0 | 71.5 |
종래재2 | 510 | 124.8 | 164.8 | 71.0 | |||||
종래재3 | 530 | 122.0 | 163.5 | 72.5 | |||||
FRT:압연종료온도, CR:냉각속도, HT:압연종료 후 유지시간, YS:항복강도,TS : 인장강도, vE85: -85℃충격 에너지 |
표 1에는 Nb를 첨가하지 않은 종래강과 종래강의 기본조성계에 재결정온도를 상승시켜 제어압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합금원소인 Nb를 첨가하고 고가인 Co 첨가량을 약 1% 이상 낮춘 발명강의 화학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Nb의 미량원소를 함유하지 않고 재가열 소입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종래강의 경우 항복강도 120kgf/㎟급 및 인장강도 160kgf/㎟급 고장력강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량의 Nb을 첨가하고 고가인 Co 함량을 1% 이상 낮게 첨가하고 직접소입 공정을 적용시킨 발명강(A)(B)의 경우 종래강에 비해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 모두 동등한 값을 가지며, 동시에 -85℃충격인성도 동등수준인 약 70Joulcs 정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발명강의 경우 직접소입에 의해 900℃ 및 840℃로 재가열하는 2회의 반복된 재가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단순화는 물론 고가인 Co 첨가량을 1%이상 하향관리가 가능한 경제성을 갖는 제조법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회의 재가열 열처리의 생략과 고가인 Co의 첨가량을 낮추어도 동일한 강도와 인성의 확보는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직접소입에 의해 합금원소의 고용도 증대와 압연후 곧바로 소입처리함에 의해 전위 밀도 및 공공의 증가로 강도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미재결정 압하에 의한 유효결정립의 미세화에 의한 인성의 확보에 의해 좋은 강도-인성의 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템퍼링과정에서 미세한 M2C 및 Nb(Ti)C의 복합탄화물의 석출이 강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2회의 반복된 재가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단순화는 물론 고가인 Co 첨가량을 1%이상 하향관리가 가능한 경제적인 고장력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 중량%로 C:0.10-0.14%, Mn:0.05-0.25%, Si:0.1%이하, Ni:9.5-10.5%, Co:6.0-8.5%, Cr:1.8-2.2%, Mo:0.9-1.1%, Ti:0.04%이하, Nb:0.01-0.04%, P:0.008%이하, S:0.005%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50-1,300℃에서 가열한 후 각 압연 패스당 10-30%의 압하율 및 750-900℃의 마무리압연온도조건으로 열간압연한 직후 3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5-50℃/sec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수냉한 다음, 480-530℃에서 템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6289A KR100363189B1 (ko) | 1998-12-18 | 1998-12-18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6289A KR100363189B1 (ko) | 1998-12-18 | 1998-12-18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0619A true KR20000040619A (ko) | 2000-07-05 |
KR100363189B1 KR100363189B1 (ko) | 2003-01-24 |
Family
ID=1956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6289A KR100363189B1 (ko) | 1998-12-18 | 1998-12-18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31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84428A (zh) * | 2021-07-16 | 2021-11-23 | 北京科技大学 | 一种增强超高强度钢冲击功的热处理方法 |
-
1998
- 1998-12-18 KR KR10-1998-0056289A patent/KR1003631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84428A (zh) * | 2021-07-16 | 2021-11-23 | 北京科技大学 | 一种增强超高强度钢冲击功的热处理方法 |
CN113684428B (zh) * | 2021-07-16 | 2022-03-04 | 北京科技大学 | 一种增强超高强度钢冲击功的热处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63189B1 (ko) | 2003-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72899B1 (en) | Low-yield-ratio high-strength-toughness thick steel plate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2047403B1 (ko) |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222614B1 (ko) | 수소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47045B1 (ko) | 항복강도 및 냉간압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56313B1 (ko) |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부품용 보론강 선재 및 그제조방법 | |
KR101253790B1 (ko)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부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71990B1 (ko) |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63189B1 (ko) | 항복강도 120kgf/㎟급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KR20000043762A (ko) | 연성이 향상된 초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63188B1 (ko) | 인장강도 150kgf/㎟급 초고장력 강판의 제조방법 | |
JP2756535B2 (ja) | 強靭棒鋼の製造方法 | |
KR100328051B1 (ko) |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 |
KR100398375B1 (ko) | 고주파소입용비조질강선재의제조방법 | |
KR20080060621A (ko) |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판의 제조 방법 | |
KR100435467B1 (ko) |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98388B1 (ko) | 충격특성이 우수한 샤프트용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368218B1 (ko) | 소려연화 저항성이 우수한 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KR100328042B1 (ko) | 고장력강판의제조방법 | |
KR100419648B1 (ko) | 초고장력강의 제조방법 | |
KR100325705B1 (ko) | 고장력강의제조방법 | |
KR100363194B1 (ko) | 고인성 볼트의 제조방법 | |
KR100406365B1 (ko) | 저항복비를갖는인장강도600㎫급고장력강의제조방법 | |
KR100368731B1 (ko) | 신장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68222B1 (ko) | 고온강도 특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58kgf/㎟급 건축용 강재의 제조방법 | |
KR20240096073A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