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632A -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632A
KR20000037632A KR1019980052264A KR19980052264A KR20000037632A KR 20000037632 A KR20000037632 A KR 20000037632A KR 1019980052264 A KR1019980052264 A KR 1019980052264A KR 19980052264 A KR19980052264 A KR 19980052264A KR 20000037632 A KR20000037632 A KR 2000003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wind direction
air conditioner
vane
direc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632A/ko
Publication of KR2000003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내온도 감지부, 풍향조절기, 제어부, 타이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냉방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냉방운전이면 상기 풍향조절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면 상기 타이머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정시간동안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고, 상기 실내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면 풍향조절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반복 구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동냉방모드에서 냉방운전중 실내온도 및 운전시간을 감지하여 풍향조절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풍향조절기의 표면의 온도분포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토출구의 이슬 맺힘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더운 공기를 찬 공기로 바꾸어 실내를 냉방하는 기기로서, 크게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내기를 구성하는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의 찬 냉매와 열 교환을 하여 토출그릴을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또한,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응축기 및 응축과정을 돕기 위한 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기는 냉매를 응축시켜 액체상태로 만들고 이 액체상태의 냉매는 실내기의 증발기 입구에 설치된 캐피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컨(1)과, 상기 리모컨(1)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수신부(2)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 감지부(3)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기의 동작에 알맞는 송풍 팬 등을 구동시키는 실내팬 모터부(5)와,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풍향조절기(6)와,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실외기의 동작에 알맞은 부하를 구동시키는 실외기 구동부(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수동 냉방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 상기 수동 냉방모드이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풍향조절기를 고정시킨다(S2).
상기 풍향조절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풍향제어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
상기 풍향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기를 제어한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수동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풍향변경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구동되도록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냉방운전시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 토출구와 흡입구의 온도차로 인해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경우가 발생된다.
둘째,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게 될 경우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중 풍향조절기의 구동여부, 실내온도, 운전시간 등을 감지하여 풍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실내온도 감지부, 풍향조절기, 제어부, 타이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냉방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냉방운전이면 상기 풍향조절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면 상기 타이머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설정시간동안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고, 상기 실내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면 풍향조절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반복 구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종래 기술과 그 구성에 있어 동일하므로 구성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리모컨 수신부(2)는 리모컨(1)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로 전달하고, 실내온도 감지부(3)는 온도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실내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4)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실내팬 모터부(5)는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기의 동작에 알맞은 송풍 팬 등을 구동시키키고, 풍향조절기(6)는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구동된다.
또한, 실외기 구동부(7)는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실외기의 동작에 알맞는 부하를 구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내온도 감지부, 풍향조절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냉방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1), 냉방모드이면 풍향조절기가 구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면 상기 타이머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다(S13).
또한, 상기 설정시간동안 실내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상기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풍향조절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회수동안 구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S15).
상기 풍향조절기가 원위치로 복귀된 후 타이머를 초기화시하다(S16).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냉방으로 운전되어질 때, 제어부에서 풍향조절기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정지상태이면, 타이머를 설정시간동안 카운팅 시키고, 상기 설정시간동안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는지를 감지한다.
따라서,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에서 실내온도가 설정시간동안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면 풍향조절기를 제어하여 일정횟수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운전시킨 후 운전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방모드에서 실내온도 및 운전시간을 감지하여 풍향조절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풍향조절기 표면의 온도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둘째, 풍향조절기 표면온도 분포를 변화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여 운전함으로써 토출구의 이슬 맺힘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실내온도 감지부, 풍향조절기, 제어부, 타이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냉방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냉방운전이면 상기 풍향조절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면 상기 타이머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동안 풍향조절기가 정지상태이고, 상기 실내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면 풍향조절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반복 구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반복 구동시키는 단계는 이슬맺힘을 제거하기위한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KR1019980052264A 1998-12-01 1998-12-01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KR20000037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64A KR20000037632A (ko) 1998-12-01 1998-12-01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64A KR20000037632A (ko) 1998-12-01 1998-12-01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32A true KR20000037632A (ko) 2000-07-05

Family

ID=1956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264A KR20000037632A (ko) 1998-12-01 1998-12-01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42B1 (ko) 2006-03-20 2008-0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8034393A1 (ko) * 2016-08-18 2018-0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향 가변형 공기순환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42B1 (ko) 2006-03-20 2008-0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8034393A1 (ko) * 2016-08-18 2018-0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향 가변형 공기순환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009A (en) Defrost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KR20000037632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KR10023105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48777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운전제어방법
KR100272227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부족 검출방법
KR100231057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02310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86554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150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2964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75557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5144A (ko)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기의 결빙방지방법
KR100452772B1 (ko) 공기조화기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제어방법
KR100285834B1 (ko) 멀티형공기조화기의제상제어방법및그제어장치
KR100237927B1 (ko) 공기 조화기 구동 방법
KR100244344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874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00581B1 (ko) 냉난방사이클의 제어방법
KR015211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015211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20000037631A (ko) 공기조화기의 취침모드 제어방법
KR20000039231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JPH0699729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00261809B1 (ko) 히트펌프에어컨의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