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285A -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285A
KR20000038285A KR1019980053228A KR19980053228A KR20000038285A KR 20000038285 A KR20000038285 A KR 20000038285A KR 1019980053228 A KR1019980053228 A KR 1019980053228A KR 19980053228 A KR19980053228 A KR 19980053228A KR 20000038285 A KR20000038285 A KR 2000003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signal
transmitted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104B1 (ko
Inventor
김태중
방승찬
심재룡
한기철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104B1/ko
Priority to JP34694599A priority patent/JP3626055B2/ja
Priority to GB9928610A priority patent/GB2346779B/en
Priority to FR9915341A priority patent/FR2788393B1/fr
Publication of KR2000003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104B1/ko
Priority to JP2004123493A priority patent/JP4546135B2/ja
Priority to JP2010116285A priority patent/JP4955796B2/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복수개의 단말들이 공통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접속(Random Access)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프리앰블 시그너쳐(preamble signature)를 할당하여, 단말들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에서는 가능한 모든 프리앰블에 대해 초기 동기를 수행한 후, 초기 동기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순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들이 자신이 보낸 프리앰블의 포착 여부를 확인한 후에 이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 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시간 지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복수개의 단말들이 공통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접속(Random Access)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preamble signature)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에서 초기동기 수행에 의해 프리앰블 포착 여부를 모든 단말에게 방송하며, 단말에서는 자신이 보낸 프리앰블의 포착 여부를 확인한 후에 이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 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시간 지연 특성이 우수해지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주로 이동 중에 음성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는 서비스 형태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전자우편과 같은 간단한 형태의 데이터에서 이동 중에 동영상의 신호 수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일로에 있다. 특히, 음성 신호뿐만 아니라 간단한 데이터에서 동영상까지 지원하면서 국제적으로 통합된 표준안을 통해 전세계 어디에서나 서비스 받을 수 있게 하는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성에는 약간의 제한을 받지만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IEEE 802.11 표준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무선 LAN은 이미 2 Mbps(Mega bit per sec)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품이 상용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현재 공중 교환망이나 디지털 셀룰러와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회선교환 방식(circuit-switch)은 유한한 채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회선교환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근거리 지역망이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안으로 연구되고 있는 IMT-2000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패킷 교환방식(packet-switch)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에서 적용하고 있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 방식인 대역확산 방식은 수용용량이 증가하고, 외부에서 도청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동 중에 급변하는 무선 채널에 의해 발생되는 다중 경로(multipath)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입증되고 있다.
현재 표준화 활동이 활발히 진행중인 IMT-2000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를 지원하는 것을 기본 요건으로 하고 있는데, 패킷 데이터의 특성상, 기존의 음성과 같이 전용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음성 데이터와 같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는 전용 채널을 할당받아 사용하는데 비해, 불연속적이며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가변적인 패킷 데이터의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와 같은 전용 채널을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수용 용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의 역방향 채널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 용량 범위 내에서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향후 가입자가 증가하게 되어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역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한 자원의 효율적 이용은 필수적인 사항이 될 것이다.
현재, 상기 역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한 채널 접속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으로 ALOHA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ALOHA 방식은 대표적인 임의 접속 방식으로서 1970년 하와이 대학에서 하와이주의 섬들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로 개발되었다. 그리고, ALOHA 방식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별도의 시간 계획없이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도 떨어지고, 단말이 많은 경우에는 전송 데이터간 충돌이 잦아짐으로써 네트워크의 과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간에 표준시간을 설정한 슬롯 ALOHA가 연구되었다. 즉, 단말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더라도 기준 시각에서만 전송을 허용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 전송에서 순수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이 증가되며, 또한 타 단말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에 의해 자신의 데이터 전송에 방해를 받을 확률이 줄어들게 되어 전반적으로 네트워크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ALOHA 프로토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ALOHA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따르면, 단말은 하나의 접속 시도(access attempt)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접속 시도는 복수개의 접속 부시도(access sub-attempt)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 부시도는 복수개의 접속 프로브 시퀀스(access probe sequence)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 프로브 시퀀스는 복수개의 접속 프로브(access probe)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 프로브는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 상황에 대해 평가하고 단말이 사용하는 부호와 기지국 부호의 초기 동기 및 부호동기 추적을 위해 아무런 정보없이 파일럿 채널만을 전송하게 되는 프리앰블과 상기 프리앰블에 이어서 접속 정보나 사용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접속 채널 메시지 캡슐(access channel message capsule)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 시도 과정을 통해 역방향 공통 채널로 접속 신호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은 우선적으로 일정 수준의 전력 레벨로 하나의 접속 프로브를 전송한다. 이때 전력 레벨은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타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 단말들에게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한다.
