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704A -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704A
KR20000037704A KR1019980052353A KR19980052353A KR20000037704A KR 20000037704 A KR20000037704 A KR 20000037704A KR 1019980052353 A KR1019980052353 A KR 1019980052353A KR 19980052353 A KR19980052353 A KR 19980052353A KR 20000037704 A KR20000037704 A KR 2000003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sk
print
printed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이인호
박창준
오원근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704A/ko
Publication of KR2000003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7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4Measuring, i.e. determining a quantity by comparison with a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3Read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으로 인쇄된 인쇄물 표면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마스크 연산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인쇄물 표면의 청결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검사장치는, 마스크 생성수단(100)과, 검사하려는 인쇄물(1)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10)과,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110)과,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120)과,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수단(130)과,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수단(140)과,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수단(150)과,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수단(160)을 구비함으로써, 특수한 조명장치나 광학필터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모든 이물질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인쇄물 표면의 청결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본 발명은,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형으로 인쇄된 인쇄물 표면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마스크 연산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인쇄물 표면의 청결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형 인쇄물이란,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거나 여러 단계의 명암을 갖는 그림과 같은 인쇄물이 아닌, 마치 펜으로 선을 이어가면서 그린 그림이나 문자와 같은 인쇄물을 지칭한다.
종래에는, 임의의 물체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이물질을 3차원의 물체로 인식하여, 조명기술에 의해 최적의 그림자를 생성함으로써 주변의 표면과 차별화를 시키거나, 또는 이물질의 빛의 산란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물질의 반사특성과 주변 표면의 반사특성을 차별화시키는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임의의 물체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출원 제 88-14142호에는, 조명장치를 사용하여 반사광을 만들기 위해 시료상에 저항성이 높은 조명광을 선형상의 조명범위로 조명하는 단계와, 반사광의 선택되지 않은 부분을 거쳐서 통과하도록 시료상의 규칙적인 패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의 선택된 부분을 차광장치를 사용하여 차광하여 반사광의 선택된 부분을 차광하는 단계와, 광검출기 내부에 설치된 선형상의 조명범위에 대응하는 검출영역을 갖는 광전변환소자로 차광수단을 거쳐 통과한 시료에 의해 반사된 차광되지 않은 반사광을 인도하는 단계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차광되지 않은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상의 이물질 검출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6-12415호에는, 노광에 제공되는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 상의 결함을 조사하는 결함 검사장치에 있어서, 마스크에 투광 조명을 실시하여 해당 마스크의 투과상을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수광하여 제 1 화상신호를 얻는 수단과, 마스크에 반사 조명을 실시하여 해당 마스크의 반사광을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수광하여 제 2 화상신호를 얻는 수단과, 제 1 화상신호 및 제 2 화상신호를 각각 제 1 및 제 2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미리 이물질이 없는 마스크에 대한 제 1 및 제 2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소의 2차원 히스토그램을 작성하고 이 2차원 히스토그램을 이치화하여 빈도 0을 표시하는 비트 패턴을 증폭하는 수단과, 피검사 마스크에 대한 제 1 및 제 2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소를 2차원 좌표로 표시한 데이터가 모든 화소로 비트 패턴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갖고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결함 검사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특수한 조명장치나 광학필터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검사과정이 복잡해지고 부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선형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한 조명장치나 광학필터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쇄물 표면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검사장치와 검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생성수단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입력수단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검사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생성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검사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
도 6은 인쇄물 영상의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쇄물 영상에 대한 마스크 영상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입력수단 20 :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
30 : 영상잡음 제거수단 40 : 이치화수단
50 : 인쇄개체 불림연산수단 60 : 마스크 저장수단
100 : 마스크 생성수단 110 :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
120 : 영상잡음 제거수단 130 : 비트단위 OR 연산수단
140 : 이치화수단
150 :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수단
160 : 판정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는,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으로부터 해당 인쇄물의 검사용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수단과,
검사하려는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과,
상기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과,
상기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low frequency)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과,
상기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수단과,
