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493A -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 Google Patents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493A
KR20000040493A KR1019980056152A KR19980056152A KR20000040493A KR 20000040493 A KR20000040493 A KR 20000040493A KR 1019980056152 A KR1019980056152 A KR 1019980056152A KR 19980056152 A KR19980056152 A KR 19980056152A KR 20000040493 A KR20000040493 A KR 2000004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optical fiber
optical
signal
coupl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태
이영탁
정호진
서한교
전정우
고석봉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0493A/ko
Publication of KR2000004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하여 구현함에 있어, 임의로 반사파장의 천이를 조절하므로써, 파장의 가변이 용이하고, 파장의 서로 다른 수많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추가/추출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파장 입력 광신호를 커플링하여 입사하고, 입사한 다파장 입력 광신호중 특정 파장의 광신호는 반사하여 추출시키며, 추가 광신호를 반사하여 출력시키는 광입사 및 반사수단; 단일모드 광섬유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다중코아 광섬유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광접속수단; 반사 광신호의 파장 천이양을 제어하는 천이양 조절수단; 및 반사 광신호의 파장을 천이시키는 반사파장 천이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WDM 광통신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Coupler)형 추가/추출(add/drop)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노드에서 여러 개의 파장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하는 파장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그 파장에 새로운 신호를 추가하여 다음 노드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추가/추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여러 개의 파장중에 필요한 파장을 분리 해내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2개의 단일코아 광섬유와 3dB 커플러를 이용하여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를 구성하여, 간섭계의 경로인 각각의 단일코아 광섬유 도파로의 굴절율의 주기성을 갖도록 만든 브라그(Bragg) 회절 격자를 사용하여 파장을 분리해내는 방법과 단일코아 광섬유 2개를 폴리싱(polishing)하거나 융합시켜 광섬유 커플러를 만들어 접합된 2개의 광섬유 코아에 굴절률의 주기성을 갖도록 만든 브라그 회절격자를 사용하여 파장을 분리해내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브라그 회절격자의 특징은 반사필터로 특정한 파장 영역(즉, 저지 대역(stop band)임)을 반사하고 다른 파장은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특히, 브라그 회절 격자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그 회절 격자는 광섬유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만들어 내는데,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모두가 광도파로의 광감도(Photosensitivity)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광감도는 광도파로에 240nm대의 강한 자외선을 조사하면, 광도파로에 자외선이 인가된 부분의 굴절률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광감도는 브라그 회절 격자의 반사율(Reflectivity)에 영향을 미치며, 광감도가 높은 경우 반사율(Reflectivity)이 높아진다.
브라그 회절 격자내에서 특정한 파장이 반사되어 나오는 개략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빛이 브라그 회절 격자를 통과하면서 각 격자들에서 반사되는데, 반사되는 빛중 각 격자 사이에서 반사되는 빛의 위상이 정확하게 2nπ가되는 파장이 서로 보강간섭을 일으켜 반사되어 나오게 된다.
즉, 반사되는 파장과 격자의 주기와의 관계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은 격자사이의 평균 굴절율, Λ는 격자 주기, m은 정수, 그리고 λ는 반사파장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그 회절 격자의 특정파장 반사특성을 이용하여 특정파장신호에 대해서 일부를 추출해서 수신신호로 사용하고, 추출된 파장과 같은 파장에 새로운 신호를 실어 다음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하는 파장 가변형 추가/추출 필터를 하나의 광섬유내의 여러개의 코아(Core)가 형성된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칭적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구조도로서, 이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모드 광섬유(11)의 한쪽 입력단으로 다파장 신호 발생기로부터 입사된 다파장의 신호는 단일모드 광섬유(10)의 한쪽 코아를(13)를 진행하면서 이웃한 코아(14)로 신호가 커플링되면서 광섬유 격자영역(15)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입사된 다파장 신호중 특정신호만이 반사되게 되고 반사된 신호는 입력단에서의 커플링 영역(L1)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입력단으로는 궤환되지 않고 추출단으로 모두 추출되게 된다.
한편, 2개의 광섬유 코아가 결합된 커플링 영역(L)내의 브래그 격자(15)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파장의 신호성분은 그대로 격자 영역(L2)을 투과하여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입사되는 파장중 브래그 격자(15)들의 동작 파장 λi만이 추출단으로 추출되는 원리와 같이, 추가단을 통해 입사된 파장 성분 λi는 브래그 격자(13, 14)들에 의해 반사되어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반적인 비대칭적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구조로서, 전파 상수가 다른 2개의 단일모드 광섬유로 만들어진 커플러에서 두 코아의 크기가 다른 비대칭 구조의 광섬유 격자가 내장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이다.
