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126A - Device for extending multi-input of parallel port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tending multi-input of parallel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126A
KR20000039126A KR1019980054366A KR19980054366A KR20000039126A KR 20000039126 A KR20000039126 A KR 20000039126A KR 1019980054366 A KR1019980054366 A KR 1019980054366A KR 19980054366 A KR19980054366 A KR 19980054366A KR 20000039126 A KR20000039126 A KR 2000003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output
strob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06967B1 (en
Inventor
편도승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67B1/en
Publication of KR2000003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4Time supervision arrangements, e.g. real time clo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4Parallel ports, e.g. centr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extending multi-input of parallel por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special device and a different device according to requirement by connecting with a plurality of device by using one parallel port. CONSTITUTION: A device for extending multi-input of parallel port comprises an input circuit (50), an output circuit(70), and a controller(60). The controller comprises a converting signal generater(61), a strobe signal converter(62), a busy signal converter (63), and a data converter(64). The converting signal generater searches the input circuit(50) want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put circuit(70) by sequentially checking a strobe signal of all input terminal in the input circuit(50) if the inputted strobe signal does not exist, and outputs various control signals connecting for communicating the output circuit with the input circuit if the strobe signal exists. The strobe signal converter outputs only related signal to the output circuit and the converting signal generater, according to the strobe selecting signal inputted in one of the strobe signals inputted from each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input circuit. The busy signal converter outputs the inputted busy signal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circuit to the related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busy selecting signal outputting from the converting signal generater, and the data converter controls to communicate the only data of the input terminal related in the input circuit with the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data selecting signal outputting from the converting signal generater.

Description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Parallel Port Multi-Input Expansion Unit

본 발명은 하나의 병렬 포트(Parallel Port)를 이용한 다중 입력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병렬통신에 있어서, 하나의 병렬 포트만으로 다수의 장치와 병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nput sharing device using one parallel port. More specifically, in parallel communication, a parallel port enables parallel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only one parallel port. A multi-input expansion device.

상기 병렬 포트는 직렬 포트(Serial Port)에 비하여 빠른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반 개인용 컴퓨터(Personnal Computer)와 같은 경우 프린터(printer)와의 연결 등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상기 병렬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The parallel por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communicate faster than a serial port, and in the case of a general personal computer, the parallel port transmits a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a connection with a printer. I'm using a po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using a parallel 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은 하나의 장치가 다른 하나의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using the parallel 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llows one device to communicate with another device.

그러므로, 여러 개의 장치가 각각의 병렬 포트를 통하여 특정 장치의 포트와 동시에 통신을 할 수는 없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multiple devices cannot communicate simultaneously with the port of a particular device through each parallel port.

즉,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제1통신장치(10)에서 송신시작 신호인 스트로브(strobe) 신호를 제2통신장치(20)로 보낸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sends a strobe signal, which is a transmission start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그러면, 상기 제2통신장치(20)에서는 수신 가능신호인 비지(busy) 신호로 응답한다.T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responds with a busy signal that is a reception possible signal.

이 때, 비지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1통신장치(10)는 데이터를 출력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출력이 가능하면 데이터를 보내고, 그렇지 않으면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스트로브 신호를 보내서 상기 제2통신장치(20)의 상태를 검사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busy signal stat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decides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data, and if the output is possible, sends the data, otherwise sends the strobe signal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s inspect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은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통신장치(10)와 제2통신장치(20) 이외의 다른 장치가 연결될 수 없어, 타 장치와 한꺼번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mmunication using the parallel port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not be connected to other devices oth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it is connected to other devices at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commun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장치와 통신을 하고,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one parallel port, and communicates with a specific device as necessary, It is to provide a parallel port multi-input expansion uni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적용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applying communication using a parallel 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를 적용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to which a parallel port multi-input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서 전환신호 생성부의 상세 블럭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in FIG. 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as follows.

하나 이상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Input means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t least one devic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수단;An output means connected to one parallel por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rresponding device in the input means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상기 입력수단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수단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input means and the output mea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he configuration of the parallel port multi-input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네 개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50);An input unit 50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four devices, the input unit 5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50)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부(70);An output unit 70 connected to one parallel por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rresponding device in the input unit 50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부(70)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controller 60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input unit 50 and the output unit 70.