첫 번째 접속 프로브로 데이터 전송을 시도한 단말은 일정 시간(TA)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성공 여부를 수신받게 된다. 하지만, 만약 첫 번째 접속 프로브의 데이터 전송을 실패하게 되면 임의의 시간(RT)을 기다린 후에 첫 번째 접속 프로브의 전력 레벨보다 일정 수준(PI) 증가된 전력 레벨로 재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접속 프로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적으로 시도한다. 하지만, 미리 설정된 수의 접속 프로브를 통해서 데이터 전송을 성공하지 못하게 되면 하나의 접속 프로브 시퀀스를 마치고, 별도의 임의 시간(RS)을 기다린 후 두 번째의 접속 프로브 시퀀스를 첫 번째 접속 프로브를 전송할 때와 같이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ALOHA 방식도 근본적으로 경쟁 모드(contention mod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간에 충돌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충돌시 불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순방향 채널(forward link)을 이용하여 단말로 경쟁 상태 및 제어 정보를 알려줄 수는 있지만, 이는 적지 않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채널 부호화 기법이나 인터리빙(interleaving)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역방향 공통 채널과 같이 길지 않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며, 또한 순방향의 수용 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프리앰블의 포착 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는 방안이 있다. 상기 프리앰블 시그너쳐는 역방향 공통 채널을 위해 전송되는 프리앰블에 이용되는 공통 대역확산 부호를 변조하는 심볼로서, 프리앰블 시그너쳐간에는 직교성이 유지되어, 기지국에서 프리앰블을 포착할 때 효율적인 다수의 프리앰블이 상이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사용하여 전송된 경우에 상호간에 간섭없이 포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ALOHA 프로토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프리앰블의 길이를 충분히 설정하여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많은 데이터가 전송되어도 부호 동기 및 추적을 안정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공통 채널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프리앰블은 부호의 동기를 설정하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인 반면,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적으며, 실제 데이터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프리앰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전송 효율 면에서 많은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에서 순방향 채널(forward link)을 이용하여 단말로 경쟁 상태 및 제어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도 실시간 처리가 힘들어 실제로 역방향 공통 채널과 같이 짧은 시간동안 전송되는 경우에 적용될 시에는 효과적인 방법이 못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패킷 데이터를 수용할 수 없으며, 또한 상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동작되는 복잡한 구조는 물리 계층의 계층적 구조를 실현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미리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서는 프리앰블만을 수신하여 초기 동기를 포착한 후,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어 해당되는 단말들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여부를 확인케 하고, 이때,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들은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포착되지 않은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들은 임의의 시간과 임의의 해당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새롭게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 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시간 지연 특성이 우수해지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변조한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 트래픽 특성에 따라 구분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부집합들의 원소에서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의 패킷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는 유용한 모든 프리앰블에 대해 초기 동기를 수행한 후, 초기 동기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순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들이 자신이 보낸 프리앰블의 포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들은 프리앰블 전송에 소요된 전력을 이용하여 유추한 전력 레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포착되지 않은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들은 임의의 시간과 임의의 해당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새롭게 선택하고, 이전 프리앰블의 전력 레벨과 현재의 순방향 경로 손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간섭 신호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력 레벨을 결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 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시간 지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채널을 이용한 ALOHA 데이터 전송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
도 3b는 도 3a의 전송자원 결정부의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동작의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미니 슬롯을 이용하는 상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동작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에 의한 간섭 신호 레벨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임의 접속장치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접속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접속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기국의 접속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110 : 전송 자원 결정부
111 : 시그너쳐 수신부 112 : 시그너쳐 선택부
113 : 슬롯선택부 114 : 전력결정부
120 : 프리앰블 전송부 130 : 전송신호 선택부
140 : 단말 RF 신호처리부 150 :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
160 : 전송 결정부 170 : 단말 데이터 처리부
180 : 단말 데이터 송신부 200 : 기지국
210 : 기지국 RF 신호처리부 220 : 초기 동기부
230 : 포착여부 결정부 240 :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
250 :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은, 기지국은, 유용한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해 부호 초기 동기를 수행하고,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모든 단말들에게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알려주며, 단말기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변조하여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여부를 수신하여,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을 시에는 적절한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새로운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시간을 임의로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신을 위해 필요한 부호 동기를 수행하여 해당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계 역할을 하는 기지국(200)과, 복수개의 상기 기지국(200 및 210)들을 관리하고 타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CDMA 네트워크(300)와, 상기 CDMA 네트워크(300)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기(100)와 일반 전화 가입자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400)과, 상기 CDMA 네트워크(300)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기(100)와 인터넷의 사용자와 연결시켜주는 인터넷 망(500)과, 상기 CDMA 네트워크(300)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기(100)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받는 사용자와 연결시켜주는 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망(600)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는, 상기 각 기지국(200)에,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해, 프리앰블의 부호 동기를 수행하여 부호 동기가 포착되면,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모든 단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포착 확인신호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된 각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초기동기 포착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포착 확인신호 수신수단과; 그 포착확인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포착확인신호에 의거하여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된 단말들은 이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지 않은 단말들은 프리앰블 시그너쳐, 시간 슬롯, 그리고 프리앰블의 전력 레벨을 새롭게 선택 및 설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전송 결정 수단을 단말기에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특성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고, 순방향 경로 손실,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간섭 신호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전송 자원 결정부(110)와,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에서 결정된 전송할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 등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프리앰블 전송부(120)와, 상기 기지국(200)에서 전송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에서 발생된 프리앰블과 데이터 중 전송할 신호를 선택하는 전송신호 선택부(130)와,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130)에서 선택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되는 RF 형태의 포착 확인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화시키는 단말 RF 신호처리부(140)와, 상기 단말 RF 