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418A -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418A
KR20000031418A KR1019980047463A KR19980047463A KR20000031418A KR 20000031418 A KR20000031418 A KR 20000031418A KR 1019980047463 A KR1019980047463 A KR 1019980047463A KR 19980047463 A KR19980047463 A KR 19980047463A KR 20000031418 A KR20000031418 A KR 2000003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nformation
voice
signal
gen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041B1 (ko
Inventor
김용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0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영상의 휘도특성과 음성의 주파수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는 채널을 절환하여 현재 시청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가 바뀌면, 그에 따른 최적의 음성 주파수특성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타내는 장르정보와 현재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부와, 장르정보에 따른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는 음성정보가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저장되고 시각정보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구현하는 휘도정보가 시간대별로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분석부가 추출한 장르정보와 시각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서 장르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선택하고 시각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선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신호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정보 중에서 장르정보와 시각정보를 추출하여 최적의 음성 주파수특성과 휘도특성을 기저장된 주파수특성 항목표와 휘도특성 항목표에서 선택함으로써, 자동으로 음성 주파수특성과 휘도특성을 변경하는 디지털 티브이를 개발하는 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모드와 음성모드의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청자가 디지털 티브이에서 자동음성모드를 설정하려면, 기능선택 메뉴에서 자동음성 항목을 선택하고, 리모콘으로 영화, 뉴스, 스포츠, 음악 중의 한 장르를 선택한다. 그러면 각 장르에 저장된 음성 이퀄라이저의 각 주파수 영역에 기 저장된 레벨에 따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 결정된다. 또, 영화, 뉴스, 스포츠, 음악에 설정된 값 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 이퀄라이저의 각 주파수 영역의 레벨을 변경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 결정된다.
도 1은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은 MPEG 규격 중, 특히, MPEG-2 규격에 따라 신호를 처리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 수상기는 방송신호를 수신받는 튜너부(10)와, 튜너부(10)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에이디변환기(A/D converter)(11), 디지털 방송데이터에서 파일롯신호를 검출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로 검파하고 에러정정을 수행하는 채널복호부(12)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0)과, 마이콤(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이디변환기(11)에서 출력된 디지털 방송데이터에서 TP신호를 분석하여 음성/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TP분석기(13), TP분석기(13)에서 분석한 음성 신호를 복호하는 엠펙 음성복호기(24)와, 영상 신호를 복호하는 엠펙 영상복호기(25), 엠펙 음성 복호기(24)에서 복호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신호변환기(DAC : Digital to Analog Converter)(30)와, 채널과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플래시 롬(40), 티브이마이콤(20)의 동작에 의한 임시데이터를 저장하는 RAM(41), 그리고 엠펙 영상복호기(25)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티브이나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부호기(31) 등으로 구성된다. 그 외에 엠펙 음성복호기(24)와 엠펙 영상복호기(254)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SDRAM(23)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서 마이콤(20)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21)와 CAS 인터페이스(22) 등이 있다. 그리고, 마이콤(20)과 각 주변장치는 I2C버스에 의해 연결된다.
튜너부(10)는 안테나로부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신호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이 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튜너부(10)에서 검파된 신호는 IF변환부를 거쳐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왜냐하면, 튜너부(10)에서 검파된 신호는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신호이므로, 디지털 티브이의 구동회로가 직접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채널복호부(12)는 중간주파수신호에서 파일롯신호를 검출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로 검파하고, 그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심볼율에 적정한 타이밍복구를 행하여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이 채널복호부(12)의 출력신호는 바이트(Byte) 단위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의 신호열이다. 도 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MPEG-2 방식으로 규격화된 트랜스포트 신호열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이라고 명명된 시간다중화(time-multiplexed) 신호열이다. 이 트랜스포트 신호열은 패킷의 시작부분에 헤더(header)가 있고, 이 헤더는 PID(Packet IDentifier)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PID번호는 시간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할 수 있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또, PID번호는 현재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서, PID번호를 분석하여 현재 패킷이 영상패킷인지, 음성패킷인지, 부가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인지에 대한 여부가 검출된다.
MPEG-2의 영상규격과 음성규격은 압축된 영상과 음성의 신호열에 관한 규정이다. MPEG-2 규격에 따르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신호는 모두 시간다중화(time-multiplexed)되어 여러 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로 전송되고, 이 신호열은 모두 PID 번호에 의해 구별된다.