상기 입력부(50)의 구성은,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50,

제1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1입력부(51);A first input unit 51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 first devic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with the output unit 70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제2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2입력부(52);A second input unit 52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 second devic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with the output unit 70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제3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3입력부(53);A third input unit 53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 third devic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with the output unit 70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제4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4입력부(54)로 이루어진다.It is connected to the parallel port of the fourth device, and consists of a fourth input unit 54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ith the output unit 70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상기 제1입력부(51)의 구성은, 제1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1입력포트(51A)와, 상기 제1입력포트(51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1버퍼(buffer, 51B)로 이루어진다.The first input unit 51 is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the first device, and outputs a strobe signal and receives a busy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in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put unit 70. And a port 51A and a first buffer 51B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input port 51A and outputs the data according to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

상기 제2입력부(52)의 구성은, 제2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2입력포트(52A)와, 상기 제2입력포트(52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2버퍼(52B)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input unit 52 is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 second device, and outputs a strobe signal and receives a busy signal in response to a second in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put unit 70. A port 52A and a second buffer 52B that receive and stor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input port 52A, and output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상기 제3입력부(53)의 구성은, 제3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3입력포트(53A)와, 상기 제3입력포트(53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3버퍼(53B)로 이루어진다.The third input unit 5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 third device, and outputs a strobe signal and receives a busy signal in response to a third in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put unit 70. And a third buffer 53B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port 53A and the third input port 53A, and outputting the data according to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상기 제4입력부(54)의 구성은, 제4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4입력포트(54A)와, 상기 제4입력포트(54B)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4버퍼(54B)로 이루어진다.The fourth input unit 54 is connected to the parallel port of the fourth device, and outputs a strobe signal and receives a busy signal in response to the fourth inpu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put unit 70. And a fourth buffer 54B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port 54A and the fourth input port 54B, and outputting the data according to a dat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상기 출력부(70)의 구성은, 입력되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5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출력포트(71)와, 상기 출력포트(71)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출력버퍼(72)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70 has an output port 71 that outputs a busy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strobe signal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to / from the input unit 50, and is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output port 71. It consists of an output buffer 72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상기 제어부(60)의 구성은,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60,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입력부를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부(61);When there is no input strobe signal, when the strobe signal of all inputs of the input unit 50 is sequentially checked to find the input unit that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70, and if the input strobe signal is present, A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input part of the input part 50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part 70;

상기 입력부(50)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부(70)와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는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outputs only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output unit 70 and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61 according to the strobe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strobe signal input from each input unit of the input unit 50. ;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부로 출력하는 비지신호 전환부(63);A busy signal switching unit 63 which receives a busy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70 and outputs the busy signal to a corresponding input unit according to the busy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전환부(64)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dat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61 is composed of a data switch unit 64 for controlling only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of the input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의 구성은,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61A)와, 상기 클럭발생기(6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기(61B)와, 상기 지연기(61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부의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하는 카운터(counter, 61C)로 이루어진다.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has a clock generator 61A that is initialized according to an input reset signal and generates a clock signal having a constant frequency, and delay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lock generator 61A by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the delayed signal 61B and the signal outputted from the delayed 61C as many times as the set number,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value as a control signal of various switching units. Stops and stores a value (counter, 61C).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입력부(50)는 네 개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출력부(70)는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50)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input unit 50 is connected to the parallel port of the four devices,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the output unit 70 is connected to one parallel port, the input control signal As a result, the input unit 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corresponding device.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부(70)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60 outputs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input unit 50 and the output unit 70.

상기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는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입력부를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re is no input strobe signal,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of the controller 60 sequentially checks the strobe signals of all the input units of the input unit 50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70. When the desired input unit is found and an input strobe signal is present,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of the input unit 50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70 are output.

그리고, 상기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상기 입력부(50)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부(70)와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고, 비지신호 전환부(63)는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부로 출력한다.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of the control unit 60 switches only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the strobe signal input from each input unit of the input unit 50 to the output unit 70. Output to the signal generator 61, busy signal switching unit 63 receives the busy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70, according to the busy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Output to the input unit.

그리고, 데이터 전환부(64)느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한다.The data switching unit 64 controls only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among the input uni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dat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이하, 상기 제어부(6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는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STS)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다.When the input strobe signal STS does not exist,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of the controller 60 sequentially checks the strobe signals of all the input units of the input unit 50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put unit 70. Find the input you want to do.

즉, 클럭발생기(61A)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연기(61B)를 통하여 상기 클럭발생기(6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며, 카운터(61C)는 상기 지연기(61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부의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STS)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한다.That is, the clock generator 61A is initialized according to the reset signal input using the clock generator 61A to generate a clock signal having a constant frequency,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clock generator 61A is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delay 61B. The counter 61C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layer 61C and counts the set number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value as a control signal of various switching units, and when there is an input strobe signal STS. Stop counting and save the value.