신호처리부(140)로부터 기저대역의 포착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150)와,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150)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130)에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결정부(160)와, 상기 전송 결정부(160)로부터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여 인에이블되고,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할 형태에 맞추는 단말 데이터 처리부(170)와, 상기 단말 데이터 처리부(17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른 부호를 선택하여 대역 확산시키고, 이를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130)로 출력하는 단말 데이터 송신부(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 특성에 따라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그너쳐 수신부(111)와, 발생된 데이터의 특성과 상위 계층에서의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트래픽 특성을 구분하여,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랜덤한 방법으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는 시그너쳐 선택부(112)와, 랜덤한 방법으로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는 슬롯 선택부(113)와, 기지국의 간섭 신호레벨, 순방향 경로 손실 및 이전에 전송한 프리앰블 전력 레벨등을 고려하여 개방 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를 통해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전력 결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 결정부(114)는,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의 간섭 신호 레벨과, 순방향 경로 손실, 및 이전 프리앰블에서 전송한 전력 레벨 등을 고려하여 전력 레벨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는,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에서 결정된 전송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을 이용하여,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확산시켜 전송하되, 상기 확산시에 2개의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하여 복소 대역 확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150)는, 순방향 공통 채널에 사용된 부호와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부호를 이용하여 포착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전송 결정부(160)는,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150)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130)에 데이터와 프리앰블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100)로 RF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RF 신호처리부(210)와, 상기 단말기(100)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처리부(210)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초기 동기부(220)와, 상기 초기 동기부(220)로부터 초기 동기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된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포착여부 결정부(230)와, 상기 포착여부 결정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 출력하는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240)와, 상기 초기 동기부(220)에서 획득한 다중 경로의 시간 지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역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기 단말기(100)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처리부(210)로부터 입력받아 복조 및 채널 복호화 과정 등을 통해 수신하는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초기 동기부(220)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동기부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 지연 특성을 모두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에 인지시켜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시키는 시간 지연특성 출력부와,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230)에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알려주는 포착신호 출력부로 구성된다.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230)는, 상기 초기 동기부(220)로부터 입력받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대역확산용 부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50)에 알려주어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시키는 대역확산부호 발생부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만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240)에 출력하는 확인신호 발생부로 구성된다.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240)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만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1)와,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2)와,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만을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3), 및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을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체계를 선택하여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4개의 신호 체계 #1 - #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착 확인 신호 전송 체계로서 채택하여 포착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 체계는, 기존에 사용하는 순방향 공통 채널에 펑쳐링(puncturing) 기법과, 타 순방향 공통 채널에 직교성을 가지는 별도의 채널을 전용하는 기법, 및 타 순방향 공통 채널에 직교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채널을 전용하는 기법 중에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200)에서는, 짧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액세스와, 중간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 예약 요청, 및 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채널 요청으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의 성격을 구분한다. 그리고 모든 가능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할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구분 및 할당하고, 이를 모든 단말기들이 인지할 수 있게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패킷을 액세스 하기 위해서 단말기에서는, 패킷 액세스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 및 전송율에 따라 구분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리앰블 포착 여부를 수신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할지, 데이터를 전송할 지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시에는 기준 단위의 프레임 구조에 맞는 단일 혹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프레임 중 전송에 실패한 프레임은 패킷 액세스를 위한 동작을 재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채널 예약 요청을 위해서, 단말기에서 채널 예약용으로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패킷 액세스와 동일하게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초기 동기를 수행하여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포착되지 않은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기들은 채널 예약용으로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고, 전송할 시간 슬롯을 결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기들은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채널 예약을 시도하고, 기지국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한 후,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 예약 여부와 예약된 시간 및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해당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해당되는 단말들은 예약된 시간,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순방향 채널로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폐쇄 루프 전력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최종 프레임을 전송할 시에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에 함께 포함하여 전송하여 채널 예약을 해지한다.
상기 예약 채널 사용중 채널 예약 조건을 변경하기 위해서, 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채널 예약 조건 변경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패킷 액세스나 상기 채널 예약 요청을 위한 동작과 동일하게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면, 프리앰블을 기지국(200)에게 전송하고, 기지국(200)은 초기 부호 동기를 수행하여 초기동기 포착확인신호를 모든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이에따라 단말기는 초기동기 포착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이 포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앰블을 재전송하고,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이 포착된 경우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면(S101),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특성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고(S102), 순방향 경로 손실,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간섭 신호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S103)하는 전송 자원 결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전송 자원 결정 과정에서 결정된 자원에 의거하여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프리앰블을 전송(S104)한다. 상기 전송 자원 결정 과정에서 결정된 전송할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 등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프리앰블 전송 과정(S104)을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모든 단말기에게 방송되는 프리앰블 포착 확인신호를 수신(S105)하여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06).
