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792A -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792A
KR20000038792A KR1019980053904A KR19980053904A KR20000038792A KR 20000038792 A KR20000038792 A KR 20000038792A KR 1019980053904 A KR1019980053904 A KR 1019980053904A KR 19980053904 A KR19980053904 A KR 19980053904A KR 20000038792 A KR20000038792 A KR 20000038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haff
fibers
plate
polym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425B1 (ko
Inventor
박상후
김현수
배진서
박윤섭
곽상주
Original Assignee
정종순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순,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정종순
Priority to KR101998005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4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8Auxiliary operations, e.g. preheating, humidifying, cutt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0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 B27N3/203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04C2/1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물질로 코팅 처리한 왕겨 60∼90wt%, 고분자 물질로 코팅처리한 보강섬유 1∼15wt%, 바인더수지 5∼30wt% 및 항균제 0.05∼0.50wt%로 구성된 조성물을 155∼200℃에서 5∼25분간 10∼60kg/cm2의 압력으로 가압성형하여서 된 판재와 그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왕겨를 이용하여 값싼 비용으로 천연목재 수준의 질감, 복원력, 강도를 갖는 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板材)와 그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물질의 수성 에멀젼(Emulsion)으로 코팅 처리한 왕겨와 섬유의 혼합물에 바인더수지와 항균제를 첨가하여 구성시킨 판재 제조용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여서 된 천연 목판재(木板材) 대체용 판재와 이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판재는 곡강도가 크고 목재와 같은 질감을 갖으며 못질성, 복원력 등이 우수하다.
왕겨, 목분, 섬유,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등을 이용한 판상 제품이나 그의 제조 방법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왕겨는 화본과 식물종자(禾本科 植物種子)의 외피로서 흔한 합성수지 충진재 중의 하나이지만 목재와 비슷한 조성을 갖고 있으며 약산, 약염기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거나 용출되는 리그닌(Lignin)이 20%이상 함유되어 있어 약산, 약염기를 함유한 바인더수지를 사용하여 판재를 제조할 경우 판재의 결합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왕겨나 목재는 산지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략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을 나타낸다.
단위 : wt%
성분 수분 조지방 리그닌 섬유소 회분
왕겨 10 0.3 21.0 60.0 8.7
목분 10 0.6 26.0 62.5 0.9
바인더 수지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 중에서 특히 페놀 수지는 낮은 가격, 우수한 내열성과 치수 안정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각종 충진재와의 상용성이 비교적 좋으므로 그 이용 영역이 매우 넓다.
그러나 페놀 수지의 큰 단점은 수지 제품 중에 자유 페놀 혹은 자유 포름알데하이드가 존재하는 것이다. 페놀 수지는 산 또는 알카리 촉매에 의해서 페놀과 포름알데하이드를 축합 및 중합반응시켜 만드는 수지로 이때 과량으로 사용된 페놀 또는 포름알데하이드가 미반응물로 페놀 수지 속에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페놀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작용기들은 왕겨의 성분중 리그닌에 작용하여 리그닌을 용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바인더로 사용되는 페놀 수지의 결합력 저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페놀 수지, 우레아 포름알데하이드 수지(이하 요소 수지라 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텔수지,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수지(이하 멜라민 수지라 한다)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왕겨 또는 목분의 바인더로 사용하면 그 결합력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그 예로 왕겨를 저농도의 가성소다 용액에 처리하여 사용하는 방법, 고온 처리하여 리그닌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결합력 증대로 강도 향상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왕겨를 전처리하는 비용이 과다하여 