상기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수단과,
상기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수단과,
상기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마스크 생성수단은,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과,
상기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과,
상기 위치보정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과,
상기 잡음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foreground) 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background) 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치화수단과,
상기 이치화 영상에 대해 불림(dilation)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인쇄개체 불림연산수단과,
상기 생성된 마스크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크 저장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방법은,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으로부터 해당 인쇄물의 검사용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단계와,
검사하려는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단계와,
상기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단계와,
상기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단계와,
상기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단계와,
상기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단계와,
상기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한 마스크 생성단계는,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단계와,
상기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단계와,
상기 위치보정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치화단계와,
상기 이치화 영상에 대해 불림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인쇄개체 불림연산단계와,
상기 생성된 마스크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크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해, 시각 검사를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시각 검사를 위해 인쇄물 표면의 영상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인쇄물 표면의 영상을 사용하여, 제어 컴퓨터에서 마스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모든 이물질을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인쇄물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모든 경우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검사장치와 검사방법을 얻기 위해서는, 주어진 각각의 유형의 인쇄형태를 갖는 인쇄물에 대해 영상을 획득한 다음, 전처리 과정으로서 영상잡음을 제거하고, 인쇄영역과 배경영역으로 이치화를 한 후, 이러한 이치화된 영상에 불림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인쇄된 선형 영역을 확대시킨 영상을, 해당하는 인쇄물의 검사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이 검사 마스크와 검사하려는 인쇄물 영상을 매칭시켜 인쇄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생성수단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생성수단은,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10)과, 이러한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20)과, 위치보정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30)과, 잡음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 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 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치화수단(40)과, 이와 같이 얻어진 이치화 영상에 대해 불림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인쇄개체 불림연산수단(50)과, 생성된 마스크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크 저장수단(6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한 영상입력수단(10)은,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인쇄물(1) 표면의 밝기를 제공하는 조명장치(13)와, 인쇄물(1) 표면의 영상을 포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 카메라(11)와, CCD 카메라(11)를 통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는 영상저리장치(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영상신호는 주제어 컴퓨터(200)의 PCI 버스를 통해 메모리 영역으로 이송되고, 주제어 컴퓨터(200)에서 마스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모든 이물질을 검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검사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검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술한 마스크 생성수단(100)과, 검사하려는 인쇄물(1)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10)과, 상기한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110)과,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120)과,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수단(130)과,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수단(140)과,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수단(150)과, 상기한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수단(160)을 구비한다.
전술한 인쇄물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스크 생성수단(100)을 사용하여 표준 정상 인쇄물로부터 마스크 영상을 생성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생성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영상입력수단(10)으로부터 표준영상을 입력받은 다음(S11),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행한다(s12). 이러한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 단계(S12)를 수행함으로써, 검사하고자 하는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정확하게 겹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준영상의 위치보정이 끝나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여 영상 배경 밝기의 불균일성(non-uniformity)을 보정한다(S13). 다음에, 잡음이 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S14),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영상의 매칭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영상과 인쇄물 영상을 이상적으로 정확하게 그것의 위치를 일치시키기가 어렵고, 마스크 영상을 입력할 때와 그외 인쇄물 영상을 입력받을 때 조명의 밝기가 정확히 일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마스크 영상에 대해, 인쇄개체에 적당한 크기의 허용오차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허용오차를 적용함으로써, 마스크 영상과 인쇄물 영상의 위치가 다소 틀리더라도, 영상의 매칭과정에서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영상에 있어서 허용오차를 적용하기 위해, 상기 이치화 영상에 대해, 수리형태학의 불림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한다(S15). 그후, 생성된 마스크를 마스크 저장수단(60)에 저장한다(S16).