만약,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 과정에서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이 포착된 경우에는,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할 형태에 맞추어 데이터 처리 하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른 부호를 선택하여 대역 확산시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과정(S107)을 수행하고,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 과정에서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이 포착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전송 자원 결정 과정부터 반복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과정(S108)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 포착 확인신호를 전송을 제어한다. 먼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수신처리(S201) 하고, 수신된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해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초기 동기 과정(S202)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초기 동기 여부를 확인하여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결정(S203)하고, 상기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모든 단말기로 출력하는 포착 확인 신호 전송 과정(S204)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초기 동기에서 획득한 다중 경로의 시간 지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역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수신 준비를 하고(S205),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 처리하여 복조 및 채널 복호화 과정 등을 통해 송수신 처리하는 과정(S206)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송자원 결정부(110)를 인에이블 시키게 되는데, 이때 인에이블된 상기 전송자원 결정부(110)에서는 전송할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집합에서 랜덤한 방법으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고, 동시에 전송할 슬롯도 랜덤하게 선택한다.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는 대역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대역 확산시켜 전송할 프리앰블을 발생시키고, 선택된 전송 슬롯에서 프리앰블을 전송시킨다. 이때,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130)에서는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 RF 신호처리부(140)로 출력하여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따라 기지국(200)에서는, RF 신호처리부(210)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프리앰블을 입력받아 상기 초기동기부(220)로 출력하고, 상기 초기동기부(220)가 사용 가능한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각각 초기 동기를 수행하여 전송 여부뿐만 아니라 포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포착여부 결정부(230)는, 상기 초기동기부(220)로부터 각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아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240)와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에 출력한다.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입력받은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240)가 모든 단말들이 확인할 수 있는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230)로부터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입력받은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에서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하는 대역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된 포착 확인 신호를 상기 단말 RF 신호 처리부(140)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150)에서는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의 확인 여부를 상기 전송 결정부(160)로 출력한다.
이때,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전송자원 결정부(110)와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는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180)에서는 상기 단말 데이터 처리부(170)에서 전송할 형태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하는 대역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대역 확산시켜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130)에서는 상기 전송 결정부(160)에서 프리앰블 시그너쳐 포착 확인 신호를 받아 스위치를 상기 데이터 송신부(180)의 출력에 연결하고, 상기 단말 RF 신호처리부(140)를 통해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기지국(200)의 상기 기지국 RF 신호처리부(210)를 통해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로 입력되고,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250)에서는 미리 확인한 대역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복조 및 복호화 과정을 통해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송 결정부(160)에서 전송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지 못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와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는 인에이블된다. 즉,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110)에서는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집합에서 랜덤한 방법으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새롭게 선택하고, 동시에 전송할 슬롯도 랜덤하게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전송할 슬롯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이유는 충돌로 인해 프리앰블이 포착되지 못한 경우 확정된 시간 후에 재전송을 하게 되면 재충돌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초기 프리앰블 전송과 마찬가지고,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는 대역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대역 확산시켜 전송할 프리앰블을 발생시키고, 선택된 전송 슬롯에서 프리앰블을 전송시킨다. 이때,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130)에서는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 RF 신호 처리부(140)로 출력하여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이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반복하게 되며, 반복의 횟수는 운영을 위한 파라미터로써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의 동작 중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짧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액세스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동작의 예시도에서는 프레임 주기가 10[ms]이고, 하나의 슬롯은 1.25[ms]로 가정하여, 하나의 프레임 주기에 8개의 전송 슬롯이 존재한다. 그리고, 하나의 슬롯은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시간(1[ms])과 수신 준비 및 포착 확인 신호를 전송하며, 단말기는 아무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0.25[ms])을 포함한다. 또한, 간단한 설명을 위해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2개인 경우를 고려하며, 또한 짧은 데이터만 발생되는 경우만을 가정한다. 그리고, 단말이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는 10ms 길이만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슬롯 시작 시점(T0) 이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상기 단말기 중에서 3개의 단말기가 전송 슬롯으로 T0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전송한다. 이때, 전송된 3개의 프리앰블은 모두 포착되지 않는데, 이는 모든 프리앰블이 동일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였거나,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의 전력이 타 프리앰블의 전력보다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못해 상호간에 간섭을 발생시킨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때, 모든 프리앰블이 포착되지 못했기 때문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전력 레벨과 시간 슬롯, 그리고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여 재전송하게 된다.
다른 시간 슬롯 T1에서는 2개의 프리앰블이 전송되어 모두 포착되는데, 이는 각 프리앰블이 개방 루프 전력 제어 (open loop power control)를 통해 적절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서로 다른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전송한 경우이다. 따라서, 포착된 프리앰블을 전송했던 단말기들은 시간 슬롯 T2에서 10[ms]의 길이동안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시간 슬롯 T2에서도 2개의 프리앰블이 전송되어 2개의 프리앰블이 모두 포착된 경우를 나타난다. 그런데, 하나의 데이터만 정확하게 수신되고, 나머지 하나는 전송에 실패한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2개의 프리앰블이 동일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전송을 하였지만 하나의 프리앰블의 전력이 다른 하나의 전력보다 월등히 높아서 실제로는 하나의 프리앰블을 포착했지만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들은 각자 자신의 프리앰블이 포착되었다고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후의 시간에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에서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에 따른 상기 기지국의 간섭 신호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는 실선은 종래의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 의한 간섭 레벨이며,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 의한 간섭 신호 레벨이 나타나며, 빗금친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에 의한 간섭 신호 레벨의 감소량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는 많은 양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억제함으로써 간섭 신호 레벨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수용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다른 채널을 이용한 사용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프리앰블 단위로 재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서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동작을 이용하여 데이터 길이가 다양한 짧은 데이터를 패킷 액세스 방식을 통해 서비스 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데이터 길이가 특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전용 채널을 요청하거나 예약 요청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의 길이는 기존 프레임 단위의 정수배이며, 종류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의 일례로서, 10[ms], 20[ms], 그리고 40[ms]의 데이터 길이를 패킷 액세스 방식을 통해 전송하고, 이보다 데이터 길이가 큰 경우에는 전용 채널 할당을 요청하거나 채널 예약을 요청하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
우선, 패킷 액세스를 위해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재분류하여 이를 기지국에서 모든 단말들에게 인지시켜주어야 한다. 이는 데이터 길이에 따른 트래픽의 양을 이용하여 사용이 많은 트래픽에는 많은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할당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역방향 공통 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와 전송률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의 특성을 결정하고, 만약 패킷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통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40[ms]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40[ms]의 패킷 액세스용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이 때 40[ms] 데이터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 단위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을 만들어 연속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연속적으로 전송한 프레임 중에서 전송에 실패한 프레임은 재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서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전송할 데이터 특성에 따라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중간 길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채널을 예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역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 예약을 요청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단말기(100)는 요구되는 채널 예약을 위한 정보와 단말기의 인식번호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상기한 패킷 액세스를 통해 전송한다. 패킷 액세스를 전송할 경우에는 채널 예약용으로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초기 동기 포착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채널 예약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프레임 기본 단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프레임 기본 단위보다 프레임 구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도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의해 단말기에서 전송할 채널 예약용 데이터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 패킷 액세스에 사용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일단 상기 기지국(200)에서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한 경우에는,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 예약 여부와 예약된 시간 및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해당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이를 수신한 단말들은 예약된 시간,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에는 기지국에서 예약된 단말을 위해 순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한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폐쇄 루프 전력 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를 수행하게 된다. 채널 예약 중에 채널 예약 조건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채널 예약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 예약 조건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 예약이 완료된 시점에는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일정한 필드(filed)를 할당하여 이를 기지국에서 알려주고, 채널 예약시 결정된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된 채널과 시간을 해제시키고, 이를 모든 단말기에 알려준다.