실용화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 기술들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리그닌이 용출되지 않도록 왕겨를 전처리함으로서 생산원가를 줄이고 제조된 왕겨보드의 강도를 훨씬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왕겨 또는 섬유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바닥재, 건축용 거푸집, 가구, 내구성 벽체로 사용될 수 있는 고강도 판재와 이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왕겨 또는 목질계 섬유를 이들과 우수한 상용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의 에멀젼(고형분 10∼60wt%)으로 전처리함으로써 표면에 고분자 물질이 고르게 도포(이하 코팅-coating)된 왕겨를 사용하고 이를 페놀수지과 같은 바인더수지를 사용하여 판재를 제조함으로써, 리그닌의 용출을 방지하여 리그닌 용출에 의한 결합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보강섬유를 첨가 사용함으로써 천연목재 수준의 곡강도 및 복원력을 가진 판상제품을 제조함으로서 콘테이너 바닥재, 건축용 거푸집 등 높은 곡강도 및 복원력을 요구하는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 공정중 원료 혼합 과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 공정중 성형공정의 실시 예를 도식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 공정중 성형공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식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왕겨, 열경화성 수지, 보강 섬유, 고분자 물질의 에멀젼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여기에 항균제, 윤활제를 첨가하여 가압, 성형시켜서 된 고강도 및 고복원력을 갖는 판재와 이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왕겨와 보강섬유를 혼합한 혼합물을 아크릴 수지가 물에 분산시켜서 된 수지함량 10~60wt%인 아크릴에멀젼으로 코팅한 다음, 바인더인 열경화성 수지와 첨가제(항균제, 윤활제 등)를 혼합하여 열간 프레스의 금형틀에 채우고 프레스로 가압과 해압을 반복하며 판재를 제조한다.
이때 각 조성의 구성비는 왕겨 60~90wt%, 보강섬유 1~15wt%, 수성아크릴계 수지에멀젼 5~15wt%(고형분 기준), 열경화성 바인더 수지 5~30wt%,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0.05~0.5wt%이며 필요에 따라 왁스등을 윤활제로 소량 첨가 사용할 수 있다.
왕겨는 판재 조성의 60∼90wt% 정도 사용되는데 그 입자의 크기는 왕겨 입자 그대로 사용하거나 30∼1000㎛ 정도로 분쇄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 때 왕겨의 수분 함량이 15wt% 이하가 되도록 건조 유지하고 흙, 오물등 이물질의 미분말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는 이와같은 이물질의 미분말이나 수분함량의 과다는 판재성형시 경화시간을 지연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보강 섬유는 유기섬유, 무기섬유로서 1∼15wt% 정도 사용되며 섬유굵기는 0.5∼30㎛인 가는 섬유나 다발형태로 길이는 5∼45㎜인 섬유를 사용한다. 무기섬유로는 석면, 금속섬유, 세라믹섬유, 탄소섬유 등이며, 유기섬유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의류 등의 폐섬유, 볏짚 옥수수 껍질 등의 식물성 섬유, 마직류 모직류 등의 두께가 가는 섬유나 다발 형태의 섬유를 모두 보강섬유로 사용될 수있다.
이와같이 준비된 왕겨 및 보강섬유는 고형분 10∼60wt%인 상기한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emulsion : 수지가 물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상태)과 함께 혼합조에서 혼합하여 코팅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친다. 이와같이 코팅제(전처리제)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판재 조성에 있어 3∼15wt%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왕겨 또는 보강섬유에 대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이유는 판재 제조시 이용되는 바인더수지(열경화성 수지)에 함유된 산 또는 염기가 왕겨 또는 보강섬유중 천연 식물성 섬유에 존재하는 리그닌에 작용하여 리그닌을 용출시킴으로서 바인더수지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왕겨나 보강섬유에 대해 아크릴계 수지로 전처리 코팅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분산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마이드, 아크릴 아마이드 염 그리고 이와 유사한 고분자 물질로서는 라텍스(Latex)나 전분 또는 폴리비닐알콜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인더수지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5~30wt%가 사용되며, 거의 모든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가능하나, 특히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가 효과적이며 수분산성 수지보다 분체 또는 괴상의 노볼락 수지가 더 유리하다. 그 이유는 가압가열 프레스 성형시 수분산성 수지는 수분에 의해 경화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 첨가제는 제품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항균제로서 제올라이트를 0.05∼0.50wt% 사용하였다.
