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341A -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및 그의 방법 - Google Patents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및 그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341A
KR20000033341A KR1019980050181A KR19980050181A KR20000033341A KR 20000033341 A KR20000033341 A KR 20000033341A KR 1019980050181 A KR1019980050181 A KR 1019980050181A KR 19980050181 A KR19980050181 A KR 19980050181A KR 20000033341 A KR20000033341 A KR 2000003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etergent
water
tub
s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813B1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8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Abstract

본발명은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의 세탁외조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을 안내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급수 및 세제통에는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할수 있는 실밥채집망을 결합시킴으로서, 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세탁내조와 펄세이터의 고속회전력에 의해 세탁내조와 세탁외조 사이에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안내관을 따라 세탁내조 상측으로 퍼올려지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을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결합되는 실밥채집망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세탁내조와 펄세이터의 고속회전력에 의해 세탁내조와 세탁외조 사이에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내조 상측으로 퍼올려지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을 채집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결합되는 실밥채집망과, 상기 실밥채집망을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기 위한 실밥채집망의 결합수단과, 상기 실밥채집망으로 세탁내조와 세탁외조사이에서 펌핑되는 세탁수를 안내하여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의 안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및 그의 방법
본발명은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의 세탁외조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을 안내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급수 및 세제통에는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할수 있는 실밥채집망을 결합시킴으로서, 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세탁내조와 펄세이터의 고속회전력에 의해 세탁내조와 세탁외조 사이에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안내관을 따라 세탁내조 상측으로 퍼올려지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을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결합되는 실밥채집망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된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구조는 도1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 종래 세탁기(1)의 실밥 및 보푸라기 채집 구조는 세탁기(1)의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해 세탁외조(13)내부로 장착되는 세탁내조(2)와,
상기 세탁내조(2)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구동축(7)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탁물에 두드림 효과를 부여하는 펄세이터(4)와,
상기 펄세이터(4)의 저부에 형성되어 세탁내조(2)의 바닥면으로 모이는 세탁수를 재순환 시키기 위한 펌핑리브(5)와,
상기 펌핑리브(5)의 펌핑동작에 의해 세탁수를 유체발란서(12)로 공급하는 커버(10)에 형성된 안내통로(3)와,
상기 안내통로(3)로 안내된 세탁수를 세탁내조(2)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유체 발란서(12)에 형성된 토출구(8)와,
상기 토출구(8)로 토출되는 세탁수에 섞인 실밥 및 보푸라기등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유체발란서(12)의 삽입통로(6)로 결합되는 필터(11)가 결합된 필터프레임(9)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세탁기(1)의 세탁조(2)에 세탁물을 집어넣고 시작보턴을 누르면 급수가 먼저 이루어진 뒤 모우터(16)및 클러치(15)와 연결된 세탁축(7)의 펄세이터(4)가 회전 되면서 세탁물을 교반 세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펄세이터(4)의 회전에 의해 세탁내조(2)저부로 모인 세탁수는 펄세 이터(4)의 펌핑리브(5)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펌핑리브(5)의 펌핑작용에 의해 세탁수는 커버(10)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통로(3)로 공급되면서 유체발란서(12)에 형성된 토출구(8)로 토출되어 세탁 내조(2)로 세탁수를 재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8)에는 필터프레임(9)에 결합된 필터(11)가 가로 막고 있기 때문에 토출구(8)에서 토출되는 세탁수는 필터(11)거치면서 세탁수에 섞인 실밥과 보푸라기등을 여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1)에 의해 여과된 세탁수가 세탁조(2)로 재공급되면서 세탁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2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세탁기(51)의 구성은 모우터(56)의 구동축(55)으로 펄세이터(54)가 일체로 된 세탁내조(53)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세탁기(51)는 모우터(56)와 구동축(55)그리고 세탁내조(53)와 펄세이터(54)들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51)의 탈수시에는 세탁내조(53)의 고속회전에 의해 세탁내조(53)에 있는 세탁수가 세탁내조(53)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탈수공(57)으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수공(57)으로 배출되는 세탁수는 세탁외조(53)의 바닥면에 모이면서 배수밸브에 의해 외부로 배수되어진다.
이때, 상기 배수밸브를 통해 배수되어지는 세탁수에는 세탁중 발생하였던 실밥이나 보푸라기등이 혼합된 상태로 배출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실밥채집장치가 필요치 않았었다.
