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550A -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550A
KR20000003550A KR1019980024803A KR19980024803A KR20000003550A KR 20000003550 A KR20000003550 A KR 20000003550A KR 1019980024803 A KR1019980024803 A KR 1019980024803A KR 19980024803 A KR19980024803 A KR 19980024803A KR 20000003550 A KR20000003550 A KR 20000003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ser
stored
television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550A/ko
Publication of KR2000000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전원온시 그 시간대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절환하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전원온시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로 절환될 수 있도록,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선택되는 채널을 계속해서 누적하여 합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기 위해 텔레비전을 전원온시키면 마이컴은 상기 채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에서 가장 시청 빈도수가 많은 사용자 선호채널을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채널에 해당하는 채널로 절환시키도록 하여 선호하는 채널을 찾기 위해 탐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선호채널로 절환시키는 텔레비전의 사용사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전 전원온시 그 시간대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절환하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The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of user's favorite channel on Television)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튜닝 및 검파, 복조 과정을 거쳐서 CRT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하고 방송국에서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편집으로 각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각자 선호하는 채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은 1주일을 주기로 각 시청시간이 그 전주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시간대만 알 수 있으면 매주 마다 그 시간대에는 항시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기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신문이나 잡지를 통하여 항상 원하는 프로그램의 채널과 시청시간을 입수하여 텔레비전 시청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텔레비전에서 전원온시에 선택되는 채널은 그전에 시청했었던 채널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온과 동시에 방영되는 채널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이 아니면 채널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로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평소에 시청하는 채널을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합산 저장하여 정규분포에 해당하는 정도의 데이터가 구축되면, 사용자의 텔레비전 전원온시 상기 저장된 각 요일별, 시간대별 선호채널에 따라서 채널을 자동으로 절환하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사용자 선호채널이 저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는 사용자 선호채널이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는 사용자 선호채널로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15 : 튜너회로부
20 : 중간주파수 증폭부 25 : 영상신호처리부
30 : 음성신호처리부 35 : 영상출력부
40 : 음성출력부 45 : 메모리부
50 : 카운터 55 : 마이컴
60 : CRT 65 : 스피커
70 : 타이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안테나(10)를 통해서 수신되는 고주파신호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고주파신호를 선택하여 증폭하기 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는 튜너회로부(15)와, 상기 튜너회로부(15)에 접속되어, 상기 튜너회로부(15)에서 인가되는 중간주파수를 CRT(60)에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크기로 증폭시키는 중간주파수증폭부(20)와, 상기 중간주파수증폭부(20)에 접속되어, 상기 중간주파수증폭부(20)로부터 영상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25)와, 상기 중간주파수증폭부(20)로부터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30)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5)와 접속되어,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5)에서 인가된 영상신호를 CRT(6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휘도신호를 증폭하고 영상증폭회로와 반송색신호를 증폭하는 대역증폭회로를 거쳐 복조회로에서 최종적인 삼원색인 적(R), 청(G), 녹(B)을 생성하는 영상출력부(35)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30)와 접속되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30)에서 인가된 음성신호를 스피커(65)에 출력하기 위한 음성신호로 증폭하는 음성출력부(40)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해서 합산된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45)와,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되는 채널의 요일과 시간을 제공하는 타이머(70)와, 상기 메모리부(45)가 계속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마다 저장된 데이터에 합산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기존에 저장된 채널 데이터에 합산하는 카운터(50)와,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채널 데이터에 따라서, 