전파상수가 다른 2개의 광섬유간의 필터 동작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섬유 코아(21, 22)에 입력된 신호 모드1 및 모드2는 입력 광섬유에서 들어간 모드들은 혼합영역에서 각각 일차의 기본 모드로 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다가 반대편, 각각 같은 광섬유로 원래의 모드와 동일한 모드로 각각 나오는 것을 원리로 하고 있다.
도 2b는 혼합 영역에 광섬유 격자를 새겨 다음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상 매칭의 특정 파장에서 혼합 영역의 기본모드1이 후방향으로 기본모드2로 커플링되어 혼합영역을 전파하면서 코아(22)로 초기에 입력한 모드2로서 나오게 된다.
β1(λ) + β2(λ) = 2π / Λg
여기서, Λg는 광섬유 격자의 주기이다.
만일, 혼합 영역에 광섬유 격자를 새겨 다음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상 매칭의 특정 파장에서 라면, 도 2c에서와 같이 초기 입력모드1은 단순히 혼합영역을 지나면서 광섬유 격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대편 코아(21) 나타난다.
β1(λ) + β2(λ) ≠ 2π / Λg
그리고, 브래그 격자 조건을 만족하는 빛이 코아(22)로 입사되면, 도 2d에서 처럼 광섬유 격자에 의해 코아(21)로 더해져 나오게 된다.
이때, 광섬유 격자를 새기는 방법은 도파로에 수직으로 같게 새기거나 도파로에 기울기를 갖고 새기는 등 다양하게 새길 수 있다.
종래의 WDM 통신 방식에 브래그 격자를 사용한 광섬유형 추가/추출 필터로서는, 도 3a에 도시된 써큘레이터(circulater)형 추가/추출 필터, 마하젠더 간섭계형 추가/추출 필터, 도 3b에 도시된 폴리시(polished)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퓨즈(fused)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등이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써큘레이터형 추가/추출 필터는 2개의 써큘레이터 사이에 단일코아 광섬유에 특정 파장을 반사하는 브래그 격자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써큘레이터 형태는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보이나 써큘레이터 간의 가격과 전체적인 부피가 너무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3a의 마하젠더형 추가/추출 필터는 완전 광섬유 형태로 구성되어 접속 손실이 향상되고 가격이 싸서 구현이 가능하나, 정확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똑같은 브래그 격자가 길이가 같은 각각의 단일코아 광섬유의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또한 구성상 사용되는 광섬유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외부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3b 및 도 3c에 각각 도시된 폴리시 커플러형과 퓨즈 커플러형은 미국 특허 5,457,758 호에서 설명된 것처럼 2개의 단일코아 광섬유를 사용하여 2개의 단일코아 광섬유가 접합되어 커플링영역에서 2개의 도파로가 형성되어 신호의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커플러를 형성하여 커플링 영역에 브래그 격자를 새겨 추가/추출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소형화되고 저가격화를 위해 좋은 방법이나, 커플러 제작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폴리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는 제조가 어려우며 장기적인 신뢰성보장이 어렵고 파장가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퓨즈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는 열을 가하여 2개의 단일코아 광섬유를 잡아 당겨 붙일 때 각각의 광섬유 코아가 매우 작아지고, 코아에 남아있는 게르마늄(Ge) 성분이 사라져 브래그 격자가 새겨지기 어렵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커플러 제조후 브래그 격자 제조시 잘 끊어지므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셋-업(set-up) 준비가 어려우며, 또한 광섬유 격자를 새겨넣는 커플링 영역이 매우 좁아 광섬유 격자의 반사 특성이 나빠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하여 구현함에 있어, 임의로 반사파장의 천이를 조절하므로써, 파장의 가변이 용이하고, 파장의 서로 다른 수많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추가/추출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칭적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구조도.
도 2a 내지 도 2d는 일반적인 비대칭적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구성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구현한 일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코아 광섬유를 실제로 구현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확장 예시도.
