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141A -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141A
KR20000038141A KR1019980053026A KR19980053026A KR20000038141A KR 20000038141 A KR20000038141 A KR 20000038141A KR 1019980053026 A KR1019980053026 A KR 1019980053026A KR 19980053026 A KR19980053026 A KR 19980053026A KR 20000038141 A KR20000038141 A KR 2000003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unit
pick
fe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141A/ko
Publication of KR2000003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6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9/275Gear wheel drive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70)와 이중기어(75)의 회전중심축이 서로 직교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이중기어(75)가 광픽업유니트(80)에 연결설치된 이송가이드(82)의 랙기어(83)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가이드(82)를 탄지부재(8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중기어(75)에 백래시없이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픽업이송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져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설치소요공간이 작아져 디스크 드라이브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고, 백래시 없이 동력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는 픽업을 구동시키는 픽업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이용하는 디스크 드라이버는 그 성능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디스크 구동의 고속화 및 신호기록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고밀도화된 디스크에서 신호의 기록이나 독취를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동력전달기구가 필요하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편의상 픽업베이스의 구성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즉, 픽업베이스(1) 상에는 디스크가 얹어져 회전되는 턴테이블(2)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2)은 일반적으로 스핀들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디스크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광픽업유니트(4)가 상기 픽업베이스(1)상에서 상기 턴테이블(1)에 얹어져 있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유니트(4)는 상기 픽업베이스(1) 상에서 가이드축(6,6')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유니트(4)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픽업베이스(1)의 일측에는 상기 광픽업유니트(4)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7)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8)와 맞물리게 중간기어(10)가 성기 픽업베이스(1)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기어(10)와 맞물리게 랙구동기어(20)가 설치된다. 상기 랙구동기어(20)는 상기 광픽업유니트(4)의 일측에 구비된 랙기어(5)와 맞물려 광픽업유니트(4)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광픽업유니트(4)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랙구동기어(20)는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기어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를,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어는 동력전달을 위한 상대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면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이는 원활하게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백래시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고속화 고밀도화되어 가는 광디스크의 특성상 상기 백래시는 광디스크의 동작에 있어서 큰 오차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게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랙구동기어(20)를 사용하였다.
즉, 랙구동기어(20)는 서로 동축으로 된 상기어(21)와 하기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어(21)와 하기어(22)는 스프링(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어(21)와 하기어(22)의 이는 도 2a의 상세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약간 어긋나게 설치되어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10)의 이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랙구동기어(20)와 중간기어(10)는 서로 백래시없이 맞물리게 되는데, 상기 상기어(21)와 하기어(22)가 스프링(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실제 구동시에는 백래시가 없더라도 랙구동기어(20)와 중간기어(10)가 무리없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랙구동기어(20)를 이중기어로 만들어 백래시의 영향을 줄이는 것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 비싸며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픽업이송장치는 구동모터(7)의 동력을 픽업유니트()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개수가 많아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크기가 커지고 설계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보다 간단하면서도 백래시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픽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픽업이송장치의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크기를 줄여주고 설계자유도를 높여주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픽업이송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픽업이송장치에서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 픽업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0: 픽업베이스 2,51: 턴테이블
4,80: 광픽업유니트 5: 랙기어
6,81,81': 가이드축 7,60: 구동모터
8,70: 구동기어 10: 중간기어
75: 이중기어 76: 하기어부
77: 상기어부 82: 이송가이드
83: 랙기어 84: 탄지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각각의 회전중심축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되는 픽업유니트와, 상기 픽업유니트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중심축과 소정 각도 경사진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기어부가 2중으로 형성된 중간기어와, 상기 픽업유니트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중간기어의 일측 기어부에 밀착되게 회전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와 중간기어는 그 회전중심축이 80°에서 100°사이의 각도로 교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한 동력전달경로에서 백래시의 영향을 간단한 구성으로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전체 구성이 간단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픽업베이스(50) 상에 디스크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턴테이블(51)이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51)은 일반적으로 스핀들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베이스(50)는 디스크 드라이버의 메인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턴테이블(51)이 설치된 부분이 소정 각도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 및 그 외의 구성을 본 발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픽업베이스(5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60)는 직류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60)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70)의 동력을 전달받아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가이드(82)로 전달하기 위한 이중기어(75)가 상기 픽업베이스(50)에 설치된다. 