그러나, 상기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51)의 탈수시에는 세탁내조(53)를 고속으로 회전을 시키기 때문에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이 세탁수를 따라 탈수공으로 올라가지 않고 세탁물의 내부로 투과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상에 의해 세정도가 높은 세탁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세탁수에 포함된 보푸라기들을 매우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세탁외조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을 안내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급수 및 세제통에는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할수 있는 실밥채집망을 결합시키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클러치식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발명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발명 세탁기의 실밥 채집장치를 확대해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5는 본발명 세탁기의 실밥 채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플루우챠트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세탁기 102-세탁외조
103-세탁내조 104-모우터
105-구동축 106-펄세이터
111-급수 및 세제투입통 112-후크공
113-힌지공 114-유로
115-안내경사면 121-실밥채집망
122-프레임 123-힌지축
124-후크 125-손잡이
131-안내관 132-급수밸브
본발명의 구성을 도3과 도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우터(104)의 구동축(105)에 연결된 세탁내조(103)와 펄세이터(106)의 고속회전력에 의해 세탁내조(103)와 세탁외조(102) 사이에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내조(103)상측으로 퍼올려지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을 채집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에 결합되는 실밥채집망(121)과,
상기 실밥채집망(121)을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기 위한 실밥채집망의 결합수단과,
상기 실밥채집망(121)으로 세탁내조(103)와 세탁외조(102)사이에서 펌핑되는 세탁수를 안내하여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의 안내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실밥채집망의 결합수단은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에 형성되는 힌지공(113)과,
상기 힌지공(113)으로 결합되는 실밥채집망(121)의 프레임(122)양측에 돌출된 힌지축(123)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세탁수의 안내수단은 세탁외조(102)의 하측부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을 연결하는 안내관(131)과,
상기 안내관(131)으로 안내된 세탁수를 실밥채집망(121)으로 공급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내부에 형성되는 유로(114)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결합되는 실밥채집망(121)을 개방하여 채집된 실밥을 수거한 뒤 다시 닫을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에 형성되는 후크공(112)과,
상기 후크공(112)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실밥채집망(121)의 프레임(122)에 형성된 후크(124)와,
상기 후크(124)를 손쉽게 개방하기 위해 프레임(122)에 형성되는 손잡이(125)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투입되는 세제가 안내관(131)을 통해 순환되는 세탁수와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진 뒤 유로(114)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내부에 세제가 잘 흘러 들어갈수 있도록 안내경사면(115)을 더 구비하였다.
한편, 본발명의 실밥채집방법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우터(10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모우터 고속회전과정((S1)과,
상기 모우터(104)와 구동축(105)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탁내조(103)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세탁내조의 고속회전과정(S2)과,
상기 세탁내조(103)의 고속회전으로 세탁수에 원심력이 발생되어 세탁외조(102)와 세탁내조(103)사이로 펌핑되는 원심력발생 및 펌핑과정(S3)과,
상기 세탁내조(103)와 세탁외조(102)사이로 펌핑된 세탁수를 안내관(131)을 통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안내하기 위한 세탁수 안내과정(S4)과,
상기 안내관(131)으로 안내된 세탁수에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의 세제를 혼합 하기 위한 세제혼합과정(S5)과,
상기 안내관(131)으로 안내된 세탁수중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 등을 채집한 뒤 깨끗한 세탁수만을 세탁내조(103)로 공급하기 위한 실밥 및 보푸라기채집과정(S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에 덩어리 상태로 공급되는 세제가 실밥채집망(121)에 머물면서 순환되는 세탁수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완전히 용해된후 세탁내조(103)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세탁내조(103)의 저수위시에도 세탁수의 원활한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수위 이하에서는 모우터(104)의 회전수를 높여 세탁수를 펌핑할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은 본발명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4는 본발명 세탁기의 실밥 채집장치를 확대해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서,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101)의 세탁내조(103)에 세탁물을 넣고 시작보턴을 누르면 세탁 내조(103)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급수는 급수밸브(132)에 이루어지는바, 상기의 급수밸브(132)가 급수로를 개방하면 세탁수가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유입되면서 유로(114)와 실밥채집망(121)을 통해 세탁내조(103)로 급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세탁내조(103)로 일정수위의 세탁수가 공급되면 급수밸브(132)가 차단되는 동시에 모우터(104)가 구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모우터(104)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05)이 회전되면서 세탁내조(103)를 고속으로 반전운동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세탁내조(103)의 고속 반전운동에 의해 세탁내조(103)와 세탁외조(102)사이에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의 원심력은 세탁수를 세탁내조(103)와 세탁외조(102)사이로 퍼올리려는 펌핑력이 생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펌핑력에 의해 퍼올려지는 세탁수는 안내관(131)의 안내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의 유로(114)를 따라 실밥채집망(121)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상기의 실밥 채집망(121)을 통과한 세탁수는 재차 세탁내조(103)로 공급되어진다.