TP분석기(13)는 이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의 신호열을 PID 번호에 의해 분석하여 각각의 복호기(24, 25)로 인가시킨다. 즉, TP분석기(13)는 튜너부(10)에 수신된 트랜스포트 신호열을 입력받아 그 신호열의 헤더에 포함된 PID 번호를 감지한다. 그래서, TP분석기(13)는 PID 번호에 따라 영상신호열과 음성신호열 및, 부가정보신호열로 구분한다. 그리고, TP분석기(13)는 영상신호열을 엠펙 영상복호기(25)로 인가하고, 음성신호열을 엠펙 음성복호기(24)로 인가하며, 부가정보신호열을 마이콤(20)에 인가한다.
엠펙 영상복호기(Video Decoder)(25)는 TP분석기(13)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열을 복호하여 NTSC 부호기(31)로 출력한다. TP분석기(13)로부터 인가된 영상신호열은 MPEG-2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엠펙 영상복호기(25)는 압축된 영상신호열의 압축을 풀어 본래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환원시킨다.
엠펙 음성복호기(Audio Decoder)(24)는 TP분석기(13)로부터 인가된 음성신호열을 복호하여 음성신호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30)로 출력한다. TP분석기(13)로부터 인가된 음성신호열은 MPEG-1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엠펙 음성복호기(24)는 압축된 음성신호열의 압축을 풀어 원래의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환원시킨다.
음성신호변환기(DAC : Digital to Analog Converter)(30)는 엠펙 음성복호기(24)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증폭기 또는, 스피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 음성신호(R, L)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스테레오 스피커(stereo speaker)(도시생략)에 의해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된다.
NTSC 부호기(31)는 엠펙 영상복호기(25)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일반 티브이 혹은, 모니터에 구현될 수 있는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C)로 변환시킨다. 이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는 CPT(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영상으로 구현된다.
마이콤(20)은 디지털 티브이 수상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콤(2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40)에 저장되어 있고, 마이콤(20)의 제어동작의 수행시 필요한 일시적인 정보 또는, 데이터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41)에 저장된다.
종래의 티브이는 사용자가 최적의 음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자동음성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동음성기능은 티브이 프로그램을 표준, 뉴스, 영화, 음악 등 장르별로 분류하여, 각 장르에 적합한 음성 주파수특성을 설정하는 것이다. 음성의 주파수특성을 설정하는 동작은 음성 이퀄라이저의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자동음성기능은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질을 설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의 레벨 재설정 기능도 지원한다.
종래의 티브이에서 자동음성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청자가 티브이 화면에 나타난 기능선택메뉴에서 자동음성모드를 선택한 다음, 시청자가 화면의 상태를 판단하여 리모콘으로 프로그램의 장르를 선택한다. 그러면, 각 장르에 해당하는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에 따라 주파수특성이 결정된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의 티브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티브이는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음성신호의 주파수특성이 결정된다. 만약, 현재 사용자가 자동음성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설정하고 스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 뉴스 프로그램으로 채널을 바꾸면, 종래의 티브이를 사용하는 시청자는 현재 스포츠 모드로 설정된 자동음성모드로 뉴스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된다. 따라서, 뉴스 프로그램에 적합한 이퀄라이저 설정값으로 뉴스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청하려면, 다시 자동음성모드를 실행시켜 뉴스 모드로 이퀄라이저 설정값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해야 한다. 즉, 종래의 티브이는 방송 중의 프로그램 장르가 바뀌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동음성모드를 변경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티브이는 방송 시간에 따라 변하는 주변의 조명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화질로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므로, 주변의 조명에 따라 화면의 상태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시켜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동음성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최적의 이퀄라이저 설정값으로 변경된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변경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브이를 제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티브이가 수신받는 방송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디지털 티브이에서 음성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3의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음성조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3의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영상조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부 110 : AD 변환기
120 : 채널복호부 130 : 분석부
200 : 마이콤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20 : CAS 인터페이스 230 : SDRAM(싱크로너스 D-RAM)
300 : 엠펙 음성복호기 310 : 엠펙 영상복호기
330 : 음성변환기(DA 변환기) 340 : NTSC 부호기
400 : 제 1 메모리 410 : 제 2 메모리
420 : D-RAM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티브이의 음성모드를 변환하는 것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되는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장르정보와 현재시각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130)와, 장르정보에 따른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는 음성정보가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저장되고, 현재의 시각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구현하는 휘도정보가 시간대별로 저장된 제 2 메모리(410)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분석부(130)가 추출한 장르정보와 시각정보를 입력받아 제 2 메모리(410)에서 장르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정보와 현재의 시각에 해당하는 휘도정보를 선택하는 마이콤(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튜너부(100), 에이디변환기(AD Converter)(110), 채널복호부(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와 CAS 인터페이스(220), 그리고 엠펙음성/영상 복호기(300, 310)와 NTSC 부호기(340) 및 