도 6은 검사하고자 하는 인쇄물 영상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쇄물 영상에 대한 마스크 영상의 예시도로서, 도 7로부터, 전술한 불림연산 과정에 따라 인쇄개체의 불림이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마스크 영상을 사용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사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검사하고자 하는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매칭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이와 같은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정확하게 겹치는 과정이 필수적인데, 상기한 두가지 영상을 정확하게 겹치기 위해, 인쇄물 영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찾아 두 영상의 기준점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먼저, 영상입력수단(10)을 통해 인쇄물 영상을 입력받고(S21), 인쇄물 영상에 대해 기준점 검출위치 및 위치보정을 수행하여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킨다(S22). 상기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여 영상 배경의 밝기의 균일성을 높이고(S23),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도 4에 도시된 마스크 생성과정에 의해 얻어진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한다(S24). 이와 같이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구분하고(S25), 이 영상에서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해 낸 다음(S26), 상기 연결성분의 특징값으로서 연결성분의 면적을 산출하고(S27), 각각의 연결성분의 면적이 일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S28), 인쇄물의 표면 상의 이물질을 검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따르면, 특수한 조명장치나 광학필터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인쇄물 표면에 존재하는 모든 이물질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인쇄물 표면의 청결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Claims (4)

  1.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으로부터 해당 인쇄물의 검사용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수단과,
    검사하려는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과,
    상기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과,
    상기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과,
    상기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수단과,
    상기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수단과,
    상기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수단과,
    상기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수단은,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과,
    상기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수단과,
    상기 위치보정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수단과,
    상기 잡음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치화수단과,
    상기 이치화 영상에 대해 불림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인쇄개체 불림연산수단과,
    상기 생성된 마스크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크 저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3.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으로부터 해당 인쇄물의 검사용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단계와,
    검사하려는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단계와,
    상기 마스크 영상의 기준위치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물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검출하여 위치보정을 수행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단계와,
    상기 위치보정된 인쇄물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된 인쇄물 영상과 마스크 영상을 비트단위 OR 연산을 수행하여, 인쇄물 영상으로부터 인쇄개체들을 제거하는 비트단위 OR 연산단계와,
    상기 인쇄개체들이 제거된 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이물질과 배경을 분리하는 이치화단계와,
    상기 이치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연결성분 추출을 수행하여 0의 밝기를 갖는 영역들을 연결된 성분끼리 추출하고, 이 연결성분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연결성분 추출 및 특징값 산출단계와,
    상기 연결성분의 특징값이 특정한 경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경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생성단계는,
    검사하려는 선형 인쇄물에 대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단계와,
    상기 영상 내부의 정해진 기준점을 검출하여, 이 기준점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보정을 하는 기준점 검출 및 위치보정단계와,
    상기 위치보정된 표준 정상 인쇄물의 영상에 대해 저역의 잡음제거를 수행하는 영상잡음 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된 표준영상에 대해 이치화를 수행하여, 인쇄개체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전경값이 255이고, 인쇄물의 배경부분의 영상 밝기에 해당하는 배경값이 0인 이치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치화단계와,
    상기 이치화 영상에 대해 불림연산을 적용하여 인쇄개체 불림을 수행함으로써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는 인쇄개체 불림연산단계와,
    상기 생성된 마스크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크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방법.
KR1019980052353A 1998-12-01 1998-12-01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000037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53A KR20000037704A (ko) 1998-12-01 1998-12-01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53A KR20000037704A (ko) 1998-12-01 1998-12-01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704A true KR20000037704A (ko) 2000-07-05

Family

ID=1956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353A KR20000037704A (ko) 1998-12-01 1998-12-01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4680B2 (en) 2007-01-24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egmenting an image in an image coding and/or decoding system
KR101461418B1 (ko) * 2013-03-13 2014-11-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정보를 이용한 회로의 불량 검출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4680B2 (en) 2007-01-24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egmenting an image in an image coding and/or decoding system
KR101276056B1 (ko) * 2007-01-24 2013-06-14 퍼듀 리서치 파운데이션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방법
US8798396B2 (en) 2007-01-24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egmenting an image in an image coding and/or decoding system
KR101461418B1 (ko) * 2013-03-13 2014-11-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정보를 이용한 회로의 불량 검출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07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classifying and measuring spot defects in an image of an object
EP0195161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objects and identifying or recognizing known and unknown portions thereof, including defects and the like and method
TWI412739B (zh) 缺陷檢測方法及缺陷檢測裝置
JPH0160767B2 (ko)
JP2006067585A (ja) デジタル画像におけるキャプションを位置特定及び抽出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918093B (zh) 一种滤光片镜面缺陷检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5205223B (zh) 透明物体的视觉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JP4987826B2 (ja) ナンバプレート認識方法およびナンバプレート認識装置
CN114897847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JP2007285754A (ja)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JP2004239733A (ja) 画面の欠陥検出方法及び装置
KR20160097651A (ko) 유효화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시료의 패턴 검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00037704A (ko) 마스크 연산을 이용한 인쇄물 표면의 이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S62232504A (ja) 位置検出装置
JP2710527B2 (ja) 周期性パターンの検査装置
JP2008171142A (ja) シミ欠陥検出方法及び装置
CN114359160A (zh) 一种屏幕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S6354680A (ja) 位置検出装置
CN110838135A (zh) 一种pcb裸板图像配准方法
JPH1195408A (ja) 欠陥検査方法
JP4474006B2 (ja) 検査装置
KR102199572B1 (ko) 딥러닝 기반의 역방향 사물 검사 방법
JPS5816837B2 (ja) パタ−ン検出装置
JP3245066B2 (ja) 表示パネルの欠陥検査装置
Cohen et al. A dedicated multichip module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