이때, 상기 세탁수가 실밥채집망(121)을 통과할 때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이나 보푸라기 그리고 각종 이물질등은 통과를 하지 못하고 걸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실밥채집망(121)을 통과한 세탁수는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세탁수로 세탁내조(103)에 재공급되어 세탁에 임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내조(103)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하면 실밥채집망(121)에 많은 실밥 및 보푸라기들이 쌓이는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의 실밥채집망(121)을 비워주어야 한다.
즉, 상기 실밥채집망(121)의 프레임(122)에 형성된 손잡이(125)를 잡고 세탁내조(103)중심방향으로 재치면 프레임(122)의 후크(124)가 급수 및 세제투입통(121)에 형성된 후크공(112)으로부터 탈거되어진다.
또한, 상기 후크공(112)으로 부터 후크(124)가 탈거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122)의 힌지축(123)이 급수 및 세제투입통(121)의 힌지공(113)으로 부터 회전되는 상태가 되면서 도4의 가상선으로 표현한 바와같이 실밥채집망(121)이 재쳐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실밥채집망(121)내부에 모여있는 실밥이나 보푸라기 뭉치들을 외부로 수거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반대작용으로 실밥채집망(121)을 결합시키면 실밥채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의 내부에는 안내경사면(115)이 형성되는바, 상기 안내경사면(115)에의해 세제가 원활하게 투입되어 유로(114)로 흐르는 세탁수에 혼합될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효율적인 실밥 및 보푸라기 채집과 세제의 원활한 공급에 의해 향상된 세탁성능을 얻을수 있게 된다.
한편, 도5는 본발명 세탁기의 실밥 채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플루우챠트로서, 세탁행정시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모우터의 고속회전과정(S1)이 이루어지면 이와동시에 세탁내조의 고속회전과정(S2)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세탁내조 고속회전과정(S2)에 의해 세탁수에는 원심력이 발생되어지고 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내,외조(103)(102)사이를 통해 세탁수를 퍼올리려는 펌핑 과정(S3)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심력발생 및 펌핑과정(S3)에 의해 퍼올려진 세탁수는 안내관(131)의 안내에 의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의 유로(114)로 공급하는 세탁수안내과정(S4)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세탁수 안내과정(S4)의 유로(114)로 공급된 세탁수는 실밥채집망(121)을 통과하면서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하는 실밥 및 보푸라기 채집과정(S6)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세탁수 안내과정(S4)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여 세탁수에 혼합시키는 세제혼합과정(S5)이 첨가되어진다.