또한 압출성형시 성형 및 압출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로서 소량의 왁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을 이용하여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성형용 원료의 혼합 공정과 제품의 성형 공정으로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주요 발명내용으로는 원료 특히 왕겨와 보강섬유의 혼합과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의 수성에멀젼으로 표면을 고르게 코팅하는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다음 공정인 제품성형 공정에서 바인더수지와의 혼합 성형공정은 바인더수지의 작용에 의한 왕겨 성분중 하나인 리그닌이 용출되어 나오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원료혼합 공정이다
이 원료의 혼합공정은 가열기와 냉각기가 부착되어 가열 및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회전하는 날개를 가진 혼합기에서 왕겨와 보강섬유를 먼저 혼합하고, 왕겨와 보강섬유를 코팅할 수분산성 수지에멀젼을 투입하여 다시 혼합하여 왕겨 및 보강섬유의 표면에 수분산성 수지가 고르게 코팅되게 한 다음 시료를 90℃까지 가열하여 코팅재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고 80℃ 이하로 냉각한 후 결합 바인더 및 첨가제를 투입하여 혼합 시료를 제조한다.
결합 바인더로서 노블락형 수지를 사용함이 적당하다. 그 이유로는 노볼락 형태의 수지를 사용할 때는 수분의 증발이 필요없지만 수분산성 수지(레졸형)를 사용할 때는 수분을 반드시 증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 바인더를 혼합할 때 온도를 낮추어야 하는 이유는 노볼락형 수지인 결합 바인더가 수분과 온도에 의해 전경화(Pre-cure)가 일어나 수지의 특성을 상실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료를 이용하여 프레스법에 의한 복합판재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당한 형태로 암수가 분리되는 열간프레스 금형에 투입하고, 155∼200℃의 열간 프레스로 5∼25분간, 10∼60㎏/㎠의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 성형하되 약 3분 간격으로 가압과 해압을 반복하여 성형토록 한다. 이러한 성형과정에서 가압과 해압을 반복하는 이유는 성형중 발생되는 수분 또는 성형 가스에 의한 복합판재의 성형 불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층과 표면층의 밀도 차이를 없애기 위함이다.
또 다른 판재 성형공정은 판상, 중공 형태 또는 띠형의 금형(이하 금형)이 부착된 압출기 또는 사출기에서 저온 고압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 때 압출기의 실린더 및 스크류(이하 실린더)는 성형 가스 배출 및 진공 흡입이 가능한 구멍이 있는 설비로 온도는 120∼170℃를 유지하고 금형의 온도는 155∼230℃로 한다. 이때 복합판재 강도 증진을 위해 왕겨를 10∼3000㎛로 분쇄하여 사용하면 우수한 표면과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강도가 우수한 판재를 생산하기 위한 조성 및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충진재로 왕겨를 사용하는 경우와 목분 또는 목모를 사용하는 경우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동일한 혼합공정과 제조방법(열간프레스)으로 판재를 제조하였다.
혼합기에서 아래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 130×110㎜ 금속제 금형에서 170℃에서 약 10분간 열간 프레스 성형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아래 <표2>와 같이 분쇄왕겨 대신 목분이나 목모를 대체하여 사용하더라도 물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진재(평균 입경 ㎛) 분쇄 왕겨(300메쉬) 목분/목모(300메쉬)
조성(wt%) 충진재(왕겨 또는 목분)페놀 수지(노볼락 수지) 80.020.0 80.020.0
물성 밀도 g/cc수축율 %굴곡강도 kg/cm2충격강도 kg f.cm/cm2열변형점 ℃ 0.91.22502.8151 0.91.32402.8153