음성신호변환부(330) 및 SDRAM 메모리(230)는 종래의 티브이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1 메모리(400)는 종래의 티브이의 플래시 메모리로서, 마이콤(200)의 제어프로그램과 채널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부 중의 하나인 분석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타내는 장르정보와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제 2 메모리(410)에는 표 1과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송장르에 따른 최적의 주파수특성을 가진 음성정보와 시간대에 따른 최적의 휘도특성을 가진 영상정보가 항목표(Look 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제 2 메모리는 제 1 메모리와 마찬가지로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마이콤(20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분석부(130)에 의해 추출된 장르정보와 시각정보를 입력받아 제 2 메모리(410)에서 장르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정보와 시각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엠펙 음성복호기는 마이콤(200)에 의해 선택된 음성정보를 참조하여 음성신호의 주파수특성을 조정하여 출력하고, 엠펙 영상복호기는 마이콤(200)에 의해 선택된 영상정보를 참조하여 영상신호의 휘도특성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채널을 절환한다(s100).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티브이의 음성 자동조정방법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티브이에 수신된 각 채널의 방송신호에서 프로그램의 종류에 해당하는 장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와, 자동으로 방송신호의 음성 주파수특성을 조절하는 자동조정모드가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그리고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기설정된 음성데이터 중에서 장르정보에 따른 최적의 음질을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자동조정방법은 디지털 티브이에 수신된 각 채널의 방송신호에서 현재의 시각에 해당하는 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 자동으로 방송신호의 영상 휘도특성을 조절하는 자동조정모드가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그리고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시간대별로 기설정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시각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후,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참조하여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의 특성이 조정된다.(s700)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자동조정방법과 음성 자동조정방법은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음성의 주파수특성을 조정하고 영상의 휘도특성을 조정하는 단계(s400)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장르 시간대 색상 밝기 색대비 선명도
영화 주간 30% 60% 30% 50%
야간 50% 50% 40% 40%
표준 50% 50% 50% 40%
스포츠 주간 ... ... ... ...
야간 ... ... ... ...
표준 ... ... ... ...
뉴스 야간 ... ... ... ...
표준 ... ... ... ...
0.1K 0.4K 1K 4K 10K 서라운드 SRS
드라마 30% 40% 50% 50% 30% ON ON
스포츠 30% 50% 50% 30% 10% OFF OFF
영화 ... ... ... ... ... ... ...
뉴스 ... ... ... ... ... ... ...
음악 ... ... ... ... ... ... ...
본 발명이 방송신호의 장르에 따라 최적의 음성을 자동으로 설정하려면, 각 방송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장르정보를 추출해야 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본정보와 부가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정보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전송하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 방송에서 추가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디지털 티브이에서 방송되는 대부분의 정보는 기본정보에 있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이다.
부가정보는 부가정보메시지와, 서비스정보로 나뉘어진다. 부가정보메시지는 향후 시행될 유료방송을 위해 예비된 것이고, 서비스정보는 프로그램 특성정보(PSI : 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프로그램관리메시지(PMM : Program Management Message)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특성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이고, 프로그램 관리메시지는 방송일정, 방송 내용의 요약, 날짜, 시간 등의 정보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는 프로그램 특성정보와 프로그램 관리메시지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방송안내, 주제별안내, 등의 여러 기능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청자는 단순히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채널 전환 및 현재 혹은, 장래에 방송될 프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 메시지정보 중, 이벤트정보테이블(Event Information Table)은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정보를 나타낸다. 일례로 무궁화 위성방송 수신기는 상기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르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장르정보는 시청자가 자신이 보고자 하는 장르를 선택하면, 방송안내 정보에서 스포츠채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표시하여, 시청자가 해당 채널로 절환하거나, 선택된 프로그램을 예약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진다.
또,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는 분석부(130)가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시간데이터표(TDT : Time Data Table)를 분석함으로써 추출된다. 이 시간데이터표는 현재의 날짜와 시각을 표시하기 위해 변형된 줄리어드력(MJD : Modified Julian Date)을 통해 날짜정보를 전송하고, 세계 시간코드(UTC : Universal Time Code)를 통해 시각정보를 전송한다.
줄리어드력은 윤달을 나타낼 수 있는 만년달력이고, 시각정보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의 표준시각을 나타낸다. 즉, 실제의 무궁화 위성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의 시각정보는 세계 표준시각을 나타낸다. 그래서, 무궁화 위성의 방송수신업체는 위성에서 송출되는 표준시각에 한국의 시차를 합산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방송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방송채널을 절환하면, 본 발명은 그 절환된 채널의 방송신호에 해당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장르정보와 현재의 시각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었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가 자동조정모드로 선택된 상태라면, 본 발명의 음성 및 영상 자동조정방법은 기설정된 복수개의 음성모드 중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추출된 장르정보에 따른 음성모드로 음성신호의 주파수특성을 조정한다. 동시에, 기설정된 복수개의 영상모드 중에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추출된 시각정보에 따른 영상모드로 영상신호의 휘도특성을 조정한다.