상기와같은 과정에 의해 세탁수를 순환시켜 실밥 및 보푸라기 등을 채집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안내과정(S4)중 급수 및 세제투입통(111)의 안내경사면(115)으로 투입되는 세제중에는 세제덩어리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세제덩어리가 세탁내조(103)로 직접 굴러들어가면 세탁내조(103)내부에서 용해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해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아울러 세제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상기의 세제덩어리가 공급되더라도 실밥채집망(121)에 의해 걸리면서 머무는 상태가 되도록 유도 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실밥채집망(121)내에 머물고 있는 세제덩어리는 유로(114)를 통해 실밥채집망(121)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씻겨나가면서 용해된후 세탁내조(103)로 공급할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세정도를 얻을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내조(103)의 세탁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경우에는 펌핑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되는바, 본발명에서는 모우터(104)의 회전수를 높여 세탁수를 펌핑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수위시에도 세탁수의 원활한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세탁외조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을 안내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급수 및 세제통에는 실밥 및 보푸라기를 채집할수 있는 실밥채집망을 결합시킴으로서,
통이 회전하는 세탁기의 세탁수에 포함된 보푸라기들을 매우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세탁내조와 펄세이터의 고속회전력에 의해 세탁내조와 세탁외조 사이에 원심력이 발생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내조 상측으로 퍼올려지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들을 채집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결합되는 실밥채집망과,
    상기 실밥채집망을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기 위한 실밥채집망의 결합수단과,
    상기 실밥채집망으로 세탁내조와 세탁외조사이에서 펌핑되는 세탁수를 안내하여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의 안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밥채집망의 결합수단은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형성되는 힌지공과,
    상기 힌지공으로 결합되는 실밥채집망의 프레임 양측에 돌출된 힌지축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안내수단은 세탁외조의 하측부와 급수 및 세제투입통을 연결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으로 안내된 세탁수를 실밥채집망으로 공급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으로 결합되는 실밥채집망을 개방하여 채집된 실밥을 수거한 뒤 다시 닫을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형성되는 후크공과,
    상기 후크공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실밥채집망의 프레임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를 손쉽게 개방하기 위해 프레임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으로 투입되는 세제가 안내관을 통해 순환되는 세탁수와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진 뒤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급수 및 세제투입통 내부에 세제가 잘 흘러 들어갈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을 더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6. 모우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모우터 고속회전과정((S1)과,
    상기 모우터와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탁내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세탁내조의 고속회전과정(S2)과,
    상기 세탁내조의 고속회전으로 세탁수에 원심력이 발생되어 세탁외조와 세탁내조 사이로 펌핑되는 원심력발생 및 펌핑과정(S3)과,
    상기 세탁내조와 세탁외조 사이로 펌핑된 세탁수를 안내관을 통해 급수 및 세제 투입통으로 안내하기 위한 세탁수 안내과정(S4)과,
    상기 안내관으로 안내된 세탁수에 급수 및 세제투입통의 세제를 혼합하기 위한 세제혼합과정(S5)과,
    상기 안내관으로 안내된 세탁수중에 포함된 실밥 및 보푸라기 등을 채집한 뒤 깨끗한 세탁수만을 세탁내조로 공급하기 위한 실밥 및 보푸라기채집과정(S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세제투입통에 덩어리 상태로 공급되는 세제가 실밥채집망에 머물면서 순환되는 세탁수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완전히 용해된후 세탁내조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내조의 저수위시에도 세탁수의 원활한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수위 이하에서는 모우터의 회전수를 높여 세탁수를 펌핑할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이 회전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방법.
KR1019980050181A 1998-11-23 1998-11-23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KR10031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81A KR100312813B1 (ko) 1998-11-23 1998-11-23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181A KR100312813B1 (ko) 1998-11-23 1998-11-23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41A true KR20000033341A (ko) 2000-06-15
KR100312813B1 KR100312813B1 (ko) 2001-12-28

Family

ID=1955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181A KR100312813B1 (ko) 1998-11-23 1998-11-23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88B1 (ko) * 2005-12-16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467B1 (ko) * 1995-10-31 1999-02-01 김광호 웨이퍼 디본더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디본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88B1 (ko) * 2005-12-16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813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7861B (zh) 洗衣机
JP2578564B2 (ja) 洗濯機
US4637230A (en) Clothes washing machine
KR2000001419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US6116061A (en) Filtering type washing machine
KR100312813B1 (ko) 통이회전되는세탁기의보푸라기채집장치및그의방법
KR100347902B1 (ko) 세제용해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347938B1 (ko) 세탁기의 자동 실밥 채집장치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00417352B1 (ko) 세탁조 날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20120027819A (ko)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101114329B1 (ko) 세탁기
KR20030060547A (ko) 드럼세탁기
JPH04250198A (ja) 洗濯機の運転方法
KR20010073573A (ko) 세탁기용 린터 필터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0124281Y1 (ko) 세탁기
KR100315820B1 (ko) 실밥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0393653Y1 (ko) 전자동 미니 세탁기
KR101015868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KR20030004714A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0163987B1 (ko) 세탁기의 세탁물 엉킴방지 및 세제 및 오염물 필터링 장치
KR100315817B1 (ko) 실밥 채집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JP3332768B2 (ja) 洗濯機
KR19980060997U (ko) 세탁기용 세제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