사용자가 텔레비전 전원온시 메모리부(45)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채널로 절환할 수 있도록 튜너회로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채널로 채널을 튜닝하는 마이컴(55)과, 상기 영상출력부(35)에 접속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바뀌어진 적(R), 청(G), 녹(B)의 3원색의 색신호가 출력되는 CRT(60)와, 상기 음성출력부(40)에 접속되어,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65)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10)를 통하여 인가되는 고주파신호는 튜너회로부(15)에 인가되고, 상기 튜너회로부(15)는 안테나(10)를 통해 인가되는 고주파신호 중에서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증폭부(20)가 증폭하기 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시켜 복합영상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상기 복합영상신호는 영상신호처리부(25)와 음성신호처리부(30)를 거쳐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검출된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5)를 거쳐 출력된 영상신호는 휘도검파 후 휘도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증폭회로, 영상신호로부터 반송색신호를 선택하여 증폭하는 대역증폭회로, 상기 대역증폭회로에서 인가된 반송색신호와 영상증폭회로에서 인가된 휘도신호가 합쳐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색신호를 생성하는 복조회로부로 구성된 영상출력부(35)에서 상기의 각 회로의 작용에 의해 화면에 출력하기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CRT(60)에 출력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30)를 거쳐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4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증폭되어 스피커(65)에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마이컴(55)은 튜너회로부(15)를 제어하여 선택한 채널로 튜닝한다. 상기 마이컴(55)은 튜너회로부(15)가 선택한 채널번호를 요일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합산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45)에 인가한다.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되는 채널번호의 요일과 날짜가 구분될 수 있도록, 타이머(70)는 현재의 요일과 시간을 상기 채널번호와 함께 메모리부(45)에 저장시킨다.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되는 각 요일별, 시간대별 선택채널번호는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채널선택과 동시에 기존에 저장된 채널데이터에 누적해서 합산될 수 있도록, 카운터(50)는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된 기존의 채널데이터와 현재 선택되는 채널데이터를 합산하여 메모리부(45)에 저장시킨다.
상기 과정에서 메모리부(45)에 채널데이터가 합산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사용자 선호채널이 저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2는 (a)와 (b)의 두가지로 나눠져 (a)는 일주일동안 선택되는 각 시간대별 선택채널의 데이터이고, (b)는 상기 선택채널의 데이터가 계속해서 누적되었을 때의 합산 데이터이다.
먼저, (a)를 참조하면, 방송시간대를 가장 일반적인 간격인 1시간 단위로 정하여 06:00, 07:00, 08:00, 09:00, 10:00, 11:00, 12:00 로 하고, 각 요일별로 선택되는 채널을 저장한다. 즉, 상기 (a)의 예시도는 월요일 06:00는 채널 6번이고, 화요일 06:00는 채널 6번, 수요일 06:00은 채널 7번을 선택한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월요일 07:00에는 채널 6번, 화요일 07:00에는 채널 6번을 선택했다.
상기와 같이 각 요일마다 시단대별로 선택되는 채널을 각각 저장하고 다시 그 다음주가 돌아오면, 계속해서 누적 합산하여 일정량의 데이터를 만든다. 상기 예는 (b)의 예시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상기의 누적 합산기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월요일 06:00에 시청한 채널은 채널 6번이 3번, 채널 7번이 4번, 채널 8번이 15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시간대에 선호하는 채널은 15번인 셈이다. 마찬가지로, 화요일 06:00에 시청한 채널은 채널 6번이 7번, 채널 7번이 2번, 채널 8번이 1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시간대에 선호하는 채널은 6번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요일 06:00에 시청한 채널은 채널 6번이 2번, 채널 7번이 5번, 채널 8번이 4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시간대에 선호하는 채널은 7번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해서 사용자가 각 시간대별로 시청하는 채널을 누적하여 저장하면,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가 나오게 되고, 이 데이터는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할 수 있을 만큼의 신뢰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채널데이터가 메모리부(45)에 저장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기 위해 전원을 온하게 되면, 마이컴(55)은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된 그 시간대에 가장 시청빈도가 높은 채널을 인식하여, 튜너회로부(15)를 상기채널로 튜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튜너회로부(15)에 의해 선택된 채널은 검파 및 복조과정을 거쳐서 CRT(6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과정에서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의 동작의 흐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사용자 선호채널이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사용자 선호채널로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사용자 선호채널이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텔레비전 시청시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한다(S100).
상기 과정 S100에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마이컴(55)은 상기 선택한 채널 번호를 메모리부(45)에 인가한다(S200).