(측정 방법)밀 도 : 시편의 치수 및 중량으로부터 산출한 가비중치수 축 율 : 100×(80℃ 시편치수 - 23℃ 시편치수) / 23℃(시편치수)굴곡강도 : JIS K-7203 측정 방법에 따름충격강도 : 샤르피 충격강도 JIS K-7111 측정 방법에 따름열변형점 : JIS K-7207 측정 방법에 따름
실시예 2
왕겨의 전처리 과정(수성아크릴계 수분산성 수지에멀젼으로 코팅하는 과정)이 물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비교실험예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되 왕겨를 아크릴계 수분산성 수지로 전처리(코팅)하여 적용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왕겨코팅) 종래기술(왕겨 불코팅)
조성(wt%) 아크릴 에멀젼왕겨페놀수지(노볼락 수지) 5.080.015.0 083.017.0
물성 밀도 g/cc수축율 %굴곡강도 kg/cm2열변형점 ℃ 0.91.0270149 0.91.2190152
(측정 방법)밀 도 : 시편의 치수 및 중량으로부터 산출한 가비중치수 축 율 : 100×(80℃ 시편치수 - 23℃ 시편치수) / 23℃(시편치수)굴곡강도 : JIS K-7203 측정 방법에 따름충격강도 : 샤르피 충격강도 JIS K-7111 측정 방법에 따름열변형점 : JIS K-7207 측정 방법에 따름
실시예3
왕겨에 보강섬유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전처리 과정(아크릴계 수분산성 수지로 코팅하는 과정)을 실시하여 복합판재를 제조할 때 물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예로서 실시예 1, 2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되 왕겨와 보강섬유를 아크릴계 수분산성 수지로 전처리(코팅)하여 적용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보강섬유는 섬유경 9∼15㎛ 폴리에스터를 35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 하였다.
구 분 보강섬유 사용 보강섬유 미사용
조성(wt%) 보강섬유아크릴 에멀젼왕겨페놀수지(노볼락 수지) 5.05.070.020.0 05.075.020.0
물성 밀도 g/cc수축율 %굴곡강도 kg/cm2열변형점 ℃ 0.90.5350152 0.91.1270152
(측정 방법)밀 도 : 시편의 치수 및 중량으로부터 산출한 가비중치수 축 율 : 100×(80℃ 시편치수 - 23℃ 시편치수) / 23℃(시편치수)굴곡강도 : JIS K-7203 측정 방법에 따름충격강도 : 샤르피 충격강도 JIS K-7111 측정 방법에 따름열변형점 : JIS K-7207 측정 방법에 따름
대부분이 소각 및 방치되고 있는 우리 주위의 가장 흔한 부산물인 왕겨를 이용하여 천연 목재 수준의 질감, 복원력, 강도를 가진 대체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하여 요구 물성에는 많은 접근을 하였으나 물성향상을 위한 접근방법이 너무 복잡하거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실적용하기엔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전저리 공정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본 발명에서 제시함으로서 생산단가의 절감에 기여하게 되었다.
첫째, 수분산성 수지를 이용하여 왕겨 및 보강섬유를 전처리(코팅처리)함으로서 왕겨 성분중 리그닌 용출을 방지하여 왕겨와의 수지흡착을 억제하므로서 복합판재의 강도를 증진시키고, 제품의 유연성 및 못질성을 향상시킴으로서 고강도를 요구하는 콘테이너 바닥재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용도를 확대 하였다.
둘째, 수분산성 수지 코팅으로 보강 섬유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결합력을 증가하고, 제품의 발수성이 향상되며, 가닥별로 코팅된 섬유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성형품의 복원력을 합판 수준 이상으로 향상 시켰다.
셋째, 수분산성 수지로 코팅된 왕겨는 제품 성형시 금속면과의 마찰을 줄이는 윤활작용을 하여 제품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왕겨의 분해가 없기 때문에 왕겨의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토록하여 제품 성형시 가스의 발생을 적게 한다.