상기와 같이, 전환신호 생성부(61)가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 중에, 상기 입력부(50)의 제1입력부(51)에 연결된 제1의 장치가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제1입력포트(51A)를 통하여 스트로브신호(ST1)를 보내오면, 상기 제1입력포트(51A)는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ST1)를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로 출력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sequentially checks the strobe signal and finds an input unit that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70,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6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unit 51 of the input unit 50. When the device of 1 sends the strobe signal ST1 through the first input port 51A for communication, the first input port 51A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robe signal ST1 to the strobe signal of the controller 60. Output to the switching section 62.

그리고,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현재 통신하고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스트로브신호(STS)를 출력부(70)의 출력포트(71)와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는데,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의 카운터(61C)는 계수를 중단하고, 제1입력부(51)에 해당하는 값을 통신이 끝날 때까지 계속 유지한다.When 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is not in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outputs the strobe signal STS to the output port 71 of the output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60. The counter 61C of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61 stops counting and keeps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unit 51 until the end of communication.

그리고, 그에 따른 값을 제어신호(CTL1, CTL2, CTL3)로서 출력하여,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와, 비지신호 전환부(63)와, 데이터 전환부(64)로 출력하여, 각각의 전환부(62, 63, 64)가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한다.The resulting value is output as the control signals CTL1, CTL2, and CTL3, and output to 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busy signal switching unit 63, and data switching unit 64 of the control unit 60. Thus, each switching unit 62, 63, 64 to support the communication of the first input unit 51 and the output unit 70.

즉, 상기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1)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50)의 각 입력부(51, 52, 53, 54)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로브신호(ST1, ST2, ST3, ST4) 중에서 제1입력부(5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스트로브신호(ST1)만 출력부(70)의 출력포드(71)로 전송한다.That is, 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TL1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61, so that the strobe signal switching unit 62 is operated from the respective input units 51, 52, 53, 54 of the input unit 50. Of the strobe signals ST1, ST2, ST3, and ST4 transmitted, only the strobe signal ST1 transmitted from the first input unit 50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pod 71 of the output unit 70.

따라서, 상기 입력부(50)의 다른 입력부(52, 53, 54)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로브신호(ST2, ST3, ST4)는 출력부(70)로 전송되지 못한다.Therefore, the strobe signals ST2, ST3, and ST4 transmitted from the other input units 52, 53, and 54 of the input unit 50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70.

그리고, 상기 비지신호 전환부(63)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STL2)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비지신호(BSOUT)를 수신하여 상기 제1입력부(51)의 제1입력포트(51A)로 전송하며, 다른 입력부(52, 53, 54)로는 전송하지 않는다.The busy signal switching unit 63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TL2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61 to receive the busy signal BSOUT transmitted from the output unit 70. The first input port 51A of the first input unit 51 is transmitted to the other input units 52, 53, and 54.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환부(64)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3)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50)의 버퍼들(51B, 52B, 53B, 54B) 중에서 제1버퍼(51B)만 인에이블(enable)시킴으로써, 제1입력부(51)의 데이터만 출력부(70)의 출력버퍼(72)로 전송되게 한다.In addition, the data switching unit 64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L3 output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unit 61, and thus the data switching unit 64 is formed of the buffers 51B, 52B, 53B, 54B of the input unit 50. By enabling only one buffer 51B, only the data of the first input unit 51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buffer 72 of the output unit 70.

상기에서 보듯이, 제어부(60)는 상기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가 스트로브신호와 비지신호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다른 입력부(52, 53, 54)의 통신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unit 52, 53, 54 while the first input unit 51 and the output unit 70 transmits and receives the strobe signal and busy sig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 Communication is not allowed.

그러다가,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간의 통신이 없는 경우, 즉, 상기 스트로브신호 변환부(62)로부터 전환신호 생성부(70)의 카운터(61C)로 인가되던 스트로브신호가 일정시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60)는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 동작을 계속한다.Then, when there is no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input unit 51 and the output unit 70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strobe signal converter 62 is applied to the counter 61C of the switch signal generator 70. When the strobe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and sequentially checks the strobe signal again and continues the operation of searching for the input unit that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unit 70.