상기한 중간 길이 정도의 데이터를 채널 예약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향후 서비스가 예상되는 패킷 음성 서비스와 같은 응용 분야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송할 데이터가 길거나 혹은 음성 신호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 전용 채널을 요청하기 위한 동작은 상기한 채널 예약시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우선 전용 채널을 위해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초기 동기 포착 여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용 채널 할당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용 채널 할당 여부와 확산 부호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받은 후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채널 예약 요청과 같이 기본 단위의 프레임 길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역방향과 순방향에 모두 전용 채널이 할당되어 폐쇄 루프 전력 제어가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프리앰블 시그너쳐들을 할당하여, 단말들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른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게 함으로써 전용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채널 요청, 짧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액세스, 중간 크기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역방향 공통 채널 사용을 가능케 한다. 또한, 기지국에서는 가능한 모든 프리앰블에 대해 초기 동기를 수행한 후, 초기 동기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순방향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들이 자신이 보낸 프리앰블의 포착 여부를 확인한 후에 이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프리앰블을 재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 간섭 신호를 감소시켜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키고, 프리앰블만으로 빠른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전력 레벨에 빨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시간 지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1)

  1.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기가 공통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해, 프리앰블의 부호 동기를 수행하여 부호 동기가 포착되면,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모든 단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포착 확인신호 전송수단을 기지국에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된 각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초기동기 포착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포착 확인신호 수신수단과; 그 포착확인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포착확인신호에 의거하여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된 단말들은 이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지 않은 단말들은 프리앰블 시그너쳐, 시간 슬롯, 그리고 프리앰블의 전력 레벨을 새롭게 선택 및 설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전송 결정 수단을 단말기에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특성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고, 순방향 경로 손실,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간섭 신호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전송 자원 결정부와;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할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 등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프리앰블 전송부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전송부에서 발생된 프리앰블과 데이터 중 전송할 신호를 선택하는 전송신호 선택부와;
    상기 전송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 형태의 포착 확인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화시키는 단말 RF 신호처리부와;
    상기 단말 RF 신호처리부로부터 기저대역의 포착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와;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에 데이터와 프리앰블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결정부와;
    상기 전송 결정부로부터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여 인에이블되고,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할 형태에 맞추는 단말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단말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른 부호를 선택하여 대역 확산시키고, 이를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로 출력하는 단말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송 자원 결정부는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 특성에 따라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그너쳐 수신수단;
    발생된 데이터의 특성과 상위 계층에서의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트래픽 특성을 구분하여,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랜덤한 방법으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는 시그너쳐 선택수단과;
    랜덤한 방법으로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는 슬롯선택수단과;
    기지국의 간섭 신호레벨, 순방향 경로 손실 및 이전에 전송한 프리앰블 전력 레벨등을 고려하여 개방 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를 통해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전력 결정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프리앰블 전송부는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에서 결정된 전송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을 이용하고,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확산시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프리앰블 전송부는,
    2개의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하여 복소 대역 확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는
    순방향 공통 채널에 사용된 부호와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부호를 이용하여 포착 확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결정부는,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부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송신호 선택부에 데이터와 프리앰블 신호를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 RF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초기 동기부와;
    상기 초기 동기부로부터 초기 동기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된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포착여부 결정부와;
    상기 포착여부 결정부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초기 동기부에서 획득한 다중 경로의 시간 지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역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아 복조 및 채널 복호화 과정 등을 통해 수신하는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초기 동기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동기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 지연 특성을 모두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부에 인지시켜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시키는 시간 지연특성 출력부;
    상기 포착 여부 결정부에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알려주는 포착신호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 여부 결정부는
    상기 초기 동기부로부터 입력받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대역확산용 부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알려주어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시키는 대역확산부호 발생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만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에 출력하는 확인신호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만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로서 포착 확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로서 포착 확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만을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로서 포착 확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부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을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로서 포착 확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장치.