도 6b는 하나의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 발명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구현한 예시도.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복합적으로 구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다중코아 광섬유 420, 430: 도파로형 접속부
440: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 450: 천이양 조절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Coupler)형 추가/추출(add/drop) 필터에 있어서,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를 갖고 있는 다중코아(core)로 구성되는 다중코아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다파장 입력 광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입사하고, 입사한 다파장 입력 광신호중 특정 파장의 광신호는 반사하여 추출시키며, 추가 광신호를 반사하여 출력시키는 광입사 및 반사수단; 단일모드 광섬유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다파장 입력 광신호를 다중코아 광섬유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단일모드 광섬유의 추출단으로 추출하는 제 1 광접속수단; 상기 다중코아 광섬유내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을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추가 광신호를 상기 다중코아 광섬유내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2 광접속수단;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파장 천이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천이양 조절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파장을 천이시키는 반사파장 천이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WDM 통신망에서 사용된 추가/추출필터의 구현에 있어서 단일코아 광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커플러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코아를 가지는 광섬유를 사용하여 동일한 동작원리가 적용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다중코아 광섬유는 다중코아 제작의 어려움과 단일코아 광섬유와의 연결성의 어려움 때문에 사용성에 대한 의문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나, 1994년 프랑스 텔레콤에서 다중코아 광섬유 제작 방법에 대한 논문을 IWCS'4(International Wire Cable Symposium Proceedings)에 발표하였고, 프랑스의 알카렐(Alcarel)에서 제작 방법 및 특성에 대한 결과를 IWCS'97 및 EC'98에 발표함으로써 구현 가능함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광섬유를 적용하여 추가/추출 필터를 손쉽게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다중코아 광섬유를 사용하게되면 하나의 광섬유에 여러 개의 단일모드 도파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두 경로를 하나의 광섬유 내에서 해결 가능하므로, 두 경로의 길이가 똑같아지고 동일한 지점에 동시에 같은 광섬유 격자를 새기기 쉬워지고, 충분한 길이의 커플링 영역을 갖는 광섬유를 가질 수 있어 긴 광섬유 격자를 세겨 반사율을 높이므로써, 추가/추출 필터의 동작 특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는, 다중코아 광섬유(410)와, 단일모드 광섬유로 구성된 각각의 입력단 및 추출단과 다중코아 광섬유(410) 사이를 접속하는 도파로형 접속부(420)와, 단일모드 광섬유로 구성된 각각의 출력단 및 추가단과 다중코아 광섬유(410) 사이를 접속하는 도파로형 접속부(430)와, 다중코아 광섬유(410)에 접속된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와,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에 연결된 천이양 조절부(450)를 구비한다.
두 개의 코아(411, 412)로 구성된 다중코아 광섬유(410)는 두 코아간의 간격이 적정히 떨어져 상호 신호의 커플링이 이루어져 커플러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다중코아 광섬유(410)의 중간 부분인 커플링 영역에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는 다중코아 광섬유(410)의 두 코아(411, 412)에 동일한 브래그 격자(413, 414)들이 새겨져 있으며, 브래그 격자(413, 414)들의 굴절율이나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반사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중코아 광섬유로 구현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는 종래의 단일코아 광섬유로 구현된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와 동작 원리는 동일한 것으로서, 다중코아 광섬유의 두 코아의 전파상수가 대칭인 경우와 비대칭인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두 코아의 전파상수가 대칭인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평면도파로형 접속부(420)의 한쪽 입력단으로 입사된 다파장의 신호는 다중코아 광섬유(410)의 한쪽 코아(411)를 진행하면서 이웃한 코아(412)로 신호가 커플링되면서 브래그 격자(413, 414) 영역으로 입사된다.
이렇게, 입사된 다파장 신호중 특정 신호만이 반사되게 되고 반사된 신호는 입력단에서의 커플링 영역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므로써, 입력단으로는 궤환하지 않고 추출단으로 모두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다중코아 광섬유(410)내의 브래그 격자(413, 414)들의 영향을 받지 않은 다른 파장의 신호 성분은 그대로 격자 영역을 투과하여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다음은, 두 코아의 전파상수가 대칭인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비대칭인 경우는 대칭인 경우와 결과는 동일하나 추가단과 출력단이 반대로 된다.
즉, 출력단은 입력단과 동일한 반대편 코아가 되고 추가단은 추출단과 같은 반대편 코아가 된다.
그리고,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는 천이양 조절부(450)에 의해 제어되어 파장(λ1내지 λm)들중 한 파장만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440)는 온도, 스트레스(stress), 전압 및 빛 등에 의해서 흔히 스트레인(strain)이 발생하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천이양 조절부(450)로부터 전달되는 천이양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의 크기 또는 크기의 제곱에 비례하는 스트레인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스트레인은 이 재질이 부착된 다중코아 광섬유(410)의 브래그 격자(413, 414)의 격자 주기 및 굴절률을 변화시켜 반사파장을 천이하므로써, 추출단으로 추출되는 신호의 파장이 천이되도록 한다.
이때, 반자파장의 천이양을 결정하기 위해 천이양 조절부(450)를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로서, 이때 천이양 조절을 위해 이용되는 것은 전압, 전류 및 빛 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코아 광섬유를 실제로 구현한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을 직렬로 확장하여 여러 개의 파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b는 하나의 다중코아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본 발명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를 구현한 것이다.