이 때,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값에 따라 영상의 휘도특성과 음성의 주파수특성을 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디지털 방송국에서 방송신호가 송출되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가 그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절환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부(130)는 그 방송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장르정보와 시각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만약,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가 자동조정모드로 설정되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는 분석부(130)에서 추출된 장르정보를 제 2 메모리(410)에 기저장된 표 1의 항목표와 비교하여 현재 절환된 채널의 장르정보에 따라 음성신호의 주파수특성을 조절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는 분석부(130)에서 추출된 시각정보를 제 2 메모리(410)에 기저장된 표 2의 항목표와 비교하여 현재 절환된 채널의 시각정보에 따라 영상신호의 휘도특성을 조절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가 자동조정모드로 설정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디지털 티브이는 음성신호의 주파수특성과 영상신호의 휘도특성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의 특성이 조정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중인 채널의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음질과 방송시간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종래와 달리 자동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디지털 티브이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타내는 장르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부,
    상기 장르정보에 따른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는 음성정보가 상기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저장된 메모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분석부가 추출한 장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장르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를 선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
  2. 디지털 티브이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부,
    상기 시각정보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구현하는 영상정보가 상기 시각의 시간대별로 저장된 메모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분석부가 추출한 시각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시각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선택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
  3. 디지털 티브이에서,
    상기 디지털 티브이에 수신된 각 채널의 방송신호에서 프로그램의 종류에 해당하는 장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자동으로 상기 방송신호의 음성 주파수특성을 조절하는 자동조정모드가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기설정된 음성데이터 중에서 상기 장르정보에 따른 최적의 음질을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성의 주파수특성 조정방법.
  4. 디지털 티브이에서,
    상기 디지털 티브이에 수신된 각 채널의 방송신호에서 현재의 시각에 해당하는 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자동으로 상기 방송신호의 영상 휘도특성을 조절하는 자동조정모드가 상기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동조정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시간대별로 기설정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시각에 따른 최적의 화질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의 휘도특성 조정방법.
KR1019980047463A 1998-11-06 1998-11-06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KR10028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63A KR100281041B1 (ko) 1998-11-06 1998-11-06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63A KR100281041B1 (ko) 1998-11-06 1998-11-06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418A true KR20000031418A (ko) 2000-06-05
KR100281041B1 KR100281041B1 (ko) 2001-02-01

Family

ID=1955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463A KR100281041B1 (ko) 1998-11-06 1998-11-06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0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32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및 음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100481507B1 (ko) * 2002-08-21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및 외부입력의 설정이 용이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63086A (ko) * 2005-12-14 200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0767128B1 (ko) * 2000-05-16 2007-10-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장치와 화상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WO2009020269A1 (en) * 2007-08-08 2009-02-12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ependently controlling audio/video signa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28B1 (ko) * 2000-05-16 2007-10-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장치와 화상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040008932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및 음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100481507B1 (ko) * 2002-08-21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및 외부입력의 설정이 용이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63086A (ko) * 2005-12-14 200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녹화 장치 및 방법
WO2009020269A1 (en) * 2007-08-08 2009-02-12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ependently controlling audio/video signals
US8502918B2 (en) 2007-08-08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ependently controlling audio/vide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041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890B1 (ko) 디지털/아날로그 겸용 티브이 수상기
KR100308037B1 (ko) 디지털티브이의eit분석방법
KR19980076752A (ko) 화면 및 음향을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수신 장치
JPH0799616A (ja) テレビ受像機
JPH10322622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JPH10210485A (ja) Pcモニタ兼用のマルチ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50018408A (ko) 멀티 픽쳐를 이용한 채널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00046162A (ko) 티브이의메뉴표시방법
KR10028104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7657909B1 (e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headline information
KR10029087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199938B1 (ko) 텔레비젼의 방송 순서 안내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33090B1 (ko) 디지털 tv의 제어방법
KR0169305B1 (ko) 현재시산에 따른 부화면위치 자동 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8218B1 (ko) Osd데이타의밝기를자동으로조절하는기능을구비한디지털방송수신기
KR100203439B1 (ko) 텔레비젼의 전원 오프 방법
KR100870336B1 (ko) 채널을 이용한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145692A (ja) テレビ受像機のミューティング装置
KR20000028057A (ko)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KR100268380B1 (ko) 가상채널의 동시 동화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atv시스템 및그 채널선택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20000003550A (ko)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KR20080019745A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