  15.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기가 공통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임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면,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슬롯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해 초기 동기를 수행하여 프리앰블 포착확인 정보를 모든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프리앰블 포착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을 하고,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을 재설정하고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슬롯을 랜덤하게 재설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특성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와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고, 순방향 경로 손실,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간섭 신호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전송 자원 결정 단계와;
    상기 전송 자원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전송할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 등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프리앰블 전송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전송 단계에서 발생된 프리앰블과 데이터 중 전송할 신호를 선택하는 전송신호 선택 단계와;
    상기 전송 신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 형태의 포착 확인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화시키는 단말 RF 신호처리 단계와;
    상기 단말 RF 신호처리 단계로부터 기저대역의 포착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가 포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포착 확인 신호 수신 단계와;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 단계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 단계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전송신호 선택 단계에 데이터와 프리앰블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결정 단계와;
    상기 전송 결정 단계로부터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여 인에이블되고,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할 형태에 맞추는 단말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단말 데이터 처리 단계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른 부호를 선택하여 대역확산시키고, 이를 상기 전송신호 선택 단계로 출력하는 단말 데이터 송신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전송 자원 결정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 특성에 따른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발생된 데이터의 특성과 상위 계층에서의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트래픽 특성을 구분하며,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랜덤한 방법으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선택하고,
    랜덤한 방법으로 전송할 슬롯을 임의로 선택하며,
    개방 루프 전력 제어를 통해 전송할 프리앰블의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전송 자원 결정 단계의 전력 결정은,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기지국의 간섭 신호 레벨과;
    순방향 경로 손실; 및
    이전 프리앰블에서 전송한 전력 레벨 등을 고려하여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프리앰블 전송 단계는,
    상기 전송 자원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전송 슬롯, 프리앰블 시그너쳐 및 전력 레벨을 이용하고,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확산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프리앰블 전송 단계에서는
    2개의 공통된 대역 확산용 부호를 이용하여 복소 대역 확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수신 단계는
    순방향 공통 채널에 사용된 부호와 전송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부호를 이용하여 포착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결정 단계는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수신 단계에서 확인한 전송 프리앰블 시그너쳐의 포착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자원 결정 단계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전송신호 선택 단계에 데이터와 프리앰블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로 RF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RF 신호 처리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는 초기 동기 단계와;
    상기 초기 동기 단계로부터 초기 동기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된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포착여부 결정 단계와;
    상기 포착여부 결정 단계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포착 확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 단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포착 확인 신호 전송 단계; 및
    상기 초기 동기 단계에서 획득한 다중 경로의 시간 지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포착 여부 결정 단계로부터 입력되는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역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입력받아 복조 및 채널 복호화 과정 등을 통해 수신하는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초기 동기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 RF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입력받아 모든 유용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따라 초기 동기를 수행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 지연 특성을 모두 상기 기지국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 인지시켜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수신할 준비를 시키며,
    상기 포착 여부 결정 단계에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포착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초기 동기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대역확산용 부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알려주어 곧바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시키며;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만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포착 확인 신호 전송 단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 단계는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만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와;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시간을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시간에 포착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와;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만을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신호 체계; 및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 직교 부호를 할당하여 전송할 심볼로 설정하고, 포착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모든 프리앰블 시그너쳐에 해당되는 심볼을 전송하는 앤티포달(antipodal) 신호 체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 체계를 선택하여 포착 확인 신호 체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포착 확인 신호 전송 체계는
    기존에 사용하는 순방향 공통 채널에 펑쳐링(puncturing)하는 방법과;
    타 순방향 공통 채널에 직교성을 가지는 별도의 채널을 전용하는 방법; 및
    타 순방향 공통 채널에 직교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채널을 전용하는 방법 중에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8. 제 15 항에서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채널 할당을 요청하는 채널 요청과;
    짧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액세스; 및
    중간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약 요청으로 역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에 해당되는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적절히 할당하여 모든 단말기들이 인지할 수 있게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29. 제 28 항에서 있어서, 패킷 액세스에서는
    데이터 전송 길이에 따라 짧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 액세스에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다시 세분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30. 제 28 항에서 있어서, 상기 채널 예약 요청을 위해서
    단말기에서 채널 예약용으로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패킷 액세스와 동일하게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초기 동기를 수행하여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순방향 공통 채널을 통해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포착되지 않은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기들은 채널 예약용으로 할당된 프리앰블 시그너쳐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고, 전송할 시간 슬롯을 결정하여 프리앰블을 재전송하고,
    포착된 프리앰블 시그너쳐를 전송한 단말기들은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채널 예약을 시도하고,
    기지국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채널 예약을 위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한 후,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 예약 여부와 예약된 시간 및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해당 단말들에게 알려주고,
    해당되는 단말들은 예약된 시간, 확산 부호, 그리고 전송률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순방향 채널로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폐쇄 루프 전력제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최종 프레임을 전송할 시에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에 함께 포함하여 전송하여 채널 예약을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31. 제 30 항에서 있어서, 상기 예약 채널 사용중 채널 예약 조건을 변경하기 위해서,
    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채널 예약 조건 변경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패킷 액세스나 상기 채널 예약 요청을 위한 동작과 동일하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역방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방법.