도 6c 및 도 6d는 도파로형 접속부들을 결합하여 커플러 기능 또는 미칼슨(Michallson) 간섭계 등을 구성하여 브래그 격자를 새겨 본 발명의 추가/추출 필터을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변형 반사파장 천이부를 통해 임의로 반사파장의 천이를 조절하여 파장의 서로 다른 수많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 특성을 개선시키므로써, 통과파장폭이 좁아서 고속채널 선택이 가능하고, 또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거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없이 신호를 다음 노드로 전송할 수 있어 중간 노드들에서는 다른 노드들간에 전달되는 트래픽에 대하여 전기적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제품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WDM 통신망의 다양한 기술발전을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파장분할다중(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Coupler)형 추가/추출(add/drop) 필터에 있어서,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를 갖고 있는 다중코아(core)로 구성되는 다중코아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다파장 입력 광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입사하고, 입사한 다파장 입력 광신호중 특정 파장의 광신호는 반사하여 추출시키며, 추가 광신호를 반사하여 출력시키는 광입사 및 반사수단;
    단일모드 광섬유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다파장 입력 광신호를 다중코아 광섬유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단일모드 광섬유의 추출단으로 추출하는 제 1 광접속수단;
    상기 다중코아 광섬유내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을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추가 광신호를 상기 다중코아 광섬유내의 광입사 및 반사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2 광접속수단;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파장 천이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천이양 조절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광입사 및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의 파장을 천이시키는 반사파장 천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전압, 전류 또는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장 천이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스트레인(strain)이 발생하여 상기 브래그 격자의 굴절율이나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KR1019980056152A 1998-12-18 1998-12-18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KR20000040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152A KR20000040493A (ko) 1998-12-18 1998-12-18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152A KR20000040493A (ko) 1998-12-18 1998-12-18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493A true KR20000040493A (ko) 2000-07-05

Family

ID=1956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152A KR20000040493A (ko) 1998-12-18 1998-12-18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04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569A (ko) * 2001-04-02 2002-10-12 전자부품연구원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광신호의 결합 및 분리 장치
KR100415712B1 (ko) * 2001-10-11 2004-01-24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격자쌍을 이용한 투과형 광 결합시스템
KR100858853B1 (ko) * 2002-02-27 2008-09-17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반송파 억압 광 펄스열 생성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레이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569A (ko) * 2001-04-02 2002-10-12 전자부품연구원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광신호의 결합 및 분리 장치
KR100415712B1 (ko) * 2001-10-11 2004-01-24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격자쌍을 이용한 투과형 광 결합시스템
KR100858853B1 (ko) * 2002-02-27 2008-09-17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반송파 억압 광 펄스열 생성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레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1030B2 (ja) モードスプリッタおよび光回路
US5457758A (en) Add-drop device for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 fiber optic transmission system
CN107735707A (zh) 用于调谐光学信号的光学装置和方法
EP0989423A2 (en) Optical fiber mach-zehnder interferometer fabricated with asymmetric couplers
KR100311281B1 (ko) 기울어진 브래그 격자와 모드 분할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한 광 파장 가감기
EP0857314A1 (en)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devices
US6801690B1 (en) Grating-based wavelength selective switch
KR20000040493A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커플러형 추가/추출 필터
US73306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add/drop multiplexing
JPH08234149A (ja) 電子−光学材料を使用した光フィルタ
US6351586B1 (en) Wavelength dependent phase delay device
KR100281514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마하젠더간섭계형 추가/추출 필터
KR100237379B1 (ko) 파장분할다중 통신용 파장가변 광 드롭/패스 필터 시스템 구조
CN108627919B (zh) 一种偏振不敏感的硅基光开关
US20060098917A1 (en) Integrated Optical Device
US6842253B2 (en) Constructing method for an optical passive component
CN110637245B (zh) 一种光分插复用器
Aslund et al. Add-drop multiplexing by grating-induced dispersion in multimode interference device
KR101782593B1 (ko) 기울어진 브래그 격자와 모드 분류 광도파로를 이용한 폴리머 광도파로 파장 가변 필터
KR100264950B1 (ko) 궤환잡음이 없는 파장다중방식(wdm) 통신용 파장가변광 추출/투과필터
Schwelb Generalized analysis for a class of linear interferometric networks. Part II: Simulations
JP2000298222A (ja) 光回路素子
JP3555532B2 (ja) マイケルソン干渉計型光合分波器
JP3931834B2 (ja) 光波長合分波器
JPH0196605A (ja) 波長多重分波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