상기 과정 S200에서 메모리부(45)로 인가된 채널에 타이머(70)는 요일과 시간을 제공하고, 카운터(50)는 기존에 저장된 채널데이터에 상기 인가된 채널을 요일과 시간대에 맞게 합산하여 메모리부(45)에 저장한다(S300).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여, 사용자 선호채널로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기 위해 전원을 온한다(L100).
상기 과정 L100에서 전원이 온되면, 마이컴(55)은 메모리부(45)에 저장된 채널데이터에서 현재 시간대에서 가장 시청빈도수가 많았던 채널을 독출한다(L200).
상기 과정 L200에서 채널이 독출되면, 마이컴(55)은 튜너회로부(15)를 제어하여 상기 독출된 사용자 선호채널로 채널을 변경한다(L300).
상기 과정 L300에서 사용자 선호채널로 변경되면,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시청한다(L400).
상기의 모든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데로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가 구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전원온시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로 절환될 수 있도록,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선택되는 채널을 계속해서 누적하여 합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기 위해 텔레비전을 전원온시키면 마이컴은 상기 채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에서 가장 시청 빈도수가 많은 사용자 선호채널을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채널에 해당하는 채널로 절환시키도록 하여 선호하는 채널을 찾기 위해 탐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선호채널로 절환시키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전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각 요일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해서 합산된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45)와,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되는 채널의 요일과 시간을 제공하는 타이머(70)와,
    상기 메모리부(45)가 계속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마다 저장된 데이터에 합산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기존에 저장된 채널 데이터에 합산하는 카운터(50)와,
    마이컴(55)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는 튜너회로부(15)와,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채널 데이터에 따라서, 사용자가 텔레비전 전원온시 메모리부(45)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채널로 절환할 수 있도록 튜너회로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마이컴(55)을 포함하는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KR1019980024803A 1998-06-29 1998-06-29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KR20000003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03A KR20000003550A (ko) 1998-06-29 1998-06-29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03A KR20000003550A (ko) 1998-06-29 1998-06-29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550A true KR20000003550A (ko) 2000-01-15

Family

ID=1954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803A KR20000003550A (ko) 1998-06-29 1998-06-29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5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9319B2 (en) 2008-11-11 2013-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60150248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메르캅토기를 갖는 카르본산에스테르화합물 및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9319B2 (en) 2008-11-11 2013-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60150248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메르캅토기를 갖는 카르본산에스테르화합물 및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5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udio and video control settings for television programs
KR0161661B1 (ko) 신호 선택 시스템
US5444499A (en) Audio video apparatus with intelligence for learning a history of user control
KR20000003550A (ko)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자동절환장치
KR100382519B1 (ko)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KR20000003540A (ko) Pip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8104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KR0163137B1 (ko) 문자다중방송수신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에서의 텍스트모드설정방법
KR20000003549A (ko) 텔레비전의 사용자 선호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JPH09119993A (ja) タイマー装置、タイマー機能付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装置
JP2000286735A (ja) 選局装置
KR0180647B1 (ko) Tv의 텔리텍스트모드와 tv모드를 자동전환시키는 방법
KR19980052959A (ko) 텔레비전에서의 채널/시간대별 시청제한방법
KR20000028423A (ko)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KR0147986B1 (ko)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택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0191169B1 (ko) 텔레비젼의 화상 및 음성 제어 정보 저장 방법
KR100272605B1 (ko) 오디오선택형 티브이
KR100214803B1 (ko) 텔레비젼의 채널 디스플레이 방법
KR0144527B1 (ko) 온타이머기능을 이용한 무선헤드폰 제어장치
KR20000032177A (ko) 티브이의 시청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KR20000028057A (ko)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KR19990020636U (ko) 전원온시 장르별 방송순서 안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90016648A (ko) 텔레비전의 채널선국제어방법
KR19990013189A (ko) 전원 온 경과시간 표시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00038569A (ko) 지-코드를 이용한 티브이 예약시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