상기 이중기어(75)는 상기 구동기어(70)와 맞물리는 하기어부(76)가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상기어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기어부(77)는 아래에서 설명될 피드가이드(82)의 랙기어(83)와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이중기어(75)는 상기 구동기어(70)와 그 회전중심축이 소정 각도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중기어(75)의 하기어부(76)와 상기 구동기어(70)는 마치 베벨기어기구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기어(70)와 이중기어(75)의 하기어부(76)를 워엄과 워엄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기어(75)와 구동기어(70) 사이의 각도는 설계조건에 따라 80°에서 100°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9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조건, 동력전달의 효율성 및 부품배치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업베이스(50) 상에는 상기 턴테이블(51) 상에 얹어져 회전되는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신호를 읽기 위한 광픽업유니트(80)가 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50) 상에는 2개의 가이드축(81,81')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축(81,81')은 상기 상기 광픽업유니트(80)의 양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광픽업유니트(80)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유니트(80)의 일측에는 이송가이드(8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82)에는 랙기어(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83)는 상기 이중기어(75)의 상기어부(77)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송가이드(82)는 상기 광픽업유니트(80)에 상기 가이드축(8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가이드(82)는 탄성부재(84)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81')을 중심으로 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상기 랙기어(83)가 상기 이중기어(75)의 상기어부(77)와 백래시 없이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랙기어(83)는 상기 광픽업유니트(80)의 행정길이와 같은 길이만큼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가 삽입되어 상기 픽업베이스(50)가 재생위치에 오고, 상기 턴테이블(51)에 디스크가 안착되면, 스핀들모터에 의해 턴테이블(5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유니트(80)는 상기 구동모터(6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81,81')을 따라 이송되면서 동작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7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70)와 하기어부(76)를 통해 맞물려 있는 이중기어(7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중기어(75)가 회전하면, 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어부(77)도 함께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83)와 연동되어 상기 피드가이드(82)가 이동된다.
상기 피드가이드(82)가 이동되면 상기 피드가이드(82)와 연결설치되어 있는 광픽업유니트(80)가 상기 가이드축(81,81')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피드가이드(82)가 상기 탄지부재(84)에 의해 도 5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져, 상기 피드가이드(82)에 형성되어 있는 랙기어(83)가 상기 이중기어(75)의 상기어부(77)에 항상 백래시없이 맞물려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광픽업유니트(80)의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60)는 상기 구동기어(70)와 이중기어(75)만을 통해 구동력을 직접 광픽업유니트(80)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동력전달 효율이 좋아지고, 이에 따라 픽업이송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어 지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 서로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이중기어의 회전중심축이 대략 직교되도록 하고, 피드가이드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이중기어에 백래시 없이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백래시 없이 기어가 맞물려 연동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기어와 이중기어를 거쳐 바로 광픽업유니트로 전달되도록 간단하게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줄어 들고, 조립성이 우수해 지며, 부품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이 크지 않아 보다 소형화된 픽업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각각의 회전중심축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되는 픽업유니트와,
    상기 픽업유니트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중심축과 소정 각도 경사진 회전중심축을 가지며 기어부가 2중으로 형성된 중간기어와,
    상기 픽업유니트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중간기어의 일측 기어부에 밀착되게 회전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중간기어는 그 회전중심축이 80°에서 100°사이의 각도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KR1019980053026A 1998-12-04 1998-12-04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KR20000038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026A KR20000038141A (ko) 1998-12-04 1998-12-04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026A KR20000038141A (ko) 1998-12-04 1998-12-04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141A true KR20000038141A (ko) 2000-07-05

Family

ID=1956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026A KR20000038141A (ko) 1998-12-04 1998-12-04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1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13B1 (ko) * 2001-01-3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레일이 채용된 광디스크 드라이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13B1 (ko) * 2001-01-3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레일이 채용된 광디스크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6378B1 (en) Disc player and optical head feeding apparatus
EP0820058B1 (en) Disc drive
KR100238302B1 (ko) 디스크플레이어
KR20000038141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GB2137797A (en) Dual mode disc player
JPH0525089Y2 (ko)
KR10020774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디스크 회전장치
US4829394A (en) Device for detecting reference position of magnetic head
KR20010055856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광픽업 이송장치
JP271708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反転装置
JPH09297974A (ja) ピックアップの送り装置
KR100541082B1 (ko) 광픽업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CN1042066C (zh) 磁带驱动机构的旋转传动转换装置
JPH0255871B2 (ko)
JP3349287B2 (ja) ピックアップの送り装置
KR100218907B1 (ko)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어셈블리
KR100202018B1 (ko) 광 픽업 유닛트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장력조절장치
KR950000451Y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트레이 이송구조
KR940004588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427357B1 (ko) 광 픽업 장치
KR100532399B1 (ko) 광 픽업장치의 이송장치
KR014419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30558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니트 피딩 장치
KR100219651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540430B1 (ko) 디스크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