KR1019980053228A 1998-12-05 1998-12-05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KR10032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28A KR100327104B1 (ko) 1998-12-05 1998-12-05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JP34694599A JP3626055B2 (ja) 1998-12-05 1999-12-06 無線端末装置、基地局、及び符号分割多重接続方式における逆方向共通チャネルのランダム接続方法
GB9928610A GB2346779B (en) 1998-12-05 1999-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via reverse link common channel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R9915341A FR2788393B1 (fr) 1998-12-05 1999-12-06 Dispositif et procede d'acces direct par l'intermediaire d'un canal commun a liaison inverse lors d'un acces multiple par repartition en code
JP2004123493A JP4546135B2 (ja) 1998-12-05 2004-04-19 無線端末装置、基地局、及び符号分割多重接続方式における逆方向共通チャネルのランダム接続方法
JP2010116285A JP4955796B2 (ja) 1998-12-05 2010-05-20 無線端末装置、基地局、及び符号分割多重接続方式における逆方向共通チャネルのランダム接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28A KR100327104B1 (ko) 1998-12-05 1998-12-05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285A true KR20000038285A (ko) 2000-07-05
KR100327104B1 KR100327104B1 (ko) 2002-07-31

Family

ID=1956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228A KR100327104B1 (ko) 1998-12-05 1998-12-05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3626055B2 (ko)
KR (1) KR100327104B1 (ko)
FR (1) FR2788393B1 (ko)
GB (1) GB2346779B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9622A1 (en) * 2000-10-17 2002-05-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apparatus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20053953A (ko) * 2000-12-26 2002-07-06 오길록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임의 접근 채널의 트래픽제어방법
KR100416972B1 (ko) * 2000-06-12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랜덤접근채널 할당방법
KR100425087B1 (ko) * 1999-08-14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패킷 채널의 할당 방법
KR100429188B1 (ko) * 1999-08-27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패킷 채널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46532B1 (ko) * 2001-12-10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엠티에스에서의 기지국 접속시간 감소 방법
KR100452639B1 (ko) * 2001-10-20 2004-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패킷 채널 접속 방법
KR100453774B1 (ko) * 1999-03-22 2004-10-20 골든 브리지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공통 패킷 채널
KR100595174B1 (ko) * 2000-06-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595173B1 (ko) * 2000-06-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액세스 채널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44322B1 (ko) * 2001-08-14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전이중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 방법
KR100832117B1 (ko) * 2002-02-17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26571B1 (ko) * 2007-12-06 2009-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응답 정보의 송수신 방법,이를 구현하는 기지국 장치 및 단말장치
KR100933205B1 (ko) * 2008-05-09 2009-12-22 (주) 콘텔라 Wcdma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복조장치 및 복조방법
KR101265594B1 (ko) * 2005-08-23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억세스 채널을 통한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531513B1 (ko) * 2008-02-04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의 접속 지연 재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301B1 (en) 1998-10-15 2001-07-03 Qualcomm Incorporated Reservation multiple access
KR100327104B1 (ko) * 1998-12-05 2002-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KR100617916B1 (ko) * 1999-03-24 2006-08-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예약방식 다중 액세스
CN1145283C (zh) 1999-07-10 2004-04-07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指定专用通信的反向公共信道的设备和方法
EP1118236B1 (en) * 1999-08-03 2006-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a random access channe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369651B1 (ko) * 2001-04-04 2003-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랜덤 접근채널 재접속 시도방법
GB2382746B (en) * 2001-11-20 2005-12-14 Ericsson Telefon Ab L M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channels
JP4027647B2 (ja) * 2001-11-22 2007-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機及び基地局
US6839336B2 (en) 2002-04-29 2005-01-04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ing broadcast transmissions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8054791B2 (en) 2005-12-23 2011-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procedures for unsynchronized, synchronized, and synchronization stand by communications in E-UTRA systems
KR100912784B1 (ko) 2006-01-05 2009-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재전송 방법
US9456455B2 (en) 2006-01-05 2016-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7078165A1 (en) 2006-01-05 2007-07-12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187076B1 (ko) * 2006-01-05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전송 방법
KR101265628B1 (ko) 2006-01-05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방법
KR101268200B1 (ko) 2006-01-05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KR101333918B1 (ko) 2006-01-05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점-대-다 서비스 통신
KR101211807B1 (ko) 2006-01-05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동기상태 관리방법
AU2007203852B2 (en) 2006-01-05 2010-08-2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706841A8 (pt) 2006-01-05 2018-04-17 Lg Electronics Inc transmissão de dados em um sistema e comunicação móvel
KR101203841B1 (ko) 2006-0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319870B1 (ko)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4819911B2 (ja) * 2006-01-20 2011-11-24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強化サービス範囲を有するランダムアクセス手続
KR101216751B1 (ko) 2006-02-07 201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KR101358469B1 (ko) 2006-02-07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network) 안에서 상향(uplink)및 하향(downlink) 대역폭(bandwidth)의선택 및 신호 방법
US8493854B2 (en) 2006-02-07 2013-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using identifier in mobile network
KR101387475B1 (ko) 2006-03-22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 엔터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29781B1 (ko) 2006-06-15 2014-08-18 고도 가이샤 아이피 브릿지 1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EP2033341B1 (en) 2006-06-21 2018-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access information using a message sepa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369135B1 (ko) * 2006-06-21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서비스의 품질보장 방법 및 그 단말
KR20070121505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
EP2030359B1 (en) 2006-06-21 2017-12-20 LG Electronics Inc. -1- Method of supporting data re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21513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접속 방법
JP5312734B2 (ja) * 2006-09-20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
CA2694090C (en) * 2007-08-10 2015-10-06 Fujitsu Limite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unit
EP2188919B1 (en) 2007-08-15 2016-04-20 LG Electronics Inc. Dedicated signature allocation and choice
ES2366770T3 (es) 2007-11-01 2011-10-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cremento de potencia mejorado para rach.