Claims (7)

  1.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로 코팅 처리한 왕겨 60∼90wt%, 고분자 물질로 코팅 처리한 보강섬유 1∼15wt%, 바인더 수지 5∼30wt%, 항균제 0.05∼0.50wt%로 구성된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여서 된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이 아크릴수지, 아크릴아마이드수지, 천연라텍스, 전분, 폴리비닐알콜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바인더수지가 페놀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텔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인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금속섬유, 세라믹섬유, 카본섬유,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된 것인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4. 제1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제올라이트인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5.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왕겨와 보강섬유의 혼합물을 고분자 물질로 코팅한 다음 90℃로 가열한 후 8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바인더수지와 항균제를 첨가하여서 된 조성물을 가압성형하여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155∼200℃의 온도에서 5∼25분간 10∼60kg/cm2의 압력 조건에서 가압, 성형하는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이 아크릴수지, 아크릴아마이드수지, 천연라텍스, 전분, 폴리비닐알콜 중에서 선택된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60wt%인 수성 에멀젼인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80053904A 1998-12-09 1998-12-09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8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04A KR100287425B1 (ko) 1998-12-09 1998-12-09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04A KR100287425B1 (ko) 1998-12-09 1998-12-09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92A true KR20000038792A (ko) 2000-07-05
KR100287425B1 KR100287425B1 (ko) 2001-05-02

Family

ID=195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904A KR100287425B1 (ko) 1998-12-09 1998-12-09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4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426A (ko) * 2001-08-08 2003-03-17 이주영 폐크라프트지·피피합지마대로 구성되는 인조경량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479571B1 (ko) * 2002-05-29 2005-04-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균 온돌 마루판
KR100491251B1 (ko) * 2002-05-29 2005-05-25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균 온돌 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0618B1 (ko) * 2005-08-11 2007-04-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왕겨를 이용한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402B1 (ko) * 2008-01-17 2009-08-14 (주) 그린이엔지 건축용 보드
KR100964570B1 (ko) * 2009-08-31 2010-06-21 경광산업(주) 친환경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658B1 (ko) * 2009-12-28 2012-06-28 석동원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49B1 (ko) * 2009-02-27 2012-01-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섬유와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하는 유사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2524A (ko) 2009-03-11 2010-09-24 조성균 왕겨 아트보드와 그 제조방법
WO2010104286A2 (ko) * 2009-03-11 2010-09-16 Jo Sung Kyun 왕겨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왕겨 보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426A (ko) * 2001-08-08 2003-03-17 이주영 폐크라프트지·피피합지마대로 구성되는 인조경량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479571B1 (ko) * 2002-05-29 2005-04-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균 온돌 마루판
KR100491251B1 (ko) * 2002-05-29 2005-05-25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균 온돌 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0618B1 (ko) * 2005-08-11 2007-04-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왕겨를 이용한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402B1 (ko) * 2008-01-17 2009-08-14 (주) 그린이엔지 건축용 보드
KR100964570B1 (ko) * 2009-08-31 2010-06-21 경광산업(주) 친환경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658B1 (ko) * 2009-12-28 2012-06-28 석동원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425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717B2 (en) Phosphate bonded composites and methods
Ayrilmis et al. Flat-pressed wood plastic composite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wood-based panels
US4479912A (en) Fiber board composition
CN102304291B (zh) 一种竹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83970B1 (ko) 친환경 및 난연성 합성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kinyemi et al. Dur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particle boards from polystyrene–wood wastes
KR100287425B1 (ko)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Sahin et 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articleboard manufactured from waste peachnut shell with glass powder
CN105178557A (zh) 一种重组竹地板及其制造方法
JP2004352978A (ja) バイオマス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バイオマス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材料
EP0873829B1 (en) Process for preparing cellulosic composites
CN101428431A (zh) 木质成形体的制造方法以及木质成形体
CN107366409A (zh) 一种环保地板基材用玉米秸秆基阻燃型复合板的生产工艺
KR101808286B1 (ko) 죽분을 이용한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ck et al. Thermally curable aqueous acrylic resins–a new class of duroplastic binders for wood and natural fibers
KR20080090611A (ko)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10576496A (zh) 一种用于乐器竹纤维材料的纤维板制备方法
CN112739510B (zh) 成型制品的制备方法
US1899768A (en) Sawdust wood fiber bo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6182327A (zh) 一种零甲醛竹刨花板及其制备方法
NZ264187A (en) A method of producing a wood derived material by mixing a cellulosic product with a bonding agent
WO1986002292A1 (en) Fiber board composition
CA1216691A (en) Fiber board composition
RU244023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оляционных композитных плит из растительных отходов
CN110126395B (zh) 一种生物复合板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