그러던 중 또, 어느 입력부에서 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60)는 해당하는 입력부와 출력부(7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In addition, when a strobe signal is output from an input unit, the controller 60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70.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출려부(70)에 연결되어 있는 어느 장치에 대하여 입력부(50)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별다른 조정이나 설치의 변경 등을 할 필요없이 통신할 수 있다.By doing so,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50 can communicate with any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70 without necessity of adjusting or changing the installation as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convers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하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장치와 통신을 하고,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being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one parallel port to communicate with a specific device as necessary and to communicate with another device as needed. have.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제어 보드를 감시하기 위한 통신 방식에 적용될 경우, 고속 통신의 장점으로 인하여, 직렬 통신보다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when applied to a communication metho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control boards, due to the advantages of high-speed commun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han serial communication.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개언용 컴퓨터와 프린터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여러대의 개인용 컴퓨터를 하나의 프린터에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connecting and sharing a plurality of personal computers to a single printer when applied to a computer for opening and a printer.

Claims (3)

하나 이상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Input means connected to a parallel port of at least one devic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a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수단;An output means connected to one parallel por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rresponding device in the input means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상기 입력수단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수단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An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input means and the outpu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구성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수단을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해당하는 입력수단을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If there is no input strobe signal, the strobe signal of all the input units of the input means is sequentially checked to find an input means that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means, and if there is an input strobe signal, Switch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necting corresponding input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means; 상기 입력수단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수단과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 출력하는 스트로브신호 전환수단;Strobe signal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only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output means and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strobe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strobe signal input from each input unit of the input means;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수단으로 출력하는 비지신호 전환수단;Busy signal switching means for receiving a busy signal outputted from the output means and outputting the busy signal to a corresponding input means according to the busy selec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means;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수단과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And data switching means for controlling only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of the input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means according to the dat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signal generation mea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의 구성은,The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the switch signal generating means comprises: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Clock generation means initialized according to an input reset signal to generate a clock signal having a constant frequency; 상기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수단;Delay means for delay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clock generating means by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수단의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하는 계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And counting means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means and counting the set number and outputting the value as a control signal of various switching means, and if there is an input strobe signal, stopping counting and storing the value. Parallel port multi-input expa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KR10-1998-0054366A 1998-12-11 1998-12-11 Parallel Port Multiple Input Expansion Unit KR100406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en) 1998-12-11 1998-12-11 Parallel Port Multiple Input Expans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en) 1998-12-11 1998-12-11 Parallel Port Multiple Input Expans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126A true KR20000039126A (en) 2000-07-05
KR100406967B1 KR100406967B1 (en) 2004-03-26

Family

ID=1956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en) 1998-12-11 1998-12-11 Parallel Port Multiple Input Expans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90A (en) * 2003-04-30 2004-11-09 이태희 Port replic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759A (en) * 1992-12-30 1994-07-21 김주용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rial / parallel data input
US5619722A (en) * 1994-01-18 1997-04-08 Teramar Group, Inc. Addressable communication port expander
KR0164782B1 (en) * 1995-09-20 1999-01-15 김광호 Multi-interface printer and method thereof
KR100259617B1 (en) * 1996-03-07 2000-06-15 유원석 A stabilizing control circuit for a printer shared unit which uses telephone lines
JPH09305520A (en) * 1996-05-15 1997-11-28 Pfu Ltd Device state establishing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KR19980027723U (en) * 1996-11-19 1998-08-05 김영환 Multiplexer for the PC parallel port
KR970055756U (en) * 1997-07-15 1997-10-13 홍순근 2-way printer ro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90A (en) * 2003-04-30 2004-11-09 이태희 Port replic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967B1 (en) 200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4104A (en) Antenna alarm detection system
US7017067B2 (en) Method and bus system for synchronizing a data exchange between a data source and a control device
KR100406967B1 (en) Parallel Port Multiple Input Expansion Unit
KR10038659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US20040044822A1 (en) Computer I/O switching means based on network links
US5282210A (en) Time-division-multiplex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7114017B2 (en) Programmable peripheral switch
US7032061B2 (en) Multimaster bus system
WO1980000883A1 (en) Time multiplex controlled data system
US57612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KR100439148B1 (en) Frame Synchronous Signal Output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 System
KR0145451B1 (en) Match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 node common bus making use of arbiter
US6970477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method
KR19980028358A (en) Device having skew compensa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S59147555A (en) Contention type multi-drop connecting system
KR0149643B1 (en) Ring relay control method & device of analog subscriber board
KR20000052625A (en) Post write buffer for a dual clock system
JP2000132506A (en) Communication device
JPS61270952A (en) Data transmitting system
KR100970615B1 (en) Synchronous Input/Output port expansion apparatus
KR100202993B1 (en) Conjunction apparatus between two connectors
JPH03158041A (en) Data multiplex transfer system
JPH08191319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JPS62139A (en) Signal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KR20010048940A (en)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y a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