US8764350B2 (en) 2008-06-05 2014-07-01 Alstom Technology Ltd Conveyor for transporting powder, and a method for conveying powder
JP5522196B2 (ja) * 2012-05-07 2014-06-1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6224452B2 (ja) * 2013-12-24 2017-11-01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方法、及びプロセッ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9301888A (es) * 1992-04-10 1993-11-30 Ericsson Telefon Ab L M Acceso multiple de division de tiempo para acceso de un movil en un sistema de acceso multiple de division de codigo.
JPH07177126A (ja) * 1993-12-20 1995-07-14 Canon Inc 多重通信装置
WO1997000568A1 (en) * 1995-06-14 1997-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cket data transmission in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DE69636918T2 (de) * 1995-09-20 2007-12-0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Zugriffsverfahren, Mobilstation und Basisstation für CDMA-Mobilkommunikationssystem
US5825835A (en) * 1996-02-23 1998-10-20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Multi-user acquisition procedure for multipoint-to-point synchronous CDMA systems
FI103082B (fi) * 1996-05-27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Yhteydenmuodostus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US6259724B1 (en) * 1996-10-18 2001-07-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B2320991A (en) * 1996-12-20 1998-07-08 Dsc Telecom Lp Channel selection control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597675B1 (en) * 1997-04-30 2003-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63533A (en) * 1997-04-30 2000-1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606313B1 (en) * 1998-10-05 2003-08-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27104B1 (ko) * 1998-12-05 2002-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774B1 (ko) * 1999-03-22 2004-10-20 골든 브리지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공통 패킷 채널
KR100425087B1 (ko) * 1999-08-14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패킷 채널의 할당 방법
KR100429188B1 (ko) * 1999-08-27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패킷 채널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595174B1 (ko) * 2000-06-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595173B1 (ko) * 2000-06-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액세스 채널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16972B1 (ko) * 2000-06-12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랜덤접근채널 할당방법
US7324465B2 (en) 2000-10-17 2008-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apparatus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02039622A1 (en) * 2000-10-17 2002-05-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apparatus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20053953A (ko) * 2000-12-26 2002-07-06 오길록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임의 접근 채널의 트래픽제어방법
KR100744322B1 (ko) * 2001-08-14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전이중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 접속 방법
KR100452639B1 (ko) * 2001-10-20 2004-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패킷 채널 접속 방법
KR100446532B1 (ko) * 2001-12-10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엠티에스에서의 기지국 접속시간 감소 방법
KR100832117B1 (ko) * 2002-02-17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65594B1 (ko) * 2005-08-23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억세스 채널을 통한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0926571B1 (ko) * 2007-12-06 2009-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응답 정보의 송수신 방법,이를 구현하는 기지국 장치 및 단말장치
KR101531513B1 (ko) * 2008-02-04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의 접속 지연 재개 방법
KR100933205B1 (ko) * 2008-05-09 2009-12-22 (주) 콘텔라 Wcdma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복조장치 및 복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26055B2 (ja) 2005-03-02
JP4546135B2 (ja) 2010-09-15
JP4955796B2 (ja) 2012-06-20
GB2346779A (en) 2000-08-16
GB2346779B (en) 2004-01-07
JP2010239635A (ja) 2010-10-21
GB9928610D0 (en) 2000-02-02
FR2788393B1 (fr) 2007-04-06
KR100327104B1 (ko) 2002-07-31
FR2788393A1 (fr) 2000-07-13
JP2004266854A (ja) 2004-09-24
JP2000175271A (ja) 200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10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서역방향공통채널의임의접속장치및방법
US5673259A (en)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channel for data services
KR100653097B1 (ko) 이동 전기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KR10032632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데이터 통신장치 및 방법
US77019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packet channel access in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CN101317347B (zh) 在移动通信系统中启动共用信道上的通信的方法和设备
KR101219672B1 (ko) 이동통신시스템, 이동국, 기지국 및 통신제어방법
KR100976502B1 (ko) 협력 중계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
JP366278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バックオフに基づくアクセス優先順位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330216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 메시지의 확산코드 지정 장치 및 방법
US6611514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8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방향 방송 서비스의 제공방법
US20050053029A1 (en)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access in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81012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상향 공통 채널의 임의 접속 장치및 방법
EP0940949A2 (en) Access retry method for shared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KR20000034991A (ko) 액세스 우선순위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87617A (ko) 백그라운드 노이즈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2179A (ko) 고속 레이턴시를 위해 짧은 랜덤 액세스 채널 프레임들을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2922B1 (ko) 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3527789A (ja) 伝送遅延兼出力レベル最適化方法
KR19980019518A (ko) 대역확산 신호를 사용하는 무선 패킷 네트워크에서 채널부하감지를 이용한 부하 제어 방법(traffic control method using detecting channel load in speard spectrum based-wireless packet network)
MXPA9901101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 rach frames for fast lat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